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SR B1919+2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SR B1919+21은 1967년 조셀린 벨 버넬이 발견한 최초의 펄서로, 약 1.337초마다 0.04초 간격의 펄스를 방출한다. 이 신호의 규칙성 때문에 처음에는 외계 문명의 신호로 오인되기도 했으나, 이후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임이 밝혀졌다. 1974년 안토니 휴이시는 이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펄서의 전파 펄스 이미지는 조이 디비전의 앨범 표지로 사용되는 등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우자리 - 아령 성운
    아령 성운은 여우자리 방향으로 약 1,360 광년 떨어진 행성상 성운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약 3,000~4,000년 전에 팽창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여우자리 - HD 189733
    HD 189733은 약 6억에서 10억 년 된 오렌지색 왜성 HD 189733 A와 적색 왜성 HD 189733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이며, 외계 행성 HD 189733 b가 존재하고 대기에서 다양한 성분들이 발견되었다.
  • 펄사 - 게성운 펄사
    게 성운 펄서는 게 성운 중심에 있는 중성자별로, 빠른 자전과 전자기파 방출, 펄서의 본질 증명, 게 성운 구동 에너지원, 감속 한계 초월, 초고에너지 우주선 원천 가능성, 그리고 정확한 거리 측정으로 우주 거리 척도에 기여하는 천체이다.
  • 펄사 - 쌍성 펄사
    쌍성 펄사는 두 별이 서로를 공전하는 펄사 시스템으로, 헐스-테일러 쌍성 펄서 연구를 통해 중력파 증거를 간접적으로 제공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하는 데 기여하며, 중간 질량 쌍성 펄서는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
PSR B1919+21
기본 정보
조슬린 벨 버넬이 처음으로 PSR B1919+21의 증거를 인식한 차트, 케임브리지 대학교 도서관에 전시됨
조슬린 벨 버넬이 처음으로 PSR B1919+21의 증거를 인식한 차트, 케임브리지 대학교 도서관에 전시됨
별자리여우자리
명칭PSR J1921+2153
PSR 1921+2153
PSR B1919+21
PSR 1919+21
WSTB 12W15
CP 1919+21
CP 1919
LGM-1
특징
종류펄서
질량~1.4 태양 질량
반지름~1.4 × 10−5 태양 반지름
광도0.006 태양 광도
자전 주기1.3373 초
나이1600만 년
위치 정보
거리1000+2600-700 광년 (300+800-200 파섹)

2. 발견

1967년 앤터니 휴이시와 조슬린 벨 버넬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퀘이사의 전파 신호를 찾던 중, 여우자리 방향에서 매우 규칙적인 신호를 발견했다. 이 신호는 항성일 주기로 강도가 변동하여 지구에서 발생한 것이 아님이 밝혀졌다. 처음에는 외계 문명의 신호로 추정되어 '리틀 그린 맨(LGM-1)'으로 불렸으나, 이후 중성자별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펄스 현상으로 밝혀졌다. 이 천체는 CP 1919로 명명되었고, 이러한 종류의 천체를 펄서라고 부르게 되었다. 앤터니 휴이시는 이 발견으로 197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6]

2. 1. 발견 과정

1967년 조셀린 벨은 영국 케임브리지의 멀라드 전파 천문관측소에 있는 행성간 섬광 배열 안테나를 통해 약 1.337302088초마다 반복하여 0.04초가량의 펄스를 방출하는 천체를 발견하였다. 전파원의 위치는 천구좌표계적경, 적위 +21°였다. 매우 규칙적인 신호가 계속 관찰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전자기적인 잡음이 아닌가 추측되었으나, 곧 천문 현상임이 밝혀졌다. 발견자들은 이 신호가 외계 문명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농담 삼아 리틀그린멘-1(LGM-1)이라는 별칭을 붙였다. 그러나 벨은 하늘의 다른 구역에서도 이러한 천체가 많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외계 생명체 가설을 배제하였다.[16]

CP 1919로 명명된 이 전파원은 최초로 발견된 펄사이다. 벨은 다른 천문학자들도 자신보다 먼저 이러한 신호를 발견했을 수 있지만, 관측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무시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토머스 골드프레드 호일은 펄사가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라고 예측하였다. 펄사의 정체가 알려지기 전까지 벨과 그의 지도교수 안토니 휴이시는 이 신호가 외계 생명이 보낸 것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18]

1967년 앤터니 휴이시와 조슬린 벨 버넬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부지 내에 있는 전파 망원경으로 퀘이사의 전파 신호를 찾던 중, 여우자리 방향에서 매우 규칙적인 신호를 발견했다. 이 신호는 태양일(24시간 0분)이 아닌 항성일(23시간 56분) 주기로 강도가 변동하여, 지구상의 신호가 아님이 밝혀졌다. 신호는 1.3373011922초마다 발신되었으며, 100억 분의 1초까지 일치하는 매우 규칙적인 주기 때문에 외계 문명의 신호로 생각되어 '''LGM-1'''(리틀 그린 맨)이라고 명명되었다. 그러나 이후 중성자별의 자기장과 자전축 불일치로 인해 정확한 주기로 펄스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밝혀졌고, LGM-1은 "적경 19h19m(원기 B1950.0) 부근의 케임브리지 펄서"라는 의미의 '''CP 1919'''로, 이 천체는 '''펄서'''로 명명되었다. 앤터니 휴이시는 이 발견으로 197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 2. 펄사의 정체

1967년 조셀린 벨은 영국 케임브리지의 멀라드 전파 천문관측소에서 행성간 섬광 배열 안테나를 통해 매우 규칙적인 펄스를 방출하는 천체를 발견했다. 이 펄스는 약 1.337302088초마다 반복되었고, 0.04초가량 지속되었다. 처음에는 전자기적 잡음으로 생각했으나, 곧 천문 현상임이 밝혀졌고, '리틀그린멘-1 (LGM-1)'이라는 별칭이 붙여졌다. 이는 외계 문명의 신호일 가능성을 염두에 둔 농담이었다.[16]

CP 1919로 명명된 이 전파원은 최초로 발견된 펄사였다. 토머스 골드프레드 호일은 펄사가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펄사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 벨과 그의 지도교수 안토니 휴이시는 이 신호가 외계 생명이 보낸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다.[18]

> 우리는 발견한 신호가 정말 다른 문명에서 온 것이라고 믿지는 않았지만, 이것이 온전히 자연적인 전파 방출이라는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우리 마음 한 켠에는 그런 생각이 들 수 밖에 없었다. 그야말로 흥미로운 문제였다. 만약 우리 둘 중 한 사람이 이것을 우주의 다른 한 켠에서 온 신호라고 생각한다면, 그 결과에 대해 어떻게 책임을 지고 발표 할 수 있을까? 누가 먼저 말을 꺼내지?

3. 노벨상 논란

1974년 앤터니 휴이시가 마틴 라일과 함께 전파천문학에 대한 공헌과 펄서의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을 때, 휴이시는 조셀린 벨 버넬도 함께 수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버넬은 노벨상을 받지 못했다.[19] 휴이시의 동료 천문학자 프레드 호일도 조슬린 벨 버넬이 공동 수상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6]

PSR B1919+21은 1967년 앤터니 휴이시와 조셀린 벨 버넬에 의해 발견되었다.

4. 과학적 특징

PSR B1919+21은 약 1.337로 자전하는 중성자별이며, 0.04초의 펄스폭을 가진다. B1950.0에 기반한 이름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기원 J2000.0에서는 "PSR J1921+2153"으로 불린다. 질량은 태양의 1.4배이지만, 지름은 10만분의 1 정도밖에 안 되어 밀도는 1cm3당 7억 톤을 넘는다. 나이는 1600만 년으로 추정된다. 표면 중력은 지구의 2000억 배이며, 탈출 속도는 광속의 2/3에 달한다.

자전 주기는 1.337301192269±6×10−12초로 매우 정확하며, 100억 분의 1초까지 정밀하게 측정되었다.

4. 1. 물리적 특성

PSR B1919+21은 약 1.337로 자전하는 중성자별이며, 0.04초의 펄스폭을 가진다. 이 펄서의 이름은 B1950.0에 기반하여 붙여졌으며, 현재 사용되는 기원 J2000.0에서의 이름은 "PSR J1921+2153"이다. PSR B1919+21의 질량은 태양의 1.4배이지만, 지름은 태양의 10만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밀도는 1cm3당 7억 톤을 넘는다. PSR B1919+21은 약 1600만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표면 중력은 지구의 2000억 배이고, 탈출 속도는 광속의 2/3에 달한다.

PSR B1919+21의 자전 주기는 1.337301192269±6×10−12초로 매우 정확하며, 100억 분의 1초까지 정밀하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높은 정확성 때문에, 발견 당시에는 이 펄서가 외계 문명의 신호가 아닌지 의심받기도 하였다.

4. 2. 자전 주기

PSR B1919+21은 약 1.337로 자전하는 중성자별이며, 0.04초의 펄스폭을 가진다. 자전 주기는 1.337301192269±6×10−12초로 매우 정확하여, 발견 당시 외계 문명의 신호로 오인되기도 하였다.[1]

5. 문화적 영향

PSR B1919+21은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영국의 록 밴드 조이 디비전은 데뷔 앨범 "Unknown Pleasures"의 표지에 이 펄서의 펄스 이미지를 사용했다. 독일 출생의 영국 작곡가 맥스 리히터는 "Journey (CP1919)"라는 곡을 썼고, 영국인디 록 밴드 Arctic Monkeys는 "Four Out of Five" 뮤직 비디오에서 이 펄스를 기반으로 한 사운드를 사용했다.[11][12][13]

5. 1. 조이 디비전의 앨범 커버

영국의 포스트 펑크 밴드 조이 디비전은 1979년 데뷔 앨범 Unknown Pleasures의 표지에 CP 1919의 전파 펄스 이미지를 사용하였다.[20][21][22][8][9][10]

5. 2. 기타

영국의 포스트펑크 밴드 조이 디비전은 1979년 데뷔 앨범 ''Unknown Pleasures''의 표지에 CP 1919의 전파 펄스 이미지를 사용했다.[8][9][10][20][21][22]

독일 출생의 영국 작곡가 맥스 리히터는 CP1919의 발견에서 영감을 얻어 "Journey (CP1919)"라는 곡을 썼다.[11]

영국의 인디 록 밴드 Arctic Monkeys는 "Four Out of Five"의 뮤직 비디오에서 펄스를 기반으로 한 사운드를 사용했다.[12][13]

참조

[1] 논문 Long-term timing observations of 374 pulsars
[2] 논문 On Pulsar Distance Measurements and Their Uncertainties
[3] 웹사이트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February 1968: Discovery of pulsars announced. https://www.aps.org/[...]
[4] 서적 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India Pvt., Limited 2003-02-01
[5] 뉴스 Little Green Men, White Dwarfs or Pulsars? http://www.bigear.or[...] 2013-07-28
[6] 뉴스 No Nobel Prize for whining https://www.nytimes.[...] 2003-10-20
[7] 웹사이트 Pulsar Discoverer Jocelyn Bell Burnell Wins $3-Million Breakthrough Prize https://www.scientif[...] 2021-08-03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Joy Division's "Unknown Pleasures" Album Art http://adamcap.com/2[...] Adamcap.com 2013-06-28
[9] 웹사이트 "Unknown Pleasures" http://www.joydiv.or[...] Joy Division 2008-07-05
[10] 웹사이트 Pop Culture Pulsar: Origin Story of Joy Division's Unknown Pleasures Album Cover http://blogs.scienti[...] Scientific American 2015-10-04
[11] 웹사이트 Journey (CP1919) Performed by Aurora Orchestra https://www.maxricht[...] 2019-05-20
[12] Youtube Arctic Monkeys - Four Out Of Five (Official Video) https://www.youtube.[...] 2018-05-13
[13] Youtube The Great Silence by LEMMiNO https://www.youtube.[...] 2018-11-30
[14] 문서 SIMBAD https://simbad.u-str[...]
[15] 문서 こども宇宙教室 http://www.ku-ma.or.[...]
[16] 웹인용 This Month in Physics History: February 1968: Discovery of pulsars announced. https://www.aps.org/[...]
[17] 서적 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2003-02-01
[18] 뉴스 Little Green Men, White Dwarfs or Pulsars? http://www.bigear.or[...] 2004-09-21
[19] 뉴스 No Nobel Prize for whining https://www.nytimes.[...] 2003-10-20
[20] 웹인용 The History of Joy Division’s "Unknown Pleasures" Album Art http://adamcap.com/2[...] Adamcap.com 2011-05-19
[21] 웹인용 "Unknown Pleasures" http://www.joydiv.or[...] Joy Division 1979-06
[22] 웹인용 Pop Culture Pulsar: Origin Story of Joy Division’s Unknown Pleasures Album Cover http://blogs.scienti[...] Scientific American 2015-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