NHK 미토 방송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HK 미토 방송국은 이바라키현을 방송 구역으로 하는 NHK의 지역 방송국이다. 1941년 12월 9일 미토 임시 방송소로 방송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시설 확충을 거쳐 1970년 FM 방송을 개시했다. 2004년 디지털 종합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으며, 2023년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콘텐츠센터와 경영관리기획센터로 재편되었다. 현재 종합 텔레비전과 FM 방송을 운영하며, 지역 뉴스, 기상 정보, 스포츠 중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라키현 - 이바라키 방송
LuckyFM 이바라키 방송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 설립된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AM 방송을 시작하여 NRN에 가맹, FM 방송 중심으로 전환을 추진, AM 방송 송출 중단 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수도권을 커버하는 FM 방송국을 목표로 자체 제작 및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미토시 - 모모쿠리
모모쿠리는 쿠로세의 만화이자 애니메이션으로, 고등학생 쿠리하라 유키가 모모츠키 신야에게 반해 연애를 시작하지만 유키의 집착적인 성격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이다. - 미토시 - 미토 도쿠가와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번째 아들인 도쿠가와 요리후사를 시조로 하는 미토 도쿠가와가는 도쿠가와 고산케의 하나로서 에도 시대 막부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대일본사》 편찬 후원과 미토학을 통해 존황양이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메이지 시대 이후 화족으로 존속하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 간토 지방의 방송 - FM 도쿄
FM 도쿄(TFM)는 도카이 대학이 설립한 FM 도카이로 시작하여 주식회사 FM 도쿄로 재개국한 일본의 민영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수도권에 방송을 송출하며 기술 혁신, JFN 네트워크 확장, 높은 청취율을 통해 일본 FM 방송을 대표하고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간토 지방의 방송 -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은 도쿄도를 중심으로 방송하는 독립 UHF 지상파 방송국으로, 뉴스 중심에서 지역 중심 방송으로 전환 후 흑자를 달성하고 디지털 방송 전환과 심야 애니메이션 방영으로 성장했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NHK 미토 방송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방송국 명칭 | 미토 방송국 |
지역 | 이바라키현 |
FM 지역 | 이바라키현 |
개국 년월일 | 년: 월일: |
라디오 개국 년월일 | 년: 월일: |
콜사인 | EP |
우편 번호 | 310-8567 |
소재지 | 미토시 오마치 3초메 4-4 |
도시 이름 | 미토 |
라디오 도시 이름 | 미토 |
주파수 (MHz) | 83.2 |
ID | 1 |
디지털 채널 | 20 |
디지털 채널 2 | *13 |
링크 | 미토 방송국 공식 웹사이트 |
특이 사항 | 과거 콜사인은 JOAX였다.현 니혼테레비 방송망의 콜사인. *는 중계국. |
방송국 건물 | |
![]() |
2. 연혁
- 1949년, 미토시 오마치 1-2-6(현 미쓰이생명회관)에 목조 2층 건물 방송국사를 건설했다.[16]
- 1950년 6월 1일, 방송법 시행에 따라 재단법인 일본방송협회가 해산되고, 특수법인으로서 '''일본방송협회'''가 설립되어 모든 권리 의무를 승계했다.[16]
- 1951년 7월 1일, 미토 지국을 '''미토 방송국'''으로 개칭했다.(송신 시설은 없었다.)[16]
- 1959년, 철근 콘크리트 방송국사를 건설했다.[16]
- 1960년, 쓰치우라 통신부를 개설했다.[16]
- 1961년 12월 1일, 일본 최초의 UHF 방송국인 히타치 텔레비전 중계방송소의 시험 운용을 시작했다.[16]
- 1962년, 히타치 통신부를 개설했다.[16]
- 1963년, 히타치 텔레비전 중계방송소 본방송을 시작했다.[16]
- 1967년, 가시마 통신부를 개설했다.[16]
- 1970년 4월 6일, 미토 방송국, FM 방송 개시(호출 부호: JOEP-FM).[16]
- 1973년, 현재의 미토 방송회관이 완공되어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16]
- 1976년 7월 17일, 미토 방송국, 텔레비전 중계방송 개시.[16]
- 1991년, 쓰치우라 통신부를 폐지하고, 쓰쿠바 보도실을 개설했다.[16]
- 1998년, 가시마 보도실을 개설했다.[16]
- 2004년 10월 1일, 미토 방송국, 지상 디지털 종합 텔레비전 방송 개시(호출 부호: JOEP-DTV), 지상 디지털 교육 텔레비전 중계 개시.[16]
- 2005년 3월, NHK 미토 아동합창단 설립.[16]
- 2006년 4월 1일, 이바라키현을 포함한 전국 29개 도도부현에서 원세그 방송 개시(종합 텔레비전, 교육 텔레비전 모두 방송센터 발송의 사이말 방송).[16]
- 2007년 2월 1일, 미토 방송국, 종합 텔레비전 원세그 방송 개시(방송센터 발 종합 텔레비전 사이말 방송 종료).[16]
- 2011년 3월 11일, 동일본대지진 발생, 이바라키현 내 재해 보도 담당.[16]
- 2011년 7월 24일, 아날로그 방송 종료, 동 방송의 중계방송소 송출 중지, 지상 디지털 방송으로 완전 전환.[16]
- 2012년 4월 10일, 미토 방송국, 개국 70주년.[16]
- 2014년 10월 1일, 미토 방송국, 종합 텔레비전 방송 개시 10주년.[16]
- 2014년 10월 4일, 종합 텔레비전 방송 개시 10주년을 기념하여 미토 방송회관에서 「만텐! 이바라키 페스타」 개최( - 10월 5일).[16]
- 2022년 10월 3일, NHK 플러스에서 지역 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다시보기 서비스 개시.[16]
- 2023년 4월 1일, 레이와 개혁에 따라 부제(방송부・영업추진부 등)에서 센터제로 개편되어 콘텐츠센터, 경영관리기획센터로 재편.[16]
이바라키현에서는 1971년, 우정성(현 총무성)으로부터 현역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용 전파(주파수: 아날로그 UHF 34ch, 영상 출력: 5kW, 음성 출력: 1.25kW)가 할당되었다. 이바라키 방송(현재의 LuckyFM 이바라키 방송)을 포함한 8개사가 방송 면허 신청을 했지만, 많은 설비 투자와 스폰서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2004년까지 모든 회사가 면허 신청을 철회했다. 또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전파 할당이 취소되었다.
위탁 방송 사업자인 쓰쿠바 텔레비전(본사: 도쿄도)은 1997년 개국한 파펙TV!(현재의 스카파! 프리미엄 서비스)에서 "HIT 채널·핫토 이바라키 텔레비전"을 개국했지만, 스폰서 확보와 가입자 수 부진으로 1년 만에 폐국하고 다른 분야의 전문 채널로 전환했다.
이바라키현은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 "나카가와 수해"(1998년)와 "JCO 임계 사고"(1999년) 등의 대규모 재해가 발생함에 따라, 주민에 대한 피난 유도 및 정보 제공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현역 텔레비전 방송의 필요성이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했다.
아날로그 종합 텔레비전에 대해서는 간토 지방 각 도현에서는 방송 전파 혼잡 등의 이유로 현역 방송을 보류하고 방송 센터로부터의 광역 방송을 계속해 왔지만, 디지털 전환에 따라 동일 주파수 중계(SFN)가 가능해짐에 따라 디지털 종합 텔레비전에서의 현역 방송 개시가 검토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바라키현을 제외한 1도 5현에 있는 기존 현역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부터 경영 압박을 우려하는 의견이 나왔기 때문에, 우선 현역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이 없는 이바라키현에서 2004년에 선행 개시하게 되었다. 당시 NHK 회장이었던 에비사와 쇼지는 이바라키현 출신으로 현역 방송 개시에 크게 기여했다고 알려져 있다.
2009년부터 3개년 경영 계획에서는 마에바시, 우쓰노미야 양국에 대해 지상 디지털 방송으로 완전 이행 후 현역 방송 개시를 검토하는 내용이 담겨 2012년 4월 1일에 현역 방송으로 이행했다.
2. 1. 방송국 개설 이전
- 1941년 12월 9일, 미토시 쿠로하네초에 재단법인 일본방송협회 미토 임시방송소가 개설되어 방송을 시작했다. 당시에는 중파 방송이었으며, 호출 부호는 없었다.[16]
- 1942년 4월 10일, 미토시 모토시라카네초에 재단법인 일본방송협회 미토 출장소가 개설되었다. 이것이 미토 방송국의 시작이다.[16]
- 1945년 8월 2일, 미토 출장소가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바라키 회관 등으로 이전했다.[16]
- 1945년 10월 26일, 미토 임시방송소가 미토 중계방송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6]
- 1946년, 미토시 오오마치의 구 병영 임시 사무소로 이전했다.[16]
- 1946년 9월 1일, 미토 중계방송소의 호출 부호가 JOAK2로 결정되었다.[16]
- 1948년 5월 1일, 미토 출장소가 미토 지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6]
- 1948년 7월 1일, 미토 중계방송소의 호출 부호가 JOAX로 변경되었다. 이 호출 부호는 후에 일본텔레비전이 사용하게 된다.[16]
- 1948년 8월 16일, 미토 중계방송소가 폐지되었다.[16]
2. 2. 방송국 개설 이후
- 1941년 12월 9일, 미토 임시 방송소가 방송을 시작했다.(중파, 호출 부호 없음)[2]
- 1942년 4월 10일, 총무국 미토 출장소가 개설되었다.[2]
- 1945년 10월 26일, 미토 임시 방송소가 미토 중계방송소로 이름이 바뀌었다.[2]
- 1946년 9월 1일, 미토 중계방송소의 호출 부호가 JOAK2로 결정되었다.[2]
- 1948년 5월 1일, 미토 출장소가 미토 지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 1948년 7월 1일, 미토 중계방송소의 호출 부호가 JOAX로 변경되었다. (이 호출 부호는 현재 니혼 TV에서 사용하고 있다.)[2]
- 1948년 8월 16일, 미토 중계방송소가 폐지되었다.[2]
- 1951년 7월 1일, 미토 지국이 미토 방송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송신 시설은 없었다.)[2]
- 1961년 12월 1일, 일본 최초의 UHF 방송국인 히타치 텔레비전 중계방송소가 실험 운용을 시작했다.[2]
- 1970년 3월 28일, 미토 방송국이 FM 방송을 시작했다. (호출 부호 JOEP-FM)[2]
- 1976년 7월 17일, 미토 방송국이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중계를 시작했다.[2]
- 2004년 10월 1일, 미토 방송국이 디지털 종합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고(호출 부호 JOEP-DTV), 디지털 교육 TV 중계를 시작했다.[2]
- 2006년 4월 1일, 이바라키현에서 원세그 방송이 시작되었다. (종합 텔레비전, 교육 텔레비전 모두 NHK 방송 센터의 프로그램을 방송했으며 현역방송은 없었다.)[2]
- 2007년 2월 1일, 미토 방송국이 종합 텔레비전 원세그 방송에 현내 주민을 위해 디지털 종합 텔레비전 미토방송국 동시전송을 실시했다.[2]
- 2011년 7월 24일,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2]
지역방송(방송 개시: 2004년 10월 1일, 리모컨 키 ID: '''1''', 호출 부호: '''JOEP-DTV''')은 디지털 방송으로는 처음이며, 아날로그 방송을 포함하면 쓰 방송국 이후 31년 만이다.[2]
도내 지상파 디지털 중계국 설치는 도쿄 타워(당시)에서 NHK 방송센터(도쿄)의 전파가 거의 도달하지 않는[2] 북부, 중부, 시카고 지역[3] 3개 지역이 우선되었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는 산간부 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가구에서 지역방송을 수신할 수 있었다.[2]
도쿄 스카이트리(2013년 5월 31일 이후)에서의 NHK 방송센터(도쿄)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4] 남부, 서부 지역에서 지역방송을 송출하는 중계국은 쓰쿠바 중계국, 쓰쿠바가미군 중계국, 츠쿠시 중계국, 야사토 남 중계국, 코가와 중계국, 가스미가우라 중계국[4][5] 6국이다. 참고로, 서부 반도시에 이와이 중계국 설치가 일시적으로 검토되었지만, 나중에 설치 불필요로 판단되었다.[6]
이들 지역에서는 아날로그 방송 종료 이전에는 혼신을 방지하기 위해 쓰쿠바 중계국에 지향성이 걸렸던 데다, 이와세 중계국의 출력이 작고, 미토국 전파도 이시오카시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지역에서 수신할 수 없었다.[7] 남부 지역에서는 지향성이 걸렸던 쓰쿠바 중계국의 제한된 수신 범위 내 지역과 지역방송을 재송신하고 있는 케이블 TV 서비스 지역 이외에는 지역방송을 수신할 수단이 없었고, 또한 서부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중계국이 있는 사쿠라가와시 이와세 지역 이외 거의 전역이 수신 지역 밖이었다.[7]
아날로그 방송 종료 후 2011년 9월 5일에 쓰쿠바 중계국이 무지향성화되어 도내 거의 전역에서 지역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8]
시카고 지역에서는 2013년 1월에 카미스 중계국이 새로 설치되었고,[9] 이듬해인 2014년 1월 말에는 가스미가우라 중계국도 새로 설치되었다.[9]
서부와 남부 지역에서는 도쿄 스카이트리 등 인근 도현의 송신소와 중계국과 병용하여 수신・시청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코가와 중계국과 츠쿠시 중계국, 쓰쿠바 중계국 3개 중계국에서는 교육텔레비전(E텔레)이나 재경 민영방송 각국은 송출하지 않는다.[10][11] 서부와 남부 거주자가 지역방송을 수신하려면, 코가와 중계국과 츠쿠시 중계국, 쓰쿠바 중계국 중 조건이 좋은 중계국을 향해 안테나 추가 설치와 특정 지역용 U·U혼합기가 필요하다. 설치 시 중계국에 따라 안테나 종류(수직 편파·수평 편파)가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TV 수신기[12]에 따라 자동으로 이바라키현에 지역 설정이 되어 미토국을 1, 도쿄(관동 광역)을 3 또는 9[13] 등 비어 있는 채널에 프리셋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도쿄(관동 광역)를 시청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를 도쿄도로 재설정한 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11][14]
3. 채널·주파수
NHK 방송센터 관할로 AM 라디오 중계국은 설치되지 않으며, NHK 미토 방송국은 FM 방송만 실시한다. FM 방송의 호출 부호는 JOEP-FM이다.
방송국명 | 주파수 | 출력 |
---|---|---|
미토 방송국 | 83.2MHz | 1kW |
히타치 중계국 | 84.2MHz | 100W |
다이고 중계국 | 84.8MHz | 10W |
기타이바라키 중계국 | 82.9MHz | 100W |
3. 1. 텔레비전
출력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