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E.D.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Q.E.D.는 "Quod Erat Demonstrandum"의 약자로, "보여야 했던 바로 그것"을 의미하는 라틴어 구절이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이 사용한 그리스어 표현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증명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유클리드, 아르키메데스를 비롯한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이 사용했으며, 1501년 조르지오 발라의 유클리드 번역본에서 라틴어 구문으로 등장했다. 이후 르네상스 시대의 많은 수학자들과 철학자들이 사용했으며, 특히 바뤼흐 스피노자는 자신의 저서 《에티카》에서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Q.E.D.를 사용했다. 현대에는 Q.E.D. 대신 검은 사각형(■) 또는 흰 사각형(□)과 같은 기호가 증명 종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증명 끝", "이로써 증명되었다"와 같은 표현이나, ■, □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틴어 논리학 구 - 인신 공격
인신 공격은 논쟁에서 상대방의 주장이 아닌 인격이나 배경을 공격하여 주장의 타당성을 훼손하려는 시도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정치 및 여론에서 활용되기도 하지만 언어 폭력과는 구별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축제로 이어지기도 한다. - 라틴어 논리학 구 -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이나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 라틴어 철학 구 - 경제인
경제인은 경제학 모델에서 이익을 극대화하는 합리적 의사 결정자로, 호모 에코노미쿠스 개념으로 발전했으나 이기적인 동기에 치중하여 사회적, 윤리적 측면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라틴어 철학 구 - 호모 파베르
호모 파베르는 도구를 사용하여 운명을 개척하는 '만드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르네상스 시대에 재조명되어 철학자들에 의해 재해석되었고, 막스 프리쉬의 소설을 통해 대중적으로 알려졌으며, 인류학적으로 호모 루덴스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한국 사회에서는 자립적인 삶의 자세를 강조하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수학 용어 - 정리
정리는 논리학과 수학에서 공리를 바탕으로 증명된 참인 명제로서, "만약 A이면 B이다" 형태의 가정적 조건문으로 표현되며, 수학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지만 수학에서의 엄밀한 증명과는 차이가 있다. - 수학 용어 - 이론
이론은 특정 주제를 이해, 설명, 예측하기 위한 분석적 도구로, 논리적 원칙을 따르며, 과학에서는 관찰과 실험으로 확인된 사실에 기반한 자연 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반증 가능성을 지니고 학문 분야에서 지식 축적과 논리적 설명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Q.E.D. |
---|
2. 역사 및 어원
Q.E.D.는 그리스어 "ὅπερ ἔδει δεῖξαι" ()를 라틴어로 번역한 "Quod Erat Demonstrandum"의 약어이다. 라틴어 구문의 의미는 "증명되어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어 구문 ὅπερ ἔδει δεῖξαιgrc는 "보여야 했던 바로 그것"으로 번역될 수 있다.[2]
이 표현은 유클리드[4]와 아르키메데스[24]를 포함한 초기 그리스 수학자들이 사용했으며, 라틴어 번역은 조르지오 발라의 1501년 유클리드 번역본에서 처음 확인된다.[5] Q.E.D. 약어는 1598년 요하네스 프레토리우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6] 1643년 안톤 도이징에 의해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7] 1655년 아이작 배로에 의해 ''Q.E.D.'' 형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8]
르네상스 시대 이후 많은 수학자와 철학자들이 Q.E.D.를 사용했는데, 특히 바뤼흐 스피노자는 그의 저서 『에티카』에서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논증을 전개하며 Q.E.D.를 사용했다.[25] 이는 르네 데카르트의 『성찰』과는 다른 스타일이었다.[25]
2. 1. 그리스어 기원
ὅπερ ἔδει δεῖξαι|hoper edei deixaigrc는 "보여야 했던 바로 그것"을 의미한다.[3] 이 구문은 유클리드[4]와 아르키메데스[24]를 포함한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이 사용했다.2. 2. 라틴어 번역 및 확산
"''Quod Erat Demonstrandum''"이라는 라틴어 구문은 조르지오 발라의 1501년 유클리드 번역본에서 증명되었다.[5] Q.E.D.라는 약어는 1598년 요하네스 프레토리우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6] 이후 아이작 배로 등에 의해 널리 사용되면서[8] 르네상스 시대 이후 많은 수학자와 철학자들에게 퍼져나갔다.[9]"quod erat demonstrandum"이라는 어구는 그리스어의 가 중세 기하학자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어 만들어진 것이다.[24] 이 그리스어 어구는 유클리드나 아르키메데스가 사용했다.
르네상스 시대 유럽의 수학 서적은 보통 라틴어로 쓰였기 때문에, "quod erat demonstrandum"과 같은 어구가 증명의 마지막에 종종 사용되었다. 철학적 논의에서 Q.E.D.를 사용한 대표적인 예로 바뤼흐 스피노자의 대표작 『에티카』(1677, 라틴어)가 있다.
3. 철학에서의 사용
바뤼흐 스피노자는 그의 저서 《윤리학》에서 Q.E.D.를 사용하여 자신의 철학적 논증을 마무리했다.
스피노자는 이 책을 기하학적 순서로 증명하는 방식으로 구성했는데, 공리와 정의를 먼저 제시하고, 그 뒤에 명제를 제시하는 순서로 논증을 전개하고 Q.E.D.로 마무리했다.[12] 스피노자는 이러한 방식이 르네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사용된 일기 형식보다 더 낫다고 생각했다.[25]
4. Q.E.F.와의 차이점
Q.E.F.(Quod Erat Faciendum)는 "해야 할 일이었다"라는 의미로, Q.E.D.와는 약간 다른 의미를 가진다. 유클리드는 정리가 아닌 기하학적 객체의 구성을 증명하는 명제를 끝맺을 때 Q.E.F.의 그리스어 원본을 사용했다.[14] 예를 들어, 한 변이 주어졌을 때 정삼각형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보여주는 유클리드의 첫 번째 명제가 이런 방식으로 결론이 난다.[15]
4. 1. 기원 및 용법
Quod erat faciendumla는 그리스 기하학자들의 마침말 ὅπερ ἔδει ποιῆσαι|hoper edei poiēsaigrc, 즉 "해야 할 일"에서 유래되었다.[13] 의미의 차이 때문에 두 구절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유클리드는 정리가 아닌 기하학적 객체의 구성을 증명하는 명제를 끝맺을 때 Quod erat faciendumla(Q.E.F.)의 그리스어 원본을 사용했다.[14] 예를 들어, 한 변이 주어졌을 때 정삼각형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보여주는 유클리드의 첫 번째 명제가 이런 방식으로 결론이 난다.[15]
"이것이 행해져야 할 일이었다"라는 의미를 가진, 사용 빈도가 떨어지는 약간 다른 의미의 라틴어 표현으로 Quod erat faciendumla가 있다. 이것은 보통 Q.E.F.로 약칭된다. Q.E.F.는 그리스의 수학자가 사용한 에서 유래했다. 유클리드는 이 말을 예시적인 구성 등의 결어로서 사용했다. Q.E.D.와 Q.E.F.의 차이는 완전한 증명과 작도 문제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Q.E.D.는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특히, 서유럽의 수학에서 주요 언어였던 프랑스어와 독일어에서는 각각 C.Q.F.D. ("ce qu'il fallait démontrer") 및 w. z. b. w. ("was zu beweisen war")가 사용된다. 영어와 일본어에는 정해진 번역어가 존재하지 않지만, 많은 경우 증명의 마지막에는 "this completes the proof" , "이것으로 증명이 완성된다"와 같은 간결한 문구가 덧붙여지는 경우가 많다.
4. 2. Q.E.D.와 Q.E.F.의 구분
Quod erat faciendumla는 "해야 할 일"이라는 뜻으로, 그리스 기하학자들이 쓰던 ὅπερ ἔδει ποιῆσαι|hoper edei poiēsaigrc에서 유래했다.[13] Q.E.D.와 Q.E.F.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혼동해서는 안 된다.유클리드는 정리가 아닌 기하학적 도형을 만드는 방법을 증명할 때 Quod Erat Faciendumla(Q.E.F.)의 그리스어 원본을 사용했다.[14] 예를 들어, 한 변이 주어졌을 때 정삼각형을 어떻게 만드는지 보여주는 유클리드의 첫 번째 명제가 이러한 방식으로 끝난다.[15]
Q.E.D.와 Q.E.F.의 차이는 완전한 증명과 도형을 그리는 문제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5. 다른 표현들
영어권에서는 Q.E.D.를 "Quite Easily Done" 등의 다른 표현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Quod erat faciendum"(이렇게 되었다)의 약자인 '''Q.E.F.'''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Q.E.D.가 더 많이 쓰인다. Q.E.D.와 Q.E.F.는 "hoper edei poiēsai"라는 그리스어를 라틴어로 번역한 결과이다.[1]
"Which Was What We Wanted"의 약자를 사용하기도 한다.[1] "이것이 행해져야 할 일이었다"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표현으로 Quod erat faciendumla가 있는데, 사용 빈도는 낮으며 보통 Q.E.F.로 약칭된다. Q.E.F.는 그리스 수학자들이 사용한 에서 유래했다. 유클리드는 이 말을 예시적인 구성 등의 결어로서 사용했다. Q.E.D.와 Q.E.F.의 차이는 완전한 증명과 작도 문제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Q.E.D.는 프랑스어의 C.Q.F.D. ("ce qu'il fallait démontrer"), 독일어의 w. z. b. w. ("was zu beweisen war")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영어와 일본어에는 정해진 번역어가 없지만, 증명 마지막에 "this completes the proof", "이것으로 증명이 완성된다"와 같은 문구를 덧붙이기도 한다.
5. 1. Q.E.D.의 다른 영어 표현
영어권에서는 Q.E.D.를 "Quite Easily Done", "Quite Eloquently Done" 또는 농담으로 "Quite Enough Done", "Quite Elegantly Done" 등으로 쓰기도 한다.5. 2. 다른 약어
"Which Was What We Wanted"의 약자인 'WWWWW' 혹은 를 사용하기도 한다.[1]6. 현대적 사용 및 기호
수학 증명에서 증명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해 다양한 기호가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정리, 보조정리, 명제는 이탤릭체로 작성되었고, 증명 시작은 "증명"이라는 단어로 표시되었다. 증명 끝을 나타내는 기호로는 고전적인 약어 Q.E.D.가 있었지만, 현대에는 다른 기호들이 더 많이 사용된다.
폴 헐모스는 증명 마지막에 검은색 사각형(■)을 사용하는 방식을 도입했는데, 이는 널리 퍼지지는 않았지만 표준적인 관행이 되었다.[16] 이 기호는 '묘비', '헐모스 기호' 등으로 불리며, 잡지에서 기사 끝을 나타내는 기호에서 유래했다.[17][18]
그 외에도 두 개의 슬래시(//)나 네 개의 슬래시(////)를 사용하거나, 증명을 들여쓰기된 블록으로 표시하여 구분하기도 한다.[20][21]
6. 1. 증명 종료 기호
현대에는 증명 마지막에 검은 네모 상자(■)나 흰 네모 상자(□)를 붙여 Q.E.D.를 대체한다.[16][26] 유니코드에는 "증명 종료" 문자 ∎ (U+220E)가 있지만, ■ (U+25A0)나 ‣ (U+2023)도 사용 가능하다.[27]6. 2. 묘비 기호 (Halmos Symbol)
폴 헐모스는 증명 끝에 검은색 사각형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했으며, 이는 '묘비', '헐모스 기호', 또는 '할모스'라고 불린다.[16][17][18] 헐모스는 잡지에서 기사 끝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간단한 기하학적 모양에서 이 기호의 사용을 차용했다고 한다.[17][18]TeX에서는 묘비 기호가 (채워진 사각형)로 나타나며, 때로는 (비어있는 사각형)로 나타난다.[19] LaTeX의 AMS 정리 환경에서는 비어있는 사각형이 기본 증명 끝 기호이다. 유니코드는 "증명 끝" 문자 U+220E (∎)를 제공한다. 일부 저자는 ▮ (U+25AE, 검은색 수직 직사각형) 및 ‣ (U+2023, 삼각형 탄환)을 포함하여 다른 유니코드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20]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QUOD ERAT DEMONSTRANDUM
https://www.merriam-[...]
2017-09-03
[2]
LSJ
δείκνυμι
https://www.perseus.[...]
[3]
서적
Euclid's Elements translated from Greek by Thomas L. Heath
Green Lion Press
2003
[4]
Euclid
Elements 2.5
https://www.perseus.[...]
2005-07-16
[5]
웹사이트
Georgii Vallae Placentini viri clariss. De expetendis, et fugiendis rebus opus. 1
https://www.digitale[...]
[6]
웹사이트
Ioannis Praetorii Ioachimici Problema, quod iubet ex Quatuor rectis lineis datis quadrilaterum fieri, quod sit in Circulo
https://www.digitale[...]
[7]
웹사이트
Antonii Deusingii Med. ac Philos. De Vero Systemate Mundi Dissertatio Mathematica : Quâ Copernici Systema Mundi reformatur: Sublatis interim infinitis penè orbibus, quibus in Systemate Ptolemaico humana mens distrahitur
https://www.digitale[...]
[8]
웹사이트
Elementa geometrie : libri XV.
https://www.digitale[...]
[9]
웹사이트
Earliest Known Uses of some of the Words of Mathematics (Q)
http://jeff560.tripo[...]
2019-11-04
[10]
서적
Triangulorum Geometriæ
https://archive.org/[...]
Apud Zachariam Roman
[11]
웹사이트
Baruch Spinoza (1632–1677) – Modern Philosophy
https://opentextbc.c[...]
2019-11-04
[12]
서적
The Chief Works of Benedict De Spinoza
[13]
서적
Disquisitiones Arithmetica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2-07
[14]
웹사이트
Q.E.F.
http://mathworld.wol[...]
2019-11-04
[15]
웹사이트
Euclid's Elements, Book I, Proposition 1
https://mathcs.clark[...]
2019-11-04
[16]
문서
[17]
서적
I Want to Be a Mathematician: An Automathogra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18]
웹사이트
The complete manual of typography : a guide to setting perfect type
https://archive.org/[...]
Berkeley, CA : Peachpit Press
2003
[19]
문서
[20]
서적
Real and Complex Analysis
McGraw-Hill
[21]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McGraw-Hill
[22]
서적
Catch-22
https://books.google[...]
S. French
2011-07-15
[23]
서적
The argument of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24]
웹사이트
Earliest Known Uses of Some of the Words of Mathematics (Q)
http://jeff560.tripo[...]
2016-02-18
[25]
문서
The Chief Works of Benedict De Spinoza
[26]
서적
I want to be a mathematician: An automathogra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27]
서적
SIAM style manual
https://www.siam.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