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A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ICAM은 1970년대 BBC에서 개발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이다. 32kHz의 샘플링 주파수와 14비트 펄스 코드 변조(PCM)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며,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14비트 PCM 샘플을 10비트로 압축하는 컴팬딩 기술을 사용한다. NICAM은 스테레오 음향, 이중 언어 방송, 데이터 채널 전송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유럽, 아시아 태평양, 남아프리카 등 여러 국가에서 아날로그 방송의 음성 전송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면서 이전 기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도입 - 세가 마스터 시스템
세가 마스터 시스템은 세가가 1985년 일본에서 출시하여 닌텐도의 패밀리 컴퓨터와 경쟁한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로, 하드웨어 성능은 우수했지만 지역별로 상이한 성공을 거두었다. - 1986년 도입 - 패밀리 컴퓨터 디스크 시스템
닌텐도가 1986년에 발매한 패밀리 컴퓨터 디스크 시스템은 롬 카트리지의 대안으로 플로피 디스크 기반의 퀵 디스크를 사용하여 저렴하고 용량이 큰 게임을 제공하고 디스크 라이터와 디스크 팩스 시스템을 통해 게임 재작성 및 온라인 랭킹 시스템을 제공했으나 신뢰성 문제와 불법 복제, 카트리지 기술 발전으로 1990년에 단종된 패밀리 컴퓨터 전용 주변기기이다. - 1978년 도입 - 도쿄도 교통국 10-000형 전동차
도쿄도 교통국 10-000형 전동차는 도쿄도 교통국 신주쿠선에서 운행되었던 전동차로, 1971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되어 차수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2004년부터 노후화로 인해 교체되어 2018년 2월에 퇴역하였다. - 1978년 도입 - 킬러 프로스트
킬러 프로스트는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여러 여성 빌런 캐릭터들이 사용하는 이름으로, 크리스탈 프로스트, 루이스 링컨, 케이틀린 스노우 등 다양한 인물이 활동하며 냉기 생성 능력을 이용해 여러 미디어에서 활약한다. - 1991년 도입 - 데드풀
마블 코믹스 만화 캐릭터 데드풀은 뛰어난 무술과 힐링 팩터를 지닌 용병으로, 유머 감각과 제4의 벽을 넘나드는 설정, 라이언 레이놀즈의 연기로 영화와 게임 등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 1991년 도입 - 썬칩
썬칩은 1991년 미국에서 프리토레이가 출시한 통곡물 스낵으로, 옥수수, 밀, 귀리 등 다양한 곡물을 사용하여 독특한 식감과 풍미를 내며, 다양한 맛으로 출시되어 인기를 얻었고, 친환경 포장재 도입 및 돼지 효소 사용 논란, 대한민국 불고기 맛 출시, 판매량 감소 후 매출 반등 등의 이력을 가지고 있다.
| NICAM | |
|---|---|
| 일반 정보 | |
| 종류 |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 |
| 개발 | BBC, ITV, IBA |
| 발표 | 1980년대 |
| 표준 | ITU-R BT.660 |
| 기술 정보 | |
| 채널 수 | 2 |
| 샘플링 속도 | 32 kHz |
| 샘플 당 비트 수 | 14 비트 (압축 후) |
| 데이터 전송률 | 728 kbit/s |
| 대역폭 | 28 kHz |
| 사전 강조 | 50/15 μs |
| 양자화 | 거의 순시적 압축 |
| 압축률 | 14:10 (비선형) |
| 신호 대 잡음비 | 84 dB |
| THD + N | 0.01 % |
| 보호 | 11 비트 오류 보정 |
| 사용 | |
| 지역 | 유럽 및 기타 국가 |
| 방송 | 텔레비전 |
| 저장 | 비디오 레코더 |
2. 역사
2. 1. 초기 아이디어 (1960년대)
1964년에 '레인징(ranging)' 개념이 처음 제시되었는데, 이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전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후에 아날로그 신호에 컴팬딩(companding)을 적용하는 방식이었다.[2] 1972년 BBC 연구 보고서에서는 ADC 이후와 DAC 이전에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컴팬딩을 수행하는 방송 적용 방식이 설명되었다.[3]2. 2. BBC 연구 및 개발 (1970년대 - 1980년대)
1972년, BBC 연구 보고서에서 방송 환경에서 컴팬딩을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4][5] 1964년에 처음 고안된 이 기술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 컨버터) 이전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DA 컨버터) 이후의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압축 신장을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1972년 BBC 연구 보고서는 이 기술을 방송에 응용하려면 압축 신장을 AD 컨버터 이후 및 DA 컨버터 이전의 디지털 영역에서 수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5]NICAM은 원래 방송국 간에 2,048 kbit/s의 대역폭 내에서 고음질 6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수치는 E1선로에 맞춰 설정되었으며, 이 속도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당시 계획 중이던 PDH 국내외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4][5]
1977-1978년, BBC 연구부는 여러 유사 시스템을 평가하는 청취 테스트를 진행했다.[4][5] 후보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RAI 시스템: A-law 알고리즘으로 14비트 리니어 PCM 샘플을 10비트로 압축(14:10)
- 프랑스 방송(TDF)이 제안하는 NICAM 유형 시스템 (14:9)
- NICAM-1 (13:10)
- NICAM-2 (14:11)
- NICAM-3 (14:10)
NICAM-2가 가장 뛰어난 음질을 제공했지만, 비트 전송률을 희생하여 프로그램 변조 잡음을 불필요하게 낮은 수준으로 줄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스트 중에 제안된 NICAM-3이 최종 선택되었다.[4][5] NICAM-3은 음성 신호를 32kHz의 표본화 주파수로 14비트의 펄스 코드 변조를 사용하여 인코딩한다.
1980년대, BBC는 728 kbit/s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는 NICAM-728 변형을 개발하여 대중 방송에 적용했다. NICAM-728은 NICAM-3과 같은 음성 부호화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BBC는 1986년에 최초의 NICAM 디지털 스테레오 방송을 시작했다. 그러나 5년 후, 영국 전역 대부분 지역의 송신 시설이 NICAM 방송을 지원하고 BBC의 많은 프로그램이 스테레오로 제작될 때까지, 프로그램은 스테레오 방송을 미리 공표하지 않았다. 공식적으로 BBC는 1991년에 영국에서의 NICAM 스테레오 방송 개시를 발표했고, 영국의 다른 방송국인 ITV와 채널 4도 몇 달 후에 스테레오 방송을 발표했다.
2. 3. 대한민국에서의 NICAM
2. 4. 상용화 및 확산 (1980년대 후반 - 현재)
1986년 7월 18일, BBC는 런던의 크리스탈 팰리스 송신소에서 제92회 프롬즈(The Proms) 첫날 밤을 NICAM 디지털 스테레오로 시험 방송했다.[6] 그러나 BBC는 1991년 8월 31일까지 스테레오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광고하지 않았다.[6] 이 시점에는 영국 대부분 지역의 송신소가 NICAM 방송을 지원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고, 많은 BBC 프로그램이 스테레오로 제작되었다.[6]ITV와 채널 4는 1989년 크리스탈 팰리스 송신소와 에믈리 무어 송신소에서 NICAM 전개를 시작하여, BBC보다 18개월 앞서 NICAM 방송을 시작했다.[6] NICAM은 ETS EN 300 163으로 표준화되었다.[7]
NICAM은 영국 외에도 유럽, 아시아 태평양, 남아프리카 등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아날로그 방송 표준으로 채택되었다.[8][9][10]
유럽에서는 벨기에, 크로아티아,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그리스, 헝가리,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우크라이나 등에서 사용되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중국,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등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광둥어와 포르투갈어/영어/만다린어/일본어/한국어 사운드트랙이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로 사용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SABC 1, SABC 2, e.tv에서 NICAM을 사용했다.
그러나 DVB-T, DTMB 등 디지털 방송 기술의 발전과 확산으로 인해 NICAM은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있다. 많은 국가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면서 NICAM은 이전 방식이 되었다.
3. 기술적 특징
모노럴 신호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NICAM 신호는 음성 반송파의 옆에 있는 반송파에 실려 전송된다. 이는 FM이나 AM의 일반적인 음성 신호가 모노럴 수신기에서도 독립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ICAM 방식의 스테레오 텔레비전 신호는 모노럴 음성의 호환 신호 또는 2~3개의 완전히 다른 음성 신호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음성 신호 모드에서는 다국어 방송이나 그 응용으로 국제선 기내 영화(인플라이트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등에도 사용된다. 이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수신기의 음성 선택 스위치로 듣고 싶은 사운드트랙을 지정할 수 있다.
이는 PAL 방식에서 NICAM의 주파수 영역이다. SECAM L 방식에서는 NICAM 음성은 AM 음성 반송파 앞의 5.85MHz에 있으며, 영상 대역폭은 6.5MHz에서 5.5MHz로 축소된다.
NICAM에는 현재 다음과 같은 모드가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3비트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자동 선택이 가능하다.
- 디지털 스테레오 음성 1채널
- 완전히 다른 디지털 모노럴 음성 2채널
- 디지털 모노럴 음성 1채널과 352kbit/s 데이터 채널 1채널
- 704kbit/s 데이터 채널 1채널
위의 모드 중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앞의 두 가지이다. 또한 장래에 4가지 선택지가 더 제안될 가능성이 있다.
==== 오디오 인코딩 ====
NICAM은 32kHz의 표본화 주파수로 14비트 펄스 코드 변조(PCM)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코딩한다.[3]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14비트 PCM 샘플을 10비트로 압축하는 컴팬딩(companding) 기술을 사용한다.[3] 컴팬딩은 32개 샘플 블록 단위로 수행되며, 조용한 부분에서는 최상위 비트를 제거하여 데이터 양을 줄인다. 각 블록에 대한 3비트 제어 신호는 어떤 비트가 제거되었는지 기록하여 디코딩 과정에서 원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3]
NICAM 샘플링은 콤팩트 디스크나 MP3, 고급 오디오 코딩(AAC) 또는 Ogg 오디오 장치에서 사용되는 표준 PCM 샘플링과는 다르다. NICAM은 적응적 차분 펄스 코드 변조 또는 확장되고 빠르게 수정 가능한 다이내믹 레인지를 갖는 A-law 컴팬딩과 더 유사하다.[3]
샘플 부호는 2의 보수 방식을 사용한다.[20] 음성 샘플에 대한 패리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패리티 비트는 각 NICAM 샘플의 상위 6비트에 대해서만 계산된다. 초기 BBC NICAM 연구에 따르면, 최하위 4비트의 오류는 10비트 모두를 패리티로 보호하는 것보다 전체적인 보호 수준이 낮더라도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3]
이 기술은 1964년에 처음 제시되었으며, 당시에는 AD 컨버터 이전 또는 DA 컨버터 이후의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압축 신장을 하는 방식이었다.[2] 1972년 BBC 연구 보고서에서는 이 기술을 방송에 응용하기 위해 압축 신장을 AD 컨버터 이후 및 DA 컨버터 이전의 디지털 영역에서 수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
NICAM은 원래 방송국 간에 2,048 kbit/s의 대역폭 내에서 고음질 6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수치는 CEPT에서 표준화된 E1선로에 맞춰 설정되었으며, 당시 계획 중이던 PDH(동기식 디지털 계층(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국내외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3]
1977년-1978년경 BBC 연구소에서 여러 유사 시스템에 대한 청취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NICAM-3 방식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3]
==== 다중화 및 전송 ====
NICAM 신호는 단일 채널과의 호환성을 위해 음성 반송파와 함께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된다. 이는 단일 채널 수신기에서 주파수 변조(FM) 또는 진폭 변조(AM) 방식의 일반적인 단일 채널 음성 반송파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NICAM 기반의 입체 음향 TV는 입체 음향 TV 프로그램과 단일 채널 "호환성" 음향을 동시에 전송하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완전히 다른 음향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후자의 방식은 국제선 항공편의 기내 영화와 유사하게, 다른 언어로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수신기의 "음향 선택" 컨트롤을 조작하여 콘텐츠를 시청할 때 어떤 사운드트랙을 들을지 선택할 수 있다.
NICAM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며, 모드는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3비트 유형 필드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다.
- 하나의 디지털 입체 음향 채널
- 두 개의 완전히 다른 디지털 단일 채널
- 하나의 디지털 단일 채널 및 352 kbit/s 데이터 채널
- 하나의 704 kbit/s 데이터 채널
나열된 옵션 중 처음 두 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NICAM 패킷(헤더 제외)은 전송 전에 9비트 의사 난수 비트 생성기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된다. 의사 난수 생성기의 토폴로지는 511비트의 반복 주기를 갖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며, 다항식은 이고, 의사 난수 생성기는 로 초기화된다. NICAM 비트스트림을 백색잡음과 유사하게 만드는 것은 인접한 TV 채널에서 신호 패터닝을 줄이기 위해 중요하다. NICAM 헤더는 스크램블링되지 않는데, 이는 NICAM 데이터 스트림에 잠금을 걸고 수신기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재동기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각 NICAM 패킷의 시작 시 의사 난수 비트 생성기의 시프트 레지스터는 모두 1로 재설정된다.
====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 ====
NICAM은 15k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데, 이는 인코더의 안티앨리어싱 필터 때문이다. 원본 14비트 PCM 샘플을 10비트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일부 최하위 비트가 잘려나가 음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NICAM 패킷의 패리티 검사는 상위 6비트에 대해서만 수행되어 오류 검출 능력이 제한된다.
NICAM의 전력 레벨은 영상 반송파에 비해 -20dB로 설정되어야 하며, FM 모노 음성 반송파는 최소 -13dB여야 한다. NICAM 신호의 변조 레벨 측정은 QPSK NICAM 반송파 파형의 특성 때문에 어렵다. 스펙트럼 분석기로 측정할 때, 실제 반송파 레벨(L)은 특정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3. 1. 오디오 인코딩
NICAM은 32kHz의 표본화 주파수로 14비트 펄스 코드 변조(PCM)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인코딩한다.[3]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14비트 PCM 샘플을 10비트로 압축하는 컴팬딩(companding) 기술을 사용한다.[3] 컴팬딩은 32개 샘플 블록 단위로 수행되며, 조용한 부분에서는 최상위 비트를 제거하여 데이터 양을 줄인다. 각 블록에 대한 3비트 제어 신호는 어떤 비트가 제거되었는지 기록하여 디코딩 과정에서 원래 신호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3]NICAM 샘플링은 콤팩트 디스크나 MP3, 고급 오디오 코딩(AAC) 또는 Ogg 오디오 장치에서 사용되는 표준 PCM 샘플링과는 다르다. NICAM은 적응적 차분 펄스 코드 변조 또는 확장되고 빠르게 수정 가능한 다이내믹 레인지를 갖는 A-law 컴팬딩과 더 유사하다.[3]
샘플 부호는 2의 보수 방식을 사용한다.[20] 음성 샘플에 대한 패리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패리티 비트는 각 NICAM 샘플의 상위 6비트에 대해서만 계산된다. 초기 BBC NICAM 연구에 따르면, 최하위 4비트의 오류는 10비트 모두를 패리티로 보호하는 것보다 전체적인 보호 수준이 낮더라도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3]
이 기술은 1964년에 처음 제시되었으며, 당시에는 AD 컨버터 이전 또는 DA 컨버터 이후의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압축 신장을 하는 방식이었다.[2] 1972년 BBC 연구 보고서에서는 이 기술을 방송에 응용하기 위해 압축 신장을 AD 컨버터 이후 및 DA 컨버터 이전의 디지털 영역에서 수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
NICAM은 원래 방송국 간에 2,048 kbit/s의 대역폭 내에서 고음질 6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수치는 CEPT에서 표준화된 E1선로에 맞춰 설정되었으며, 당시 계획 중이던 PDH(동기식 디지털 계층(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국내외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3]
1977년-1978년경 BBC 연구소에서 여러 유사 시스템에 대한 청취 평가 시험을 실시한 결과, NICAM-3 방식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3]
3. 2. 다중화 및 전송
NICAM 신호는 단일 채널과의 호환성을 위해 음성 반송파와 함께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된다. 이는 단일 채널 수신기에서 주파수 변조(FM) 또는 진폭 변조(AM) 방식의 일반적인 단일 채널 음성 반송파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NICAM 기반의 입체 음향 TV는 입체 음향 TV 프로그램과 단일 채널 "호환성" 음향을 동시에 전송하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완전히 다른 음향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후자의 방식은 국제선 항공편의 기내 영화와 유사하게, 다른 언어로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수신기의 "음향 선택" 컨트롤을 조작하여 콘텐츠를 시청할 때 어떤 사운드트랙을 들을지 선택할 수 있다.
NICAM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며, 모드는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3비트 유형 필드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다.
- 하나의 디지털 입체 음향 채널
- 두 개의 완전히 다른 디지털 단일 채널
- 하나의 디지털 단일 채널 및 352 kbit/s 데이터 채널
- 하나의 704 kbit/s 데이터 채널
나열된 옵션 중 처음 두 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NICAM 패킷(헤더 제외)은 전송 전에 9비트 의사 난수 비트 생성기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된다. 의사 난수 생성기의 토폴로지는 511비트의 반복 주기를 갖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며, 다항식은 이고, 의사 난수 생성기는 로 초기화된다. NICAM 비트스트림을 백색잡음과 유사하게 만드는 것은 인접한 TV 채널에서 신호 패터닝을 줄이기 위해 중요하다. NICAM 헤더는 스크램블링되지 않는데, 이는 NICAM 데이터 스트림에 잠금을 걸고 수신기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재동기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각 NICAM 패킷의 시작 시 의사 난수 비트 생성기의 시프트 레지스터는 모두 1로 재설정된다.
3. 3.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
NICAM은 15kHz의 상한 주파수를 가지는데, 이는 인코더의 안티앨리어싱 필터 때문이다. 원본 14비트 PCM 샘플을 10비트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일부 최하위 비트가 잘려나가 음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NICAM 패킷의 패리티 검사는 상위 6비트에 대해서만 수행되어 오류 검출 능력이 제한된다.NICAM의 전력 레벨은 영상 반송파에 비해 -20dB로 설정되어야 하며, FM 모노 음성 반송파는 최소 -13dB여야 한다. NICAM 신호의 변조 레벨 측정은 QPSK NICAM 반송파 파형의 특성 때문에 어렵다. 스펙트럼 분석기로 측정할 때, 실제 반송파 레벨(L)은 특정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4. 구현 및 장비
NICAM 부호화 및 변조 기능을 갖춘 방송 등급 장비는 다음과 같다.[11]
- 필립스 PM5685/PM5686/PM5686A[12]
- 필립스 PM5687[13]
- 아이덴(Eiden) 198A[14]
- 파이(Pye)/바리안(Varian)/BBC 사운드 인 싱크스(Sound-in-Syncs) 솔루션[15]
- IBA/RE 커뮤니케이션즈(RE Communications) 사운드 인 싱크스(Sound-in-Syncs) 솔루션[16]
- 테크트로닉스(Tektronix) 728E[17]
- 로데 앤 슈바르츠(Rohde & Schwarz) SBUF-E NICAM 모듈[18]
- 바르코(Barco) NE-728[19]
현재 NICAM 변조 기능을 갖춘 소비자 등급 장비는 알려져 있지 않다.[11]
5. NICAM 적용 국가 및 지역
몇몇 유럽 국가들은 PAL(영국식 방송 표준)과 SECAM(프랑스식 방송 표준) TV 시스템과 함께 NICAM을 구현했다.[8][9][10]
- 벨기에 (아날로그 케이블 시스템에만 해당; 지상파는 DVB-T로 전환됨)
- 크로아티아 (이전 방식, DVB-T 및 이후 DVB-T2로 전환됨. 아날로그 케이블은 모노 또는 아날로그 A2 스테레오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임)
- 덴마크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에스토니아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핀란드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프랑스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그리스 (ANT1, 뉴 헬레닉 텔레비전, ET3 및 ET1 -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헝가리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아이슬란드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아일랜드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아날로그 케이블 채널은 여전히 NICAM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음. 그러나 이들은 헤드엔드에서 NICAM과 함께 PAL로 재인코딩된 디지털 소스 채널임.)
- 룩셈부르크 (DVB-T로 전환됨; 케이블?)
- 노르웨이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폴란드 (아날로그 케이블 시스템에만 해당; 지상파는 DVB-T로 전환됨)
- 포르투갈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루마니아 (지상파는 DVB-T2로 전환되면서 이전 방식이 되었음; 케이블 네트워크에서는 아날로그 케이블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일부 사업자들이 여전히 사용 중임)
- 러시아
- 스페인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남아프리카 공화국 (SABC 1, SABC 2, e.tv)
- 스웨덴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우크라이나
- 영국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일부 아시아 태평양 국가 및 지역에서는 NICAM을 구현했다.
- 중국
- 홍콩 (광둥어와 영어영어/만다린어중국어/일본어일본어/한국어한국어 사운드트랙이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로 사용됨; DTMB로 완전 전환 및 Dolby AC-3 오디오 인코딩은 2020년 12월 1일에 완료되었으며, 이 날짜부터 NICAM은 이전 방식이 됨)
- 마카오 (광둥어와 포르투갈어pt/영어영어/만다린어중국어/일본어일본어/한국어한국어 사운드트랙이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로 사용됨;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오디오 인코딩과 함께 DTMB로 완전 전환은 2023년 6월 30일에 완료되었으며, 이 날짜부터 NICAM은 이전 방식이 됨)
- 말레이시아
- 이전에는 TV1, TV2, ntv7, 8TV, 및 TV9에서 클랑밸리 주변에서 사용되었습니다. TV3도 클랑밸리의 VHF 전송 주파수(12채널)에서 NICAM을 사용했지만, UHF 전송 주파수(29채널)에서는 Zweikanalton을 사용했습니다. 2019년 1월 1일에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종료되었으므로, 이 날짜부터 NICAM 및 Zweikanalton 방송은 이전 방식이 되었습니다.
- 뉴질랜드 (2013년 12월 1일에 DVB-T로 완전 전환됨. 이 날짜부터 NICAM은 이전 방식이 됨.)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국가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대해 NICAM을 사용했습니다. 2023년 8월 12일에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종료되었으므로, 이 날짜부터 NICAM은 이전 방식이 되었습니다.
- 싱가포르 (Mediacorp Channel U에서 사용됨. 2019년 1월 1일에 DVB-T2로 완전 전환됨. 이 날짜부터 NICAM은 이전 방식이 됨.)
- 스리랑카
- 태국
- 3채널, 9채널 MCOT HD 및 Thai PBS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때때로 스테레오 모드로 이중 사운드 모드로 방송되었습니다. 2020년 3월 26일 이후 모든 아날로그 텔레비전 서비스가 중단되었습니다. HE-AAC v2 코덱을 사용한 지상파 DVB-T2로 전환되면서, 이 날짜부터 NICAM은 이전 방식이 되었습니다.
5. 1. 유럽
몇몇 유럽 국가들은 PAL(영국식 방송 표준)과 SECAM(프랑스식 방송 표준) TV 시스템과 함께 NICAM을 구현했다.[8][9][10]- 벨기에 (아날로그 케이블 시스템에만 해당; 지상파는 DVB-T로 전환됨)
- 크로아티아 (이전 방식, DVB-T 및 이후 DVB-T2로 전환됨. 아날로그 케이블은 모노 또는 아날로그 A2 스테레오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임)
- 덴마크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에스토니아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핀란드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프랑스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그리스 (ANT1, 뉴 헬레닉 텔레비전, ET3 및 ET1 -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헝가리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아이슬란드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아일랜드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아날로그 케이블 채널은 여전히 NICAM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음. 그러나 이들은 헤드엔드에서 NICAM과 함께 PAL로 재인코딩된 디지털 소스 채널임.)
- 룩셈부르크 (DVB-T로 전환됨; 케이블?)
- 노르웨이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폴란드 (아날로그 케이블 시스템에만 해당; 지상파는 DVB-T로 전환됨)
- 포르투갈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루마니아 (지상파는 DVB-T2로 전환되면서 이전 방식이 되었음; 케이블 네트워크에서는 아날로그 케이블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일부 사업자들이 여전히 사용 중임)
- 러시아
- 스페인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 스웨덴 (이전 방식, DVB-T 및 DVB-C로 전환됨)
- 우크라이나
- 영국 (이전 방식, DVB-T로 전환됨)
영국, 프랑스, 스페인,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등 많은 유럽 국가에서 NICAM을 채택했지만, 대부분 현재 DVB-T와 같은 디지털 방송 방식으로 전환했다.
5. 2. 아시아 태평양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등에서 NICAM을 사용했다.[8][9][10]홍콩은 광둥어와 영어/만다린어/일본어/한국어 사운드트랙이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로 NICAM을 사용했으며, 2020년 12월 1일 DTMB로 완전히 전환하여 Dolby AC-3 오디오 인코딩을 사용하면서 NICAM 사용이 중단되었다.[8][9][10] 마카오는 광둥어와 포르투갈어/영어/만다린어/일본어/한국어 사운드트랙이 모두 포함된 프로그램에 대해 일반적으로 이중 언어로 사용했으며, 2023년 6월 30일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오디오 인코딩과 함께 DTMB로 완전히 전환하면서 NICAM 사용이 중단되었다.[8][9][10]
말레이시아에서는 TV1, TV2, ntv7, 8TV, TV9에서 클랑밸리 주변에서 NICAM을 사용했다. TV3는 클랑밸리의 VHF 전송 주파수(12채널)에서 NICAM을, UHF 전송 주파수(29채널)에서는 Zweikanalton을 사용했다. 2019년 1월 1일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면서 NICAM 및 Zweikanalton 방송은 중단되었다.[8][9][10] 뉴질랜드는 2013년 12월 1일 DVB-T로 완전히 전환하면서 NICAM 사용이 중단되었다.[8][9][10]
싱가포르는 Mediacorp Channel U에서 NICAM을 사용했으며, 2019년 1월 1일 DVB-T2로 완전히 전환하면서 NICAM 사용이 중단되었다.[8][9][10] 태국은 3채널, 9채널 MCOT HD, Thai PBS에서 NICAM을 사용했으며,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모드로 이중 사운드 모드로 방송했다. 2020년 3월 26일 이후 모든 아날로그 텔레비전 서비스가 중단되고 HE-AAC v2 코덱을 사용한 지상파 DVB-T2로 전환되면서 NICAM 사용이 중단되었다.[8][9][10]
인도네시아의 대부분의 국가 텔레비전 네트워크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대해 NICAM을 사용했지만, 2023년 8월 12일에 아날로그 방송이 완전히 종료되면서 NICAM은 중단되었다.
5. 3. 기타 지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SABC 1, SABC 2, e.tv 등에서 NICAM을 사용했다.[8][9][10]6. NICAM 음성 기록
6. 1. VHS
VHS와 베타맥스 가정용 비디오테이프 레코더(VCR)는 초기에는 고정 선형 녹음 헤드를 사용하여 오디오 트랙만 녹음했는데, 이는 NICAM 오디오 녹음에는 부적절하여 음질이 크게 제한되었다. 많은 VCR은 나중에 고품질 스테레오 오디오 녹음 기능을 추가로 포함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VCR 트랙 외에 수신되는 고품질 스테레오 오디오 소스(일반적으로 FM 라디오 또는 NICAM TV)를 주파수 변조하여 비디오 신호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고대역폭 헬리컬 스캔 기술을 사용하여 녹음하는 방식이다. 대형 VCR은 이미 테이프를 완전히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고품질 오디오 신호는 추가 헬리컬 스캔 헤드와 심도 다중화를 사용하여 비디오 신호 ''아래''에 대각선으로 녹음되었다. 단일 오디오 트랙(그리고 일부 기기에서는 비NICAM, 비하이파이 스테레오 트랙)도 이전과 같이 선형 트랙에 녹음되어 하이파이 기기에서 녹음된 내용을 비하이파이 VCR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이러한 장치는 종종 "하이파이 오디오", "오디오 FM" / "AFM"(FM은 "주파수 변조"를 의미)으로 설명되었고, 때로는 비공식적으로 "Nicam" VCR(Nicam 방송 오디오 신호 녹음에 사용됨)으로 불리기도 했다. 표준 오디오 트랙도 녹음되었으므로 비하이파이 VCR 플레이어와 호환되었으며, 우수한 주파수 범위와 평탄한 주파수 응답으로 인해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NICAM 지원 비디오데크에서는 NICAM 방식의 스테레오 음성은 VHS의 하이파이 트랙에 기록된다. 모노 신호는 리니어 트랙에 기록된다.
6. 2. DVD
비디오 모드로 녹화할 때(DVD-비디오와 호환됨), 대부분의 DVD 레코더는 표준에서 허용하는 세 채널(디지털 I, 디지털 II, 아날로그 모노) 중 하나만 녹화할 수 있다. DVD-VR과 같은 최신 표준에서는 모든 디지털 채널(스테레오 및 이중 언어 모드 모두)을 녹화할 수 있지만, 모노 채널은 손실된다. DVD-Video 방식과 거의 호환되는 “비디오 모드”로 녹음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디지털 I, 디지털 II, 아날로그 모노럴 중 1채널에만 녹음할 수 있다. DVD-VR 방식의 경우 모노럴 신호는 사라지지만, 스테레오 양채널과 이중언어 모두 모든 디지털 채널에 녹음할 수 있다.참조
[1]
논문
Digital sound signals: the present BBC distribution system and a proposal for bit-rate reduction by digital companding
IEE Conference publication No. 119
1974
[2]
논문
Companding in a p.c.m. system
Symposium on Transmission Aspects of Communication Networks, London, IEE 1964
1964
[3]
간행물
Digital sound signals: further investigation of instantaneous and other rapid companding systems
http://www.bbc.co.uk[...]
BBC Research Dept. Report
1972
[4]
논문
Digital coding of audio signals for point-to-point transmission
IEE Conference Publication No. 166
1978
[5]
간행물
Digital sound signals: test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five companding systems for high-quality sound signals
http://www.bbc.co.uk[...]
BBC Research Department Report 1978/26
1978
[6]
Youtube
IBA Engineering Announcement 19 December 1989
https://www.youtube.[...]
1989-12-19
[7]
문서
ETS EN 300 163
http://www.etsi.org/
ETSI
[8]
웹사이트
Broadcasting System Detail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urrey –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2007-08-30
[9]
웹사이트
Analogue TV technologies
http://home.tiscalin[...]
[10]
웹사이트
World-Wide T.V. Standards
http://www.videouniv[...]
[11]
웹사이트
Consumer NICAM Modulators. Did any exist?
https://www.vintage-[...]
[12]
웹사이트
List of known NICAM-728 Encoders
https://www.mattmill[...]
[13]
웹사이트
Remembering NICAM Part 1: Broadcast Equipment Teardown
https://www.mattmill[...]
2022-06-04
[14]
웹사이트
List of known NICAM-728 Encoders
https://www.mattmill[...]
[15]
웹사이트
Examining the (sort-of) BBC's Sound-in-Sync (NICAM-728) Broadcast solution
https://www.mattmill[...]
[16]
웹사이트
IBA Engineering Announcements - Graham Sawdy on NICAM - 20 March 1990
https://www.youtube.[...]
2014-03-05
[17]
웹사이트
List of known NICAM-728 Encoders
https://www.mattmill[...]
[18]
웹사이트
List of known NICAM-728 Encoders
https://www.mattmill[...]
[19]
웹사이트
List of known NICAM-728 Encoders
https://www.mattmill[...]
[20]
웹사이트
All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NICAM but were Afraid to Ask
https://web.archive.[...]
2007-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