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포세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포세대는 2011년 경향신문의 기획 시리즈에서 처음 사용된 신조어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청년층을 의미한다. 이는 불안정한 일자리, 주거비, 양육비 등 과도한 삶의 비용과 경제 불황, 사회적 압박으로 인해 나타났으며, 이후 인간관계, 집, 꿈, 희망, 건강 등 포기하는 대상이 점차 확대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한민국뿐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저출산, 고령화, 개인주의 확산과 같은 사회적 결과를 초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대 - 단카이 세대
단카이 세대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에서 태어난 많은 수의 인구를 지칭하며, 고도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일본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세대 - 비트 세대
비트 세대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까지 미국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이자 문화 현상으로, 기성 사회에 반항하며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고 개인의 자유와 영적 탐구를 강조했다. - 대한민국의 사회 - 대한민국으로의 이민
대한민국으로의 이민은 외국인이 대한민국으로 이주하여 영주하거나 장기 체류하는 현상으로, 외국인 수 증가에 따라 유엔은 대한민국을 이민 수용국으로 지정했으며, 국적 취득 절차, 이민 현황 및 정책, 이민자 문제, 비자 종류, 정부 노력, 정책 문제점, 노동자 및 불법 체류자 문제, 인권 침해, 다문화 가족, 통계 등을 포함한다. - 대한민국의 사회 - 대한민국의 자살
대한민국의 자살은 자살 교사 및 방조 등을 처벌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사회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부는 자살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 - 대한민국의 신조어 - 명박산성
명박산성은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를 막기 위해 서울 도심에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바리케이드로, 청와대 진입로 봉쇄와 '불통' 정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이후 시위 현장에서 사용되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을 받았으며, 과도한 경찰력 행사와 집회 시위 자유 침해 논란을 야기했다. - 대한민국의 신조어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N포세대 | |
|---|---|
| 세대 정보 | |
| 명칭 | N포 세대 |
![]() | |
| 다른 명칭 | 삼포 세대 (삼포세대) |
2. 어원과 확산
2011년 경향신문의 기획시리즈 〈복지국가를 말한다〉 특별취재팀이 '삼포(三抛)세대'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21] 특별취재팀은 삼포세대를 "불안정한 일자리, 학자금 대출상환, 기약 없는 취업준비, 치솟은 집값 등 과도한 삶의 비용으로 인해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거나 기약 없이 미루는 청년층"으로 정의했다.[21][7] 이 용어는 국가가 책임지지 않는 복지를 떠맡은 한국 사회 가족의 부담이 임계점에 이르렀음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다.[8]
N포세대는 2011년 경향신문의 기획 시리즈 〈복지국가를 말한다〉 특별취재팀이 만든 신조어이다. 이들은 불안정한 일자리, 학자금 대출 상환, 취업 준비, 높은 집값 등으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청년층을 의미한다.[21] 이는 국가가 책임지지 않는 복지를 가족이 부담하면서 전통적인 가족 형성 공식이 와해되었음을 보여준다.
경제적 관점에서, 이 용어는 경제 불황과 수출 대기업 위주의 한국 시장 위축이라는 상반된 현상을 내포한다. 낮은 경제성장률, 낮은 임금, 높은 물가의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일상화되어 생활 비용이 증가하면서 이 용어가 생겨났다.[9][22] 이후 각종 미디어와 정치권, 인터넷을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현재 청년층의 삶과 한국 사회의 문제를 상징하는 용어로 자리잡았다.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10][23]
3. 사회적 배경
경제적으로는 불황 속에서 수출 대기업 위주의 한국 시장이 위축되어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일상화되면서 생활 비용이 높아진 것이 이 용어가 생겨난 배경이다.[22] 이후 미디어, 정치권, 인터넷을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청년층의 삶과 한국 사회의 문제를 상징하는 용어가 되었다.
젊은이들에 대한 현대 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압박이 이 단어가 탄생한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대한민국 젊은이들은 학자금 대출 상환, 과도한 집값, 생활비에 고통받고, 대기업 중심의 사회 구조 속에서 연애를 사치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배우자 선택 시 낭만 대신 스펙을 중시하는 결혼관, 결혼 비용의 급격한 상승은 젊은이들에게 결혼에 대한 좌절감을 준다.[24]
결혼 후에도 육아 비용 부담, 워킹맘에 대한 사회적 배려 부족은 저출산 추세를 심화시키고, 젊은 부부들이 출산을 주저하게 만든다.[25] 자신의 인생을 중요하게 여기는 젊은 세대들은 결혼이나 출산보다 자신의 삶을 즐기는 데 자본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많아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기도 한다.[26] 학교폭력, 가정폭력, 군대 가혹행위 등은 연애, 결혼 등을 포기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3. 1. 설문 조사 결과
N포세대가 N포를 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13]
| 이유 | % |
|---|---|
| 저축할 돈이 없어서 | 53.5 |
| 돈이 있어도 어려워서 | 42.1 |
| 취업이 어려워서 | 33.1 |
| 받는 돈이 적어서 | 32.1 |
| 개인 부채가 많아서 | 16.8 |
또한, 모든 것을 포기하지 않는 소유자 집단을 제외하고, 전체 표본의 27.36%, 현실주의자 19.92%, 자기 몰입형 13.24%, 보류형 8.70%의 불확실성을 보이는 4가지 유형의 포기가 발견되었다.[14]
4. 결과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결혼의 필요성은 사라지고, 결혼과 육아는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는 의식이 확산되었다. 개인적으로는 결혼과 육아의 부담이 우울증을 유발하고 자살률도 증가시키며, 사회적으로는 만혼 또는 비혼으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사회의 고령화가 가속화되어 노인 복지의 책임이 청년 세대에게 가중된다.[27][28]
5. 의미 확장
삼포세대에서 시작하여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것에 더해, 오포세대는 인간관계와 주택 구매를 추가로 포기한다. 칠포세대는 오포세대에 꿈과 희망을 더 포기하며, 구포세대는 신체적 건강과 외모까지 포기하는 세대를 의미한다.
| 세대 | 포기하는 것 |
|---|---|
| 삼포세대 | 연애, 결혼, 출산 |
| 오포세대 | 연애, 결혼, 출산, 경력, 주택 구매 |
| 칠포세대 | 연애, 결혼, 출산, 경력, 주택 구매, 꿈(희망), 인간관계 |
| 구포세대 | 연애, 결혼, 출산, 경력, 주택 구매, 꿈(희망), 인간관계, 신체적 건강, 외모 |
6. 다른 나라의 유사한 문제
- 미국에서는 많은 밀레니얼 세대와 늦은 X세대가 일반적으로 독립할 나이가 되었음에도 부모와 함께 사는 부메랑 세대에 속한다. 이러한 사회 현상은 높은 실업률과 다양한 경기 침체가 결합되어 주로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많은 부메랑 자녀들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연애와 결혼을 연기한다.[10]
- 일본에서는 2010년경부터 10대에서 20대 연령층의 젊은 세대를 "사토리 세대"라고 부른다.[16] 이들은 "삼포 세대"와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사치품, 해외 여행, 돈, 성공적인 직업에 관심이 없다.[17]
- 유럽에는 "삼포 세대"와 유사한 여러 용어와 집단이 있다. 그리스에서는 그들을 700유로 세대라고 부른다. 이 젊은이들은 종종 임시직으로 일하며 월 700EUR의 최소 허용 급여를 받는다. 이 용어는 2008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18]
- 중국에서는 열심히 일하거나 과로하는 것과 같은 사회적 압력에 따르기를 거부하고, 개인적인 욕구와 소망을 낮추는 중국 젊은이들을 묘사하는 "탕핑" 또는 누워 있기라고 불리는 인기 있는 현상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복지국가를 말한다](1부)② 과부하 걸린 한국의 가족"
http://news.khan.co.[...]
2011-05-18
[2]
서적
Things I wish I had known before debt(빚지기 전에 알았다면 좋았을 것들)
https://books.google[...]
media will
[3]
웹사이트
"[PD 수첩] 허니문푸어, 빚과 결혼하다"
http://playvod.imbc.[...]
2019-06-14
[4]
웹사이트
"[Column] \"Hell Joseon\" -- a country where sleepless toil brings no mobility"
http://english.hani.[...]
The Hankyoreh
2016-12-30
[5]
서적
Sampo generation(삼포세대)
sangwon
[6]
웹사이트
볼보, 대량해고에도 파업은 없었다
http://news.khan.co.[...]
2011-06-07
[7]
뉴스
취업준비생 이별 이유 1위…삼포세대의 비극
http://www.segye.com[...]
2013-10-27
[8]
웹사이트
취업준비생 이별 이유 1위…삼포세대의 비극
http://www.segye.com[...]
2013-06-19
[9]
웹사이트
20~30대 10명중 4명 "나는 삼포세대"
https://www.asiae.co[...]
2019-06-10
[10]
웹사이트
Sad Millennials… 美도 '삼포 세대' 졸업=독립 옛말
http://news.kmib.co.[...]
2019-04-29
[11]
웹사이트
20~40대 10명 중 6명 '결혼 부담된다'
https://news.naver.c[...]
2020-04-12
[12]
웹사이트
"'삼포세대'가 된 'X세대'… 불만의 에너지, 참여로 분출"
http://news.khan.co.[...]
2019-06-10
[13]
뉴스
20's and 30's, four in every 10 people "I'm a Sampo Generation (20~30대 10명중 4명 "나는 삼포세대")
http://www.asiae.co.[...]
2013-12-01
[14]
웹사이트
"[Thesis Abstract] 청년세대의 포기의 다양성에 대한 탐구 (Young generation's exploration of the diversity of giving up)"
http://sociology.snu[...]
Department of Soc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ology
2017-08-29
[15]
웹사이트
"[표지이야기]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포기한 '삼포세대'"
http://weekly.khan.c[...]
"'Sampo generation' who has given up dating, marriage and childbirth."
2019-06-10
[16]
뉴스
Life is too short for an undesirable satori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3-03-31
[17]
뉴스
Life is too short for an undesirable satori
http://www.japantime[...]
2015-10-11
[18]
뉴스
유럽사회 흔드는 '700유로 세대'
http://www.hani.co.k[...]
2013-12-15
[19]
뉴스
"<복지국가를 말한다> 1부. ② 과부하 걸린 한국의 가족"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
서적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 "삼포시대"
[21]
뉴스
취업준비생 이별 이유 1위…삼포세대의 비극"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6-19
[22]
뉴스
20~30대 10명중 4명 "나는 삼포세대"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2-01
[23]
뉴스
Sad Millennials… 美도 ‘삼포 세대’ 졸업=독립 옛말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3-10-13
[24]
웹인용
“결혼을 왜 해?” 만 40 비혼 여성 비율 30년새 10배 늘어
https://news.naver.c[...]
2020-04-12
[25]
뉴스
이른바 '삼포세대'의 절망과 박탈당하는 그들의 미래
http://news.khan.co.[...]
한겨레
2011-05-13
[26]
웹인용
에듀동아
http://edu.donga.com[...]
2020-04-12
[27]
뉴스
연애도 결혼도 출산도 포기한 ‘삼포세대'
http://weekly.khan.c[...]
주간경향
2011-06-07
[28]
뉴스
허니문푸어-빚과결혼하다
http://vodmall.imbc.[...]
M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