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교육 텔레비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HK 교육 텔레비전은 1959년 1월 10일 일본에서 개국한 세계 최초의 교육 전문 텔레비전 방송국이다. 초기에는 방송 시간이 제한적이었으나 점차 확대되어 1967년부터는 종일 방송을 시작했다. 1977년 일본 텔레비전 방송국 중 가장 늦게 컬러 방송을 시작했으며,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방송 시간이 단축되기도 했다. 1990년대부터는 위성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으며, 2011년에는 'E 텔레'라는 애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NHK 교육 텔레비전은 교육, 복지, 예술 분야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재방송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후지 TV
후지 TV는 닛폰 방송, 문화방송, 영화 3사의 참여로 1959년 개국한 일본의 민영 방송국으로, 전국 방송망을 구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나, 2010년대 이후 경영 악화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고 있다. - 1959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산인 방송
산인 방송은 1954년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1959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 돗토리·시마네현을 방송 대상 지역으로 하며 JRN, NRN, JNN에 가맹되어 있는 방송국이다. - NHK - 일본방송협회
일본방송협회(NHK)는 1924년 도쿄방송국으로 설립되어 1926년 사단법인으로 통합된 후, 1950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어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공영 방송을 제공하며 수신료로 운영되지만, 수신료 징수 방식, 정치적 중립성, 내부 문제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NHK - NHK-FM방송
NHK-FM방송은 일본방송협회(NHK)의 공영 FM 라디오 방송 채널로, 1957년 실험 방송을 시작하여 1969년 본방송을 개시, 전국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교양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인터넷 방송도 제공한다.
NHK 교육 텔레비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채널 정보 | |
채널명 | NHK 교육 텔레비전 (NHK E 텔레) |
![]() | |
슬로건 | 발견, E 텔레 (みつかる Eテレ) |
약칭 | E 텔레 (Eテレ, Ī Tere) |
개국 정보 | |
개국일 | 1959년 1월 10일 |
기술 정보 | |
화질 | 480i (SD, 구 아날로그 방송, 멀티편성 시), 1080i (HD, 디지털 방송, 단독 편성) |
서비스 지역 | |
방송 지역 | 일본 전역 |
언어 | 일본어 |
방송망 | |
소유주 | NHK |
본사 위치 | NHK 방송 센터, 시부야, 도쿄, 일본 |
온라인 서비스 | |
온라인 채널 | E 텔레 - NHK 플러스 |
온라인 채널 2 | E 텔레 3 - NHK 플러스 |
관련 채널 | |
자매 채널 | NHK 종합 텔레비전 NHK BS NHK BS 프리미엄 4K NHK BS8K |
디지털 텔레비전 | |
지상파 | 디지털 지상파 |
채널 번호 | 2번 |
위성 방송 (지상파 난시청 대책 위성 방송) | |
운영 사업자 | 일본방송협회 |
본사 위치 | 시부야구 진난 2초메 2번 1호 NHK 방송 센터 |
장르 | 지상파 난시청 대책 위성 방송 |
방송 내용 |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동시 방송 |
특별 위성 방송 | BS 디지털 |
특별 플랫폼 | 사단법인 디지털 방송 추진 협회 |
특별 채널 | 292 |
물리 채널 | BS-17ch |
특별 개국일 | 2010년 3월 11일 |
특별 폐국일 | 2015년 3월 31일 |
링크 | 관련 링크 |
특이 사항 | 지상파 난시청 대책 위성 방송 대상 리스트(화이트 리스트)에 게재된 지역만 시청 가능 |
2. 역사
1959년 1월 10일 일본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교육 전문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했다.[3] 라디오 제2방송과 호출부호가 같다. 개국 초기에는 방송이 중단되는 시간대가 있었으나, 이후 방송 시간이 점차 확대되어 1967년 4월을 기해 방송 중단 시간 없이 아침부터 밤까지 방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977년 10월에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국 중에서 가장 늦게 프로그램 전면 컬러화가 이루어졌다. 이 컬러화로 인해 과거 작품의 재방송을 제외한 흑백 방송은 일본 TV 프로그램에서 사라졌다.
1974년 제1차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14:30부터 17:30까지 1~3시간 동안 방송이 중단되었으며,[13] 심야 방송이 중단되어 종료 시간이 오후 11시로 늦춰졌다.[14] 1975년에는 도쿄와 오사카의 아날로그 UHF 실험 방송국이 폐쇄되었으며, 일본 공개 대학교 개교를 위한 실험 프로그램 "대학교 강좌"가 방송될 예정이었다. 석유 파동으로 인한 시간 절약 조치는 1년 2개월 만에 완전히 해제되었다.
아날로그 음성 다중 방송은 1990년 10월부터 수도권 3개 지역에서 처음 실시되었으며, 이듬해 3월 21일부터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되었다. 텔레텍스트 방송 (자막 방송)은 1999년에 시작되었다.
1990년에 닛폰 TV에서 방송하던 《EX 텔레비전 OSAKA》(요미우리 TV 방송 제작)라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시청률 조사기를 보유하고 있는 약 2600 가구에게만 방송할 프로그램"이라는 특집 프로그램을 방송하기로 했고 이때 이 프로그램의 사회자는 시청자에게 1분간 NHK 교육 텔레비전에 채널을 맞춰줄것을 부탁했다. 당시 NHK의 모든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은 이 프로그램이 방송중인 오전 0시대에는 방송을 종료했음에도 불구하고 2%(비디오 리서치), 5.9%(AC닐슨)의 순간시청률을 기록했는데 이 때문에 시청률 조사회사인 비디오 리서치에서 요미우리 TV에 항의하는 해프닝이 있었지만 이 프로그램은 그 해 일본 민간방송연맹에서 부여한 TV 오락 프로그램 최우수 상을 수상했다.
일본 전국방송으로 설립되었기 때문에 지역방송을 하지 않으며 한 방송국에서 여러 현을 방송구역으로 삼는 경우가 많아 종합 텔레비전보다 방송국 수가 적다.
위성 방송은 당초, 1984년 5월 12일에 시험 방송이라는 명목으로, 2개 채널 동시 개국하여, 위성 제2 방송을 이용하여 교육 텔레비전과의 완전 동시 방송을 할 예정이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위성 제1 방송만의 개국이 되었고, 일부 프로그램의 시차 편성을 중심으로 방송이 시작되었다. 1986년 12월 26일부터 위성 제2 방송이 개국 후 정식으로 교육 텔레비전과의 완전 동시 방송으로 이행했다. 그 후 1987년 7월 4일부터, 위성 제1 방송이 완전 자율 편성으로 24시간 방송이 됨에 따라, 지상파 난시청 대책 방송은 위성 제2 방송으로 집약되었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종합 텔레비전과의 동시 생방송이 주가 되고, 교육 텔레비전은 지상파로부터의 시차 방송이 주가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시작으로 교육 텔레비전의 편성 제약이 줄어들었다. 그동안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던 장르의 일부가 위성 텔레비전 본방송 개시와 함께 교육 텔레비전으로 옮겨왔다.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던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은,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모습을 감추고, 교육 텔레비전으로 집약되었다.
2. 1. 개국 초기 (1959년 ~ 1970년대)
1959년 1월 10일, 일본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교육 전문 방송국으로 NHK 교육 텔레비전이 개국했다.[3] 같은 해 4월 1일에는 오사카 방송국이 개국했다.[9] 초기에는 방송이 중단되는 시간대가 있었으나, 1967년 4월을 기해 방송 중단 시간 없이 아침부터 밤까지 방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개국 당시 도쿄 방송국은 도쿄 타워에서 1번 채널로 방송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4월 6일에는 지요다구의 송신소에서 3번 채널로 방송되던 종합 채널과 채널이 바뀌었다.[9] 오사카에서는 미국군의 레이더 용도로 할당된 12번 채널이 사용되었다.[9]컬러 방송은 1959년 4월 6일에 도쿄에서 종합 텔레비전과의 채널 교체를 계기로 시작되었으며,[11] 1960년 9월 10일 본 방송이 시작되기 전날까지 실험 방송이 계속되었다.[11] 본 방송은 도쿄와 오사카 모두 종합 텔레비전과 같은 날에 시작되었다. NHK 아카이브스의 프로그램표 검색에 따르면, 본 방송 시작일인 1960년 9월 10일 유아 대상 프로그램 "캇짱"에 컬러 예정이라는 기재가 있으며,[12] 9월 12일 이후에는 "과학 교실 초등학교 1학년 ~난난나아니~", "됐다 됐다", "미술 교실", "음악 교실" 등이 도쿄에서 컬러로 방송되었다.[12] 1977년 10월에는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국 중에서 가장 늦게 프로그램 전면 컬러화가 이루어졌다.
1974년 1월 16일 이후, 1차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14:30부터 17:30까지 1~3시간 동안 방송이 중단되었으며,[3] 심야 방송이 중단되어 종료 시간이 오후 11시로 늦춰졌다.[3] 1975년에는 도쿄와 오사카의 아날로그 UHF 실험 방송국이 폐쇄되었고, 일본 공개 대학교 개교를 위한 실험 프로그램 "대학교 강좌"가 방송되었다.
일본 전국방송으로 설립되었기 때문에 지역방송을 하지 않으며 한 방송국에서 여러 현을 방송구역으로 삼는 경우가 많아 종합 텔레비전보다 방송국 수가 적다.
2. 2. 1980년대 ~ 현재
1959년 1월 10일 일본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교육 전문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했다.[3] 개국 초기에는 방송이 중단되는 시간대가 있었으나, 이후 방송 시간이 점차 확대되어 1967년 4월을 기해 방송 중단 시간 없이 아침부터 밤까지 방송을 할 수 있게 되었다.1977년 10월에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국 중에서 가장 늦게 프로그램 전면 컬러화가 이루어졌다. 이 컬러화로 인해 과거 작품의 재방송을 제외한 흑백 방송은 일본 TV 프로그램에서 사라졌다.
1974년 제1차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14:30부터 17:30까지 1~3시간 동안 방송이 중단되었으며,[13] 심야 방송이 중단되어 종료 시간이 오후 11시로 늦춰졌다.[14] 1975년에는 도쿄와 오사카의 아날로그 UHF 실험 방송국이 폐쇄되었으며, 일본 공개 대학교 개교를 위한 실험 프로그램 "대학교 강좌"가 방송될 예정이었다. 석유 파동으로 인한 시간 절약 조치는 1년 2개월 만에 완전히 해제되었다.
아날로그 음성 다중 방송은 1990년 10월부터 수도권 3개 지역에서 처음 실시되었으며, 이듬해 3월 21일부터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되었다. 텔레텍스트 방송 (자막 방송)은 1999년에 시작되었다.
1990년에 닛폰 TV에서 방송하던 《EX 텔레비전 OSAKA》(요미우리 TV 방송 제작)라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 "시청률 조사기를 보유하고 있는 약 2600 가구에게만 방송할 프로그램"이라는 특집 프로그램을 방송하기로 했고 이때 이 프로그램의 사회자는 시청자에게 1분간 NHK 교육 텔레비전에 채널을 맞춰줄것을 부탁했다. 당시 NHK의 모든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국은 이 프로그램이 방송중인 오전 0시대에는 방송을 종료했음에도 불구하고 2%(비디오 리서치), 5.9%(AC닐슨)의 순간시청률을 기록했는데 이 때문에 시청률 조사회사인 비디오 리서치에서 요미우리 TV에 항의하는 해프닝이 있었지만 이 프로그램은 그 해 일본 민간방송연맹에서 부여한 TV 오락 프로그램 최우수 상을 수상했다.
위성 방송은 당초, 1984년 5월 12일에 시험 방송이라는 명목으로, 2개 채널 동시 개국하여, 위성 제2 방송을 이용하여 교육 텔레비전과의 완전 동시 방송을 할 예정이었지만,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위성 제1 방송만의 개국이 되었고, 일부 프로그램의 시차 편성을 중심으로 방송이 시작되었다. 1986년 12월 26일부터 위성 제2 방송이 개국 후 정식으로 교육 텔레비전과의 완전 동시 방송으로 이행했다. 그 후 1987년 7월 4일부터, 위성 제1 방송이 완전 자율 편성으로 24시간 방송이 됨에 따라, 지상파 난시청 대책 방송은 위성 제2 방송으로 집약되었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종합 텔레비전과의 동시 생방송이 주가 되고, 교육 텔레비전은 지상파로부터의 시차 방송이 주가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시작으로 교육 텔레비전의 편성 제약이 줄어들었다. 그동안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던 장르의 일부가 위성 텔레비전 본방송 개시와 함께 교육 텔레비전으로 옮겨왔다.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던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은,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서면서 모습을 감추고, 교육 텔레비전으로 집약되었다.
3. 프로그램 편성
NHK 교육 텔레비전은 교육 프로그램, 복지·실용 프로그램, 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장애인을 위한 수화뉴스를 방송한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3일에는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제2라디오도 이때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종합 텔레비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느라 방송하지 못하는 국회 중계, 스포츠 중계 등을 방송하기도 하며, 큰 재해가 일어날 경우에는 그 재해와 관련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디지털 교육방송의 경우 예비채널을 이용해 메인 채널과 다른 편성으로 방송을 하기도 한다.
유아 대상 프로그램, 초등학생 대상 학교 방송, 정시제·통신제 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수업 프로그램(NHK 고교 강좌 등), 취미 프로그램, 어학 프로그램, 애니메이션, 복지 정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방송이 잦은 것도 특징이다. 학교 방송은 기본적으로 각 학기마다 격주로 신작을 방송하며, 첫 방송이 끝난 후에는 2주 후 차회 방송까지 같은 프로그램 내용을 요일을 바꿔 재방송을 반복하며, 1 프로그램당 6회 정도 같은 프로그램이 방송된다. 또한 여름 방학, 겨울 방학, 봄 방학에는 "○○의 텔레비전 클럽"이라고 칭하며, 장기 휴교 전의 직전 학기에 방송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재방송한다.
디지털 방송의 멀티 편성에서는 월~금요일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고교 강좌부터 바둑·장기, 단가·하이쿠 프로그램의 뒷 시간대로 고교 강좌 라이브러리 및 NHK 월드가 방송된다.
2003년도에는 "오늘 밤도 당신의 파트너", 마루토쿠 매거진, 100 단어로 시작! 영어 회화의 시작 및 "어학 계열"이라고 칭하며 7개의 어학 강좌의 학생 역을 모두 여성 탤런트로 기용, 고교 강좌의 리뉴얼 등 대규모 개편이 이루어졌다.
2010년 이후의 움직임으로는 연극이나 클래식 등의 프로그램이 감소했다. 고교 강좌에 개그맨이나 아이돌을 기용하는 것 외에, 장애인 복지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획일적이라는 비판을 계기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리뉴얼한 사례 등이 있다.
편성상의 1년의 기점은 원칙적으로 4월 첫째 월요일이지만, 달력 관계상 3월 마지막 월요일이 되는 경우도 있다. 단, 학교방송에 관해서는, 3월 마지막 주가 봄방학과 겹치기 때문에, 거의 반드시 4월 첫째 월요일에 새 프로그램으로 갱신된다.
3. 1. 프로그램 유형
NHK 교육 텔레비전은 교육 프로그램, 복지·실용 프로그램, 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장애인을 위한 수화뉴스를 방송한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3일에는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제2라디오도 이때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종합 텔레비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느라 방송하지 못하는 국회 중계, 스포츠 중계 등을 방송하기도 하며, 큰 재해가 일어날 경우에는 그 재해와 관련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디지털 교육방송의 경우 예비채널을 이용해 메인 채널과 다른 편성으로 방송을 하기도 한다.방송 내용은 교육, 유아·저학년 대상, 소년 소녀·틴즈 대상, 취미·실용·교양, 복지·건강, 예술·문화 등 여러 장르로 나뉜다.
- 교육 방송: 유치원·보육원 대상 프로그램, 학교 방송, NHK 고등학교 강좌, 어학 프로그램 등이 있다.
- 어학 프로그램에는 오오니시 히로토의 기본 영어 레시피(2021년-) 등이 있다.
- 학교 방송 프로그램에는 숫자와 도형(1977년-1984년), 수학의 세계(1980년-1985년), 수학과 함께(1992년-1995년) 등이 있었다.
- 유아·저학년 대상: E테레 키즈 등이 있다.
- 오카아상 토 잇쇼(1985년-)는 1959년 10월 5일에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시작되어 1984년까지 방송되었고, 이후 교육 텔레비전에서 방송 중이다.
- 소년 소녀·틴즈 대상: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중학생 일기(2011년도 종료) 등이 있다.
- 취미·실용·교양: 오늘의 요리, 세련된 공방(2009년도 종료), 취미 유유(2009년도 종료), 아는 즐거움(2009년도 종료), 테츠코의 방(2013년 - ), 지구 드라마틱 등이 있다.
- 복지·건강: 하트넷TV, 바리바라 ~장애인 정보 버라이어티~, ETV 와이드 함께 살아가기, 오늘의 건강 등이 있다.
- 예술·문화: 일요 미술관, 라라라♪ 클래식, 클래식 음악관, ETV 특집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바둑, 장기, 하이쿠, 단가를 다룬 프로그램, 과학 프로그램 등을 방송한다. 보도 프로그램은 거의 없지만, 청각 장애인을 위한 NHK 수화 뉴스를 방송한다.
1990년대 이후, 『해치 포치 스테이션』, 『스트레치맨』, 『피타고라스 스위치』와 같은 초현실적인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학교 방송이나 어학 프로그램, 젊은층 대상 프로그램에서는 아이돌이나 개그맨이 출연하거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연출을 도입하는 등, 시대의 흐름에 맞춰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프로그램 대부분은 도쿄의 NHK 방송 센터에서 제작되지만, 『바리바라 ~장애인 정보 버라이어티~』 (오사카국), 『중학생 일기』 (나고야국), 『하이쿠 왕국』 (마츠야마국) 등, NHK 방송 센터 이외에서 제작되는 전국 대상 프로그램도 있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3일은 연말 연시 특별 프로그램 편성이 이루어지며, 통상적인 프로그램 편성은 대부분 휴지한다. 1998년 포켓몬 쇼크 이후 장시간 애니메이션 편성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학교 휴교 시즌에는 신규 프로그램 제작을 쉬고, 재구성 프로그램 중심으로 방송한다.
월요일부터 금요일은 "존"을 설정하여 집중 편성(블록 프로그래밍)을 실시한다.
- 5:30 - 6:25: 아침 활동 존 (교양 프로그램・어학 프로그램)
- 6:25 - 6:35: TV 체조
- 6:35 - 9:00: 아침 유아・어린이 존
- 9:00 - 10:15: 학교 방송
- 10:15 - 13:00: 앙코르 존 (어학・교양・취미 프로그램)
- 13:00 - 14:00: 복지・건강 프로그램
- 14:00 - 15:00: NHK 고교 강좌
- 15:00 - 15:30: 앙코르 존 (취미 프로그램)
- 16:00 - 20:00: 저녁 유아・어린이 존&틴즈 존
- 19:55 - 21:00: 복지・건강 프로그램
- 21:00 - 22:00: 취미・실용 프로그램
- 22:00 - 23:00: 어학 프로그램
- 23:00 이후: 교양 존・청소년 존・심야 학습 존 (교양 프로그램・어학 프로그램・학교 방송)
3. 2. 편성 특징
NHK 교육 텔레비전은 교육 프로그램, 복지·실용 프로그램, 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장애인을 위한 수화뉴스를 방송한다.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3일까지는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제2라디오도 이때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종합 텔레비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느라 방송 못하는 국회 중계, 스포츠 중계 등을 방송하기도 하며, 커다란 재해가 일어날 경우에는 그 재해와 관련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디지털 교육방송의 경우 예비채널을 이용해 메인 채널과 다른 편성으로 방송을 하기도 한다.
유아 대상 프로그램, 초등학생 대상 학교 방송, 정시제·통신제 고등학교 학생 대상의 수업 프로그램(NHK 고교 강좌 등), 취미 프로그램, 어학 프로그램, 애니메이션, 복지 정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방송이 잦은 것도 특징이다. 학교 방송은 기본적으로 각 학기마다 격주로 신작을 방송하며, 첫 방송이 끝난 후에는 2주 후 차회 방송까지 같은 프로그램 내용을 요일을 바꿔 재방송을 반복하며, 1 프로그램당 6회 정도 같은 프로그램이 방송된다. 또한 여름 방학, 겨울 방학, 봄 방학에는 "○○의 텔레비전 클럽"이라고 칭하며, 장기 휴교 전의 직전 학기에 방송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재방송한다.
디지털 방송의 멀티 편성에서는 월~금요일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고교 강좌부터 바둑·장기, 단가·하이쿠 프로그램의 뒷 시간대로 고교 강좌 라이브러리 및 NHK 월드가 방송된다.
2003년도에는 "오늘 밤도 당신의 파트너", 마루토쿠 매거진, 100 단어로 시작! 영어 회화의 시작 및 "어학 계열"이라고 칭하며 7개의 어학 강좌의 학생 역을 모두 여성 탤런트로 기용, 고교 강좌의 리뉴얼 등 대규모 개편이 이루어졌다.
2010년 이후의 움직임으로는 연극이나 클래식 등의 프로그램이 감소했다. 고교 강좌에 개그맨이나 아이돌을 기용하는 것 외에, 장애인 복지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획일적이라는 비판을 계기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리뉴얼한 사례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편성의 교체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라디오 제2 등 다른 일부 채널도 마찬가지이다. 단, 프로그램 편성의 교체라는 예는 교육 텔레비전이 라디오 제2보다 많다. 2012년도에 정기적으로 교체 방송이 이루어지는 것은 긴키 지방과 오키나와현뿐이다.
국회 중계, 스모 중계, 고교 야구와 올림픽 등의 스포츠 중계를 종합 텔레비전에서 대체 방송하는 경우가 있다. 고교 야구의 지방 대회나 NHK 전국 학교 음악 콩쿠르의 지방 대회 등 각 방송국이 독자적으로 편성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로컬 프로그램과 종합 텔레비전의 장시간 특집이 중복되는 경우, 특집을 해당 시간대에만 교육 텔레비전에 릴레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진이나 쓰나미, 더 나아가 주변 인접 국가의 위험 행위에 따라 J-ALERT가 발동되어, 피난 지시·권고 등이 발령된 경우에는 전파 공통 방송 (긴급 경보 방송), 한신·아와지 대지진이나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동일본 대지진에서는 「안부 정보」를 편성한다. 통상 방송으로 되돌리는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자막 정보를 방송한다. 1995년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에서는 1월 17일부터 5일간, 통상 프로그램을 전일, 또는 일부 중단하고, 안부 정보 특집 방송을 했지만, 며칠에 걸쳐 교육 텔레비전의 프로그램을 교체한 경우는 이때가 처음이었다. 또한 2011년의 동일본 대지진에서도 3월 11일의 지진 발생 시부터 3월 18일 24시 방송 종료까지 통상 프로그램의 대부분을 중단했다.
쇼와 천황이 붕어했을 때, NHK는 당초 전파로 관련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했지만, 붕어의 보도가 처음으로 된 2시간 후쯤에, 교육 텔레비전에 대해서는 각지의 방송국의 판단으로 순차적으로 통상 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갔다.
2010년6월 11일에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드디어 개막 세기의 제전을 즐기자! - 2010 FIFA 월드컵 -'(19:30 - 20:45)은 홋카이도 지방에서는 특별 프로그램 '생중계! 요사코이 소란 나이트 2010'(19:30 - 20:45)을 우선했기 때문에, 교육 텔레비전에서 편성했다.
편성상의 1년의 기점은 원칙적으로 4월 첫째 월요일이지만, 달력 관계상 3월 마지막 월요일이 되는 경우도 있다.
3. 3. 방송 시간
NHK 교육 텔레비전은 교육 프로그램, 복지·실용 프로그램, 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장애인을 위한 수화뉴스를 방송하고 있다.[22] 매년 12월 31일부터 1월 3일까지는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제2라디오도 이때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종합 텔레비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느라 방송 못하는 국회중계, 스포츠 중계 등을 방송하기도 하며 커다란 재해가 일어날 경우에는 그 재해와 관련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디지털 교육방송의 경우 예비채널을 이용해 메인 채널과 다른 편성으로 방송을 하기도 한다.과거에는 24시간 방송을 실시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평균 일일 21시간 정도 방송된다. 1959년 방송 시작 당시에는 하루 5시간(오전 11시, 오후 1시, 밤 7시~10시)만 방송되었고, 이른 아침과 낮 시간 중 오후 시간대는 방송이 중단되었다. 해당 시간에는 방송 설비 점검을 위한 테스트 패턴 이미지와 레코드 음악을 송출했다. 이후 방송 시간이 확대되어 1964년에는 오후 12시대의 중단이 폐지되었고, 이른 아침 방송도 시작되었다. 종일 방송(아침부터 심야까지 중단 없음)이 시작된 것은 1967년 4월 개편 때였다.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24시간 방송의 '벽'이 조금씩 무너지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어학 강좌의 심야 편성에 따라 월~금요일 일부는 0:35 (방송일 기준 24:35)에 종료되었다. 1999년에는 더 확대되어, 월~금요일은 2:00 (방송일 기준 26:00)까지 방송되었다. 2000년에는 원칙적으로 둘째·넷째·다섯째 주 일요일 심야 = 월요일 새벽을 제외하고, 5:00 기점의 24시간 방송을 시작했다. 그러나 NHK의 불상사로 인한 수신료 수입 감소의 영향으로 2006년 4월 3일 새벽 방송을 기점으로 24시간 방송을 중단하고, 심야는 다시 원칙적으로 유지 보수 시간 (방송 휴지 시간)으로 채우게 되었다.
2012년도부터는 월요일부터 금요일의 방송 시작 시각이 5:30으로 늦춰졌다. 토요일과 일요일은 종전과 같이 5:00에 시작한다. 2015년도는 일·월이 5시, 나머지가 5:30이 되었고, 2016년도부터는 일요일이 5시, 그 외가 5:30으로 변경되었다. 24시 이후는 실제 날짜로는 다음날에 해당한다.[31]
3. 4. 심야 방송
2000년도부터 NHK 교육 텔레비전은 5:00를 기점으로 24시간 방송을 실시했다. 2006년도부터는 기본적으로 5:00부터 다음 날 2:00까지 21시간 방송을 실시하며, 특별 편성이나 재해·지진 등의 긴급 보도가 있는 경우, 또는 해당 날짜의 종합 텔레비전의 관내 전역 방송 중단에 따른 종일 방송 대체 외에는 방송이 중단된다. 송신소 점검·정비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송출 중단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방송 중단 중에는 각 방송국에서 자체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4:35부터는 전국 공통으로 5.1채널 서라운드 스테레오, 2중 음성 및 멀티 편성 등의 시험을 실시한다.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14:9, 16:9 화면 비율 전환 시험도 실시했다.
2007년도 이후에는 『고교 강좌 라이브러리』 편성 변경 및 지구 환경 대책의 일환으로 방송 종료 시간이 변경되었다. 특히, 2012년도부터는 지상 디지털 TV로의 완전 통합을 위해 고교 강좌 라이브러리의 시간을 월-금요일 낮 시간대에 멀티 채널 편성으로 편성하는 등 지구 온난화 억제를 위한 노력 강화로 인해 방송 종료가 더욱 앞당겨졌다. 2019년도부터는 0시대에서의 방송 종료일이 더욱 강화되었다.
올림픽 기간 중에는 경기 중계 방송 등으로 심야 방송을 실시하는 사례가 있다. 2021년 도쿄 올림픽과 2024년 파리 올림픽, 파리 패럴림픽에서는 종일 방송이 실시되기도 했다.[56][57][58]
2023년도는 0시(전날 24시)대를 "전략적 앙코르 시간대"로 설정하여 전체적으로 1시(동 25시)대 전반까지 방송 시간을 연장했다.[59]
1일의 방송 시작·종료 시에는 2021년 3월 29일의 신년 프로그램 개편 이후, 방송 시작 시는 "열리는 하루", 종료 시는 "닫히는 하루"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에 기재되어 있다.[60][61][62]
연도 | 월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일요일 |
---|---|---|---|---|
2006년도 상반기 | 2:00 (목요일만 2:30) | 3:00 | 1:00 | |
2006년도 하반기 | 월 2:10 화·수 2:00 목 2:30 | |||
2007년도 | 3:00 | 원칙 1:35 | 1:50 | 0:30 |
2008년도 상반기 | 2:45 (월요일만 2:50) | 원칙 2:15 (금요일만) | 1:35 | |
2008년도 하반기 | 원칙 1:40 | 1:35 | 0:35 | |
2009년도 | 2:50 | 원칙 1:10 | 1:15 | 0:40 |
2010년도 | 2:40 (목요일만 2:50) | 원칙 1:15 | 1:10 | 1:00 |
2011년도 | 2:35 | 1:45 | 1:20 | 0:45 |
2012년도 | 1:25 (목요일만 원칙 2:20) | 원칙 2:00 | 원칙 1:50 | 1:25 |
2013년도 상반기 | 월·화 1:25 수 1:40 목 원칙 2:20 | 원칙 1:45 | 원칙 1:35 | 1:35 |
2013년도 하반기 | 월 2:05 화 1:25 수 1:40 목 원칙 2:20 | |||
2014년도 | 월 1:40 화·수 1:25 목 원칙 1:50 | 2:00 | 원칙 2:00 | 1:10 |
2015년도 | 월·화 1:40 수 1:50 목 원칙 1:45 | 1:55 | 1:25 | |
2016년도 | 1:25 | 1:55 | ||
2017년도 | 1:50 | 1:35 | ||
2018년도 | 월·화 1:40 수 1:00 목 원칙 1:45 | 1:30 | ||
2019년도 2020년도 | 월·화 0:50 수 1:00 목 원칙 1:40 | 1:00 | 0:45 | |
2021년도 | 월·화 0:25 수 1:00 목 원칙 0:30 | 0:50 | 0:30 | |
2022년도 | 월·목 0:30 화 0:55 수 1:00 | 1:00 | ||
2023년도 | 월·수 1:00 화 1:25 목 1:15 | 1:15 | 원칙 1:35 |
- 표기된 요일은 오전 5시 시작을 기준으로 한 방송 날짜이며, 실제로는 다음 요일 새벽이다.
- 고교 야구 지방 대회가 편성되었을 때 그 중계에서 방송되지 않은 일부 프로그램의 동시 시차 방송을 하기 때문에 종료 시간이 위의 시간보다 늦어진다.
- 심야에 종합 텔레비전에서 해외 스포츠 중계가 방송되는 경우에는 멀티 채널 편성은 하지 않고, 릴레이 방송으로 방송 시작 시간을 앞당기는 경우가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라이브러리 열람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여러 번 NHK 고교 강좌의 라이브러리 방송 폐지도 거론되었지만, 현재 단계에서는 경과 조치로 라이브러리 방송 폐지는 보류되었다. 그러나 텔레비전 디지털화에 따른 멀티 채널 편성의 특성을 살려, 2012년도부터 라이브러리 방송을 서브 채널 3의 월-금요일 낮 시간대로 옮기고, 심야의 중단 시간대를 확대했다.
NHK는 도쿄도 조사에서 방송 센터가 도내에서 6번째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사업소로, 도 조례에 의해 감축이 의무화되었다. 종합 텔레비전 『지구 에코 2008』 2008년(헤이세이 20년) 4월 6일 방송에서, 교육 텔레비전의 방송 시간 단축의 목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력 소비 감축이 더해진 것이 명시되었다.
2008년 7월 6일 방송은, 다음 날 전국 일제 실시의 "칠석 라이트 다운 캠페인"에 협찬하여, 23:00에 방송 종료했다.
2008년 12월 29일은 환경 대책의 일환으로, 교육 텔레비전의 방송 시간을 12:30부터 21:30의 9시간으로 단축했다.[66][67]
캠페인에 대해서는 방송 시간 단축 당일의 특별 프로그램에서 야마구치 마사루 아나운서에 의한 설명이 있었다. 종합 텔레비전, 라디오 제1 방송, FM 방송에서는 재해 대책 기본법에 따른 의무 이행에 의해, 재해·지진 시의 긴급 보도 등 중요시되는 방송파이므로 방송 시간 삭감의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
위성파의 경우, 전력의 대부분은 방송 위성에 탑재되어 있는 태양 전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태양 전지 자체는 원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므로, 전파를 멈춰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전력 소비 삭감의 효과는 거의 나오지 않으므로, 이것도 방송 시간 삭감의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
정시 종일 방송이 2006년 4월 2일 심야 (4월 3일 새벽)에 일단 폐지된 후에도 임시 종야 방송이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 2006년 7월 31일 (8월 1일 새벽)부터 1주일 한정으로 24시간 방송이 진행되었다.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2009년 (헤이세이 21년)에 걸쳐 앞서 언급한 지구 에코 캠페인에 따른 에너지 절약·CO2 삭감책 때문에 종야 방송은 특별 프로그램 기간을 포함하여 실시하지 않았다.
- 2010년 (헤이세이 22년) 6월 - 7월에 걸쳐, 임시 종야 방송이 빈번하게 진행되었다.
- 2011년 (헤이세이 23년)도는 종야 방송 미실시.
- 2012년 (헤이세이 24년)도는 2013년 (헤이세이 25년) 1월 1일 심야 (1월 2일 새벽)에 『사이언스 ZERO』의 앙코르 방송을 하기 위해, 이날에 한정하여 24시간 방송이 부활했다.
- 2013년도는 전국적인 24시간 방송은 특별 프로그램 편성을 포함하여 진행하지 않았지만, NHK 오사카 방송국 관내 (킨키 지방)에 한해, 같은 해 12월 30일 23:00 - 12월 31일 7:35까지 총 8시간 반에 걸쳐 『[http://www.nhk.or.jp/osaka/bunraku/ 아침까지 분라쿠 "통시 광언·이가고에도 주소구"]』이 방송되었다.
- 2014년도는 종야 방송은 실시되지 않았지만, 동시기에 개최되는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과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경기 시간이 겹치기 때문에, 일부 개최일에 윔블던 선수권 대회의 중계를 우회 방송하고 있다.
- 2024년 (레이와 6년) 7월 - 9월에 걸쳐, 임시 종야 방송이 빈번하게 진행되었다.
2011년3월 11일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현재의 10개 배전 전력 회사 제도가 확립된 이후 처음으로, "계획 정전"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NHK는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 정파 계획 5년간의 연장선상에서 전력 절감에 협력하기 위해, 3월 14일 오후, 다음 15일부터 19일(방송 날짜상으로는 3월 14일 - 3월 18일 심야)까지 5일간 오전 0시부터 5시간 동안, 교육 텔레비전과 비상 조치로 이를 동시 방송하고 있는 BS2의 방송을 휴지하고, 시스템상 정파가 어려운 BS2와는 달리 교육 텔레비전에 대해서는 아날로그 방송뿐만 아니라 모든 디지털 방송 송신기에 대해서도 전원을 끄는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
20일(19일 심야) 이후에 대해서는 상황을 보면서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지만, 결국은 일반 방송으로 돌아갔기 때문에 행해지지 않았다.
2024년에는 7월 30일 새벽(29일 심야)에 종일 방송을 실시했다.[70] 또한, 8월 11일 심야(12일 새벽)에는 파리 올림픽 폐막식 중계를 3시 58분부터 진행한 관계로, 종일 방송을 실시했다.[71][57]
또한, 파리 패럴림픽에서도 E 텔레비전으로 급히 대체되면서 종일 방송이 되었다.[58]
4. 디지털 방송
NHK 교육 텔레비전은 교육, 복지·실용, 예술 분야의 프로그램을 주로 방송하며, 장애인을 위한 수화 뉴스를 제공한다.[23] 12월 31일부터 1월 3일에는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제2라디오도 같은 기간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24] 종합 텔레비전에서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국회 중계나 스포츠 중계를 대신 방송하기도 하며, 큰 재해가 발생하면 관련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디지털 교육 방송은 예비 채널을 통해 메인 채널과 다른 편성을 하기도 한다. 2003년 11월 10일 10시부터 디지털 방송 시험 방송을 시작했으며,[23] 12월 1일에는 3대 도시권(도쿄, 오사카, 나고야)에서 디지털 방송을 시작했다.[24]
2008년 7월 24일부터 아날로그 방송 화면 우측 상단에 '아날로그' 자막을 표시하여 디지털 방송 전환을 촉진했다. 2010년 3월 11일에는 Dpa가 BS 디지털 방송 292ch에서 도쿄 교육 디지털 텔레비전의 위성에 의한 세이프티넷을 기간 한정으로 시작했다. 같은 해 3월 29일부터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16:9 레터박스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2011년 3월 11일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 발생 후에는 예정된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쓰나미 경보,[25] 안부 정보, 생활 관련 정보가 생방송되었다.[26] 같은 해 6월 1일, 'NHK E 텔레'라는 명칭이 'NHK 교육 텔레비전'과 'ETV'를 대체하는 새로운 명칭으로 채택되었다.[27] 7월 24일 12시를 기점으로 아날로그 통상 방송이 종료되었고, 23시 59분에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정파되었다.
2012년 3월 31일, 모리오카, 센다이, 후쿠시마 3국과 그 중계국의 아날로그 방송도 정파되어 전국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완료되었다. 2015년 3월 31일 정오에는 BS 세이프티넷(BS292ch)에 의한 도쿄 E 텔레 동시 방송이 종료되었다.
2020년 3월 1일부터 NHK 플러스에서 동시 배신을 시작했으며,[28] 3월 30일부터는 일반 호칭이 'NHK E'로 변경되었다. 2021년 3월 29일부터는 특별 프로그램이나 재방송을 제외한 대부분 프로그램의 엔드 크레딧에서 '종', '끝', 'END' 등의 표기가 사라졌다.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200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리모콘 키 ID는 모든 방송국에서 '2'번이다. 2004년 9월부터 일부 시간대에 멀티 편성을 실시하고 있다. 2006년 4월 이후에는 023ch(서브 채널 3)에서만 실시했다. 2007년에는 주로 22시 이후 방송하는 취미, 교양 프로그램을 다음 날 20시부터 방송하고,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다른 시간대도 포함하여 1주일 분을 전부 방송했다. 2009년에는 야간 편성이 폐지되고 저녁 14~15시대에 편성했으며, 2010년에는 14시대가 폐지(금요일은 지속)되고 이른 아침 5시대에 NHK 고등학교 강좌 재방송(월~목)을 편성했다. 2011년에는 월~수요일 14:00~15:00, 목·금요일 14:00~15:30에 멀티 편성을 했다.
멀티 편성은 메인 채널(021)과 서브 채널(023) 모두 표준 화질로, BS1 등과 같이 메인 채널이나 지바 TV와 같이 서브 채널도 하이비전 화질은 아니었다. 고등학교 강좌의 멀티 채널 편성은 2023년 9월에 종료되었다.
2007년 9월 7일 밤의 멀티 편성에서는 전날 종합 텔레비전에서 태풍 정보를 방송하여 교육 텔레비전으로 이동한 세계 체조 선수권 때문에 방송되지 못한 프로그램을 멀티 편성에서 먼저 방송했다.
아사히 신문은 E 텔레비전 프로그램 끝에, 일본 경제 신문은 메인 텔레비전 면(중면)의 종합 텔레비전 프로그램 아래에 디지털 서브 채널 프로그램표를 게재하고 있다.
지상 디지털 방송 개시 후에도 하이비전 프로그램이 적었고, 4:3 표준 화질 제작 프로그램이 많았다. 2008년 4월 이후 표준 화질 멀티 편성에서도 16:9 화면 비율 제작 프로그램이 증가했으며, 표준 화질 제작 프로그램에 사이드 패널을 붙여 하이비전 화각으로 방송하는 것도 늘었다. 4:3 프로그램에서는 화각 정보도 전송되고 있다.
데이터 방송과 EPG는 완전 정파하지 않는 한 이용 가능하다. 데이터 방송은 지역별 내용 변경 없이 전국 동일 내용을 제공하며, 오늘의 요리 등 교육 텔레비전(E 텔레) 프로그램과 연동된다.
NHK는 2009년 4월 6일부터 NHK 원세그2라는 원세그 독립 방송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월~금요일 12시부터 1시간, 같은 날 심야 및 토요일 13시부터 1시간 동안 12세그와 다른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2012년부터 원세그용 독자 프로그램이 대폭 삭감되었고, 2014년에는 아오야마 원세그 개발과 원세그☆판미 등 일부 미니 프로그램만 남았으나, 2015년 3월을 기점으로 모두 종료되어 사실상 원세그2는 폐지되었다.
5. 명칭 및 로고
개국 이래 일반적인 약칭은 다양하게 존재했다.
민영 방송의 교육 방송국 일본 교육 텔레비전이 1973년 11월 1일에 일반 종합국으로 이행한 이후에는 일본에서 유일한 교육 방송 전문 채널이 된 이후부터 "교육 텔레비전"이나 영어명 "'''E'''ducational '''T'''ele'''v'''ision"에서 따온 "'''ETV'''"가 NHK 교육 텔레비전을 가리키게 되었다. 종합 텔레비전의 "GTV"는 군마 TV와 약칭이 같아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용 빈도는 적었지만, ETV는 이것을 약칭으로 하는 방송국이 없었기 때문에 대외적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NHK는 2010년부터 새로운 애칭으로 "'''E 텔레'''"를 채택했고[29], 2011년 6월 1일부터는 정식으로 대외적인 명칭으로 채택되어 신문이나 텔레비전 정보지 프로그램표 등의 국명 표기도 "E 텔레"로 변경되었다. EPG에서의 방송국명 표기도 같은 해 7월 11일 방송 개시부터 "'''NHK E 텔레 (방송국명)'''"로 바뀌었다. 지상 디지털 방송에서의 워터마크 표기는 2011년 4월 11일 방송 개시부터, 아이콘은 그해 7월 11일에 변경되었다.
2020년 3월 30일부터 수신기 표시 아이콘, 워터마크 표기 "NHK E"로 변경되었다[30]。
그 후에도 NHK의 홈페이지나 공개 자료, NHK 연감 등에서는 E 텔레의 표기가 사용되고 있다. 2024년 4월 시점에서도 신문이나 텔레비전 정보지 프로그램표 등의 국명 표기는 "'''NHK E 텔레'''"이며, NHK가 제공하는 프로그램표・EPG도 "'''NHK E 텔레 (방송국명)'''"이다.
호출 명칭(콜 네임)은 개국 이래 "NHK 교육 텔레비전"으로 변함없이, 방송 개시, 종료 시에 방송되는 국명 고지도 표시는 "NHK 교육 텔레비전"이며, 콜사인의 낭독도 "JO○B(C)-DTV, NHK ○○ 교육 디지털 텔레비전(입니다)"이다.
보도 기관에서의 표기에 대해서는 "교육 텔레비전", "교육", "ETV" 등과 같은 표기가 혼재되어 있었지만, "E 텔레"의 애칭이 정착되어 있다.
6. 기타
NHK E는 일본 전국에서 동일한 채널 번호를 사용하는 유일한 네트워크이다.[72] 대부분의 경우, "(지방국명) 교육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호칭된다.
지역 | 방송국 | 라디오 제2방송 | 교육 TV (아날로그; 폐쇄) | 교육 TV (디지털) | 현 | |
---|---|---|---|---|---|---|
호출 부호 | 채널 | 호출 부호 | ||||
홋카이도 | 삿포로 | JOIB | JOIB-TV | 12 | JOIB-DTV | 이시카리, 시리베시 및 소라치 지청 |
하코다테 | JOVB | JOVB-TV | 10 | JOVB-DTV | 오시마 및 히야마 지청 | |
아사히카와 | JOCC | JOCC-TV | 2 | JOCC-DTV | 가미카와, 루모이 및 소야 지청 | |
오비히로 | JOOC | JOOC-TV | 12 | JOOC-DTV | 도카치 지청 | |
구시로 | JOPC | JOPC-TV | 2 | JOPC-DTV | 구시로 및 네무로 지청 | |
기타미 | JOKD | JOKD-TV | 12 | JOKD-DTV | 아바시리 지청 | |
무로란 | JOIZ | JOIZ-TV | 2 | JOIZ-DTV | 이부리 및 히다카 지청 | |
도호쿠 | 아오모리 | JOTC | JOTC-TV | 5 | JOTC-DTV | 아오모리현 |
아키타 | JOUB | JOUB-TV | 2 | JOUB-DTV | 아키타현 | |
야마가타 | JOJC | JOJC-TV | 4 | JOJC-DTV | 야마가타현 | |
모리오카 | JOQC | JOQC-TV | 8 | JOQC-DTV | 이와테현 | |
센다이 | JOHB | JOHB-TV | 5 | JOHB-DTV | 미야기현 | |
후쿠시마 | JOFD | JOFD-TV | 2 | JOFD-DTV | 후쿠시마현 | |
간토・고신에쓰 | 도쿄 | JOAB | JOAB-TV (도쿄) | 3 | JOAB-DTV (도쿄) | 도쿄도 |
요코하마 | -- | 3 | 가나가와현 | |||
지바 | -- | 3 | 지바현 | |||
사이타마 | -- | 3 | 사이타마현 | |||
마에바시 | -- | 3 | 군마현 | |||
우쓰노미야 | -- | 3 | 도치기현 | |||
미토 | -- | 3 | 이바라키현 | |||
고후 | JOKC | JOKC-TV | 3 | JOKC-DTV | 야마나시현 | |
나가노 | JONB | JONB-TV | 9 | JONB-DTV | 나가노현 | |
니가타 | JOQB | JOQB-TV | 12 | JOQB-DTV | 니가타현 | |
도카이・호쿠리쿠 | 도야마 | JOIC | JOIC-TV | 10 | JOIC-DTV | 도야마현 |
가나자와 | JOJB | JOJB-TV | 8 | JOJB-DTV | 이시카와현 | |
후쿠이 | JOFC | JOFC-TV | 3 | JOFC-DTV | 후쿠이현 | |
시즈오카 | JOPB | JOPB-TV | 2 | JOPB-DTV | 시즈오카현 | |
나고야 | JOCB | JOCB-TV (나고야) | 9 | JOCB-DTV (나고야) | 아이치현 | |
기후 | -- | 9 | 기후현 | |||
쓰 | -- | 9 | 미에현 | |||
간사이 | 오사카 | JOBB | JOBB-TV (오사카) | 12 | JOBB-DTV (오사카) | 오사카부 |
고베 | -- | 12 | 효고현 | |||
교토 | -- | 12 | 교토부 | |||
오쓰 | -- | 12 | 시가현 | |||
나라 | -- | 12 | 나라현 | |||
와카야마 | -- | 12 | 와카야마현 | |||
주고쿠 | 돗토리 | JOLC | JOLC-TV | 4 | JOLC-DTV | 돗토리현 |
마쓰에 | JOTB | JOTB-TV | 12 | JOTB-DTV | 시마네현 | |
오카야마 | JOKB | JOKB-TV | 3 | JOKB-DTV | 오카야마현 | |
히로시마 | JOFB | JOFB-TV | 7 | JOFB-DTV | 히로시마현 | |
야마구치 | JOUC | JOUC-TV | 1 | JOUC-DTV | 야마구치현 | |
시코쿠 | 도쿠시마 | -- | JOXB-TV | 38 | JOXB-DTV | 도쿠시마현 |
다카마쓰 | JOHD | JOHD-TV | 39 | JOHD-DTV | 가가와현 | |
마쓰야마 | JOZB | JOZB-TV | 2 | JOZB-DTV | 에히메현 | |
고치 | JORB | JORB-TV | 6 | JORB-DTV | 고치현 | |
규슈-오키나와 | 후쿠오카 | JOLB | JOLB-TV | 6 | JOLB-DTV | 후쿠오카현 (서부) |
기타큐슈 | JOSB | JOSB-TV | 12 | JOSB-DTV | 후쿠오카현 (동부)/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 | |
사가 | -- | JOSD-TV | 40 | JOSD-DTV | 사가현 | |
나가사키 | JOAC | JOAC-TV | 1 | JOAC-DTV | 나가사키현 | |
구마모토 | JOGB | JOGB-TV | 2 | JOGB-DTV | 구마토현 | |
오이타 | JOID | JOID-TV | 12 | JOID-DTV | 오이타현 | |
미야자키 | JOMC | JOMC-TV | 12 | JOMC-DTV | 미야자키현 | |
가고시마 | JOHC | JOHC-TV | 5 | JOHC-DTV | 가고시마현 | |
나하 | JOAD | JOAD-TV | 12 | JOAD-DTV | 오키나와현 |
2011년3월 11일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현재의 10개 배전 전력 회사 제도 확립 이후 처음으로, "계획 정전"이 실시되었다. NHK는 3월 14일 오후, 3월 15일부터 3월 19일까지 5일간 오전 0시부터 5시간 동안, 교육 텔레비전과 BS2의 방송을 휴지하고, 교육 텔레비전의 모든 디지털 방송 송신기에 대해 전원을 끄는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 3월 20일 이후에는 상황을 보면서 계속할지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지만, 결국은 일반 방송으로 돌아갔다. 도호쿠 지방에서는 종합 텔레비전에서 지진 관련 정보를 방송했지만, 종합 텔레비전에서 '국회 중계' 등 지진 관련 정보를 방송할 수 없는 경우, 교육 텔레비전에서 방송했다.
2019년도까지의 NHK 방송 센터(간토 지방)·오사카 방송국 등 대부분 지역은 달걀형에 하늘색 배경으로 콜사인을 표기했다. 텔레비전 방송 개시 초부터, 적어도 1980년대 전반까지는 전국 각 방송국 공통으로 흑백 1장 그림이 사용되었고, 부메랑을 2장 겹친 듯한 그림에 흰색 문자로 콜사인, 그 옆에 검은색으로 TV, 더 아래에는 흰색 문자로 각 방송국의 주파수 번호와 검은색으로 당시 NHK 로고, 그 아래에 (○○ 교육 텔레비전)으로 표시되었다.
홋카이도 내 7개 방송국은 홋카이도 도형에 도내 7개 방송국의 콜사인을 일괄 표시했다. 그 때문에 하코다테·아사히카와·오비히로·구시로·기타미·무로란 각 방송국도 종합 텔레비전과는 달리 삿포로 방송국 송출을 그대로 내보내고 있다. 그 외 지역별 특징으로는 야마가타 방송국은 분쇼칸을 배경으로, 후쿠시마 방송국은 풀 경마 영상, 마쓰에 방송국은 교실 일러스트에 칠판, 나가사키 방송국은 기본 포맷 그대로 나가사키국과 사세보국의 2단 표기, 오이타 방송국은 온천에 들어간 원숭이 영상, 미야자키 방송국은 해안과 피닉스 일러스트, 가고시마 방송국은 방송국 사옥을 배경으로 콜사인을 표시했다. 이러한 콜사인 화면은 2020년도부터 폐지되어 전국적으로 통일된 디자인이 되었다.
극히 중대한 뉴스의 경우 "NHK 뉴스 속보"를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74] 기상 경보에 대해서도 텍스트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2021년 1월 현재, 속보 텍스트는 슈퍼임포즈에 의한 표시로, 문자 슈퍼에 의한 표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75]
일부 텔레비전 등에서는 아날로그 방송에서 실시된 정오의 시보를 이용하여 시각 조정하는 기능을 갖춘 것도 있었다. 그러나 2003년에 개국한 디지털 방송에서는 원리상 지연이 불가피하므로 시보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2011년 7월 23일에 시보 방송 자체가 종료되었다.
수화 뉴스에서 날씨 예보를 전달하는 예보 화면은 종합 텔레비전과 동일하지만, E 텔레에서는 정지 화상으로 표시된다. 주식 시장에서 큰 변동이 있었을 때 현재의 주가를 방송하는 경우는 애니메이션이 된다.
1990년, 니혼 TV 계열의 EX 텔레비전 OSAKA(요미우리 TV 제작)에서 "시청률 조사기가 있는 약 2600 가구에게만 보내는 한정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방영되었고, 사회자 가미오카 류타로는 "지금부터 1분 동안 NHK 교육 텔레비전에 채널을 맞춰주세요"라고 호소했다. 당시 NHK는 종합・교육 모두 오전 0시에 방송 종료였고, 유지보수를 위한 스노우 스크린만 방송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디오 리서치에서 2%, 닐슨에서 5.9%의 순간 시청률을 기록했다. 이것은 방송 당일의 NHK 교육의 프로그램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일본 민간 방송 연맹으로부터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09년 봄부터 주로 주간을 중심으로 레터 박스 16:9의 프로그램을 주로 지상파 디지털 전환 촉진의 자막 롤 표시를 시작했다. 2010년 9월부터 지상파 디지털 콜센터의 접수 시간대는 롤 자막 + 지상파 디지털 콜센터의 전화번호 고정 표시를 한다. 2011년 1월 24일 이후, 지상파 디지털 콜센터의 전화번호 표시 시간을 방송・전파 송출 시간 중 종일 표시로 한다.
7. 대한민국의 시청자와의 관계
대한민국에서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NHK 교육 채널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참조
[1]
서적
This Business of Television
https://books.google[...]
Billboard Books
[2]
서적
Television Histories in Asia: Issues and Contex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7-24
[3]
웹사이트
Notice
https://www.nhk.or.j[...]
NHK
2022-04-18
[4]
서적
NHK年鑑2012
https://www.nhk.or.j[...]
NHK출판
2012-10-30
[5]
웹사이트
Eテレ 新キャッチコピー
https://www.nhk.or.j[...]
일본방송협회
2023-02-28
[6]
웹사이트
일본방송협회 이사회 의사록(헤이세이23년12월13일개최분)
https://www.nhk.or.j[...]
[7]
뉴스
史上最高の試合、箕島―星稜 奇跡の裏に粘りの投球
https://www.asahi.co[...]
아사히신문사
2021-05-03
[8]
웹사이트
괴물・마쓰자카、마쓰이5연속경원…고시엔의 명승부・명장면을 되돌아본다
https://ascii.jp/ele[...]
각카와아스키종합연구소
2018-08-09
[9]
NHK아카이브스
おしらせ
[10]
웹사이트
1959年1月10日 교육/Eテレ 番組表
https://www.nhk.or.j[...]
[11]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 NHKクロニクル 1959年4月7日教育テレビ番組表
https://www.nhk.or.j[...]
[12]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 NHKクロニクル
https://www.nhk.or.j[...]
[13]
NHK아카이브스
16:30.20―17:29.40 放送時間短縮のためお休みします
[14]
NHK아카이브스
SB 放送時間短縮のため23:00以降お休みします
[15]
웹사이트
1984年5月12日 衛星第1/BS1 番組表
https://www.nhk.or.j[...]
[16]
웹사이트
1986年12月26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17]
웹사이트
1987年7月4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18]
웹사이트
1989年6月3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19]
웹사이트
1989年6月6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20]
웹사이트
2011年4月1日 衛星第2 番組表
https://www.nhk.or.j[...]
[21]
웹사이트
地デジ難視対策衛星放送(衛星セーフティネット)放送開始
https://www.nhk.or.j[...]
NHK방송문화연구소
[22]
NHK아카이브스
チャンネルEウィークエンドラリー 「釣り専科」
[23]
웹사이트
はじめてのこくご ことばあ! 「わかるかな?」 | 番組表検索結果詳細 | NHKクロニクル
https://www2.nhk.or.[...]
[24]
NHK아카이브스
디지털교육텔레비전개시기념특집 「140억년 때의 여행 디지털기술로 보는 대우주」
[25]
NHK아카이브스
전파긴급경보방송<QF첨부> 「동북지방태평양해역지진」관련
[26]
NHK아카이브스
안부방송 및 뉴스 「동북지방태평양해역지진」관련
[27]
뉴스
NHK교육텔레비전、표기를「E테레」에 방송정보란등에서
http://sankei.jp.msn[...]
2023-01-15
[28]
웹사이트
상시 동시 배신・놓친 방송 배신 서비스 개시에 대해서
https://web.archive.[...]
일본방송협회(2020年1月15日作成)
2020-03-07
[29]
웹사이트
NHK톱토크(방송총국장 2010/1/20)
http://www9.nhk.or.j[...]
일본방송협회
2010-01-20
[30]
웹사이트
NHK、방송프로그램 로고와 워터마크 변경。디자인과 사이즈 통일 - AV Watch
https://av.watch.imp[...]
임프레스
2020-04-01
[31]
웹사이트
NHK크로니클 | NHK아카이브스
https://www.nhk.or.j[...]
[32]
서적
NHK연감'74
NHK출판
1974-09-25
[33]
문서
[34]
웹사이트
동일본대지진의 재해보도 발재후2주간의텔레비전과라디오
https://www.nhk.or.j[...]
NHK방송문화연구소
[35]
문서
[36]
기타
1991年11月の免許更新を機に呼出符号廃止。
[37]
기타
長野市内には別途「善光寺平中継局」が置かれている。
[38]
기타
アナログ放送終了時に呼出符号廃止。
[39]
기타
福山市内の彦山におけるチャンネル。
[40]
기타
2003年11月の免許更新時に呼出符号廃止。
[41]
기타
尾道市向島町の高見山送信所におけるチャンネル。
[42]
기타
開局時は「尾道放送局」。1967年3月15日付で今の福山市内に移転し改称。
[43]
기타
親局は毛無山。
[44]
기타
親局は鉢伏山。
[45]
기타
山口市内のうち旧山口市域は鴻ノ峯中継局などでカバー。
[46]
기타
親局は行道山。
[47]
기타
親局は城山。
[48]
기타
日本初の大電力UHF親局である。
[49]
기타
1963年2月9日までは「小倉(こくら)放送局」。
[50]
기타
デジタル放送は段階的にフルパワー化したこともあり、当初は[[識別信号|呼出名称]]だけが付与され、呼出符号の付与が保留されていた。
[51]
기타
開局時はJOAY-TVで、1982年11月の免許更新時に変更。1991年11月の免許更新迄に呼出符号廃止。なお、当該呼出符号は2018年4月1日より[[朝日放送テレビ]]に「JOAY-DTV」として再割当て。
[52]
기타
親局は九千部山。
[53]
기타
親局は日の隈山。
[54]
기타
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は「那覇」。
[55]
기타
総合テレビと異なり、本土復帰に合わせて新規開局。
[56]
기타
『NHK手話ニュース』に準じた体制での放送のため、[[手話通訳]]付き。
[57]
웹사이트
パリオリンピック2024 放送計画表(各波)
https://www.nhk.or.j[...]
2024-06-19
[58]
웹사이트
NHKスポーツ@nhk_sportsのポスト
https://x.com/nhk_sp[...]
2024-09-03
[59]
웹사이트
2023年度前期番組時刻表
https://www.nhk.or.j[...]
[60]
웹사이트
開始映像 「開く、いちにち」
https://www.nhk.or.j[...]
[61]
웹사이트
終了映像 「閉じる、いちにち」
https://www.nhk.or.j[...]
[62]
웹사이트
開く/閉じるいちにち
https://www.cinra.ne[...]
[63]
웹사이트
みる人・でる人・つくる人-教育テレビ25歳の素顔(1984年1月放送)
https://www2.nhk.or.[...]
[64]
기타
総合テレビの国会中継や臨時ニュースなどやむを得ない事情で放送できなくなったスポーツ中継をEテレに迂回した際に、Eテレで所定時間に放送できなかった定時番組の振り替え放送であったり、さらに不定期で特集編成による延長も行われる場合もある。
[65]
NHKアーカイブス
ウィンブルドン2008 -男子・シングルス 決勝-
[66]
NHKアーカイブス
終了映像 ※定例休止日
[67]
NHKアーカイブス
終了映像 ※定例休止日
[68]
웹사이트
http://www2.nhk.or.j[...]
[69]
웹사이트
http://www2.nhk.or.j[...]
[70]
기타
当日の流れとしては、29日23:55から[[堀米雄斗]]が連覇となる金メダルを取った[[2024年パリオリンピックのスケートボード競技|スケートボード]]男子ストリート決勝を放送。終了後の30日2時過ぎからは通常総合テレビの深夜にフィラーとして放送されている番組を2本挟み、3:25から日本選手が出場した[[2024年パリオリンピックの競泳競技|競泳競技]]の決勝を放送。終了が通常試験電波発射を開始する5時を過ぎたため再びフィラー番組で穴埋め。5時半に通常編成(しあわせ気分のフランス語)に戻った。
[71]
기타
[72]
기타
[73]
웹사이트
参考写真
http://blogimg.goo.n[...]
[74]
웹사이트
「特別警報」へ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放送総局長会見資料
2013-08-05
[75]
웹사이트
BSデジタル放送の受信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21-05-03
[76]
기타
[7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