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세그는 2006년 일본에서 시작된 이동형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이다. 휴대폰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지원되었으며, 초기에는 스포츠 중계나 통근 시간 텔레비전 시청 등에 활용되었다. 2008년 이후 방송국이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재해 정보 획득에 기여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대의 도래와 LTE, 광 회선 보급,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활성화로 이용자가 감소했으며, 2020년 이후 원세그 탑재 기종은 거의 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NHK 수신료 문제로 인해 원세그 기능이 없는 기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카 내비게이션에서도 수신료 논란이 발생했다. 원세그는 ISDB-T 시스템의 일부로, QP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와 비디오 해상도에 제한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지털 방송 - DVB-H
DVB-H는 휴대용 기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표준으로, 시간 슬라이싱 기술과 데이터 오류 수정 기능을 포함하며 IP 데이터캐스팅 방식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 디지털 방송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지상파와 위성 방식을 통해 방송을 제공하는 기술로, 대한민국에서 2005년 세계 최초로 지상파 DMB 본방송을 시작했으며, 고속 이동 중에도 시청이 가능하지만 난시청 지역, 화질, 채널 수 부족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 일본의 방송 - 일본민간방송연맹
일본민간방송연맹(민방련)은 일본의 민영 방송 연합체로서, 방송 관련 정책 활동, 지역외 재송신 문제 대응, 방송 회선 운영 등의 주요 활동과 일본민간방송연맹상 시상을 통해 방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방송 - 비디오 리서치
비디오 리서치는 일본의 시청률 조사 회사로, 주요 지역에서 가구 및 개인 시청률, 타임시프트 시청률을 조사하며, 온라인 미터 방식으로 발전했고, 공정성을 위해 엄격한 관리를 시행하지만, 과거 조작 사건 이후 조사 방법 개선과 함께 시청률 외 지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텔레비전 전송 표준 - SÉCAM
SECAM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아날로그 컬러 텔레비전 방송 방식으로, PAL에 비해 수직 색 해상도가 낮고 아날로그 편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프랑스의 옛 식민지, 일부 동유럽 국가, 소련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 국가가 크게 감소하였다. - 텔레비전 전송 표준 -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텔레비전 방송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적 표준을 포괄하며, 과거 아날로그 시스템은 주사선 수, 프레임 속도, 채널 대역폭 등의 차이와 NTSC, PAL, SECAM 등의 컬러 표준으로 다양했지만 현재는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어 아날로그 시스템은 대부분 사라졌다.
원세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
대상 | 휴대용 기기 |
개발 | 2005년 |
국가 | 일본 |
기술 정보 | |
기반 기술 | ISDB-T (통합 서비스 디지털 방송) |
대역폭 | ISDB-T 채널의 1/13 (약 429 kHz) |
영상 코덱 | H.264/MPEG-4 AVC |
음성 코덱 | AAC |
해상도 | 320x240 픽셀 |
프레임 속도 | 15fps |
2. 역사
2006년 4월 1일, 일본에서 원세그 본방송이 시작되었다.[4][5] 같은 날까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 지역의 방송 구역에서 본방송이 시작되었으며,[5] 2006년4월 1일 11시 (일본 시간)부터 도쿄도 등 29개 도도부현에서 시작되었다. 그 해 12월 1일에는 하이비전 방송과 동시에 43개 현의 현청 소재지 및 인접한 일부 시·정·촌에서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원래 아날로그 방식이었던 텔레비전 방송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방송을 당시 수요가 높았던 모바일 단말기나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수신기기가 작게 설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서비스 시작 초기에는 수신 가능한 기기가 P901iTV, W33SA, W41H의 휴대 전화 3종류뿐이었지만 점차 증가했다.
2007년경부터는 잘 팔리는 휴대 전화의 거의 모든 기종에 원세그가 탑재되면서, 차츰 녹화나 풀세그 등의 부가 기능이 발전했다. 원세그 보급 당시에는 아직 인터넷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배포가 그다지 보급되지 않았고, 설령 있었다 하더라도 휴대 단말기로의 시청은 회선 속도 면에서도 단말기 성능 면에서도 어려운 점이 있었기 때문에, 스포츠 경기 시청이나, 통근 중 텔레비전 시청, 각 가정에서의 젊은 층에게 동영상 시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시작
2006년 4월 1일, 일본에서 원세그 본방송이 시작되었다.[4][5] 같은 날까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시작된 지역의 방송 구역에서 본방송이 시작되었으며,[5] 2006년4월 1일 11시 (일본 시간)부터 도쿄도 등 29개 도도부현에서 시작되었다. 그 해 12월 1일에는 하이비전 방송과 동시에 43개 현의 현청 소재지 및 인접한 일부 시·정·촌에서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원래 아날로그 방식이었던 텔레비전 방송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방송을 당시 수요가 높았던 모바일 단말기나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이었다. 수신기기가 작게 설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서비스 시작 초기에는 수신 가능한 기기가 P901iTV, W33SA, W41H의 휴대 전화 3종류뿐이었지만 점차 증가했다.
2007년경부터는 잘 팔리는 휴대 전화의 거의 모든 기종에 원세그가 탑재되면서, 차츰 녹화나 풀세그 등의 부가 기능이 발전했다. 원세그 보급 당시에는 아직 인터넷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배포가 그다지 보급되지 않았고, 설령 있었다 하더라도 휴대 단말기로의 시청은 회선 속도 면에서도 단말기 성능 면에서도 어려운 점이 있었기 때문에, 스포츠 관전이나, 통근 중 텔레비전 시청, 각 가정에서의 젊은 층에게의 동영상 시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2. 확대
2008년 4월 1일 개정 방송법 시행으로 원세그만의 프로그램 방송이 시작되었다.[6] 2008년 12월 1일에는 NHK와 민영 방송 모든 방송국에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면서, 원세그 방송국도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다만, 방송대학은 2018년 10월 30일 지상파 폐국까지 원세그 방송을 실시하지 않았다.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에는 원세그 탑재 단말기가 가장 널리 보급되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휴대 전화 통신에 의존하지 않는 원세그 방송을 통해 재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유원지, 박물관, 대학교 등에서 좁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 방송'''도 이루어졌다. 하네다 공항 등에서 실험이 몇 차례 진행된 후, 2011년 4월에 총무성이 「화이트 스페이스 특구」를 인정[7]하여 일부 지역에서 지역 한정형 원세그 방송의 연구 개발 및 실증 실험을 했다.
2. 3. 쇠퇴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하면서 상황이 크게 변화하였다. ISDB는 일본과 남아메리카 외에는 거의 보급되지 않는 규격이었기 때문에, 일본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의 쇠퇴와 함께 원세그 탑재 기종이 감소하였다. 또한, LTE(4G)나 광 회선(FTTH)과 같은 고속 통신 회선이 전국적으로 정비되고 스마트폰이 4G 고속 통신에 대응하게 되면서 인터넷 상의 동영상 시청이 쉬워졌다. 유튜브 등의 동영상 서비스가 등장하고, TVer・NHK플러스 등을 통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놓친 방송・실시간 인터넷 방송도 등장하면서, 사람들은 인터넷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9]2018년 가을부터 원세그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가 대폭 감소하였고,[10] 2020년 여름 모델인 라쿠텐 모바일용 샤프제 『AQUOS R5G』, 소니제 『Xperia 1 II』를 마지막으로, 2021년 12월 현재 원세그・풀 세그 대응 스마트폰 기종은 출시되지 않고 있다.[11]
현재 생산 중인 상품으로는 텔레비전 부착 휴대용 DVD 플레이어와 원세그 음성 전용 라디오 정도가 남아 있다. 원세그의 주요 용도로는 카 내비게이션 및 디스플레이 오디오에서 풀 세그의 상호 보완 시청이 남아 있지만, 이마저도 NHK 수신료 회피를 이유로 원세그 기능을 생략한 카 내비게이션 및 디스플레이 오디오가 늘어나고 있다.[12][13]
3. 기술 정보
원세그는 ISDB-T 시스템의 UHF 대역을 사용하며, 13개 세그먼트 중 1개를 사용한다. QPSK를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며, 2/3 순방향 오류 정정 및 1/4 가드 비율을 통해 안정적인 수신을 지원한다.[56] 총 데이터 전송 속도는 416kbit/s이다.
텔레비전 시스템은 H.264/MPEG-4 AVC 비디오 스트림과 HE-AAC 오디오 스트림을 MPEG 전송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사용한다. 최대 비디오 해상도는 320x240 픽셀이며, 비디오 비트 전송률은 220~320kbit/s이다. 오디오는 HE-AAC 프로파일을 따르며, 비트 전송률은 48~64kbit/s이다. 추가 데이터(EPG, 대화형 서비스 등)는 BML을 사용하여 전송되며, 남은 10~100kbit/s의 대역폭을 차지한다.
원세그 수신 회로는 안테나, 필터를 포함하는 튜너 회로, OFDM 복조 회로, MPEG-4AVC/H.264, MPEG-2 AAC 복호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2008년 원세그 서비스 시작 당시에는 원세그 튜너 모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튜너 회로와 OFDM 복조 회로를 하나로 통합한 LSI를 메인 기판에 직접 실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자리로 지정된 채널 번호는 상위 2자리 "리모콘 키 ID+60" + 하위 1자리 "*"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NHK 도쿄 종합 디지털 텔레비전(ID "1")의 경우, 12세그는 "011-012"이지만 원세그는 "611"이다.
3. 1. 멀티 편성
도쿄 MX는 2008년 6월 23일부터 하나의 세그먼트에서 두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방송하는 멀티 편성 기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8년 9월 이후에 제조된 대부분의 원세그 수신기는 이 기술과 호환된다. 원세그의 멀티 편성은 ワンセグ2|원세그2일본어라고 불린다.[14]NHK 교육 텔레비전(2009년 4월 1일부터)과 奈良テレビ放送|나라 TV 방송일본어(2009년 12월 1일부터)도 여러 프로그램에 대해 멀티 편성을 시작했다.[15]
4. NHK 수신료 문제
일본방송협회(NHK)가 원세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방송법에 규정된 "협회(NHK)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설비를 설치한 자는 협회와 그 방송의 수신에 관한 계약을 해야 한다"는 조항에 따라 NHK의 원세그 방송이 수신 계약 대상인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고, 소송으로 이어졌다.[33]
원세그는 NHK 수신료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쟁이 있었다.
2006년 원세그 서비스 개시 이후, 통신사들은 NHK 수신료에 대한 안내를 하지 않았고, NHK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26][27] 수신료 논의가 부족한 채 원세그 탑재 휴대폰이 보급되었다. 이후 텔레비전이 없는 사용자에게 징수원이 방문하여 계약을 강요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28][29]
2016년 최초로 원세그의 NHK 계약 의무에 대한 재판이 시작되었고, NHK의 입장을 지지하는 판결이 이어졌다. 2019년 3월, 원세그 탑재 휴대폰에 대한 수신 계약 의무가 있다는 최고 법원 판결이 확정되면서,[33] 원세그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도 수신료 계약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판결은 원세그 수신 계약을 시작하는 움직임과 함께, 수신료 부담을 피하기 위한 원세그 미탑재 기기로의 교체,[41] 신규 구매 회피,[48] 제조사들의 원세그 기능 미탑재[31] 등의 변화를 가져왔다. 회계검사원도 업무상 텔레비전 시청이 필요 없는 카 내비게이션의 원세그 기능 무효화[32]를 시도했다.
4. 1. NHK의 주장
NHK는 원세그 단말기가 NHK가 정한 일본방송협회 수신규약 제2조 제2항의 "NHK의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설비"에 해당한다며, '''"원세그 단말기도 수신 계약 대상"이며, 수신료를 지불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33][34] 다만, 자택 등에 있는 텔레비전으로 수신료를 지불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택에 여러 대의 텔레비전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추가로 수신료를 지불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4. 2. 법원의 판결
일본방송협회(NHK)는 원세그 서비스 개시 당초부터 원세그 방송을 시작했지만, 방송법에서는 "협회(NHK)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설비를 설치한 자는 협회와 그 방송의 수신에 관한 계약을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NHK의 원세그 방송이 이에 해당될 수 있기에 논란이 있었고,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다.[33]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논란이 있었다.
- 휴대폰이나 카 내비게이션은 통화나 교통 안내가 주된 목적인 기기이며, 계약 의무가 없는 "방송 수신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수신 설비"가 아닌가 하는 논란.[24]
- 방송법상 계약 의무가 있는 것은 "수신 설비를 설치"했을 경우인데, 휴대폰은 "휴대"하고 있는 것이지 "설치"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논란.[25]
- 일반 방송에 비해 정보량이 적고, 방송 범위 밖이 되는 경우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방송과 수신료가 같은 것은 너무 비싼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
2016년 8월 26일, 사이타마 지방재판소는 원세그 단말기의 '휴대'도 '설치'에 포함된다는 NHK의 주장에 대해 "문리 해석상 상당한 무리가 있다"고 판시하며, 원세그 단말기 휴대자에게 수신 계약 체결 의무가 없음을 확인하는 판결을 내렸다.[35] NHK는 1심 판결에 불복하여 도쿄 고등재판소에 항소했다.[35] 2018년 3월 26일, 도쿄 고등재판소는 1심 판결을 취소하고 "'설치'에는 '휴대'도 포함된다"고 판결하여, 원세그 단말기 휴대자에게 수신 계약 체결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36][37] 원고 측은 불복하여 상고했다.[33] 2019년 3월 13일, 최고재판소는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수신 계약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확정했다.[33]
4. 3. 판결에 대한 반응
IT 업계에서는 원세그 보급에 대한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지방 법원 판결을 받아 대형 IT 정보지는 "NHK 수신료 지불이 필요하다는 판결이 내려지면 소비자는 탑재 기종으로의 교체를 꺼릴 가능성이 높다. 제조사 측은 튜너 미탑재로 전환할 것이다[38]"라고 예견했다. 고등 법원 판결에 대해 사업가 호리에 다카후미는 원세그의 장래성에 대해 비관적인 견해를 나타냈고[39], 최고 법원 판결을 받아 인터넷 업계지는 "원세그라는 규격 자체가 완전히 '오와콘'(끝난 콘텐츠)이 될 가능성도 있을 것 같다[40]"라며 수신료 발생을 기인으로 원세그 자체가 종언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또한, 최고 법원 판결을 받아 휴대 전화 거래 회사가 앙케이트를 실시한 결과, "원세그 없는 휴대 전화로 바꾸고 싶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과반수인 58%가 "예"라고 답하여[41], NHK 수신료 발생을 이유로 하는 사용자의 원세그 기피 경향이 숫자로 나타났다.휴대 전화 제조사들은 원세그 기능을 탑재하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했다.[31] 2016년에 교세라에서 출시된 DIGNO ケータイ for Biz처럼 "기업에서 도입하는 경우에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원세그와 카메라를 비탑재했습니다[42]"라고 하여 원세그를 탑재 '''하지 않은''' 것을 명확한 어필 포인트로 하는 휴대 전화도 나타났다. 원세그를 탑재한 마지막 휴대 전화인 Xperia 1 II가 2021년 모델 체인지로 원세그 기능을 폐지하여 원세그 휴대 전화가 시장에서 소멸했지만, 대형 IT 정보지에서는 원세그의 비탑재화에 대해 "스마트폰의 풀세그/원세그도 NHK 수신료 부담 의무가 발생하므로, 지상파/위성 방송은 보지 않는다는 사용자에게는 오히려 고맙다[43]"라고 평가하여 NHK 수신료를 이유로 원세그의 비탑재화를 호의적으로 보는 논조가 나타났다.
4. 4. 카 내비게이션
카 내비게이션의 원세그 기능도 수신 계약 대상이라는 판결이 나오면서 자동차 업계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원세그 기능이 없는 카 내비게이션을 찾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44]2019년 5월 15일, 도쿄 지방 재판소는 텔레비전 없이 카 내비게이션만 소유한 여성이 NHK를 상대로 제기한 수신료 지급 의무 확인 소송에서 카 내비게이션의 원세그도 수신 계약 대상이라고 판결하며 여성의 소송을 기각했다.[45] 이는 2019년 원세그 기능이 있는 휴대 전화에 대해 NHK와 계약 의무가 있다는 최고 재판소 판결[33]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결로 인해 자동차 정보지 자동차 뉴스는 카 내비게이션 수신 계약에 대한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46] 변호사들은 관공서나 기업의 경우 차량 1대마다 수신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47]
운수 업계 정보지는 원세그 기능이 없는 카 내비게이션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트럭 사업자들이 불안을 느껴야 하는 현실에 대해 비판했다.[44] 가나가와현 등 일부 자치단체는 텔레비전 수신 기능이 없는 카 내비게이션을 선택하도록 지도하고 있다.[48] 자동차 제조사들도 NHK 대책으로 텔레비전 기능이 없는 영업용 차량을 라인업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49]
4. 5. 방송 품질과 수신료 논란
원세그는 풀세그(12세그먼트)에 비해 정보량이 1/12에 불과하여 화질이 매우 거칠고, 출연자 얼굴이나 자막 문자를 분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범위도 풀세그보다 넓지만, 전파가 약하거나 닿지 않는 장소에서는 수신이 안 될 수 있다.[50] 이러한 방송 품질 및 범위 문제는 일반 TV 방송의 난시청 지역과는 달리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일본방송협회(NHK)는 원세그 서비스 개시부터 원세그 방송을 시작했지만, 방송법에 따라 NHK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한 자는 수신 계약을 해야 한다. 그러나 원세그는 휴대폰이나 카 내비게이션 등 통화나 교통 안내가 주된 목적인 기기에 탑재되는 경우가 많아, "방송 수신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수신 설비"에 해당되는지, "설치"가 아닌 "휴대"에 해당되는지 등의 논란이 있었다. 또한, 일반 방송에 비해 정보량이 적고 방송 범위가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수신료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도 있었다.[25]
이러한 논란 속에서 2016년 총무성은 NHK에 원세그 휴대 전화만 가진 세대에 대해서는 징수를 보류하거나 수신료를 1/12로 감액할 것을 요구했다.[51][52] 그러나 NHK는 이를 거부하고 종전대로 원세그에서도 수신료를 징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오 대학 법과대학원 사토 노부유키 교수는 원세그 수신료가 비용의 공평 부담이라는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53] 그는 원세그의 화질이 풀세그보다 떨어지는 점을 지적하며, 원세그를 일반 TV 수신기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이 공평 부담 원칙에 부합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5. 주요 원세그 기기
다음은 원세그를 지원하는 주요 기기들이다.
-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 AQUOS 시리즈 (샤프): 일부 모델은 풀 세그를 지원한다.
- BRAVIA 시리즈 (소니 모바일): 도코모 및 au용 모델이 있다.
- Cyber-Shot 시리즈 (소니 모바일): au용 모델만 지원한다.
- Xperia 시리즈 (소니 모바일): 일부 모델은 풀 세그를 지원한다.
- Wooo 케이타이 (히타치): au 전용 모델이다.
- VIERA 케이타이 (파나소닉): 도코모 및 소프트뱅크용 모델이 있다.
- REGZA 시리즈 (도시바): 소프트뱅크 및 au, 도코모용 모델이 있다.
- 스마트폰 WS020SH, IS01, IS03, SH-10B (샤프)
- TV&배터리 (소프트뱅크, 아이폰용 원세그 모듈)
- 블루레이 DIGA (파나소닉)[54]
- 블루레이 레코더 BDZ 시리즈(소니)[54]
- AQUOS 블루레이 (샤프)[54]
- 그 외 AV 기기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단말기 (각 통신사 및 제조사)
- 후지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의 "ARROWS" 브랜드는 일부 기종에서 풀 세그를 지원한다.[55]
- 휴대용 게임기
- PSP-2000, PSP-3000용 원세그 튜너 PSP-S310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군마 TV의 원세그 방송은 지원하지 않는다.
- 닌텐도 DS(DS Lite, DSi, DSi LL, 3DS 포함)용 원세그 수신 어댑터 DS 텔레비전(닌텐도)
- 원세그 튜너 내장 컴퓨터
- VAIO VGN-TX91PS, VGN-P70H, VGN-UX90PS (소니)
- 컴퓨터용 USB 접속 튜너
- 쵸이 테레(버팔로)
- SEG CLIP(아이·오·데이터 기기)
- 원세그 녹화 전용기
- 가라폰 TV
-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 비에라·원세그 SV-ME700, SV-ME750, SV-ME850 (파나소닉)
- 워크맨 NW-A919, NW-A918, NW-A916, NW-A919/BI (소니)
- gigabeat V 시리즈(도시바)
- 전자 사전
- Papyrus PW-TC900, TC920, TC930 (샤프)
- 모듈
- YTS-3103-G2 RF+BB+Multimedia Decoder (Young Tech System)






6. 문제점
브라질에서는 프레임이 초당 30프레임인데 비해, 일본에서는 15프레임에 불과하여 기존 아날로그 방송(23.97프레임)에 비해 움직임이 느리고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4] 휴대 전화나 원세그 전용 수신기는 화면이 작기 때문에 스포츠 중계 시 점수나 경과 시간을 알아보기 어렵고, 방송 자막을 읽는 데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민영방송국에서는 데이터 방송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지만, NHK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4]
참조
[1]
뉴스
null
http://www.jeita.or.[...]
Yomiuri Shimbun
2008-01-16
[2]
웹사이트
2007年度移動電話国内出荷実績
http://www.jeita.or.[...]
[3]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ワンセグ】
[4]
웹사이트
携帯で楽しめる地デジ放送「ワンセグ」、2006年4月1日開始
https://k-tai.watch.[...]
2006-04-01
[5]
웹사이트
携帯で楽しめる地デジ放送「ワンセグ」、2006年4月1日開始
https://k-tai.watch.[...]
2006-04-01
[6]
웹사이트
5時間独立スペシャル
https://www.tv-asahi[...]
[7]
웹사이트
「ホワイトスペース特区」の決定
https://www.soumu.go[...]
2011-04-08
[8]
법률
平成24年総務省令第23号による放送法施行規則改正
[9]
웹사이트
https://www.excite.c[...]
[10]
웹사이트
消えるワンセグ、ハイエンドで搭載は1機種のみ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スマホから消えた「ワンセグ」、2021年は搭載機種ゼロに その背景を探る
https://www.itmedia.[...]
[12]
웹사이트
ワンセグが映らないカーナビが増えている裏事情
https://www.excite.c[...]
[13]
웹사이트
NHK対策でカーナビにテレビなしモデルが増加中
https://www.excite.c[...]
[14]
문서
null
[15]
웹사이트
NHKオンライン 平成22年度国内放送番組編成計画について
https://www.nhk.or.j[...]
[16]
뉴스
ワンセグでマルチch編成の実証実験に成功
http://www.bunkatsus[...]
文化通信.COM
[17]
뉴스
MXテレビがワンセグマルチ放送実験成功
http://www.nikkanspo[...]
2007-11-16
[18]
뉴스
2008年6月23日、ワンセグにもう一つチャンネルが増えます
http://www.mxtv.co.j[...]
TOKYO MX
2008-06-20
[19]
웹사이트
TOKYO MX週間番組表
http://www.mxtv.co.j[...]
TOKYO MX
[20]
뉴스
東京MX、ワンセグで2チャンネル放送・周波数2分割
http://www.nikkei.co[...]
2008-05-21
[21]
뉴스
最後のワンセグ未実施局・奈良テレビ、マルチch編成で12月開始
http://www.bunkatsus[...]
文化通信
2009-10-05
[22]
웹사이트
ISDB-T Official Web Site
https://www.dibeg.or[...]
DiBEG
2009-10-05
[23]
뉴스
「ワンセグでも受信料」が確定 原告「携帯の選択制限」「未払いの自治体ある」
https://www.bengo4.c[...]
弁護士ドットコム
2019-03
[24]
뉴스
ワンセグは「NHK契約の義務なし」 NHKは「解釈を誤ったもの」と判決を批判
https://www.j-cast.c[...]
J-cast
2016-08
[25]
뉴스
総務省がワンセグ携帯のみを利用している者に対する放送受信料値下げをNHKに要請したとする報道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angiin.[...]
2019-01-30
[26]
뉴스
ドコモWebサイトに「NHKの受信料はNHKに問い合わせ」、いつから記載したのか聞いてみた
https://k-tai.watch.[...]
2019-06-19
[27]
뉴스
これだけ知っていればワンセグ博士!
https://atmarkit.itm[...]
2006-09-26
[28]
뉴스
NHK受信料、消費生活センターへの相談10年間で「5万5千件」…裁判記録から判明
https://www.bengo4.c[...]
2017-06-29
[29]
뉴스
第198回国会 総務委員会 第10号(平成31年3月19日(火曜日))
https://www.shugiin.[...]
2019-03-19
[30]
뉴스
カーナビの受信契約判決 トラック業界に波紋、新たな負担の恐れ
https://weekly-net.c[...]
2019-05-30
[31]
뉴스
“オワコン”のワンセグ、ネット配信に移行して再び輝けるか
https://www.itmedia.[...]
2022-04-29
[32]
보고서
業務用の車両に設置するカーナビについて、テレビ受信機能の必要性を十分検討して経済的な購入を行うこととするとともに、購入済みのカーナビに係る日本放送協会との受信契約を業務上の必要性に応じて適切に見直すよう改善させたもの
https://report.jbaud[...]
2010
[33]
뉴스
ワンセグ、NHK受信料は義務
https://this.kiji.is[...]
共同通信
[34]
웹사이트
NHKの概要、受信料体系の現状について、16ページ
https://www.soumu.go[...]
[35]
뉴스
ワンセグ携帯所有者はNHK受信料不要、さいたま地裁判決
https://www.bengo4.c[...]
2016-08-26
[36]
뉴스
ワンセグのNHK受信料「契約義務あり」ユーザー逆転敗訴、東京高裁で3連敗
https://www.bengo4.c[...]
2018-03-26
[37]
뉴스
ワンセグ携帯「受信契約は義務」=NHK側が逆転勝訴-東京高裁
https://web.archive.[...]
2018-03-26
[38]
뉴스
携帯電話市場、ワンセグチューナー搭載比率は4割下回る
https://www.bcnretai[...]
2016-09-06
[39]
뉴스
ワンセグ笑。もうオワコンやで。
https://twitter.com/[...]
2018-03-26
[40]
뉴스
ワンセグは“オワコン”!? NHK受信料の義務ありとの最高裁判決にネットの声は
https://internet.wat[...]
2019-03-15
[41]
뉴스
ワンセグ携帯、受信料が発生するなら買い替える? 携帯市場が調査
https://www.itmedia.[...]
2019-03-27
[42]
뉴스
SoftBank、カメラとワンセグが非搭載の
https://www.softbank[...]
2016-06-21
[43]
뉴스
Xperia 1 IIIは弱点が少なく満足感が高いが価格がネック
https://ascii.jp/ele[...]
2021-07-29
[44]
뉴스
カーナビの受信契約判決 トラック業界に波紋、新たな負担の恐れ
https://weekly-net.c[...]
2019-05-30
[45]
뉴스
カーナビでワンセグ受信、NHKと契約義務 初の判決
https://www.asahi.co[...]
2019-05-15
[46]
뉴스
「NHK契約」カーナビも? 最高裁「ワンセグ付携帯も契約義務」 各社の対応は?
https://kuruma-news.[...]
2019-03-15
[47]
뉴스
NHK受信料「カーナビも徴収」 話題の判決、タクシー業界にどう影響?
https://www.bengo4.c[...]
2019-05-18
[48]
뉴스
神奈川県広報号外第67号
https://www.pref.kan[...]
2018-12-07
[49]
뉴스
NHK対策でカーナビにテレビなしモデルが増加中
https://www.excite.c[...]
2021-08-29
[50]
뉴스
【SH-M03】テレビ(ワンセグ)が映らないのですが…
https://sharpmobile.[...]
[51]
뉴스
第201回国会(常会)質問主意書
https://www.sangiin.[...]
2020-01-30
[52]
뉴스
ワンセグ受信料問題、総務省が「徴収免除」と調査を要請。しかしNHK会長はこれを拒否。
https://smhn.info/20[...]
2016-09-10
[53]
뉴스
第181号 携帯電話とカーナビのワンセグ機能はNHK受信契約を導くか
https://www.westlawj[...]
2019-09-21
[54]
문서
いずれも通常の地上デジタル放送とは別の設定により同時にワンセグ録画をしたものを転送する。ほとんどは本来のワンセグ放送そのものの録画ではない。
[55]
문서
ただし、「ワンセグ」は録画対応が可能な機種がある。
[56]
문서
하지만 이 통신료는 접속지역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므로 장소에 따라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