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는 노르웨이 블랙 메탈 밴드 디무 보거의 1999년 정규 앨범이다. 이 앨범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음악 평론 매체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앨범에는 "Blessings Upon the Throne of Tyranny", "Kings of the Carnival Creation", "Puritania" 등 총 11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일본 한정판에는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리믹스 및 리마스터 버전이 발매되었으며, 여러 국가의 앨범 차트에 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음반 - Game (박진영의 음반)
Game은 박진영이 1998년에 발표한 4집 음반으로, 자작곡 외에 유재하, 김창훈의 곡이 수록되었고 방시혁, 김형석이 편곡에 참여하여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 2001년 음반 - Discovery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데뷔 앨범인 《Discovery》는 박정아, 이지현, 정유진, 조은미 4인조의 사랑스럽고 귀여운 이미지를 강조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며 낮은 평가를 받아 멤버 교체를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명 |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 |
가수명 | 디무 보거 |
레이블 | 뉴클리어 블래스트 |
음반 종류 | 음반 |
발매년월일 | 2001년 3월 20일 |
길이 | 57분 58초 |
이전 앨범 | Spiritual Black Dimensions |
다음 앨범 | Alive in Torment |
장르 | 심포닉 블랙 메탈 |
제작 정보 | |
녹음 | 2000년 10월–11월 |
장소 | 스튜디오 프레드먼, 예테보리, 스웨덴 |
프로듀서 | 디무 보거, 프레드릭 노르드스트룀 |
2. 곡 목록
번호 | 제목 | 작곡 | 작사 | 시간 |
---|---|---|---|---|
1 | Fear and Wonder | 머스티스 | 연주곡/Instrumental영어 | 2:48 |
2 | Blessings Upon the Throne of Tyranny | 갈더, 실레노즈, 샤그라트 | 실레노즈 | 5:18 |
3 | Kings of the Carnival Creation | 머스티스, 실레노즈, 샤그라트 | 실레노즈 | 7:48 |
4 | Hybrid Stigmata - The Apostasy | 샤그라트, 실레노즈, 머스티스 | 실레노즈 | 6:57 |
5 | Architecture of a Genocidal Nature | 실레노즈, 샤그라트 | 샤그라트 | 6:08 |
6 | Puritania | 샤그라트 | 실레노즈, Morten Lunde | 3:06 |
7 | IndoctriNation | 실레노즈, 샤그라트, 머스티스 | 실레노즈 | 5:57 |
8 | The Maelstrom Mephisto | 실레노즈, 아콘, 갈더, 샤그라트, 머스티스 | 실레노즈 | 4:42 |
9 | Absolute Sole Right | 실레노즈, 샤그라트, 머스티스 | 실레노즈 | 6:26 |
10 | Sympozium | 머스티스, 샤그라트, 실레노즈 | Vortex | 5:13 |
11 | Perfection or Vanity | 샤그라트 | 연주곡/Instrumental영어 | 3:30 |
일본 한정판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데빌스 패스 (2000년 버전)와 트위스티드 시스터의 커버곡 번 인 헬이 수록되었다.
2000년대 후반,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의 리믹스 및 리마스터 버전이 발매되었다. 이 버전에는 기본 트랙 외에도 일본 한정판 보너스 트랙으로 데빌스 패스 (2000년 버전)와 번 인 헬(트위스티드 시스터 커버)이 추가되었다.
리믹스 및 리마스터 버전의 트랙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곡명 | 길이 |
---|---|---|
1 | 공포와 경이 | 2:49 |
2 | 폭정의 왕좌에 내리는 축복 | 5:23 |
3 | 카니발 창조의 왕들 | 7:51 |
4 | 혼성 성흔 - 배교 | 6:59 |
5 | 대량 학살의 본질 | 6:13 |
6 | 퓨리타니아 | 3:06 |
7 | 교화 | 6:01 |
8 | 대혼란 메피스토 | 4:44 |
9 | 절대적인 권리 | 6:31 |
10 | 심포지엄 | 5:13 |
11 | 완벽함 또는 허영 | 3:48 |
12 | 번 인 헬 (트위스티드 시스터 커버) | 5:13 |
13 | 데빌스 패스 | 6:06 |
2. 1. 정규 앨범
wikitable번호 | 제목 | 작곡 | 작사 | 시간 |
---|---|---|---|---|
1 | Fear and Wonder | 머스티스 | 연주곡/Instrumental영어 | 2:48 |
2 | Blessings Upon the Throne of Tyranny | 갈더, 실레노즈, 샤그라트 | 실레노즈 | 5:18 |
3 | Kings of the Carnival Creation | 머스티스, 실레노즈, 샤그라트 | 실레노즈 | 7:48 |
4 | Hybrid Stigmata - The Apostasy | 샤그라트, 실레노즈, 머스티스 | 실레노즈 | 6:57 |
5 | Architecture of a Genocidal Nature | 실레노즈, 샤그라트 | 샤그라트 | 6:08 |
6 | Puritania | 샤그라트 | 실레노즈, Morten Lunde | 3:06 |
7 | IndoctriNation | 실레노즈, 샤그라트, 머스티스 | 실레노즈 | 5:57 |
8 | The Maelstrom Mephisto | 실레노즈, 아콘, 갈더, 샤그라트, 머스티스 | 실레노즈 | 4:42 |
9 | Absolute Sole Right | 실레노즈, 샤그라트, 머스티스 | 실레노즈 | 6:26 |
10 | Sympozium | 머스티스, 샤그라트, 실레노즈 | Vortex | 5:13 |
11 | Perfection or Vanity | 샤그라트 | 연주곡/Instrumental영어 | 3:30 |
2. 2. 일본 한정판 보너스 트랙
일본 한정판에는 보너스 트랙으로 데빌스 패스 (2000년 버전)와 트위스티드 시스터의 커버곡 번 인 헬이 수록되었다.2. 3. 리믹스 & 리마스터 버전
2000년대 후반,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의 리믹스 및 리마스터 버전이 발매되었다. 이 버전에는 기본 트랙 외에도 일본 한정판 보너스 트랙으로 데빌스 패스 (2000년 버전)와 번 인 헬(트위스티드 시스터 커버)이 추가되었다.리믹스 및 리마스터 버전의 트랙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곡명 | 길이 |
---|---|---|
1 | 공포와 경이 | 2:49 |
2 | 폭정의 왕좌에 내리는 축복 | 5:23 |
3 | 카니발 창조의 왕들 | 7:51 |
4 | 혼성 성흔 - 배교 | 6:59 |
5 | 대량 학살의 본질 | 6:13 |
6 | 퓨리타니아 | 3:06 |
7 | 교화 | 6:01 |
8 | 대혼란 메피스토 | 4:44 |
9 | 절대적인 권리 | 6:31 |
10 | 심포지엄 | 5:13 |
11 | 완벽함 또는 허영 | 3:48 |
12 | 번 인 헬 (트위스티드 시스터 커버) | 5:13 |
13 | 데빌스 패스 | 6:06 |
3. 참여진
3. 1. 디무 보거
3. 2. 객원 참여진
3. 3. 제작진
프레드릭 노르드스트룀은 오디오 믹싱과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담당했다. 얀 반은 어시스턴트 엔지니어로 참여했다. 커버 컨셉과 아트워크는 알프 보르예손이 맡았고, 레이아웃은 토마스 에버핸드가 담당했다. 디 스나이더는 "Burn in Hell"의 작사를 맡았다.
4. 평가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는 여러 음악 평론 매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에 대해 "소수의 순수주의자들은 이것을 너무 벗어난 것으로 볼 수도 있는데, 만약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가 다양성만큼 정교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불만이 더 타당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2] 올뮤직은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였고,[11][2] 스푸트니크뮤직 또한 5점 만점에 4점을 주었다.[12][3] 메탈 스톰은 10점 만점에 8.3점을,[13][4] 얼티밋 기타는 10점 만점에 9.3점을 매겼다.[14][5] 카오스 연대기는 10점 만점에 9점,[15][6] 메탈 리뷰는 93%를,[16][7] 스래시 핏은 10점 만점에 8.9점을 부여했다.[17][8] 독일의 웹진인 메탈1은 10점 만점에 8.5점을,[18][9] Metal.de는 10점 만점에 8점을 주었다.[19][10]
4. 1. 긍정적 평가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는 여러 음악 평론 매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은 이 앨범에 대해 "소수의 순수주의자들은 이것을 너무 벗어난 것으로 볼 수도 있는데, 만약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가 다양성만큼 정교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불만이 더 타당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2] 올뮤직은 5점 만점에 4점을 부여하였고,[11][2] 스푸트니크뮤직 또한 5점 만점에 4점을 주었다.[12][3] 메탈 스톰은 10점 만점에 8.3점을,[13][4] 얼티밋 기타는 10점 만점에 9.3점을 매겼다.[14][5] 카오스 연대기는 10점 만점에 9점,[15][6] 메탈 리뷰는 93%를,[16][7] 스래시 핏은 10점 만점에 8.9점을 부여했다.[17][8] 독일의 웹진인 메탈1은 10점 만점에 8.5점을,[18][9] Metal.de는 10점 만점에 8점을 주었다.[19][10]4. 2. 중립적/부정적 평가
올뮤직은 "소수의 순수주의자들은 이것을 너무 벗어난 것으로 볼 수도 있는데, 만약 'Puritanical Euphoric Misanthropia'가 다양성만큼 정교하지 않았다면 이러한 불만이 더 타당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5.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