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탄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탄주의는 "적"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된 "사탄"을 악의 상징으로 숭배하거나, 기독교적 가치에 반대하는 다양한 신념과 실천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사탄주의는 역사적으로 기독교와 대립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악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중세 시대에는 이단과 연관되어 탄압받기도 했다. 근대에는 반도덕주의, 개인주의와 결합하여 문학, 오컬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났으며, 현대에는 무신론적, 유신론적 사탄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경향을 보인다. 사탄교회와 같은 조직을 통해 체계화되기도 하며, 개인적인 신념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적, 법적 인정을 받기도 하지만, 사회적 편견과 논란에 직면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탄주의 - 로즈메리의 아기
아이라 레빈의 공포 소설 《로즈메리의 아기》는 뉴욕의 아파트로 이사 온 젊은 부부가 악마 숭배자들의 음모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리며 여성의 불안과 고립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사탄주의 - 사탄의 성전
사탄의 성전은 2012년 루시엔 그리브스와 말콤 재리가 공동 설립한 미국의 비영리 종교 단체로, 자애와 공감 장려, 폭압적인 권위 거부, 상식 옹호, 불의에 대한 저항을 사명으로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원칙을 옹호하며 다양한 사회 운동과 공공 활동을 전개하고, 2019년에는 미국 국세청으로부터 교회로 인정받아 면세 지위를 획득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사탄주의 | |
---|---|
종교 | |
![]() | |
유형 | 종교 운동, 철학 |
창시자 | 안톤 라베이 (현대 사탄주의) 미하일 바쿠닌 (정치적 사탄주의) 스타니스와프 프시비셰프스키 (문학적 사탄주의) |
신 | 없음 (무신론적 사탄주의), 사탄 (유신론적 사탄주의) |
주요 인물 | 안톤 라베이 피터 H. 길모어 페기 나디라마이아 마르셀로 라모스 모타 알리스터 크로울리 (일부) |
파생 종교 | 루시퍼주의 |
신도 수 | |
추정 | 전 세계적으로 수천 명에서 수만 명 |
국가별 분포 | |
주요 분포 지역 | 서구 국가 |
역사 | |
기원 | 19세기 (개념), 20세기 (조직화) |
분파 | |
주요 분파 | 라베이 사탄주의 유신론적 사탄주의 정치적 사탄주의 전통적 사탄주의 영지주의적 사탄주의 |
주요 경전 | |
경전 | 《사탄의 성서》 (라베이 사탄주의) 《알리스터 크롤리의 법의 서》 (일부) |
상징 | |
상징 | 바포멧 역 오망성 사탄의 인장 검은 태양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반기독교주의 악마 심오한 생태학 반종교 사탄 사탄 공황 오컬트 신비주의 의례 마법 흑마술 악마숭배 반항 |
2. 용어
사탄교는 독립적이고 비밀스러운 성향 때문에 분류하거나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사탄주의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다.
- 사탄은 초자연적인 힘, 신적 존재, 악마 등을 의미하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자기 자신, 즉 자아를 의미한다.
- 사탄교회의 창시자 안톤 라베이와 같은 대부분의 사탄주의자는 자기 자신을 숭배하는 물질 우상주의자이다.
- 사탄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의 의미보다는 기독교에 대한 거부를 상징한다. 사탄주의자는 기독교를 자기비하, 자기부정, 억압, 무능이라고 본다.
- 사탄주의자는 누구의 의견이라도 자신에게 권위를 가지거나 구속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사탄주의자의 소신은 대체로 일치하지 않는다.
- 사탄주의자는 성경을 무시하거나 경멸하는 성향이 있다.
- 일부 사탄주의자는 영적으로 맞서는 힘(야훼와 사탄, 선과 악)이 있다고 믿으며, 그 둘을 인간이 이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는 이원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 일부 사탄주의자는 영적인 힘이 존재하지만, 그 힘은 어떤 실체나 물질에 규제되지 않는다고 믿는다. 그 능력은 터득하는 방법을 배우면 얻을 수 있다고 여긴다.
사탄주의의 정의는 다양해서 기독교에서 말하는 "야훼, 혹은 예수에게 반하는 모든 종교와 사상"일 수도 있고, 성경의 바알과 벨리알 등을 섬기는 종교일 수도 있다.
"사탄"이라는 용어는 "적" 또는 "반대하다"라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하여, 인간을 죄로 유혹하는 타락한 천사의 기독교적 형상으로 발전했다. "사탄"이라는 단어는 원래 고유 명사가 아니라 "적"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단어는 구약성서의 여러 곳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사무엘기에서 다윗은 블레셋의 사탄("적")으로 묘사되고, 민수기에서는 여호와가 천사를 보내어 발람을 사탄("반대")하게 하는 동사로 이 단어가 사용된다.[10]
신약성서가 쓰여지기 전에, 유대 공동체 내에서는 사탄이 여호와에게 반역하여 추종자들과 함께 하늘에서 쫓겨난 천사의 이름이라는 생각이 발전했다. 이 이야기는 에녹서와 같은 당대 문헌에 포함되었다. 이 사탄은 신약성서의 일부에서 인간을 죄짓도록 유혹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마태복음과 루가복음에서는 나사렛 예수가 광야에서 금식할 때 그를 유혹하려 했다.[10]
"사탄주의(Satanism)"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satanisme"에서 영어로 채택되었다. "사탄주의"와 "사탄주의자"라는 용어는 16세기에 영어와 프랑스어에 처음 등장했으며, 기독교 단체들이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기독교 단체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10]
2. 1. 바포멧 (Baphomet)

바포멧은 성적인 탐닉과 쾌락을 상징하는 염소 머리의 신으로, 타로 카드나 다른 마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상징이다.[10]
2. 2. 흑마법 (Black Magic)
타인을 해하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마술을 흑마법(Black Magic)이라고 한다.[1]2. 3. 피의 의식 (Blood Ritual)
피는 생명과 힘을 상징하므로, 이를 얻기 위해 제식에 사용된다.[15]2. 4. 코븐 (Coven)
코븐(Coven)은 함께 마술을 행하고 숭배하는 마녀들의 집단이다. 대체로 13명 미만이며, 몇몇 사탄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집단을 코븐이라 부른다.[19]2. 5. 초혼 (Evocation)
초혼은 집행자로부터 힘을 끌어내는 의식이다.[1]2. 6. 인큐버스 (Incubus)
여자를 유혹해 성교하는 악마를 말한다.[20]2. 7. 왼손의 방침 (Left-hand path)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신비주의자나 사탄주의자를 가리키는 말이다.[21]2. 8. 마법의 원 (Magic Circle)
다른 차원의 세계와 소통하기 위해 의식에서 사용되는 원형이다.[16]2. 9. 펜타클 (Pentacle)
펜타클은 원형이나 고리 안의 오각별을 의미한다.2. 10. 펜타그램 (Pentagram)
펜타그램은 주술이나 사탄주의의 공통된 상징인 오각별을 의미하며, 사탄주의에서는 별이 아래를 향하는 오각별을 사용한다.[10]2. 11. 서큐버스 (Succubus)
서큐버스는 남자와 성교를 하는 악마이다.[1]3. 역사
사탄주의의 역사는 기독교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성서에서 사탄은 창세기에 처음 등장하며, 인간을 죄로 유혹하는 역할을 한다.[34] 야훼가 창조한 천사로 여겨지는 사탄은 하와를 유혹하기 전에 이미 악한 존재였으며, 이는 야훼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음을 의미한다.[34]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사탄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가 부족했기 때문에, 기독교는 사탄에 대한 교리를 점차 발전시켜 나갔다. 이 시기에는 사탄 숭배 집단은 존재하지 않았다.[34]
중세 시대에 기독교는 이교도와 이단에 대응하며 사탄에 대한 교리를 더욱 발전시켰다. 563년 브라가 종교회의에서는 사탄이 야훼와 동등한 존재가 아니라 피조물이며, 그의 능력은 제한된다고 선언했다.[34]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사탄이 타락 이전에는 가장 높은 천사장이었다는 견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4]
스콜라 철학 시대에는 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무스가 악을 결핍의 상태로 정의하고, 사탄이 야훼의 정해진 한도 내에서만 활동한다고 주장했다. 페트루스 아벨라르두스는 사탄과 그의 부하 천사들이 본질적으로 선하게 창조되었으나, 선이 확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죄를 짓게 되었다고 보았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지옥을 "하나님의 통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보았으며, 악마가 성적 유혹을 위해 일시적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고 믿었다.[34]
마녀사냥은 사탄주의 및 신비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 계몽주의 시대에 이성과 개인주의가 강조되면서, 많은 유럽인들은 사탄에 대한 개념을 재해석하고 다양한 사탄의 모습을 만들어냈다.
근대에는 반도덕주의 사상이 등장하여 종교를 경멸하고 인간의 자율성을 찬미하는 세속적인 협회들이 생겨났다. 프랑수아 라블레는 그의 소설 《가르강튀아》에서 "네가 원하는 것을 하라"는 텔레마를 추구하는 텔렘 대수도원을 묘사했다. 지옥불 협회 회원들은 종교적인 의식, 음주, 난교를 즐겼다.[34]
현대 사탄주의는 알레이스터 크라울리의 영향을 받아 안톤 라베이가 사탄교회를 설립하면서 체계화되기 시작했다. 존 밀턴의 실낙원은 사탄을 폭정에 반항하는 인물로 묘사하여 문학적, 낭만적 사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34] 존 드라이든[35], 조지프 존슨, 윌리엄 고드윈과 같은 인물들이 이러한 관점을 반영했다.
퍼시 비시 셸리는 사탄을 우주에서 선을 위한 힘으로 칭송했으며, 바이런 경은 ''카인''에서 사탄적 주제를 포함시켰다. 미국 혁명과 프랑스 혁명 이후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미하일 바쿠닌과 같은 무정부주의자들은 사탄을 자유의 상징으로 받아들였다.
유신론적 사탄주의는 사탄을 실제 신 또는 숭배해야 할 힘으로 믿는 사탄주의의 한 형태이다.[7][83]
3. 1. 성서
사탄은 창세기 3장 1~4절에서 처음 나타나는데, “여호와 하나님의 지으신 들짐승 중에 뱀이 가장 간교하더라…”라고 하였다. 많은 신학자는 이 뱀이 사탄을 말하는 것이라 본다. 성경에 등장하는 사탄은 인간을 죄로 유혹하는 역할이었다.[34]사탄은 대체로 야훼가 창조한 천사로 본다. 사탄이 하와에게 죄를 짓도록 유혹할 때 이미 사탄은 악했으므로, 그전에 야훼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사탄의 타락은 누가복음 10장 18절에 나타나 있는데, “예수께서 이르시되 사탄이 하늘로서 번개같이 떨어지는 것을 내가 보았노라.”라고 하였다. 요한계시록 12장 7~17절과 마태복음 25장 41절에 따르면, 사탄은 타락한 천사들과 마귀들의 대장이며, “거짓의 아비”(요한복음 8장 44절), “의인을 비난하는 자”(욥기 1장 6~12절)로 불린다.[34]
3. 2. 초기 기독교
성경에는 사탄에 대한 자세한 묘사나 설명이 없었기 때문에, 기독교는 오랫동안 사탄에 대한 교리를 만들어 왔다. 하지만 이는 기독교 전파에 비해 중요하지 않았다. 교회는 타락한 천사와 마귀가 동일한 존재라고 주장하지 않았다. 신약시대에서 사도시대로 옮겨 오면서, 많은 신학자가 마귀와 타락한 천사가 같은 의미라고 생각했다. 그 시절에는 기독교와 사탄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사탄을 숭배하는 사람이나 집단은 없었다.[34]3. 3. 중세
기독교는 이교도와 이단에 대응하여 신학을 발전시키며 사탄에 대한 교리를 만들었다. 563년 브라가 종교 회의에서는 사탄이 야훼와 동등한 존재가 아니라, 야훼의 창조물로 능력이 제한된다고 주장하는 프리실리안의 이원론자들을 반대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초대 교회 원로들의 성경적 마귀론을 강조하며, 사탄이 타락 이전에는 가장 서열이 높은 천사장이었다는 성직자들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그는 모든 불신앙은 사탄을 따라가는 것이므로, 모든 이교도는 사탄의 영향 아래 있다고 보았다. 기독교에서는 이교도를 세례 교인으로 만들기 전에 교리문답, 복음 강해, 악령 퇴치 의식 등으로 사탄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하려 하였다. 하지만 민간요법, 미신 등은 그 자체를 사탄적이라고 간주하지 않았다.[34]3. 4. 스콜라 철학
이성에 의한 비판에 사상의 초점을 맞춘 스콜라 철학자들은 성경을 바탕으로 한 초기의 사탄 논쟁에서 벗어나 복잡한 신학적 관념을 발전시켰다. 성경에는 천사나 사탄에 대한 내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탄에 관한 논쟁은 추론적인 성향이 있었다. 이전과는 달리, 인간의 도덕적, 영적 사건에서 사탄의 역할은 주요 논쟁 대상이었다.캔터베리 대주교 안셀무스는 그의 논문 〈악마의 타락〉에서 악을 무(無)의 의미로 보았다. 안셀무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악에 대한 이론을 확장하여, 악을 두 가지 의미로 결핍된 상태로 정의했다.
- 창조된 존재에 대한 신의 완성의 결핍
- 반드시 소유해야 할 특성 가운데 있는 어떤 부분의 결핍
그는 신학적인 관점에서 전지전능한 야훼가 어떻게 사탄과 인간을 악하게 하는 원인이 아닌가에 대해 예정론과 자유 의지론의 문제점의 해답을 찾고자 했다. 안셀무스는 사탄이 야훼의 아래서 정해진 한도 내에서만 활동하며, 인간을 독점할 수 있는 권리는 없다고 주장했다.
페트루스 아벨라르두스는 신학적인 논제를 종합하여 조직화했다. 그는 사탄이나 그의 부하 천사들은 본질적으로 선하게 창조되었고(boni), 그들은 선천적으로 악(mali)하거나 저주(miseri) 받지 않았지만, 선(beati)이 확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죄를 짓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타리파 신도들은 선과 악 사이에는 끝이 없고, 어느 한 쪽도 승리할 수 없다는 이원론을 주장했다. 그들은 세상을 사탄이 창조하고 지배하고 있으며, 사실 야훼는 사탄이고, 그리스도는 육체를 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인간의 육체는 악이며, 죽음으로 육체를 떠나 야훼와 함께하는 영적 현실로 돌아간다는 것을 인정해야 구원을 성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지옥을 장소라기보다는 “하나님의 통치에서 벗어난 상태”로 보았다. 그는 악마가 일시적인 형태(서큐버스, 인큐버스)를 취해 성적으로 유혹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었으며, 또한 악마는 하늘을 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34]
3. 5. 마녀사냥
마녀사냥은 사탄주의, 신비주의와 깊은 관련이 있다. 1600년대 후반부터 1800년대에 이르기까지, 서양 철학에서 사탄은 점차 중요성을 잃고 기독교 신학에서는 무시되었으며, 민속에서는 위협적인 인물보다는 어리석은 인물로 여겨졌다. 계몽주의 시대의 새로운 가치관, 특히 이성과 개인주의는 많은 유럽인들의 사탄에 대한 개념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사람들은 사탄을 전통적인 기독교 이야기에서 벗어나 자신의 시대와 관심사에 맞게 재해석하여 새롭고 다양한 사탄의 모습을 만들어냈다.3. 6. 근대
근대 사탄주의의 근본에는 반도덕주의가 있었다. 이 사상은 종교 개혁 때 몇몇 지식인과 귀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많은 사람은 종교를 하찮게 여기거나 경멸하기도 하였다. 기독교를 경멸하고 적대시하던 일부 사람은 세속적인 협회를 만들었는데, 그들은 인간 자율성을 찬미하고 교회와 신앙을 조롱했다. 교회를 조소하는 최초의 문학가는 프랑스의 신부였던 프랑수아 라블레로 알려져 있는데, 그는 가톨릭과 칼빈주의에 반대하여 스토아 철학을 받아들였다. 그의 사상은 소설 《가르강튀아》(Gargantua)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알레이스터 크라울리가 한 말로 알려져 있기도 한 “네가 원하는 것을 하라.”로 유명한데, 이는 쾌락, 즉 텔레마(Thelema)를 추구하는 그의 상상 속의 도시인 텔렘 대수도원(Abbaye de Thélème)의 표어이다. 텔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의 도시”와 반대되는 개념이다.반도덕주의와 관련된 집단은 다양했는데, “메드멘햄(Medmenham)의 수도사들”이란 이름을 가진 17세기의 유럽 지식인 협회는 도박 및 향연, 음주, 고급 매춘부와 성적인 게임을 했다. 18세기와 19세기에 존재했던 “지옥불 협회”(Hell-Fire Club) 회원들은 텔렘과 메드멘헴의 수도사를 따랐으며, “흑색의 미사”(Black Mass)와 같은 종교적인 의식이나 음주와 난교를 즐겼다. 다른 집단에는 에드먼드 컬(Edmund Curll), 프렌시스 데시우드경(Sir Francis Dashwood), 그리고 존 몬테그(John Montague), 샌드위치 백작(The Earl of Sandwich) 같은 지식인이 참여했다. 이들은 계몽적이고 무신론적인 지식인 집단이었다.
3. 7. 현대
알레이스터 크라울리에 기반을 둔 현대 사탄주의는 안톤 라베이가 사탄교회를 설립하면서 본격적으로 체계화되기 시작했다. 현대 사탄주의는 극우 성향의 단체를 지지하기도 했다.[34]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1667)은 사탄을 주인공으로 묘사하며, 사탄을 인간화하고 폭정에 반항하는 인물로 해석할 수 있게 했다. 19세기에는 문학적, 낭만적 사탄주의가 등장하여 사탄을 용감하고 고귀한 반역자로 묘사했다. 이들은 사탄을 교회와 국가 권력에 대한 비판, 이성과 자유의 가치를 옹호하는 은유로 보았다.[34] 존 드라이든[35], 조지프 존슨, 윌리엄 고드윈과 같은 인물들이 이러한 관점을 반영했다. ''실낙원''은 18세기에 널리 읽혔으며, 볼테르에 의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많은 후대의 종교적 사탄주의자들은 밀턴을 "사실상의" 사탄주의자로 여기게 되었다.
퍼시 비시 셸리는 사탄을 우주에서 선을 위한 힘으로 칭송했으며, 바이런 경은 ''카인''에서 사탄적 주제를 포함시켰다. 알프레드 드 비니의 ''엘로아'', 빅토르 위고의 ''사탄의 종말''에서도 사탄의 긍정적인 묘사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종교 의식을 수행하지 않았으므로 종교적 사탄주의자로 간주될 수는 없다.
미국 혁명과 프랑스 혁명을 통해 급진 좌익 사상이 퍼지면서, 사탄은 폭정에 맞선 투쟁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미하일 바쿠닌과 같은 무정부주의자들은 사탄을 자유의 상징으로 받아들였다. 모세스 하먼은 그의 간행물 ''빛을 가져오는 루시퍼''의 이름을 짓는 데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좌익 사탄" 개념은 20세기에 쇠퇴했다.
유신론적 사탄주의는 사탄을 실제 신 또는 숭배해야 할 힘으로 믿는 사탄주의의 한 형태이다.[7][83]
4. 사탄교의 특징
- 사탄은 초자연적인 힘, 신적 존재, 악마 등을 의미하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자기 자신, 즉 자아를 의미한다.[122]
- 사탄 교회의 창시자 안톤 라베이와 같은 대부분의 사탄주의자는 자기 자신을 숭배하는 물질 우상주의자이다.
- 사탄이라는 용어는 그 자체의 의미보다는 기독교에 대한 거부를 상징한다. 사탄주의자는 기독교를 자기비하, 자기부정, 억압, 무능이라고 본다.
- 사탄주의자는 누구의 의견이라도 자신에게 권위를 가지거나 구속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사탄주의자의 소신은 대체로 일치하지 않는다.
- 사탄주의자는 성경을 무시하거나 경멸하는 성향이 있다.
- 일부 사탄주의자는 영적으로 맞서는 힘(야훼와 사탄, 선과 악)이 있다고 믿으며, 그 둘을 인간이 이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는 이원론으로도 알려져 있다.
- 일부 사탄주의자는 영적인 힘이 존재하지만, 그 힘은 어떤 실체나 물질에 규제당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그 능력은 터득하는 방법을 배우면 얻을 수 있다고 여긴다.
5. 사탄교의 구성 악마
사탄교를 구성하는 악마는 원래 신의 대천사, 참모, 지방관, 그들의 부하였지만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추방된 타락천사이다.
1990년대, 익스트림 헤비메탈 음악의 뮤지션과 팬들 사이에서, 사탄 교회와 사탄의 사원과 같은 집단이 진정한 사탄주의자라고 하기에는 "너무 자비롭고 법을 잘 지킨다"는 생각이 커졌다.[87] 이러한 반율법주의적이고 비도덕적인 사탄주의(또는 포스트 사탄주의) 집단을 때때로 사탄주의의 "사악한 전통"이라고 부른다.[87]
나인 앵글의 질서(O9A)는 "사악한 전통을 정의하는 원형"이라고 불리며 여러 살인, 강간, 아동 학대 및 우익 테러리즘과 관련되어 있다.[90] O9A는 주로 비밀스러운, 자율적인 "넥션"으로 알려진 비밀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탄주의 수행자들의 네트워크로 운영되며, 이를 "콜렉티브"라고 부른다. O9A는 그들의 오컬티즘을 "전통 사탄주의"라고 설명한다.
O9A의 저술은 인신 제사를 장려할 뿐만 아니라, 사탄주의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희생자를 ''오퍼''라고 부른다. 질서의 가르침에 따르면, 이러한 오퍼는 죽을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성격적 결함을 보여주어야 한다.
5. 1. 수뇌부
사탄교를 구성하는 악마는 원래 신의 대천사, 참모, 지방관, 그들의 부하였지만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추방된 타락천사이다. 주요 악마는 다음과 같다.- 사탄 - 지옥제국의 황제이자 총 통치자. 천국에서 북쪽 지역을 다스리던 실력자로서,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대천사 미카엘과 맞대결하여 패배한 뒤에 추방되었다.
- 릴리트 - 사탄의 아내이자 몽마녀의 여왕.
- 루시퍼 - 악마제국을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실력자이자 사탄 제국의 대법관. 부왕으로서 사탄의 대리 역할도 겸하고 있으며, 항상 사탄의 왕권을 노리고 있다.
- 아스타로트 - 중부 유럽에 성을 갖고 있는 악마의 대공작. 지옥제국의 군권을 장악하고 있으며, 거대한 박쥐를 타고 다니며 초과학적인 발명의 대가이다.
- 베엘제붑 - 지옥제국의 최고장관이자 사탄의 최고위 참모. 파리 교단의 창시자로 속칭 파리대왕이라 불린다. 기본적으로 인간의 형태이나 파리로 변신할 수 있으며, 파리의 모습일 때는 날개에 해골 마크로 구분된다. 자신의 몸 크기와 모든 병을 자유로이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5. 2. 내각
사탄교를 구성하는 악마는 원래 신의 대천사, 참모, 지방관, 그들의 부하였지만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추방된 타락천사이다.- 루키후그 - 악마왕국의 총리대신. 사탄의 측근에서 《악마법전》에 따라 악마법을 어긴 악마를 재판하고, 여러 행정적인 업무와 재정을 맡아본다.
- 마르베스 - 지옥제국의 부총리. 보통 사자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훌륭한 정보망과 변신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아미 - 도깨비 불 형태를 하고 있다. 지옥제국 전체에서 최고의 과학 지식을 소유한 4차원 악마이다.
- 아가레스 - 악어를 타고 다니며 지진을 일으킨다. 배반한 악마의 마력을 박탈하여 잡아들이며 인간들을 미치게 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 레오나르 - 마녀 집회의 총감독이자 마술과 흑마법 마술사의 총감독. 커다란 숫염소의 모습으로 나타나 마녀 집회를 주재한다. 머리에 뿔이 세 개 돋아 있고, 귀는 여우귀이며, 수염이 난 머리가 둘 있는데, 마녀는 뒤쪽에 있는 머리에 입을 맞춘다.
- 위리놈 - 죽음의 왕자. 검은색 몸은 늑대가 이빨로 물어뜯은 상처투성이이며, 일부는 여우의 살갗으로 덮여 있다. 그는 시체를 뼈만 남기고 다 먹어치운다.
- 바알베리트 - 주교회의 의장. 지옥 고문서 보관소 소장 겸 사무총장의 직책을 맡고 있다.
5. 3. 참모 본부
사탄교를 구성하는 악마는 원래 신의 대천사, 참모, 지방관, 그들의 부하였지만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추방된 타락천사이다.- 네비로스 - 악마군단의 원수. 모든 물질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있다[87].
- 안드레알 - 공작의 모습을 하고 날아다닌다. 우주의 모든 별의 위치와 지리에 밝으며, 여러 새의 형태로 변할 수 있다[87].
- 그래시아라포라스 - 개의 모습을 하고 있는 살인 학교의 총책임자. 모든 예술에 능하며, 안개처럼 증발하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87].
- 나베리우스 - 심리전 전문가. 적을 혼란시키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87].
- 카임 - 스파이 업무를 총괄하는 장관. 새의 날개와 고양이의 눈, 큰 귀를 가지고 있다[87].
- 가마진 - 말의 형태를 한 괴수를 타고 다닌다. 온 세상의 범죄자와 그 죄상을 파악하고 있으며, 영을 소환하여 진상을 파악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87].
5. 4. 각국 대사
- 벨페고르 - 프랑스 대사. 발견의 악마. 젊은 여성으로 변신하여 부자로 만들어 주겠다며 남자를 유혹한다.
- 맘몬 - 영국 대사. 탐욕과 부, 부정의 악마이기도 하다. 그가 즐겨 머무는 곳은 전 세계의 화폐 시장이다.
- 벨리알 - 이탈리아 대사. 남색의 악마이며, 가장 음탕하고 또 그만큼 가장 매력적이다. 필로타누스라는 이름을 가진 비서와 함께 다니며 인간에게 남색을 저지르라고 부추긴다.
- 림몬 - 러시아 대사이자 지옥 최고의 명의.
- 타무즈 - 스페인 대사이자 대포의 발명가. 그의 전문 분야는 불꽃과 석쇠, 사랑의 열정이다.
- 위르겡 - 터키 대사.
- 마르티네 - 스위스 대사. 마법사를 데리고 다니며 마법사는 무슨 일을 하든지 반드시 그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5. 5. 왕 직속 시종부
- 베르들레 - 의전장(儀典長)으로, 마녀를 마녀 집회에 데려다 주는 일을 맡고 있다.
- 쉬코르 베노트 - 벨제뷔트의 후궁에 거주하는 환관의 우두머리이자 프로세르핀의 총애를 받는 악마이다. 질투와 빗장, 철책의 악마로 알려져 있다.
- 샤모스 - 시종장이자 파리 교단의 일등훈장 수훈자로, 아첨의 악마이다.
- 멜콤 - 악마의 회계관으로, 악마 수뇌부 출신이 아닌 일반 악마 중에서 선발되었다.
- 니스로크 - 벨제뷔트의 주방장으로, 식도락의 악마이다. 인간과 악마 모두에게 호평을 받는다.
- 베헤모스 - 왕궁의 술 책임자이자 술 다르는 직분을 맡고 있다. 욥기에 따르면, 베헤모스는 레비아탄의 남편이며 삼나무만큼 단단한 꼬리와 허리를 가지고 있다. 뱃속을 즐겁게 해주는 식도락을 담당하며, 지옥의 1111개 군단 총사령관, 즉 최극 지휘관이다. 묵시록에서는 그가 사탄의 권세를 받은 짐승이라고 전해진다.
- 다곤 - 지옥 왕실의 빵을 굽는 악마이다. 펠리시테인들은 그가 농경술을 발견했다고 여긴다.
- 뮐렝 - 벨제뷔트의 개인 시종장이다.
5. 6. 기타 주요 악마
사탄교를 구성하는 악마는 원래 신의 대천사, 참모, 지방관, 그들의 부하였지만 신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추방된 타락천사이다. 주요 악마는 다음과 같다.이름 | 설명 |
---|---|
바알 | 지옥군 총사령관이자 대공, 파리 교단의 최고훈장 수훈자.[123] |
레비아탄 | 지옥군의 해군대장, 파리 교단의 일등훈장 수훈자. 사람들에게 거짓말하는 법과 허세 부리는 법을 가르친다. 베히모스의 아내. |
아스모데우스 | 유흥관의 총지배인, 실수와 거짓, 방탕의 악마. 공예와 기하도 담당. 머리가 셋 달린 뱀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기러기처럼 생긴 다리를 가지고 있다. |
뮈르뮈르 | 음악의 악마. 지옥제국의 백작, 수많은 나팔수를 앞세우고 독수리를 탄 키 큰 군인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
메피스토펠레스 | 독일의 대문호 괴테의 파우스트에 등장해 유명해진 악마. 과학자이며 동시에 마법사로 두 분야 모두에 탁월한 식견을 가지고 있다. |
몰로크 | 눈물 나라의 왕. 파리 교단의 최고훈장 수훈자.[123] |
6. 사탄주의자
안톤 라베이와 알레이스터 크라울리는 대표적인 사탄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코벤(Coven), 블랙 위도우(Black Widow) 같은 여러 록 밴드들이 작품에 사탄주의와 마법 이미지를 사용했다.[7] 1970년대 영국에서 헤비 메탈 장르를 개척한 록 밴드들의 작품에서도 사탄에 대한 언급이 나타났다.[83]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는 가사에서 사탄을 언급했지만, 일부 멤버들은 기독교인이었고, 다른 가사들은 기독교 신이 사탄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1980년대에는 슬레이어(Slayer), 크리에이터(Kreator), 소돔(Sodom), 데스트럭션(Destruction)과 같은 헤비 메탈 밴드들이 사탄적 이미지를 더 많이 사용했다. 데스 메탈의 하위 장르에서 활동하는 모비드 엔젤(Morbid Angel), 엔톰베드(Entombed) 같은 밴드들은 사탄적 이미지와 함께 좀비와 연쇄 살인범 같은 다른 병적이고 어두운 이미지를 결합하여 채택했다.
사탄주의는 블랙 메탈 하위 장르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데스 메탈에서 사용되었던 다른 주제보다 전면에 부각되었다. 많은 블랙 메탈 공연자들은 자해 행위를 그들의 공연에 포함시켰고, 이를 사탄적 헌신의 표현으로 묘사했다. 최초의 블랙 메탈 밴드인 베놈(Venom)은 자신들을 사탄주의자라고 선언했지만, 이는 악마에 대한 진정한 헌신보다는 도발적인 행위에 가까웠다. 바토리(Bathory)와 헬해머(Hellhammer)도 사탄적 주제를 사용했다. 그러나 사탄주의를 더 진지하게 채택한 최초의 블랙 메탈 행위는 머시풀 페이트(Mercyful Fate)였으며, 보컬 킹 다이아몬드(King Diamond)는 사탄교(Church of Satan)에 가입했다.
킹 다이아몬드와 달리, 다양한 블랙 메탈 사탄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신념을 "악마 숭배"라고 지칭함으로써 라베이 사탄주의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했다. 이들은 사탄을 문자 그대로의 존재로 간주했고, 안톤 라베이와는 대조적으로, 사탄주의를 범죄, 자살, 공포와 연관시켰다. 그들에게 기독교는 근절해야 할 역병으로 간주되었다. 바르그 비케르네스(Varg Vikernes)와 유로니무스(Euronymous)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초기 노르웨이 블랙 메탈 씬에 관여했다. 1992년에서 1996년 사이에, 이들은 방화 공격으로 약 50개의 노르웨이 교회를 파괴했다. 블랙 메탈 씬 내에서 많은 음악가들이 나중에 사탄적 주제를 헤테리에서 파생된 현대 이교주의의 한 형태로 대체했다.
7. 사탄교회의 주장 (일본어 위키 텍스트 기반)
일반적으로 사탄주의는 사탄(악마)을 숭배하고, 악의 힘으로 선한 힘에 승리하여 세계 멸망을 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장 큰 사탄주의 조직인 사탄 교회(Church of Satan)는 이러한 통념을 부정한다. 사탄 교회는 "사탄"의 실존을 믿지 않으며, "사탄"이라는 명칭을 단지 특정 개념을 물질적으로 대표하는 상징으로 사용한다.
사탄주의자이자 사탄 교회의 창시자인 안톤 라비는 사탄이라는 이름의 신을 포함한 모든 신을 믿지 않는다고 밝혔다.[122]
사탄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지만, 많은 경우 사탄은 이데아, 인간성의 한 측면, 모든 존재의 근원, 혹은 우주를 초월한 힘이 인간계에 나타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또한, "사탄"은 일반적으로 악이나 부당한 힘을 연상시키지만, 사탄주의자에게는 "소수파적인 정신성과 사상"을 나타내는 단어이기도 하다.
유신론적 사탄주의자도 존재하기 때문에 사탄주의가 자기 모순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일반적인 사탄주의자는 서구의 일반적인 신앙관, 즉 신을 섬기고 천명에 따르는 사상과는 거리가 멀다. 대신 자신의 물질적, 신체적 발전과 문제 해결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탄주의자는 기독교나 유대교 같은 전통 종교의 신앙을 멀리하고, 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구축하며, 이기주의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8. 사회 속의 악마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는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믿음은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와 같은 행위를 통해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 마녀 혐의는 사회 규범 준수, 개인 간 갈등 심화, 특정 개인을 사회 문제의 희생양으로 삼는 등 다양한 원인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된다. 이러한 개념은 조로아스터교의 앙그라 마이뉴에서 비롯되었으며,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다. 유대교에서는 이 개념이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를 통해 숭배된다.[9]
8. 1. 어원 및 정의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사탄"이라는 용어는 "적" 또는 "반대하다"라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했으며, 인간을 죄로 유혹하는 타락한 천사라는 기독교적 형상으로 발전했다. "사탄"은 원래 고유 명사가 아니라 "적"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였으며, 구약성서의 여러 곳에 나타난다.[10] 예를 들어, 사무엘기에서 다윗은 블레셋의 사탄("적")으로 묘사되고, 민수기에서는 여호와가 천사를 보내어 발람을 사탄("반대")하게 하는 동사로 이 단어가 사용된다.[10]신약성서가 쓰여지기 전, 유대 공동체 내에서는 사탄이 여호와에게 반역하여 추종자들과 함께 하늘에서 쫓겨난 천사의 이름이라는 생각이 발전했다. 이 이야기는 에녹서와 같은 당대 문헌에 포함되었다.[10] 이 사탄은 신약성서 일부에서 인간을 죄짓도록 유혹하는 인물로 등장하며, 마태복음과 루가복음에서는 나사렛 예수가 광야에서 금식할 때 그를 유혹하려 했다.[10]
"사탄주의(Satanism)"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satanisme"에서 영어로 채택되었다.[10] "사탄주의"와 "사탄주의자"라는 용어는 16세기에 영어와 프랑스어에 처음 등장했으며, 기독교 단체들이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기독교 단체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10] 1565년 로마 가톨릭 팜플렛에서는 프로테스탄트의 "이단, 신성모독, 그리고 사탄주의(sathanismes [sic])"를 비난했고,[10] 1559년 성공회 작품에서는 재세례파와 다른 프로테스탄트 종파들을 "사탄주의자(Satanistes [sic])의 무리"로 비난했다.[10] 이러한 맥락에서 "사탄주의"는 사람들이 문자적으로 사탄을 숭배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된 기독교에서 벗어나 사탄의 뜻을 섬기고 있다는 의미였다.[10] 19세기에는 "사탄주의"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부도덕한 생활 방식을 이끄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10] 19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사탄을 의식적으로 숭배하는 개인에게 영어로 적용되었다.[10] 이 후자의 의미는 이전에 스웨덴어에서 나타났는데, 루터교 주교 로렌티우스 파울리누스 고투스(Laurentius Paulinus Gothus)는 1615년에서 1630년 사이에 제작된 그의 저서 ''Ethica Christiana''에서 악마 숭배 마법사를 ''사타니스테르(Sathanister)''로 묘사했다.[10]
8. 2. 중세 및 근세 초기 기독교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지키도록 하거나, 개인 간의 기존 갈등을 심화시키거나,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특정 개인을 희생양으로 삼는 것이다.
사탄주의의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지만,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고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를 통해 숭배된다.[9]
8. 3. 18세기부터 20세기 기독교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는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믿음은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14]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강화하거나,[15] 개인 간 갈등을 심화시키거나,[16] 사회 문제에 대한 희생양을 만들 수 있다.
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19]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된다.[20] 이러한 개념은 조로아스터교의 앙그라 마이뉴에서 비롯되었으며,[19][18]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이 개념이 더욱 중요해졌다.[21]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에서 숭배된다.[9] 1600년대 후반부터 1800년대까지, 사탄은 서양 철학에서 중요성이 감소하고 기독교 신학에서 무시되었으며, 민속에서는 위협적인 인물보다는 어리석은 인물로 여겨졌다. 계몽주의 시대의 이성과 개인주의와 같은 새로운 가치관은 유럽인들의 사탄에 대한 개념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많은 사람들은 사탄을 전통적인 기독교 이야기에서 벗어나 자신의 시대와 관심사에 맞게 재해석하여 새롭고 다양한 사탄의 모습을 만들어냈다.
사탄에 대한 개념 변화는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1667)에서 비롯된 것이 많다. 이 작품에서 사탄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밀턴은 청교도였으며, 사탄을 동정적으로 묘사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그러나 사탄을 유대-기독교 신에게 반역한 자신의 자만심의 희생자로 묘사함으로써, 밀턴은 사탄을 인간화하고 폭정에 반항하는 인물로 해석할 수 있게 했다. 19세기에는 신을 폭군으로 묘사하고 사탄을 용감하고 고귀한 반역자로 묘사하는 ''문학적 사탄주의'' 또는 ''낭만적 사탄주의''가 등장했다. 이들은 사탄을 교회와 국가 권력을 비판하고 이성과 자유를 옹호하는 은유로 보았다.[34]
존 드라이든,[35] 출판업자 조지프 존슨, 무정부주의 철학자 윌리엄 고드윈 등이 ''실낙원''을 이러한 방식으로 이해했으며, 고드윈은 1793년 저서 ''정치적 정의에 관한 연구''에서 이를 반영했다. ''실낙원''은 18세기에 영국과 유럽 대륙에서 널리 읽혔으며, 볼테르에 의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밀턴은 "사탄주의를 다시 쓰는 데 핵심적인 인물"이 되었으며, 많은 후대의 종교적 사탄주의자들에게 "사실상의" 사탄주의자로 여겨졌다.
루벤 반 루이크에 따르면, 문학적 사탄주의는 "단일한 목소리를 가진 일관된 운동으로 볼 수 없으며, 때로는 매우 상이한 작가들 중에서 유사한 주제가 발견되는 ''사후에'' 식별된 그룹"이다. 문학적 사탄주의자들에게 사탄은 자비롭고 때로는 영웅적인 인물로 묘사되었으며, 이러한 묘사는 낭만주의 및 퇴폐주의 인물들의 예술과 시에서 확산되었다. 이들에게 사탄주의는 종교적 신념이나 의식 활동이 아니라, "예술적, 정치적 표현의 일부로서의 상징과 인물의 전략적 사용"이었다.
밀턴의 영향을 받은 영국의 시인 퍼시 비시 셸리는 그의 시 ''라온과 시나''에서 사탄을 가리키는 "뱀"을 우주에서 선을 위한 힘으로 칭송했다. 바이런 경은 1821년 연극 ''카인''에서 카인과 아벨의 성경 이야기를 극화하여 사탄적 주제를 포함시켰다. 프랑스에서는 알프레드 드 비니의 1823년 작품 ''엘로아''에서 긍정적인 사탄 묘사가 나타났다. 빅토르 위고는 ''사탄의 종말''에서 사탄의 추락을 핵심적인 측면으로 다루었다. 셸리와 바이런 등이 사탄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홍보했지만, 이들이 사탄 숭배 의식을 수행했다는 증거는 없으므로 종교적 사탄주의자로 간주될 수 없다.
미국 혁명(1775–83년)과 프랑스 혁명(1789–99년)을 통해 급진적인 좌익 정치 사상이 퍼졌다. 여호와에 반항한 사탄은 급진 좌익들에게 매력적이었다. 이들에게 사탄은 "폭정, 불의, 억압에 맞선 투쟁의 상징... 혁명의 시대의 반란의 신화적 인물, 개인주의 시대의 거대한 인물, 자유로운 사상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시대의 자유 사상가"였다. 프랑스 무정부주의자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여러 저서에서 자유의 상징으로 사탄을 받아들였다. 미하일 바쿠닌은 ''신과 국가''에서 사탄을 "영원한 반역자, 최초의 자유 사상가이자 세계의 해방자"로 묘사했다. 이러한 사상은 미국의 페미니스트 활동가 모세스 하먼이 그의 무정부주의 간행물 ''빛을 가져오는 루시퍼''의 이름을 짓도록 영감을 주었을 것이다. 이러한 "좌익 사탄" 개념은 20세기에 쇠퇴했다.
1997년 라비의 사망 이후, 사탄 교회는 새로운 행정부에 의해 운영되었고 본부는 뉴욕 시로 이전되었다. 라비의 딸이자 고위 여사제인 칼라 라비는 199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퍼스트 사타닉 처치를 재창립했다. 이 교회는 원래 교회보다 "훨씬 더 배타적"이라고 불렸으며, 2023년 말 기준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지난 수십 년 동안 매년" "블랙 X-매스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2]
8. 4. 의식 학대 히스테리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1]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예를 들어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이다.[2]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3]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지키거나,[4] 개인 간의 기존 갈등의 긴장을 고조시키거나,[5]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특정 개인을 희생양으로 삼을 수 있다.[6]
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7]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8]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인물인 앙그라 마이뉴이다.[7][10]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11]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기원이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로 숭배된다.[9]
8. 5. QAnon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9]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예를 들어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이다.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지키고, 개인 간의 기존 갈등의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특정 개인을 희생양으로 삼을 수 있다.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앙그라 마이뉴, 즉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
9. 현대 사탄주의의 전조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사탄"이라는 용어는 "적" 또는 "반대하다"라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하여, 인간을 죄로 유혹하는 타락한 천사의 기독교적 형상으로 발전했다. 원래 "사탄"은 고유 명사가 아니라 "적"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였다. 이 단어는 구약성서의 여러 곳에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사무엘기에서 다윗은 블레셋의 "적"으로 묘사되고, 민수기에서는 여호와가 천사를 보내 발람을 "반대"하게 하는 동사로 사용된다.[10]
신약성서가 쓰여지기 전, 유대 공동체 내에서는 사탄이 여호와에게 반역하여 추종자들과 함께 하늘에서 쫓겨났다는 생각이 에녹서와 같은 당대 문헌에 나타났다.[10] 이 사탄은 마태복음과 루가복음에서 나사렛 예수가 광야에서 금식할 때 그를 유혹하는 인물로 등장한다.[10]
초기 기독교에서 악마에 대한 생각은 잘 발달되지 않았지만, 점차 민간 전승, 예술, 신학 논문, 도덕담화 등을 통해 적응하고 확장되어 다양한 성서 외적 연관성을 부여받았다.[10] 중세 초부터 기독교는 악마를 "악의 대표자"로, 사탄주의자를 "선한 기독교인의 악한 거울 이미지"로 개념화했다.[10]
"사탄주의(Satanism)"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satanisme"에서 영어로 채택되었다.[10] 16세기 영어와 프랑스어에 처음 등장한 "사탄주의"와 "사탄주의자"라는 용어는, 기독교 단체들이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기독교 단체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10] 1565년 로마 가톨릭 팜플렛에서는 프로테스탄트의 "이단, 신성모독, 그리고 사탄주의"를 비난했고,[10] 1559년 성공회 작품에서는 재세례파와 다른 프로테스탄트 종파들을 "사탄주의자의 무리"로 비난했다.[10] 이때 "사탄주의"는 문자 그대로 사탄 숭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참된 기독교에서 벗어나 사탄의 뜻을 섬긴다는 의미였다.[10] 19세기에는 "사탄주의"가 부도덕한 생활 방식을 이끄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10] 19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사탄을 의식적으로 숭배하는 개인에게 영어로 적용되었다.[10] 이 후자의 의미는 이전에 스웨덴어에서 루터교 주교 로렌티우스 파울리누스 고투스가 1615년에서 1630년 사이에 제작된 ''Ethica Christiana''에서 악마 숭배 마법사를 ''사타니스테르(Sathanister)''로 묘사하며 나타났다.[10]
학자들이 제시하거나 제안한 사탄주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정의 | 출처 |
---|---|
기독교 신앙에서 사탄, 악마 또는 루시퍼로 알려진 인물에 대한 숭배 또는 경배 | 에단 도일 화이트[1] |
사탄에 대한 의도적이고 종교적으로 동기 부여된 경배 | 종교학자 루벤 반 루이크[11] |
사탄이 두드러진 위치에서 기념되는 시스템 ("종교의 본질에 대한 가정"을 피하는 이점이 있다.) | 사탄주의 학자 페르 팍스넬드[12] |
세 가지 특성의 동시 존재: | 이탈리아 사회학자 마시모 인트로빈 (1994년) |
하지만 이러한 정의는 사탄 숭배자로 ''자신을 식별하는'' 인물과 그룹으로 제한된다는 비판이 있다. 종교학자 조셉 레이콕은 사탄을 숭배했다고 ''비난''받는 그룹까지 포함하면, 사탄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과 사탄주의자들의 관점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13] 비난자들은 사탄을 악한 존재로 보지만, 스스로를 사탄주의자라 칭하는 사람들은 사탄을 상징적인 존재로 여기거나, 아예 존재 자체를 믿지 않는 경우가 많다.[4]
기독교 신화에서 파생된 사탄에 의존하는 기독교의 발명이라는 루벤 반 루이크의 설명처럼, '사탄주의'는 "자신이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사용하는 용어"(타자화)라는 의견도 있다.[10] 유진 갤러거는 사탄주의가 "묘사적인 용어가 아니라 논쟁적인 용어"라고 언급했다.[10]
다양한 사탄주의 그룹은 서로를 비난하며, 사탄의 원래 개념은 유대교에서 유래하여 기독교에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사탄주의자들은 종종 "탈-사탄주의"로 나아가거나, 기독교나 유대교 밖의 신화적 인물과 전통을 옹호하기도 한다.[15]
다이앤 E. 타우브와 로렌스 D. 넬슨은 사탄주의의 정의가 너무 광범위하거나 좁게 정의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며, "유대-기독교 신의 적, 사탄에 대한 문자적 또는 상징적 숭배"로 정의한다.[10] 아서 라이언스에 따르면, "사탄교는 일신교만큼 오래되었으며 기원은 6세기의 페르시아에 있다."
종교학자 조셉 레이콕은 사탄주의가 "기독교인들이 적을 악마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상상의 종교"로 시작되었다는 증거가 있다고 주장한다.[13] 사탄 숭배에 대한 고백은 근대 초기 유럽에서 고문이나 강압 이후에 나왔고,[13] 사탄의 활동에 대한 초기 이야기는 거짓 선전이었지만, 현대 종교적 사탄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9]
9. 1. 문학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9]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9]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지키도록 하거나, 개인 간의 기존 갈등의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특정 개인을 희생양으로 삼을 수 있다.[9]
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9]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9]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9]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9]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기원이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로 숭배된다.[9]
9. 2. 오컬트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는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믿음을 발전시켜 왔다.[10]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10]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사회 규범을 지키고, 개인 간의 갈등을 고조시키거나, 특정 개인을 희생양으로 삼는 등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0]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10]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10]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10]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10]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를 통해 숭배된다.[9]
"사탄"이라는 용어는 "적" 또는 "반대하다"라는 히브리어 단어에서 유래하여, 인간을 죄로 유혹하는 타락한 천사의 기독교적 형상으로 발전했다. "사탄"이라는 단어는 원래 고유 명사가 아니라 "적"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였으며, 구약성서의 여러 곳에 나타난다.[10] 예를 들어, 사무엘기에서 다윗은 블레셋의 사탄("적")으로 묘사되고, 민수기에서는 여호와가 천사를 보내어 발람을 사탄("반대")하게 하는 동사로 이 단어가 사용된다.[10]
신약성서가 쓰여지기 전에, 유대 공동체 내에서는 사탄이 여호와에게 반역하여 추종자들과 함께 하늘에서 쫓겨난 천사의 이름이라는 생각이 발전했다. 이 이야기는 에녹서와 같은 당대 문헌에 포함되었다.[10] 이 사탄은 마태복음과 루가복음 등 신약성서의 일부에서 인간을 죄짓도록 유혹하는 인물로 등장하며, 나사렛 예수가 광야에서 금식할 때 그를 유혹하려 했다.[10]
악마에 대한 초기 기독교적 생각은 잘 발달되지 않았지만, 점차 민간 전승, 예술, 신학 논문, 도덕담화 등을 통해 적응하고 확장되어, 이 인물에게 다양한 성서 외적 연관성을 부여했다.[10] 중세 초부터 기독교에서는 악마를 "악의 대표자"로, 사탄주의자를 "선한 기독교인의 악한 거울 이미지"로 개념화했다.[10]
"사탄주의(Satanism)"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satanisme"에서 영어로 채택되었다.[10] "사탄주의"와 "사탄주의자"라는 용어는 16세기에 영어와 프랑스어에 처음 등장했으며, 기독교 단체들이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기독교 단체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10] 1565년의 로마 가톨릭 팜플렛에서 저자는 프로테스탄트의 "이단, 신성모독, 그리고 사탄주의(sathanismes [sic])"를 비난한다.[10] 1559년의 성공회 작품에서는 재세례파와 다른 프로테스탄트 종파들을 "사탄주의자(Satanistes [sic])의 무리"로 비난한다.[10]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된 "사탄주의"라는 용어는 사람들이 문자적으로 사탄을 숭배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참된 기독교에서 벗어나 사탄의 뜻을 섬기고 있다는 의미였다.[10] 19세기에는 "사탄주의"라는 용어가 광범위하게 부도덕한 생활 방식을 이끄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10] 19세기 말에 이르러서야 사탄을 의식적으로 숭배하는 개인에게 영어로 적용되었다.[10] 이 후자의 의미는 이전에 스웨덴어에 나타났다. 루터교 주교 로렌티우스 파울리누스 고투스(Laurentius Paulinus Gothus)는 1615년에서 1630년 사이에 제작된 그의 저서 ''Ethica Christiana''에서 악마 숭배 마법사를 ''사타니스테르(Sathanister)''로 묘사했다.[10]
10. 현대의 경향과 그룹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9]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마녀는 사회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이다.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사회 규범을 지키고, 개인 간 갈등을 고조시키거나, 특정 개인을 사회 문제의 희생양으로 삼는 등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로 숭배된다.[9]
세트 사원은 마이클 아퀴노가 사탄교에서 분리되어 1975년에 설립한 입문 오컬트 좌도 종교 단체이다. 아퀴노는 안톤 라베이의 유물론적 철학에 동의하지 않았고, ''사탄''이라는 이름이 어둠의 이집트 신인 ''세트''의 변질된 이름이라고 믿었다. 세트 사원의 철학은 "계몽된 개별주의"로 요약될 수 있으며, 개인적인 교육, 실험, 입문을 통해 자신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트 사원은 세트가 실제 존재하며, 다른 모든 신들은 인간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실존하는 유일한 신이라고 가르친다. 세트는 비자연적인 진화를 통해 인간에게 "검은 불꽃"을 주어 다른 동물들과 구별되는 지성을 부여했다고 묘사된다. 세트교도들은 세트를 존경해야 하지만 숭배하지는 않으며, 자기 신격화가 궁극적인 목표이다.
2005년 기준으로 사원의 전체 구성원은 300명에서 500명 사이로 추정되며, 2007년에는 약 200명으로 추정된다. 신입 구성원은 2년 이내에 마법 능력을 보여주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멤버십이 취소된다. 아퀴노는 2020년에 사망했으며, 이후 돈 웹, 지나 슈렉, 패트리샤 하디가 고위 사제를 역임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코벤(Coven), 블랙 위도우(Black Widow)와 같은 여러 록 밴드들이 작품에 사탄주의와 마법 이미지를 사용했다. 헤비 메탈 장르에서도 사탄에 대한 언급이 나타났는데, 블랙 사바스(Black Sabbath)는 가사에서 사탄을 언급했지만 기독교 신이 사탄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슬레이어(Slayer), 크리에이터(Kreator), 소돔(Sodom), 데스트럭션(Destruction)과 같은 밴드들이 사탄적 이미지를 더 많이 사용했다. 데스 메탈 밴드들은 좀비와 연쇄 살인범과 같은 어두운 이미지를 사탄적 이미지와 결합하기도 했다.
사탄주의는 블랙 메탈 하위 장르와 더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며, 많은 공연자들이 자해 행위를 사탄적 헌신의 표현으로 묘사했다. 베놈(Venom)은 자신들을 사탄주의자라고 선언했지만, 이는 도발적인 행위에 가까웠다. 바토리(Bathory)와 헬해머(Hellhammer)도 사탄적 주제를 사용했다. 머시풀 페이트(Mercyful Fate)의 보컬 킹 다이아몬드(King Diamond)는 사탄교에 가입하여 사탄주의를 더 진지하게 채택했다. 그러나 블랙 메탈 음악가들은 종종 무신론자, 불가지론자 또는 종교 회의론자임을 공언하며 사탄적 이데올로기를 믿지 않는다고 말한다.[121]
킹 다이아몬드와 달리, 다양한 블랙 메탈 사탄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신념을 "악마 숭배"라고 지칭하며 안톤 라베이의 사탄주의와 거리를 두었다. 이들은 사탄을 문자 그대로의 존재로 간주하고, 사탄주의를 범죄, 자살, 공포와 연관시켰으며, 기독교를 근절해야 할 역병으로 간주했다. 바르그 비케르네스(Varg Vikernes)와 유로니무스(Euronymous)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초기 노르웨이 블랙 메탈 씬에 관여했으며, 1992년에서 1996년 사이에 약 50개의 노르웨이 교회를 방화 공격으로 파괴했다. 이후 블랙 메탈 씬 내에서 많은 음악가들이 사탄적 주제를 헤테리에서 파생된 주제로 대체했다.
10. 1. 무신론적 사탄주의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예를 들어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이다.[9]사탄주의에 대한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앙그라 마이뉴, 즉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
일반적으로 사탄주의는 사탄(악마)을 숭배하고, 악의 힘으로 선한 힘에 승리하여 세계 멸망을 목적으로 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최대 사탄주의 조직인 사탄 교회(Church of Satan)는 이러한 생각을 부정한다. 사탄 교회는 "사탄"이 실제로 존재한다고도 하지 않으며, 단지 어떤 개념을 물질적으로 대표하는 명칭으로서 "사탄"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사탄주의 신자이자 사탄 교회의 창시자인 안톤 라비에 따르면, 설령 그것이 사탄이라는 이름의 신일지라도 모든 신을 믿지 않는다.[122]
사탄주의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지만, 많은 사탄주의에서는 사탄이란 이데아, 인간성의 한 측면, 혹은 모든 존재의 근원이나 우주를 초월한 어떤 힘의 인간계에서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사탄"은 일반적으로 악이나 부당한 힘을 연상시키는 단어이지만, 사탄주의 지지자에게는 "어떤 소수파적인 정신성과 사상"을 나타내는 단어이기도 하다.
유신론적 사탄주의 신자도 존재하기 때문에, 사탄주의가 자기 모순적인 존재라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사탄주의 신자에게는 서구에서 일반적인, 신을 섬기고 천명에 따르는 것과 같은 생각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의 물질적·신체적 발전과 해결이 각별히 중시된다.
이러한 주장에서 사탄주의 신자는 기독교나 유대교와 같은 전통 종교의 신앙을 멀리하고, 인본주의적인 세계관을 구축하며, 이기주의를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10. 2. 유신론적 사탄주의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유신론적 사탄주의(전통적 사탄주의, 영적 사탄주의 또는 악마 숭배라고도 함)는 사탄을 숭배하거나 숭배해야 할 실제 신 또는 힘이라고 믿는 것을 주요 신념으로 하는 사탄주의의 한 형태이다.[7][83] 유신론적 사탄주의의 다른 특징으로는 마법에 대한 믿음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의식을 통해 조작되지만, 그것이 정의 기준은 아니며, 유신론적 사탄주의자는 헌신에만 집중할 수도 있다.
일부 유신론적 사탄주의자도 존재하기 때문에, 사탄주의가 자기 모순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탄주의 신자에게는 유럽과 미국 등 서구에서 일반적인, 신을 섬기고 천명에 따르는 것과 같은 생각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의 물질적·신체적 발전과 해결이 각별히 중시된다.
10. 3. 루시페리안주의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는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9] 이러한 믿음은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강화하거나, 개인 간 갈등을 고조시키거나, 특정 개인을 사회 문제의 희생양으로 삼는 것이다.
사탄주의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흔히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된다. 이러한 존재의 최초 사례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도 받아들여졌는데, 유대교 사상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에서는 점차 중요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를 통해 숭배된다.[9]
11. 개인적인 사탄주의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9]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는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으로 여겨진다.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 규범을 지키도록 하거나, 개인 간 갈등을 심화시키거나, 특정 개인을 사회 문제의 희생양으로 삼는 것이다.
사탄주의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불행과 악이 존재한다는 개념이다. 이는 흔히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윤리적 이원론과 관련된다. 이러한 존재 중 최초로 알려진 것은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도 받아들여졌는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에서는 점차 중요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를 통해 숭배된다.
12. 인구 통계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13] 이러한 믿음은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것으로, 마녀는 사회 규범을 어기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는 개인 집단을 의미한다.[14]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사회 규범을 지키게 하거나,[15] 개인 간 갈등을 심화시키거나,[15] 특정 개인을 희생양으로 삼는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6]
사탄주의에 기여하는 또 다른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작용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19] 이는 대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히 구분하는 강력한 윤리적 이원론과 관련된다.[20] 이러한 존재 중 최초로 알려진 것은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19]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도 수용되었는데, 유대교 사상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세계관에서는 점차 중요해졌다.[21]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에서 끔찍한 신으로 묘사되는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행렬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를 통해 숭배된다.[9]
13. 법적 인정 (영어 위키 텍스트 기반)
역사 및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거의 모든 사회가 사회 내부에 숨어들 수 있는 사악하고 반인간적인 세력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고 한다.[9] 이는 일반적으로 마녀에 대한 믿음을 포함하며, 마녀는 사회의 규범을 뒤집고 근친상간, 살인, 인육 섭취 등에 관여하여 공동체에 해를 끼치려는 개인 집단이다. 마녀 혐의는 사회 내에서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사회 규범 준수, 개인 간 갈등 고조, 특정 개인을 희생양 삼기 등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탄주의의 또 다른 기여 요인은 우주적 규모로 활동하는 불행과 악의 존재에 대한 개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세상을 선과 악의 세력으로 명확하게 나누는 강력한 형태의 윤리적 이원론과 연관되어 있다. 알려진 최초의 그러한 존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에 등장하는 앙그라 마이뉴이다. 이 개념은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도 받아들여졌으며, 유대교 사상 내에서는 곧 주변화되었지만 초기 기독교의 우주관 내에서는 점점 더 중요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의 끔찍한 신인 티우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반대하는 혼합된 춤과 퍼레이드인 ''디아블라다''('악마의 춤')로 숭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 Society. Satanism, occult practice
https://www.britanni[...]
2023-12-14
[2]
서적
Satan's Tragedy and Redemption: Iblīs in Sufi Psychology
Brill Publishers
[3]
간행물
The Creation Story in 'Sūrat al-Baqara', with Special Reference to al-Ṭabarī's Material: An Analysis
1995
[4]
문서
Laycock, Satanism, 2023
[5]
문서
Thurston 2001
[6]
서적
The Witch-hunt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Pearson Longman
2006
[7]
웹사이트
The Religious Movements Homepage Project – Satanism: An Introduction
http://religiousmove[...]
University of Virginia
2006-04
[8]
웹사이트
Science and Satanism
http://www.pointofin[...]
2013-12-09
[9]
서적
El poder del sonido: el papel de las crónicas españolas en la etnomusicología andina
https://books.google[...]
Ediciones Abya-Yala
[10]
문서
R. van Luijk, Children of Lucifer: The Origins of Modern Religious Satanism
https://academic.oup[...]
[11]
문서
R. van Luijk, Children of Lucifer: The Origins of Modern Religious Sat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2]
문서
P. Faxneld, Satanic Feminism: Lucifer As the Liberator of Woman in Nineteenth-Century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3]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14]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15]
서적
The Devil's Party: Satanism in Modernity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1-06
[16]
서적
Satan Wants You: The Cult of Devil Worship in America
https://www.ojp.gov/[...]
Mysterious Press
2024-01-16
[17]
간행물
THE FOUNTAINHEAD OF SATANISM
https://www.firstthi[...]
2024-01-16
[18]
웹사이트
The Greatest Trick the Devil Ever Pulled Was Convincing the World He Didn't Exist
https://quoteinvesti[...]
2024-01-16
[19]
문서
B. Ellis, Aliens, Ghosts, and Cults: Legends We Liv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
서적
The Devil,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1]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22]
서적
The Devil,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Devil,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The Confession of Leo Taxil
https://www.learnrel[...]
1897-04-25
[25]
문서
National Magazine, an Illustrated American Monthly
[26]
문서
Blame it on the Devil
1994-06
[27]
문서
Blame it on the Devil
1994-06
[28]
문서
Sleeping with Extra-Terrestrials: The Rise of Irrationalism and Perils of Piety
Vintage Books
[29]
뉴스
The Storm Is the New Pizzagate – Only Worse
https://nymag.com/se[...]
2018-03-26
[30]
간행물
The next-generation bots interfering with the US election
2020-10-28
[31]
간행물
Gender, Populism, and the QAnon Conspiracy Movement
Frontiers Media
2021-01-21
[32]
간행물
The Apocalypse and Political Discourse in an Age of COVID
SAGE Publications
2021-09
[33]
뉴스
From Sound of Freedom to Ron DeSantis: how QAnon's crazy conspiracy theories went mainstream
https://www.theguard[...]
2023-08-16
[34]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35]
웹사이트
Seventeenth-century Critics and Biographers of Milton – M. Manuel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0-07-23
[36]
서적
The Encyclopedia of Cults, Sects, and New Religion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Prometheus Books
2022-09-14
[37]
웹사이트
The Nazi Satanists promoting extreme violence and terrorism | openDemocracy
https://www.opendemo[...]
[38]
서적
In Pursuit of Satan: The Police and the Occult
Prometheus Book
1991
[39]
간행물
"Satanism in the Courts: From Murder to Heavy Metal." pp. 205–217 in ''The Satanism Scare''
Aldine de Gruyter
[40]
간행물
Satanism in America: How the Devil Got Much More Than His Due
Gaia
1989
[41]
뉴스
Satanism stalks Poland
http://news.bbc.co.u[...]
2000-06-05
[42]
서적
Children of Lucifer: The Origins of Modern Religious Sat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3]
논문
A Girardian Approach to LaVeyan Satanism: Theological Perspectives
https://journals.sag[...]
2024-01-12
[44]
문서
Laycock, ''Satanism'', 2023
[45]
문서
Laycock, ''Satanism'', 2023
[46]
논문
A Girardian Approach to LaVeyan Satanism: Theological Perspectives. Satan according to LaVey
https://journals.sag[...]
2024-01-19
[47]
웹사이트
Friedrich Nietzsche and Ayn Rand's Influence on Satanism
http://airshipdaily.[...]
2014-10-15
[48]
논문
A Girardian Approach to LaVeyan Satanism: Theological Perspectives. Satan according to LaVey
https://journals.sag[...]
2024-01-12
[49]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50]
서적
The Virtue of Selfishness: A New Concept of Egoism
New American Library
1964
[51]
웹사이트
Column: This is what happens when you take Ayn Rand seriously
https://www.pbs.org/[...]
2016-02-16
[52]
논문
A Girardian Approach to LaVeyan Satanism: Theological Perspectives
https://journals.sag[...]
2024-01-12
[53]
문서
'Satanic Bible'
[54]
문서
Gospel of Matthew
[55]
문서
Satanic Bible
[56]
웹사이트
Pentagonal Revisionism: A Five-Point Program by Anton Szandor LaVey
https://www.churchof[...]
1988
[57]
문서
Lucifer Rising
Plexus
1999
[58]
논문
Anton Lavey's Satanic Philosophy: An Analysis
https://digitalcommo[...]
2018
[59]
웹사이트
Church of Satan vs. Satanic Temple
https://thesatanicte[...]
2019
[60]
간행물
"The Church of Satan." in J. R. Lewis and J. A. Petersen (eds.), The Encyclopedic Sourcebook of Satanism
Prometheus Books
2008
[61]
문서
Laycock, ''Satanism'', 2023
[62]
뉴스
Evil, Anyone?
1971-08-16
[63]
웹사이트
The Satanic Temple Fact Sheet
https://www.churchof[...]
2024-01-11
[64]
뉴스
The Church of Satan wants you to stop calling these 'devil worshiping' alleged murderers Satanists
https://www.washingt[...]
2015-11-19
[65]
웹사이트
New milestone: over 700,000 members!
https://thesatanicte[...]
2023-01-23
[66]
뉴스
SatanCon, poking at religion and government, opens this weekend in Boston
https://nbcnews.com/[...]
NBC UNIVERSAL
2023-04-25
[67]
서적
Speak of the Devil: How the Satanic Temple Is Changing the Way We Talk about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68]
문서
Laycock, ''Satanism'', 2023
[69]
웹사이트
The Church of Satan's Policy on Politics
https://www.churchof[...]
2023-01-07
[70]
웹사이트
There are Seven FUNDAMENTAL TENETS
https://thesatanicte[...]
2024-01-05
[71]
문서
Laycock, ''Satanism'', 2023
[72]
뉴스
A Mischievous Thorn in the Side of Conservative Christianity
https://www.nytimes.[...]
2015-07-11
[73]
뉴스
FAQ
http://thesatanictem[...]
2015-12-02
[74]
뉴스
What does Satan mean to the Satanic Temple? – CNN
http://www.cnn.com/v[...]
CNN
2015-12-02
[75]
웹사이트
Group aims to put 'Satanist' monument near Oklahoma capitol | Al Jazeera America
http://america.aljaz[...]
Al Jazeera
2014-03-25
[76]
웹사이트
Satanists petition to build monument on Oklahoma state capitol grounds | Washington Times Communities
http://communities.w[...]
2014-03-25
[77]
웹사이트
Unmasking Lucien Greaves, Leader of the Satanic Temple | VICE United States
https://www.vice.com[...]
Vice.com
2014-03-25
[78]
웹사이트
FAQ
https://afterschools[...]
2018-11-29
[79]
AV media
Satanic Temple Founder Talks Atheistic Religion
https://davidpakman.[...]
2018-11-29
[80]
뉴스
Third Side Intelligence: Missouri Abortions
https://www.churchof[...]
2018-11-29
[81]
웹사이트
Satanists Go to Court Seeking Right to Pray at City Meetings
https://news.bloombe[...]
2021-03-22
[82]
뉴스
How the Church of Satan Was Born in San Francisco
https://www.kqed.org[...]
2023-10-20
[83]
서적
The Re-Enchantment of the West: Alternative Spiritualities, Sacralization, Popular Culture, and Occulture
https://books.google[...]
T&T Clark
[84]
서적
Church of Satan
http://www.xeper.org[...]
Temple of Set
[85]
문서
[86]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87]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88]
문서
[89]
문서
[90]
뉴스
A Nazi-satanist cult is fuelling far-right groups
https://www.newstate[...]
2023-01-05
[91]
웹사이트
State of Hate 2020
https://www.hopenoth[...]
Hope not Hate
2020-03-09
[92]
웹사이트
Order of Nine Angles
https://www.countere[...]
Counter Extremism Project
[93]
뉴스
'Random' Murder of Muslim Man Linked to 'Neo-Nazi Death Cult': Report
https://www.vice.com[...]
2020-09-30
[94]
문서
Laycock, ''Satanism'', 1981
[95]
웹사이트
Bracketing Beelzebub: Satanism studies and/as boundary work
https://contern.org/[...]
2021-01-25
[96]
서적
The Divine Province: Birthing New Earth
Ed Rychkun
[97]
뉴스
What do Satanists believe?
https://www.economis[...]
2021-01-25
[98]
뉴스
The dark side of Christianity
https://www.consulpr[...]
2021-01-25
[99]
웹사이트
Analysis on the Joy of Satan
https://www.unionesa[...]
2021-01-25
[100]
웹사이트
Satanism
https://www.history.[...]
2021-01-25
[101]
서적
Between Darwin and the Devil: Modern Satanism as Discourse, Milieu, and Self
NTNU-trykk
[102]
논문
Satanists and Scholars: A Historiographic Overview and Critique of Scholarship on Religious Satanism
https://spectrum.lib[...]
2012-08
[103]
서적
An Encyclopedia of Occultism
Carol Publishing
1993
[104]
서적
Vampires in Their Own Words: An Anthology of Vampire Voices
Llewellyn Worldwide
2007
[105]
뉴스
LIFESTYLE // HOUSTON BELIEF. Exorcised: Luciferian church looks to start anew after harassment
https://www.houstonc[...]
2017-04-23
[106]
뉴스
Cult Killing: Kids in the Dark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1984-11-22
[107]
웹사이트
IL 18.3.1999: Saatananpalvojat söivät osan uhristaan
http://www.iltalehti[...]
Iltalehti
2020-09-22
[108]
뉴스
Russian Satanist Jailed for Ritual Murders Released After Fighting in Ukraine
https://www.themosco[...]
2023-11-21
[109]
서적
Encyclopedia of Satanism
https://books.google[...]
Lulu.com
[110]
간행물
Who Serves Satan? A Demographic and Ideological Profile
https://archiv.ub.un[...]
University of Marburg
2020-12-30
[111]
웹사이트
Religion by visible minority and generation status: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with parts
https://www150.statc[...]
2022-12-31
[112]
뉴스
Royal Navy to allow devil worship
http://www.cnn.com/2[...]
CNN
[113]
뉴스
The devil and the deep blue sea: Navy gives blessing to sailor Satani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14]
뉴스
Navy approves first ever Satanist
http://news.bbc.co.u[...]
BBC News
[115]
문서
Request for Information
https://www.gov.uk/g[...]
Ministry of Defence
2016-01-07
[116]
뉴스
Inmates Who Follow Satanism and Wicca Find Unlikely Ally
https://www.nytimes.[...]
2005-03-22
[117]
간행물
Before high court: law that allows for religious rights
http://www.csmonitor[...]
2005-03-21
[118]
웹사이트
Court upholds prisoners' religious rights
https://www.nbcnews.[...]
2016-08-26
[119]
웹사이트
Cutter v. Wilkinson 544 U.S. 709 (2005)
https://www.oyez.org[...]
Oyez
2013-10-07
[120]
웹사이트
The Satanic Temple is a real religion, says IRS
https://www.sltrib.c[...]
2023-01-23
[121]
웹사이트
Death to False Satanism {{!}} NOISEY
http://noisey.vice.c[...]
2016-03-08
[122]
웹사이트
The 11 best Satanists
https://www.geek.com[...]
GEEK.COM
2015-10-19
[123]
웹사이트
Church of Satan: The Official Web Site
http://churchofsa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