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chid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rchid''는 1995년 발매된 스웨덴 프로그레시브 데스 메탈 밴드 오페스의 데뷔 음반이다. 1990년 다비드 이스베리에 의해 결성된 오페스는 여러 멤버 교체와 음악적 변화를 거쳐 1994년 캔들라이트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1994년 3~4월에 핀스퐁의 유니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이 앨범은 프로그레시브 록, 포크 음악, 블랙 메탈, 데스 메탈,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하여 독특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발매 당시와 이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페스의 음반 - Deliverance
오페스의 여섯 번째 정규 앨범 《Deliverance》는 원래 《Damnation》과 더블 앨범으로 기획되었으나 분리되어 발매되었고, 평론가들의 호평과 함께 오페스에게 첫 차트 진입과 그래미 어워드 수상의 영예를 안겨주었으며, 타이틀곡은 롤링 스톤의 "역대 최고의 헤비 메탈 노래 100곡" 목록에 오르기도 했다. - 오페스의 음반 - Morningrise
Morningrise는 1996년에 발매된 스웨덴의 프로그레시브 데스 메탈 밴드 Opeth의 두 번째 정규 앨범으로, Dan Swanö가 프로듀싱한 앨범이며, 프로그레시브 록, 포크 음악, 블랙 메탈, 데스 메탈의 영향을 받아 클린 보컬을 더 많이 사용했다. - 1995년 데뷔 음반 - Maxinquaye
Maxinquaye는 트릭키의 1995년 데뷔 앨범으로, 그의 독특한 음악 스타일과 불우했던 어린 시절, 어머니에 대한 기억을 담고 있으며, 마티나 토플리-버드의 보컬과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여 트립 합 장르의 핵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1995년 데뷔 음반 - NOLA (음반)
NOLA는 1995년에 발매된 미국의 헤비 메탈 밴드 다운의 데뷔 앨범이며,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고 빌보드 200에서 57위에 올랐다.
Orchid (음반) | |
---|---|
음반 정보 | |
이름 | Orchid |
종류 | 정규 음반 |
아티스트 | Opeth |
![]() | |
발매일 | 1995년 5월 15일 |
녹음 | 1994년 3월 |
스튜디오 | Unisound (Finspång, 스웨덴)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데스 메탈 블랙 메탈 |
길이 | 65분 26초 |
레이블 | Candlelight Century Black |
프로듀서 | Dan Swanö Opeth |
다음 음반 | Morningrise |
2. 결성 배경 및 초기 활동 (1990-1994)
오페스는 1990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다비드 이스베리에 의해 결성되었다.[1][30] 이스베리는 미카엘 오케르펠트를 밴드에 초대하였으나, 다른 멤버들의 반발로 이스베리와 오케르펠트만 남게 되었다.[30][2] 안데르스 노르딘, 닉 되링, 안드레아스 디메오가 새 멤버로 영입되었고,[30] 이들은 초등학교에서 찾은 60년대 장비로 리허설을 했다.
오페스는 1991년 2월 스톡홀름에서 세리온, 익스크루시에이트(Excruciate), 오토라이즈(Authorise)와 함께 첫 공연을 가졌으나, 단 두 곡밖에 연주하지 못했다.[30] 오케르펠트는 이 공연에 대해 "최악의 공연"이었다고 회상했다.[30][2] 이후 예테보리에서 열린 두 번째 공연에는 킴 페테르손과 요한 데 파르팔라가 합류했다. 이 공연에는 앳 더 게이츠, 세리온 등 여러 밴드들이 참여했다.[30][2] 공연 후, 데 파르팔라는 여자친구와 시간을 보내기 위해 밴드를 탈퇴했고, 페테르 린드그렌이 베이시스트로 합류했다가 기타리스트로 포지션을 변경했다.[30][2]
1992년, 이스베리는 음악적 견해 차이로 밴드를 탈퇴했고,[31][3] 오케르펠트가 보컬을 맡게 되었다. 린드그렌과 오케르펠트는 3인조 체제로 1년 이상 리허설을 진행했다.[32][4] 스테판 구테클린트가 베이시스트로 잠시 활동하기도 했다.[32]
1994년, 오페스는 데모 음반 없이 캔들라이트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32] 당시 오페스는 데모 음반을 녹음할 금전적 여유가 없었다.[33] 카타토니아의 안데르스 니스트룸은 캔들라이트 레코드가 엠퍼러의 사모스에 대한 루머 때문에 오페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33][5] 이후 오케르펠트는 캔들라이트 레코드로부터 정규 음반 발매 제안을 받았다.[34][6]
2. 1. 한국에서의 초기 인지도
3. 《Orchid》 (1995)
3. 1. 녹음 및 프로듀싱
''Orchid''는 1994년 3~4월, 핀스퐁의 구 유니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35][7] 프로듀서 단 스바뇌가 오페스에게 핀스퐁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를 빌려주어 그들은 스톡홀름에서 핀스퐁으로 거처를 옮겼다. 스튜디오는 평원 한복판에 위치한 작은 집의 지하 저장고에 있었다.[35][7] 오페스와 스와뇌가 공동으로 음반의 프로듀싱, 믹싱 작업을 마치고 엔지니어링 작업은 스와뇌가 단독으로 마쳤다.[36][8] 탈퇴한 요한 데 파르팔라를 세션으로 고용하여 베이스를 녹음하도록 했고 이후 그는 정식 멤버로 승격되었다.[32][4]밴드 구성원들은 녹음 기간 내내 불안을 떨치지 못했으나, 녹음 작업은 순탄하게 진행되었다. 케랑!과의 인터뷰에서 오커펠트는 "우린 스튜디오에 들어가기 전까지 준비가 되어 있었다. 우리는 한 주 동안 6번에서 7번 정도의 리허설을 했고 눈을 가린 채로도 완벽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암실에서 연습했었다."라고 회상했다.[37][9]
"Requiem"은 유니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처음 녹음되었으나 이 결과물에 대하여 그들은 만족하지 못했다. "Requiem"은 이후 스톡홀름의 어느 스튜디오에서 공동 프로듀서인 푼투스 노르그렌과 함께 녹음되었다.[35][7] ''Orchid''의 마스터링 작업 중 "Requiem"은 "The Apostle in Triumph" 앞에 배치되었다. 밴드는 이에 대하여 후회했다고 고백하며 그들 자신의 실책이 아니라고 말했다.[38][10] 이 실수는 2023년 앨범의 애비 로드 리마스터에서 수정되었다.
3. 2. 음악 스타일 및 가사
''Orchid''는 프로그레시브 록과 포크 음악, 블랙 메탈의 스크리밍과 데스 메탈의 그로울링뿐만 아니라 클린 보컬까지 총망라하고 있다. 또한 재즈의 영향을 받았으며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로 연주되는 멜로딕한 부분까지 포함한다.[49][39][18][22] 오페스의 음악은 당시의 일반적인 블랙 메탈, 데스 메탈과는 확연히 달랐으며,[40][41][23][11] ''Orchid''는 밴드가 블랙 메탈 장르에 가장 근접한 작품으로 여겨진다.[11] 비평가들은 이 음반을 "굉장히 특이하다"라고 묘사했다.[22] 짐 라지는, "만약 당신이 오페스의 데스 메탈스러운 곡을 찾는다면 ''My Arms, Your Hearse'' 음반을 추천한다. 만약 당신이 두 기타와 베이스가 서로 다른 연주를 하면서 기타의 화음들이 연속적이고, 곡의 흐름이 변칙적이며 동시에 부드러운 흐름의 앨범을 찾는다면, 이 앨범을 추천한다."라는 내용의 글을 썼다.[39][22] 맷 스미스는 음반에 대해, "밴드는 ''Orchid''를 통해 특이한 다운 템포의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 라인과 함께 생기 넘치는 켈틱 풍의 왜곡된 리듬을 보여주며 그들만의 색채를 드러내었다." 라고 언급했다.[42][19]음반의 대부분의 곡은 9분이 넘어가는 대곡들이지만, 기악곡인 "Silhouette"과 "Requiem"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다. "Silhouette"은 그들이 스튜디오에서 나가기 몇 시간 전에 녹음되었고[43][12] 간단한 피아노 전주곡이다. 오페스의 구성원들은 안데르스 노딘의 피아노 연주 실력에 감탄했다. 린드그렌은, "단이 '우리 드러머가 피아노도 칠 줄 아네?'라고 말했을 때의 표정을 기억한다. 그는 우리가 하는 말을 믿지 않고 있었다. 단도 피아노를 칠 줄 알았고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엉망으로 치지만 안데르스가 연주를 시작했을 때 단은 정말 감명받았던 것 같다." 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오케르펠트 또한 감명받았다고 말했다.[44][16] 나머지 기악곡인 "Requiem"은 린드그렌이 연주하였다. 오케르펠트는 곡의 녹음을 위해 어느 기타 판매점에서 '트래멀룩'이라는 스페인의 어쿠스틱 기타를 빌려왔다.[45][13]
보너스 트랙인 "Into the Frost of Winter"는 1992년 리허설 초기에 녹음된 것이다. 곡의 일부분은 이후 그들의 두 번째 정규 음반 ''Morningrise''의 오프닝 트랙인 "Advent"에 쓰이게 된다.[46][14]
오케르펠트가 가입했던 당시 오페스의 구성원들이 탈퇴한 이후, 그와 이스베리는 곡을 쓰기 시작했다. 오케르펠트는, "당시에 난 알게 모르게 주술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렇다고 심각하게 빠져있던 건 아니다. 나의 음악 철학은 왜곡되고, 어둡고, 사악하게 들리는 기타 리프를 쓰는 것이었다. 그래서인지 그 때 나와 함께 데이비드가 쓴 가사들은 순전히 사탄을 찬양하는 내용뿐이다." 라고 말했다.[30][2] 그는, "오페스에 대한 음악적 영감은 사악하고, 악마적인 가사와 기타 리프였다. 내가 의도했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라고도 밝혔다.[47][15] 오케르펠트와 이스베리가 쓴 처음 두 곡은 "Requiem of Lost Souls"와 "Mystique of the Baphomet" (이후 각각 "Mark of the Damned"와 "Forest of October"로 이름이 바뀐다.)였다.[30][2] 이스베리의 탈퇴 후, 오케르펠트와 페테르 린드그렌은, "우리가 결국 우리만의 연주 방식을 터득했다고 느꼈다. 그 당시에는 우리만큼 화음을 많이 넣는 밴드도 거의 없었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32][4] 린드그렌은 "Forest of October"를 음반 수록곡 중 최고라고 평한다. 오케르펠트는 그 곡들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 기억하지 못하며 가사를 쓸 때 음악에 어울리게 썼다는 것만 기억한다.[43][12]
그는 곡 "The Twilight Is My Robe"의 제목이 원래는 "Oath"이며 "사탄에 대한 맹세(Oath)라는 사악한 곡" 이라고 밝혔다. 또한 곡의 일부분이 스콜피언스의 곡 "Fly to the Rainbow"를 완벽히 표절해서 만들어졌다는 사실 또한 고백했다.[43][12] 린드그렌은 이 음반의 가장 사악한 곡인 "Under the Weeping Moon"의 가사가 달에 대한 사탄주의적인 숭배에 대한 내용이라고 했다. 하지만 오케르펠트는 그 가사가 사실은 아무런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고 했다.[44][16] 이후 라이브 음반 ''The Roundhouse Tapes''에서 그는 곡의 가사에 대하여 "블랙 메탈스러운 완벽한 헛소리"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The Apostle in Triumph"의 멜로디를 칭찬하며 가사적으로 "자연과 사탄에 대한 숭배의 융합"이라고 고려했다.[45][13] 음반의 가장 대곡인 "In Mist She Was Standing"은 마지막에 완성된 곡이다. 이 곡은 악몽에 대한 내용이며 영화 ''검은 옷을 입은 여인''에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48][17]
{{듣기
| filename = InMistSheWasStanding.ogg
| title = "안개 속에 그녀가 서 있었네"
| description = 이 음성은 밴드의 초기 릴리스에 등장하는 트윈 하모니 기타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
3. 3. 표지 및 구성
녹음 작업이 끝난 뒤, 밴드는 바로 표지와 배치 작업을 시작했다. 오페스의 미카엘 오커펠트는 사진 작가 토르비에른 에케바케와 오랫동안 연락을 해왔는데, 에케바케가 그래픽 레이아웃 작업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0] 오케르펠트는 그에게 ''Orchid''에 들어갈 배치를 부탁했다. 오페스는 네덜란드산 난초의 사진을 요구했다.[38] 앨범 표지에 등장하는 난초는 네덜란드에서 특별 주문 제작되었다.[10] 초기 음반은 앞표지에 오페스의 로고가 찍혀있지 않은 채로 발매되었다.[38] 앨범 뒷면에 사용된 사진은 쇠르스코겐에서 촬영되었다.[10] 오케르펠트는, "우린 매우 운이 좋은 편이다. 사진을 찍었던 그날 저녁은 내가 본 광경 중 가장 아름다웠다. 우린 그날 여러 멋진 사진들을 찍었지만 이 실루엣으로 나타난 사진들이 단연 최고였다."라고 말했다.[38]밴드는 "Requiem"의 마스터링 과정에서 문제를 겪고 있었는데, 가사집의 상태가 그들이 생각한 것과 정반대였고, 색은 모조리 반전되어 있었으며 CD의 색상은 검은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되어있는 또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38] 밴드는 이러한 실수에 대해 유감을 표했지만, 팬들은 이 색상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10] 배치 작업이 끝난 뒤, 밴드는 잉글랜드로 음반을 보냈다.[38]
3. 4. 발매 및 평가
''Orchid''는 1995년 5월 15일 유럽에서 캔들라이트 레코드를 통해 CD와 카세트테이프로 발매되었고,[36][54] 1997년 6월 24일 미국에서 센추리 블랙을 통해 발매되었다.[55] 2000년에는 보너스 트랙 "Into the Frost of Winter"를 수록한 재발매반이 유럽(캔들라이트 레코드)과 미국(센추리 미디어)에서 발매되었고, 같은 해 디스플리스드 레코드에서 더블 LP 한정판이 발매되었다.[36]지역 | 연도 | 레이블 | 포맷 | 카탈로그 |
---|---|---|---|---|
영국 | 1995 | 캔들라이트 레코드 | CD | Candle010CD |
폴란드 | 1995 | 미스틱 프로덕션 | 카세트 테이프 | 003 |
미국 | 1997 | 센추리 블랙 | CD | 7845-2 |
영국 | 2000 | 캔들라이트 레코드 | CD | CANDLE053CD |
네덜란드 | 2000 | 디스플리스드 레코드 | 더블 LP | D-00081 |
영국 | 2003 | 캔들라이트 레코드 | CD | CANDLE053TIN |
일본 | 2008 | 아발론 레코드 | CD | MICP-10807 |
올뮤직의 존 세르바는 ''Orchid''에 대해 "아름다움과 잔혹함 두 가지 모두가 배어나오는 선견지명적인 프로그레시브 데스 메탈의 요소를 담고 있다"고 평했다.[49] ''Satan Stole My Teddybear''의 존 채드시는 "모든 장르의 메탈 밴드의 데뷔 앨범 중 가장 대단하며 강력하다"고 평했다.[51] ''Lamentations of the Flame Princess''의 짐 라지는 익스트림 메탈 계에서 가장 발음이 뚜렷한 오케르펠트의 보컬이 이 데뷔 앨범에서 진가를 드러낸다고 평했다.[39]
반면, 프랑스 잡지 ''Metallian''은 "지루하며 진부하다"라고 평하며 10점 만점에 1점을 부여했다.[33] 요한 데 파르팔라는 "데스 메탈 계에선 '정말 걸작이로군!' 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내가 아는 교육받은 음악가들 사이에선 '최악이야. 음질이 정말 구려. 재녹음해야겠는걸' 이라고 말했다."라고 회상했다.[33]
''Orchid'' 발매 전, 미카엘 오케르펠트는 당시 밴드의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50]
>적어도 스웨덴 지역의 대부분 밴드들은 유니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있었고 음반이 발매되기 전의 오페스는 코미디 밴드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아무도 우리에게 기대를 걸지 않았다. 우리에 대한 소문은 별로 신통치 않은 내용들이었다. 초기의 몇몇 공연들은 끔찍했고 사람들은 밴드를 창단한 우리의 보컬 다비드 이스베리 또한 좋아하지 않았다. 우리는 밴드에 대하여 좋은 전망을 가질 수 없었다. 동료밴드들조차도 우리에겐 없었다. 우린 완전히 이방인 취급을 당했었다.
발매가 지연되고 오페스 구성원들이 공연에 불안감을 느끼는 와중에, 캔들라이트 레코드의 사장 리 바렛은 그들을 영국으로 이끌어 임페일드 나자렌, 배드 부엔즈 엔드, 히케이트 인스론드와 함께 런던 아스토리아에서 공연을 하게 했다.[53]
3. 5. 곡 목록
번호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In Mist She Was Standing" | 미카엘 오케르펠트 | 오케르펠트, 페테르 린드그렌 | 14:09 |
2 | "Under the Weeping Moon" | 오케르펠트 | 오케르펠트, 린드그렌 | 9:55 / 9:52 |
3 | "Silhouette" | 안데르스 노르딘 (기악곡) | 노르딘 | 3:04 / 3:07 |
4 | "Forest of October" | 오케르펠트 | 오케르펠트, 린드그렌 | 13:04 / 13:05 |
5 | "The Twilight Is My Robe" | 오케르펠트 | 오케르펠트, 린드그렌 | 11:01 |
6 | "Requiem" | 오케르펠트 (기악곡) | 오케르펠트, 린드그렌 | 1:11 |
7 | "The Apostle in Triumph" | 오케르펠트 | 오케르펠트, 린드그렌 | 13:01 |
총 재생 시간: | 65:41 / 65:26 | |||
센추리 블랙 재발매반 보너스 트랙 | ||||
8 | "Into the Frost of Winter" | 오케르펠트 | 오케르펠트, 린드그렌 | 6:23 / 6:20 |
총 재생 시간: | 71:46 |
첫 번째 트랙 “In Mist She Was Standing”의 아이튠즈 버전에서 "In"과 "Mist" 사이에 "the"가 쓰인 오타가 발생했다. "Under the Weeping Moon"과 "Forest of October"는 데이비드 이스베르크가 작사에 참여했다.
3. 6. 참여 인원
4. 영향 및 평가
''Orchid''는 발매 당시와 이후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일스트롬(''Maelstrom'')의 비평가 맷 스미스는 이 음반을 오페스의 걸작 중 하나로 꼽으며 "다른 음반들이 발매되도록 한 불씨"라고 평가했다.[42] 올뮤직의 존 세르바는 "꽤나 대담한 음반. 아름다움과 잔혹함 두 가지 모두가 배어나오는 선견지명적인 프로그레시브 데스 메탈의 요소를 담고 있음"이라고 호평하며, 오페스의 성공을 예견했다고 평가했다.[49] ''Satan Stole My Teddybear''의 존 채드시는 "모든 장르의 메탈 밴드의 데뷔 앨범 중 가장 대단하며 강력하다"라고 극찬했다.[51]
''Lamentations of the Flame Princess''의 짐 라지는 이 앨범이 헤비 메탈 계의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하며, 특히 미카엘 오케르펠트의 보컬에 대해 "익스트림 메탈 계에서 가장 발음이 뚜렷"하며, 1994년에 클린 보컬과 그로울링을 동시에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은 흔치 않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오케르펠트가 몇 년 뒤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음악 창법의 기준을 세웠다고 평가했다.[39] 데시벨 잡지의 크리스 딕은 ''Precious Metal: Decibel Presents the Stories Behind 25 Extreme Metal Masterpieces''에서 데스 메탈이 형성된 이후 다른 장르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Orchid''만큼 강력하고 매서우며 노련한 사운드를 내는 앨범은 없다고 저술했다. 그는 이 앨범이 위시본 애시, 블랙 사바스, 바쏘리의 완벽한 융합물이라고 평가했다.[40][52]
하지만 모든 비평가들이 호평만 한 것은 아니다. 프랑스 잡지 ''Metallian''은 "지루하며 진부하다"라고 평하며 10점 만점에 1점을 부여했다.[33] 요한 데 파르팔라는 데스 메탈 계에서는 걸작으로 평가받지만, 자신이 아는 교육받은 음악가들은 음질이 좋지 않아 재녹음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33]
미카엘 오케르펠트는 ''Orchid'' 발매 전 밴드의 상황에 대해, 스웨덴 지역의 대부분 밴드들이 유니사운드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있었고, 오페스는 코미디 밴드로 여겨졌다고 회상했다. 그는 아무도 밴드에 기대를 걸지 않았고, 소문도 좋지 않았으며, 초기 공연은 끔찍했고, 밴드를 창단한 보컬 다비드 이스베리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밴드에 대한 좋은 전망을 가질 수 없었고, 동료 밴드조차 없었으며, 완전히 이방인 취급을 받았다고 덧붙였다.[50]
4. 1. 한국에서의 재평가
참조
[1]
간행물
Pressing the Red Button
2008-01
[2]
웹사이트
Opeth Biography: Chapter II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18
[3]
간행물
Pressing the Red Button
2008-01
[4]
웹사이트
Opeth Biography: Chapter III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18
[5]
문서
Precious Metal
[6]
문서
Precious Metal
[7]
웹사이트
Orchid Session Diary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18
[8]
웹사이트
Orchid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19
[9]
간행물
Treasure Chest. An Intimate Portrait of Life in Pop
2009-01-24
[10]
웹사이트
Orchid Session Diary 2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19
[11]
웹사이트
Orchid
http://www.archaic-m[...]
2005-10-13
[12]
문서
Precious Metal
[13]
문서
Precious Metal
[14]
문서
Orchid Album notes
Candlelight Records
2000
[15]
문서
Precious Metal
[16]
문서
Precious Metal
[17]
문서
Precious Metal
[18]
웹사이트
Orchid Review
http://www.allmusic.[...]
AllMusic
2011-06-20
[19]
웹사이트
Review From The Vault Opeth-Orchid: Maelstrom Issue No 19
https://web.archive.[...]
2011-06-28
[20]
문서
Precious Metal
[21]
웹사이트
Orchid Review
https://web.archive.[...]
1997-11
[22]
웹사이트
Orchid Reviews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21
[23]
웹사이트
Opeth "Orchid"
http://www.decibelma[...]
2011-06-21
[24]
문서
Precious Metal
[25]
문서
Orchid liner notes
Candlelight
1995
[26]
웹사이트
OPETH - Official Website - Biography - Chapter III
https://web.archive.[...]
2013-11-14
[27]
문서
Precious Metal
[28]
웹사이트
Orchid Opeth
https://www.amazon.c[...]
Amazon
2011-07-09
[29]
url
https://www.allmusic[...]
[30]
웹인용
Opeth Biography: Chapter II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18
[31]
저널 인용
Pressing the Red Button
2008-01
[32]
웹인용
Opeth Biography: Chapter III
http://opeth.com/ind[...]
Opeth.com
2011-06-18
[33]
문서
Precious Metal
[34]
문서
Precious Metal
[35]
웹인용
Orchid Session Diary
http://www.opeth.com[...]
Opeth.com
2011-06-18
[36]
웹인용
Orchid
http://www.opeth.com[...]
Opeth.com
2011-06-19
[37]
저널
Treasure Chest. An Intimate Portrait of Life in Pop
2009-01-24
[38]
웹인용
Orchid Session Diary 2
http://www.opeth.com[...]
Opeth.com
2011-06-19
[39]
웹인용
Orchid Reviews
https://web.archive.[...]
Opeth.com
2011-06-21
[40]
뉴스
Opeth "Orchid"
Decibel Magazine
2018-03-24
[41]
웹인용
Orchid
http://www.archaic-m[...]
2011-07-02
[42]
웹인용
Review From The Vault Opeth-Orchid: Maelstrom Issue No 19
https://web.archive.[...]
2011-06-28
[43]
서적
Precious Metal
[44]
서적
Precious Metal
[45]
서적
Precious Metal
[46]
Album notes
Orchid
캔들라이트 레코드
[47]
서적
Precious Metal
[48]
서적
Precious Metal
[49]
웹사이트
Orchid Review
http://www.allmusic.[...]
AllMusic
2011-06-20
[50]
서적
Precious Metal
[51]
웹인용
Satan Stole My Teddybear music reviews - Opeth
https://web.archive.[...]
2018-03-24
[52]
서적
Precious Metal
[5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opeth.com[...]
2013-11-14
[54]
서적
Precious Metal
[55]
웹인용
Orchid Opeth
https://www.amazon.c[...]
아마존닷컴
2011-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