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rgasmatro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rgasmatron》은 1986년 발매된 영국의 헤비 메탈 밴드 모터헤드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밴드는 브론즈 레코드와의 계약 종료 후 자체 레이블인 GWR 레코드를 설립하여 이 앨범을 발매했다. 빌 라스웰이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앨범은 영국 앨범 차트 21위, 빌보드 200 차트 157위를 기록했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Deaf Forever〉, 〈Built for Speed〉, 〈Doctor Rock〉, 〈Orgasmatron〉 등의 곡들이 팬들에게 사랑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터헤드의 음반 - 1916 (음반)
    모터헤드의 아홉 번째 스튜디오 음반 《1916》은 GWR 레코드와의 법적 분쟁 후 WTG에서 발매된 첫 음반으로, 레미 킬미스터가 작사/작곡한 발라드 스타일의 타이틀곡 〈1916〉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젊은 병사들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모터헤드의 음반 - We Are Motörhead
    《We Are Motörhead》는 2000년에 발매된 모터헤드의 열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섹스 피스톨즈의 곡을 커버했으며, 핀란드, 독일, 스웨덴, 영국 차트에 진입했다.
  • 1986년 음반 - 천공의 성 라퓨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영화 《천공의 성 라퓨타》는 하늘에 떠 있는 전설의 섬 라퓨타를 찾아 떠나는 시타와 파즈의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첨단 과학 기술과 자연의 조화, 순수함과 탐욕의 대비되는 주제를 다룬다.
  • 1986년 음반 - Bedtime for Democracy
    데드 케네디스가 1986년에 발표한 네 번째 앨범인 Bedtime for Democracy는 젤로 비아프라를 포함한 멤버들이 작사 및 제작에 참여한 21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영국 인디 차트 1위를 기록하고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Orgasmatron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음반
아티스트모터헤드
Orgasmatron 앨범 커버
Orgasmatron 앨범 커버
발매일1986년 7월 21일
녹음 년도1986년
장르헤비 메탈
길이35분 36초
레이블GWR
프로듀서빌 라스웰, 제이슨 코사로
이전 앨범No Remorse
이전 앨범 발매 년도1984년
다음 앨범Rock 'n' Roll
다음 앨범 발매 년도1987년
싱글
싱글 1Deaf Forever
싱글 1 발매일1986년 6월
추가 정보
녹음 장소Master Rock Studios (런던)

2. 배경

브론즈 레코드와 좋지 않은 조건으로 결별한 후, 모터헤드는 음반 계약 없이 투어를 계속해야 했다. 1980년대 중반 헤비 메탈 팬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스래시 메탈 하위 장르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반 판매 부진을 겪었다. 조엘 맥아이버는 그의 저서 ''오버킬: 모터헤드의 숨겨진 이야기''에서 당시 보컬리스트 겸 베이시스트 레미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인용했다:

: "일렉트라는 거절했다. MCA도 거절했다. CBS도 거절했다. 에픽도 거절했다. 크리설리스도 거절했다. 모두 거절했다. 젠장, 티셔츠만큼 음반이 팔렸으면 좋겠다. 영국에서는 음반 판매와 관련해서는 우리에게 거의 끝났어."

과거 음반사와의 소송에서 승소한 후, 모터헤드와 그들의 경영진은 자체 레이블인 GWR(Great Western Road)을 설립하여 직접 음악을 발매하기로 결정했다.

3. 녹음

''Orgasmatron''은 허비 행콕, 믹 재거,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등 다양한 음악가들과 작업한 경력이 있는 독특한 작곡가이자 음악가인 빌 라스웰이 프로듀싱을 맡았다. 앨범 녹음은 런던의 마스터 록 스튜디오(Master Rock Studios)에서 단 11일 만에 이루어졌다. 이 앨범은 밴드가 3년 만에 발표한 정규 스튜디오 앨범으로, 1983년 비평가들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던 ''Another Perfect Day'' 이후 모터헤드를 다시 정상 궤도에 올려놓았으며, 영국 차트 21위에 올랐다.[3]

레미는 그의 자서전 ''White Line Fever''에서 빌 라스웰의 작업에 대해 "결과적으로 빌은 사운드를 잡는 데는 능했지만, 믹싱에서 모든 것을 망쳤어. 뉴욕으로 가져갔을 때가 다시 가져왔을 때보다 훨씬 좋은 앨범이었지... 끔찍했어. ''Orgasmatron''은 엉망진창이었어."라고 평가했다. 레미는 또한 앨범 제목이 우디 앨런의 영화 ''슬리퍼''(Sleeper)에 등장하는, 자신이 본 적도 없는 오르가즘 유발 기계와는 관련이 없으며, 앨범의 가제는 'Riding with the Driver'였다고 밝혔다.

기타리스트 필 캠벨 역시 모터헤드 다큐멘터리 ''The Guts and the Glory''에서 프로덕션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했다. 그는 "내 생각에 프로덕션이 ''Orgasmatron''을 망쳤어요. 노래는 정말 좋았거든요. 우리는 노래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어요."라고 말했다. 캠벨은 라스웰이 "초기 힙합 타입의 사운드"를 모터헤드의 음악과 융합하려고 했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타이틀 트랙 "Orgasmatron"은 위선에 대한 레미의 강한 혐오감을 드러내는 곡이다. 조엘 맥아이버의 모터헤드 회고록 ''Overkill: The Untold Story of Motörhead''에서 레미는 이 곡이 자신이 인생에서 가장 싫어하는 세 가지, 즉 조직화된 종교, 정치, 전쟁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교회에 가서 예수 그리스도와 소통하면서 바지에 사정하는 사람들과 같은 것들이죠. 다 헛소리입니다. 정말 그런 것에 몰두한다면, 교회에 갈 필요도 없고 하나님과 이야기할 필요도 없어요. 어디에서나 그분과 이야기할 수 있잖아요? 아니면 정당에 가입해서 기쁨을 얻는 것도, 당신의 정당이 승리하고 그런 모든 것들이죠. 그건 떼 지어 다니는 본능이에요. 전쟁도 마찬가지고요. 그들은 당신에게 멋진 새 제복을 주고 죽으라고 행군시키죠."라고 비판했다.

4. 발매

순위오스트레일리아 앨범 (Kent Music Report)[12]86네덜란드 앨범 (Dutch Album Top 100)69핀란드 앨범 (The Official Finnish Charts)[13]33독일 앨범 (Offizielle Top 100)47영국 앨범 (OCC)21미국 앨범 (빌보드 200)157


5. 곡 목록

오리지널 앨범의 모든 곡은 레미 킬미스터, 마이클 버스턴, 필 캠벨, 그리고 피트 길이 공동으로 작사 및 작곡하였다. 이후 발매된 재발매판에는 라이브 음원 및 미공개 버전 등의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상세한 트랙 리스트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5. 1. 오리지널 앨범

모든 곡들은 레미 킬미스터, 마이클 버스턴, 필 캠벨 그리고 피트 길이 작사 및 작곡하였다.

5. 1. 1. A면

모든 곡들은 레미 킬미스터, 마이클 버스턴, 필 캠벨 그리고 피트 길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번호제목재생 시간
1Deaf Forever4:25
2Nothing Up My Sleeve3:11
3Ain't My Crime3:42
4Claw3:31
5Mean Machine2:57


5. 1. 2. B면

#제목재생 시간
6Built for Speed4:56
7Ridin' with the Driver3:47
8Doctor Rock3:37
9Orgasmatron5:27


5. 2. 1996년 재발매 보너스 트랙

(작성할 내용 없음)

5. 3. 2006년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트랙

2006년 디럭스 에디션의 보너스 트랙은 1996년 재발매판에 포함된 보너스 트랙과 동일하다.[2]

보너스 트랙 중 "On the Road"와 "Steal Your Face"는 1986년 발매된 "Deaf Forever" 12인치 싱글의 B사이드에 수록된 1985년 라이브 버전이며, "Claw"는 이전에 공개되지 않은 버전이다. 나머지 11개 트랙은 1984년 10월 13일 잉글랜드 케스터에서 열린 ''Kerrang!'' 우아르 위켄더(Woarriour Weekender)에서 녹음된 BBC 라디오 1 방송 라이브 음원이다.[2]

보너스 트랙 목록
번호곡 제목작사/작곡원곡 정보 (앨범, 발매 연도)비고재생 시간
1On the Road킬미스터, 버스턴, 캠벨, 길Deaf Forever 싱글 (1986)라이브 (1985)4:59
2Steal Your Face킬미스터, 버스턴, 캠벨, 길Deaf Forever 싱글 (1986)라이브 (1985)4:15
3Claw킬미스터, 버스턴, 캠벨, 길Orgasmatron (1986)미공개 버전3:31
4Stay Clean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Overkill (1979)라이브 (BBC, 1984)2:33
5Heart of Stone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Iron Fist (1982)라이브 (BBC, 1984)2:56
6Nothing Up My Sleeve킬미스터, 버스턴, 캠벨, 길Orgasmatron (1986)라이브 (BBC, 1984)3:35
7Metropolis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Overkill (1979)라이브 (BBC, 1984)3:35
8Killed by Death킬미스터, 버스턴, 캠벨, 길No Remorse (1984)라이브 (BBC, 1984)3:39
9Ace of Spades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Ace of Spades (1980)라이브 (BBC, 1984)5:34
10Steal Your Face킬미스터, 버스턴, 캠벨, 길No Remorse (1984)라이브 (BBC, 1984)4:33
11(We Are) The Road Crew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Ace of Spades (1980)라이브 (BBC, 1984)2:34
12Motörhead킬미스터Motörhead (1977)라이브 (BBC, 1984)2:45
13Bomber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Bomber (1979)라이브 (BBC, 1984)3:45
14Overkill킬미스터, 클라크, 테일러Overkill (1979)라이브 (BBC, 1984)5:28

6. 참여진

''이 섹션의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6. 1. 밴드 멤버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 따르면.[2]

6. 2. 프로덕션

''Orgasmatron''은 허비 행콕, 믹 재거,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등 다양한 음악가들과 작업한 경력이 있는 프로듀서 겸 음악가 빌 라스웰이 프로듀싱을 맡았다. 앨범 녹음은 런던의 마스터 록 스튜디오에서 11일 만에 이루어졌다. 이 앨범은 밴드가 3년 만에 발표한 정규 스튜디오 앨범으로, 비평가들에게는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상업적으로는 부진했던 1983년작 ''Another Perfect Day'' 이후 모터헤드의 활동 재개를 알리는 작품이었다. 영국 앨범 차트에서는 21위를 기록했다.[3]

하지만 밴드의 리더 레미는 그의 자서전 ''White Line Fever''에서 프로덕션 결과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했다. 그는 "결과적으로 빌은 사운드를 잡는 데는 능했지만, 믹싱에서 모든 것을 망쳤다"고 회고하며, 뉴욕 믹싱 작업 후 결과물이 오히려 더 나빠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Orgasmatron''이 "엉망진창"이었다고 덧붙였다.

기타리스트 필 캠벨 역시 모터헤드 다큐멘터리 ''The Guts and the Glory''에서 "프로덕션이 ''Orgasmatron''을 망쳤다"고 평가하며, 좋은 곡들이 제대로 살아나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캠벨은 라스웰이 모터헤드의 음악에 당시 유행하던 초기 힙합 스타일의 사운드를 접목하려 했으나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앨범 제목 ''Orgasmatron''은 우디 앨런 감독의 1973년 영화 ''Sleeper''에 등장하는 동명의 기계와는 관련이 없으며, 원래 앨범의 가제는 ''Riding with the Driver''였다고 레미는 밝혔다. 타이틀 트랙 "Orgasmatron"은 레미가 혐오하는 세 가지 요소, 즉 조직화된 종교, 정치, 전쟁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조엘 맥아이버의 모터헤드 회고록 ''Overkill: The Untold Story of Motörhead''에서 레미는 이 곡이 자신이 "인생에서 가장 싫어하는 세 가지, 즉 조직화된 종교, 정치, 전쟁"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것들이 개인의 판단보다는 맹목적인 집단 본능에 기대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Orgasmatron'' 투어 당시 밴드는 과거 라이브 공연에서 사용했던 폭격기 조명 장비를 본떠 '오르가스트론 기계'라는 이름의 무대 소품을 제작했으나, 크기 문제로 대부분의 공연장에서 설치하지 못하는 등 ''Iron Fist'' 투어의 거대 주먹 소품처럼 실용성 면에서 실패를 겪었다. 레미는 2015년 ''Uncut''과의 인터뷰에서 이 소품에 대해 "만들고 나서야 대부분의 공연장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회상했다.

타이틀 트랙 "Orgasmatron"은 2000년에 "Orgasmatron 2000"이라는 이름으로 재녹음되어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었고, 이후 2003년에 발매된 밴드의 박스 세트 ''Stone Deaf Forever!''에 수록되었다.

'''참여 인력'''

역할이름비고
빌 라스웰
제이슨 "키소그램" 코사로
빅 "체어맨" 마일1996년 재발행 라이브 트랙
데미안 & 제프
스티브 린코프1996년 재발행
닉 왓슨2006년 리마스터
커트 에반스2005년
스내글투스 디자인 | 조 페타그노


7. 평가

이 음반은 발매 당시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A− 등급을 부여하며[6] 레미의 유머 감각과 빌 라스웰의 프로덕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메탈의 진실성과 잔혹함을 존중하지만 웅장함에 대한 집착은 비판하며, 레미가 '촌뜨기'임을 자랑스러워하는 점과 유머 감각을 높이 샀다. 또한 라스웰의 프로덕션이 '채찍처럼 갈라지는' 선명함을 가졌다고 언급하며 앨범을 '예술 작품'이라고 평했다.[6]

올뮤직은 별 5개 중 3개를 주며[5] 라스웰의 프로덕션이 음향적 디테일을 더해 믹스를 강화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타이틀 곡에서는 이러한 프로덕션이 노래를 '끓어오르는 사이키델릭 노이즈 축제'로 만드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다른 곡들에서는 프로덕션이 때때로 밴드의 에너지를 약화시켜 가공된 느낌을 주고 과거 작품의 날카로움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5]

온라인 매체 블래버마우스는 10점 만점에 9점을 주었으며,[7] ''스핀 얼터너티브 레코드 가이드''는 10점 만점에 5점을,[8] 영국의 음악 잡지 ''언컷''은 별 5개 중 4개를 부여했다.[9]

2005년, 독일의 ''록 하드'' 잡지는 ''역대 가장 위대한 록 & 메탈 앨범 500선''에서 ''Orgasmatron''을 313위로 선정했다.[10] 1991년 척 에디는 그의 저서에서 이 앨범을 최고의 헤비 메탈 앨범 500선 중 72위로 선정했다.[11] 그는 이 앨범이 스피드 메탈과는 다른 노선을 걷는다고 보았는데, 그 근거로 명백한 디스코의 영향을 받은 백비트, 스타일의 보컬이 있는 느린 곡, 아프리카 밤바타아나 허비 행콕과 작업했던 빌 라스웰의 프로덕션, Run-D.M.C.와 주로 연관된 레이블에서의 발매, 그리고 제목의 우디 앨런 영화 (Sleeper) 언급 등을 들었다.[11] 에디는 이 앨범을 모터헤드가 녹음한 가장 상업적이면서도 위험한 음악으로 평가하며, 라스웰이 베이스 사운드를 전면에 내세워 밴드의 공격성을 강조한 점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그는 앨범의 각 사이드가 거대한 싱코페이션 기반의 댄스 트랙으로 시작하여 몇 개의 빠르고 반항적인 곡들로 이어지다가, 노 웨이브 화이트 노이즈로 구성된 밀실 공포증적인 악몽으로 마무리된다고 분석했다.[11]

8. 커버 아트

앨범의 가제는 ''Ridin' with the Driver''였으나 나중에 ''Orgasmatron''으로 변경되었다. 커버 아트는 조 페타그노가 디자인했는데, 당시 레미는 기차 모형 수집에 빠져 있었고 페타그노에게 기차 그림을 요청했다. ''인페르노'' 30주년 기념 보너스 DVD에서 페타그노는 레미가 "이봐, 조셉, 빌어먹을 기차가 필요해."라고 말했다고 회상했다.[4]

앨범 제목이 ''Orgasmatron''으로 최종 결정되었을 때는 이미 페타그노가 기차 디자인을 완성한 후였기 때문에, 커버 아트를 변경하기에는 너무 늦어 기차 디자인이 그대로 사용되었다.[4] 페타그노는 초안 스케치에서는 기차가 그림 밖으로 나가는 방향이었지만, 그림 안으로 들어오는 것처럼 보이도록 방향을 수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기차 앞부분의 소 쟁기(cow scoop) 부분에 해골 머리 형태를 맞추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덧붙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Music Week https://www.worldrad[...]
[2] 문서 Orgasmatron Sanctuary Records
[3] 서적 Illustrated Collector's Guide to Motörhead Collector's Guide Publishing
[4] 기타 About Joe Petagno
[5] 웹사이트 Motörhead - Orgasmatron https://www.allmusic[...] The Daily Vault 2017-04-18
[6] 웹사이트 Review Orgasmatron http://www.robertchr[...] Robert Christgau 2009-08-07
[7] 웹사이트 CD Reviews - Orgasmatron Motörhead https://www.blabberm[...] Blabbermouth 2019-09-23
[8] 서적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9] 간행물 Motorhead: ''Orgasmatron'' / ''Rock 'n' Roll'' / ''No Sleep at All'' 1997-09
[10] 서적 Best of Rock & Metal - Die 500 stärksten Scheiben aller Zeiten Rock Hard (magazine)
[11] 서적 Stairway to Hell: The 500 Best Heavy Metal Albums in the Universe Harmony Books 1991
[1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13]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14] 문서 Orgasmatron Sanctuary Records
[15] 웹인용 Motörhead - Orgasmatron https://www.allmusic[...] The Daily Vault 2017-04-18
[16] 웹인용 Review Orgasmatron http://www.robertchr[...] Robert Christgau 2009-08-07
[17] 웹인용 CD Reviews - Orgasmatron Motörhead https://www.blabberm[...] Blabbermouth 2019-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