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SK이노베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SK이노베이션은 1962년 국내 최초의 정유회사인 대한석유공사로 출범하여 국내 석유 사업 발전을 주도해왔다. SK그룹에 인수된 후 사명을 변경하고, 2011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에 따라 에너지·화학 분야를 분리하여 현재의 SK이노베이션이 되었다. 현재 정유, 화학, 윤활유 사업을 영위하며, 배터리 사업 부문인 SK온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2019년 LG화학과의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분쟁으로 미국 수입 금지 조치를 받았으나, 합의를 통해 해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K이노베이션 - SK인천석유화학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설립되어 SK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정유 및 석유화학 회사로, 하루 27만 5천 배럴의 원유 정제 능력을 바탕으로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인천광역시에 위치한다.
  • SK이노베이션 - SK에너지
  • SK의 자회사 - SK스퀘어
  • SK의 자회사 - SK인천석유화학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설립되어 SK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정유 및 석유화학 회사로, 하루 27만 5천 배럴의 원유 정제 능력을 바탕으로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인천광역시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공기업 - KT&G
    KT&G는 대한제국에서 시작된 담배 전매제도의 역사를 이어받아 한국전매공사를 거쳐 민영화된 기업으로, 담배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면서 인삼, 제약, 호텔, 문화 사업 등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과거 인종차별적 광고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공기업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설립되어 동아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을 거쳐 2011년 CJ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계약물류, 택배, 포워딩, 항만하역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2013년 CJ GLS와 합병하여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2017년 CJ Logistics로 영문 사명을 변경, 해외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이름SK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SK Inobeisyeon Jusikhoesa
영문 회사 이름SK Innovation Co., Ltd.
로고
설립일2007년
설립자SK Inc.
이전 회사(주)대한석유공사
(주)유공
SK(주)
SK에너지(주)
형태주식회사, 지주 회사
산업석유 산업, 화학 산업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6 (서린동)
서비스 지역전 세계
웹사이트SK이노베이션 공식 웹사이트
경영진
회장최태원
사장 겸 CEO김준
재무 정보
자본금468,569,950,000원 (2021년 12월)
매출액46,842,929,105,027원 (2021년)
영업이익1,754,170,704,511원 (2021년)
순이익501,008,016,788원 (2021년)
총 자산49,557,440,204,242원 (2021년 12월)
주주 정보
주요 주주SK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33.41%
국민연금: 8.30%
고용 정보
직원 수1,353명 (2021년 12월)
모회사 및 계열사
모회사SK Inc.
자회사행복키움 주식회사
SK에너지 주식회사
SK지오센트릭 주식회사
SK엔무브 주식회사
SK온 주식회사
SK어스온 주식회사
SK인천석유화학 주식회사
SK엔텀 주식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코원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주식회사
영남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충청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전남도시가스 주식회사
강원도시가스 주식회사
전북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생산 및 서비스
제품원유
휘발유
등유
경유
항공유
벙커C유
아스팔트
LPG
LNG
LiBS
이차전지
바이오디젤
올레핀
폴리머
용제
서비스원유 정제 처리업, 비금융지주회사
기타 정보

2. 역사

1962년 국내 최초의 정유회사인 '대한석유공사'로 출범하여 국내 석유사업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경제 발전을 견인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맡아왔다. 1970년 걸프석유(Gulf Oil)사가 지분 50% 및 경영권을 인수했다. 1980년 SK그룹(당시 선경그룹)에 인수되었고, 민영화되었다.

SK이노베이션은 1962년 국내 최초의 정유회사인 '대한석유공사'로 출범하였다. 1980년 선경그룹(SK그룹)에 인수되었고, 1982년 사명을 '유공'으로 변경, 민간기업으로 거듭났다. 1985년에는 대한석유주식을 합병하였다. 1997년에는 Global 경쟁시대를 맞아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SK주식회사로 CI 체계를 변경했다.

2007년 SK그룹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SK주식회사 내의 에너지·화학 분야를 분리해 SK에너지로 재탄생했으며, 고유사업영역인 에너지·화학사업의 시너지를 높임으로써 한층 강력해진 성장잠재력을 추구하게 되었다. SK홀딩스는 자회사 투자와 생명과학 부문을 맡았다.[4]

2011년 1월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추진하는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을 담당하는 SK에너지, 화학사업을 담당하는 SK종합화학, 윤활유사업을 맡고 있는 SK루브리컨츠의 4사 독자경영체제가 출범하였다. SK이노베이션은 SK에너지의 구조조정을 통해 설립되었다. 기존 SK에너지는 정유, 윤활유, 화학 사업을 분사한 후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5]

SK이노베이션은 2011년 1월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추진하는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을 담당하는 SK에너지, 화학사업을 담당하는 SK종합화학, 윤활유사업을 맡고 있는 SK루브리컨츠의 4사 독자경영체제로 출범하였다.[5] SK이노베이션은 기존 SK에너지의 정유, 윤활유, 화학 사업을 분사한 후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초기 SK이노베이션은 원유 정제 사업을 운영하는 신설 법인 SK에너지, SK루브리컨츠(현 SK ), SK글로벌케미칼(현 SK지오센트릭) 등 3개의 완전 자회사를 설립했다.[5]

2013년 7월에는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SK인천석유화학,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의 5개 자회사로 재편하였으며,[6] 2년 후, SK이노베이션은 SK에너지의 인천 정유 공장과 석유 거래 부문을 분사하여 SK인천석유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 2019년에는 소재 사업 부문을 분사하여 SK아이이테크놀로지를 설립했다.[9]

2017년 3월 31일, SK이노베이션은 "중국 합작 파트너들이 특별한 이유 없이 생산을 중단"한 후 1월부터 중국에 있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공장이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7] 2018년 3월 21일에는 미국 셰일 오일 및 가스 회사인 롱펠로우 네마하(Longfellow Nemaha)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8]

2021년 10월 1일, SK이노베이션은 'SK온'이라는 이름의 배터리 사업 부문 분할을 공식적으로 완료했다.[10]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SK온은 시장 점유율 7%로 세계 5위를 기록했다.[11] 2021년 9월, 포드와 SK이노베이션은 포드 자동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켄터키/테네시 지역에 합작 투자를 발표했다.[12]

2. 1. 대한석유공사 설립과 민영화 (1962년 ~ 1980년)

1962년 국내 최초의 정유회사인 '대한석유공사'로 출범하여 국내 석유사업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경제 발전을 견인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맡아왔다. 1970년 걸프석유(Gulf Oil)사가 지분 50% 및 경영권을 인수했다. 1980년 SK그룹(당시 선경그룹)에 인수되었고, 민영화되었다.

2. 2. SK그룹 편입과 사명 변경 (1980년 ~ 2011년)

SK이노베이션은 1962년 국내 최초의 정유회사인 '대한석유공사'로 출범하였다. 1980년 선경그룹(SK그룹)에 인수되었고, 1982년 사명을 '유공'으로 변경, 민간기업으로 거듭났다. 1985년에는 대한석유주식을 합병하였다. 1997년에는 Global 경쟁시대를 맞아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SK주식회사로 CI 체계를 변경했다.

2007년 SK그룹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SK주식회사 내의 에너지·화학 분야를 분리해 SK에너지로 재탄생했으며, 고유사업영역인 에너지·화학사업의 시너지를 높임으로써 한층 강력해진 성장잠재력을 추구하게 되었다. SK홀딩스는 자회사 투자와 생명과학 부문을 맡았다.[4]

2011년 1월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추진하는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을 담당하는 SK에너지, 화학사업을 담당하는 SK종합화학, 윤활유사업을 맡고 있는 SK루브리컨츠의 4사 독자경영체제가 출범하였다. SK이노베이션은 SK에너지의 구조조정을 통해 설립되었다. 기존 SK에너지는 정유, 윤활유, 화학 사업을 분사한 후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5]

2. 3. SK이노베이션 출범과 사업 확장 (2011년 ~ 현재)

SK이노베이션은 2011년 1월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추진하는 SK이노베이션, 석유사업을 담당하는 SK에너지, 화학사업을 담당하는 SK종합화학, 윤활유사업을 맡고 있는 SK루브리컨츠의 4사 독자경영체제로 출범하였다.[5] SK이노베이션은 기존 SK에너지의 정유, 윤활유, 화학 사업을 분사한 후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초기 SK이노베이션은 원유 정제 사업을 운영하는 신설 법인 SK에너지, SK루브리컨츠(현 SK ), SK글로벌케미칼(현 SK지오센트릭) 등 3개의 완전 자회사를 설립했다.[5]

2013년 7월에는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SK인천석유화학,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의 5개 자회사로 재편하였으며,[6] 2년 후, SK이노베이션은 SK에너지의 인천 정유 공장과 석유 거래 부문을 분사하여 SK인천석유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 2019년에는 소재 사업 부문을 분사하여 SK아이이테크놀로지를 설립했다.[9]

2017년 3월 31일, SK이노베이션은 "중국 합작 파트너들이 특별한 이유 없이 생산을 중단"한 후 1월부터 중국에 있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공장이 가동을 중단했다고 밝혔다.[7] 2018년 3월 21일에는 미국 셰일 오일 및 가스 회사인 롱펠로우 네마하(Longfellow Nemaha)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8]

2021년 10월 1일, SK이노베이션은 'SK온'이라는 이름의 배터리 사업 부문 분할을 공식적으로 완료했다.[10]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SK온은 시장 점유율 7%로 세계 5위를 기록했다.[11] 2021년 9월, 포드와 SK이노베이션은 포드 자동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켄터키/테네시 지역에 합작 투자를 발표했다.[12]

3. 회사 구조 및 지배 구조

2010년 이사회 결의에 따라 SK에너지는 SK이노베이션을 모회사로 하고 SK에너지, SK종합화학(SK Global Chemical영어), SK루브리컨츠를 자회사로 하는 4개의 회사로 물적분할을 하였다. SK에너지는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존속법인으로 남고,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는 신설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각 사는 모두 SK이노베이션의 100% 자회사가 되었다.[16] 2013년 7월, SK에너지 인천컴플렉스와 트레이딩사업부를 SK인천석유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로 출범시키면서 SK이노베이션 산하의 총 5개 자회사 체제를 구축하였다.[16]

SK인천석유화학은 1조 6천억 원을 투자해 2014년 3분기까지 콘덴세이트(초경질원유)를 기반으로 파라자일렌(PX) 등 고부가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설비를 증설하고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을 집중 공략할 예정이며,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SK에너지와 연계한 트레이딩 사업을 기반으로 거래처, 지역, 제품군 등을 확대해 글로벌 트레이딩 전문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SK루브리컨츠는 2009년 9월 12일 임시주총을 통해 CIC체제 시절 이미 분사하여 독립경영에 나서왔고, 괄목할 경영실적을 올리며 회사의 분할 가능성에 불을 지폈다는 평가를 받는다.[17]

종래의 SK에너지는 원유를 정제하는 사업부문과 석유화학사업부문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었고, 윤활유사업부문, 자동차용 2차전지 및 관련 소재 개발 그리고 기술원 차원의 R&D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분할 이후 원유를 정제하는 정유사업은 SK에너지와 SK인천석유화학이, 석유화학산업은 SK종합화학과 SK인천석유화학이, 윤활유사업부문은 SK루브리컨츠, 트레이딩부문은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 맡게 된다. SK이노베이션은 5개 자회사의 주식을 모두 소유한 모회사인 동시에 자원개발사업 및 자동차용 2차전지 및 정보전자소재사업 그리고 R&BD를 영위하는 이른바 사업지주회사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2011년 1월, SK이노베이션은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석유 및 화학 사업을 분사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출범시켰다. 2013년 7월에는 독립 경영 체제로 재편하여 E&P(탐사 및 생산)와 B&I(배터리 및 소재) 두 사업 부문과 SK에너지, SK 글로벌 케미칼, SK 윤활유(현 SK엔무브), SK인천석유화학, S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 등 5개 자회사로 나뉘었다. 2021년 10월 1일에는 나머지 배터리와 석유 탐사 사업 부문이 각각 SK온과 SK어스온으로 분사되었다. 2024년 1월, SK에너지에서 분사된 원유 및 석유 제품 수입 및 유통을 담당하는 SK엔템이 SK이노베이션의 9번째 자회사가 되었다.

자회사매출 (KRW)지분율 (%)
SK에너지43조 6,254억100%
S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SK Trading International영어)17조 4,960억100%
SK인천석유화학(SK Incheon Petrochem영어)10조 1,165억100%
SK 지오센트릭(SK Geocentric영어)11조 3,372억100%
SK이노베이션의 SK엔무브(SK Enmove영어) (구 SK 윤활유)4조 9,747억60%
SK IE 테크놀로지(SK IE Technology영어)3,199억61.2%
SK온8조 4,696억89.5%
SK 어스온(SK Earthon영어)1,757억100%
SK 엔템(SK Enthem영어)(2024년 설립)100%



SK에너지는 이사회의 사외이사 비율이 70%(10명 중 7명)로, 사외이사만으로도 특별결의요건을 충족할 수 있어 이사회의 독립성이 확보되어 있다.[18] 이사회 운영 프로세스 정립과 이사회 정례화 등을 통해 이사회 운영의 효율성이 제공되어 있다.[18] 이러한 지배구조 개선으로 2009년 한국거래소와 기업지배구조센터에서 공동 주관하는 "2009 지배구조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지배구조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되었다.[18]

2023년 3월 31일 기준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다.

주주지분 (%)
SK34.45%
국민연금7.14%
종업원지주협회1.10%


3. 1. 회사 구조

2010년 이사회 결의에 따라 SK에너지는 SK이노베이션을 모회사로 하고 SK에너지, SK종합화학(SK Global Chemical), SK루브리컨츠를 자회사로 하는 4개의 회사로 물적분할을 하였다. SK에너지는 SK이노베이션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존속법인으로 남고,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는 신설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각 사는 모두 SK이노베이션의 100% 자회사가 되었다.[16] 2013년 7월, SK에너지 인천컴플렉스와 트레이딩사업부를 SK인천석유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로 출범시키면서 SK이노베이션 산하의 총 5개 자회사 체제를 구축하였다.[16]

SK인천석유화학은 1조 6천억 원을 투자해 2014년 3분기까지 콘덴세이트(초경질원유)를 기반으로 파라자일렌(PX) 등 고부가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설비를 증설하고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을 집중 공략할 예정이며,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SK에너지와 연계한 트레이딩 사업을 기반으로 거래처, 지역, 제품군 등을 확대해 글로벌 트레이딩 전문 기업으로 성장한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SK루브리컨츠는 2009년 9월 12일 임시주총을 통해 CIC체제 시절 이미 분사하여 독립경영에 나서왔고, 괄목할 경영실적을 올리며 회사의 분할 가능성에 불을 지폈다는 평가를 받는다.[17]

종래의 SK에너지는 원유를 정제하는 사업부문과 석유화학사업부문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었고, 윤활유사업부문, 자동차용 2차전지 및 관련 소재 개발 그리고 기술원 차원의 R&D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분할 이후 원유를 정제하는 정유사업은 SK에너지와 SK인천석유화학이, 석유화학산업은 SK종합화학과 SK인천석유화학이, 윤활유사업부문은 SK루브리컨츠, 트레이딩부문은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 맡게 된다. SK이노베이션은 5개 자회사의 주식을 모두 소유한 모회사인 동시에 자원개발사업 및 자동차용 2차전지 및 정보전자소재사업 그리고 R&BD를 영위하는 이른바 사업지주회사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2011년 1월, SK이노베이션은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석유 및 화학 사업을 분사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출범시켰다. 2013년 7월에는 독립 경영 체제로 재편하여 E&P(탐사 및 생산)와 B&I(배터리 및 소재) 두 사업 부문과 SK에너지, SK 글로벌 케미칼, SK 윤활유(현 SK엔무브), SK인천석유화학, S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 등 5개 자회사로 나뉘었다. 2021년 10월 1일에는 나머지 배터리와 석유 탐사 사업 부문이 각각 SK온과 SK어스온으로 분사되었다. 2024년 1월, SK에너지에서 분사된 원유 및 석유 제품 수입 및 유통을 담당하는 SK엔템이 SK이노베이션의 9번째 자회사가 되었다.

자회사매출 (KRW)지분율 (%)
SK에너지43조 6,254억100%
S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SK Trading International)17조 4,960억100%
SK인천석유화학(SK Incheon Petrochem)10조 1,165억100%
SK 지오센트릭(SK Geocentric)11조 3,372억100%
SK이노베이션의 SK엔무브(SK Enmove) (구 SK 윤활유)4조 9,747억60%
SK IE 테크놀로지(SK IE Technology)3,199억61.2%
SK온8조 4,696억89.5%
SK 어스온(SK Earthon)1,757억100%
SK 엔템(SK Enthem)(2024년 설립)100%


3. 2. 지배 구조

SK에너지는 이사회의 사외이사 비율이 70%(10명 중 7명)로, 사외이사만으로도 특별결의요건을 충족할 수 있어 이사회의 독립성이 확보되어 있다.[18] 이사회 운영 프로세스 정립과 이사회 정례화 등을 통해 이사회 운영의 효율성이 제공되어 있다.[18] 이러한 지배구조 개선으로 2009년 한국거래소와 기업지배구조센터에서 공동 주관하는 "2009 지배구조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지배구조 최우수기업"으로 선정되었다.[18]

2023년 3월 31일 기준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다.

주주지분 (%)
SK34.45%
국민연금7.14%
종업원지주협회1.10%


4. 사업 영역

SK이노베이션은 정유 사업, 화학 사업, 윤활유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구 개발을 통해 석유제품, 석유화학제품, 클린 등유, 윤활유 등을 생산한다.

5. 논란

2019년, 한국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LG화학은 전 직원 채용을 통한 영업 비밀 침해 혐의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SK이노베이션을 제소했다.[13] LG화학은 ITC에 SK이노베이션의 리튬이온배터리와 인프라 기술에 대한 미국 수입 금지를 요청했고, ITC는 LG화학의 손을 들어주어 SK이노베이션의 일부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미국 수입을 금지하는 10년간의 제한적 배제 명령을 발령했다.[14] 최종적으로 SK이노베이션은 수입 금지를 피하기 위해 LG화학에 18억 달러(한화 약 2조 원)의 현금과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5] 이 분쟁에서 LG화학(현 LG에너지솔루션)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승리하면서, SK이노베이션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5. 1. LG화학과의 배터리 분쟁

2019년, LG화학은 전 직원 채용을 통한 영업 비밀 침해 혐의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SK이노베이션을 제소했다.[13] LG화학은 ITC에 SK이노베이션의 리튬이온배터리와 인프라 기술에 대한 미국 수입 금지를 요청했고, ITC는 LG화학의 손을 들어주어 SK이노베이션의 일부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한 미국 수입을 금지하는 10년간의 제한적 배제 명령을 발령했다.[14] 최종적으로 SK이노베이션은 수입 금지를 피하기 위해 LG화학에 18억 달러의 현금과 로열티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5]

참조

[1] 웹사이트 SK innovation ESG REPORT 2020 https://skinnonews.c[...] SK Innovation 2021-10-31
[2] 뉴스 SK Global Chemical rebranded SK Geocentric to invest $4.3 bn in green sourcing by 2025 https://pulsenews.co[...] 2021-08-31
[3] 뉴스 SK lubricants to change its name to SK enmove as of December https://pulsenews.co[...] 2023-01-08
[4] 뉴스 SK Corp. Approved to Be Divided Into Two https://www.koreatim[...] 2007-05-29
[5] 뉴스 S.Korea SK Energy spins off units; renamed as SK Innovation https://www.reuters.[...] 2021-11-04
[6] 뉴스 SK Innovation launches two subsidiaries https://en.yna.co.kr[...] 2021-11-04
[7] 뉴스 LG Chem holds faith in China despite battery of obstacles https://www.ft.com/c[...] 2017-04-03
[8] 뉴스 SK Innovation's U.S. unit to buy U.S. gas exploration firm Longfellow Nemaha http://english.yonha[...] 2018-03-21
[9] 뉴스 SK Innovation unit to expand lithium-ion battery separator output this year https://en.yna.co.kr[...] 2021-11-04
[10] 뉴스 SK Innovation spins off battery division https://www.electriv[...] Electrive.com 2022-10-01
[11] 웹사이트 2022 1H Global[1] EV & Battery Performance Review https://www.sneresea[...] 2022-10-01
[12] 웹사이트 Ford to Lead America’s Shift to Electric Vehicles with New Mega Campus in Tennessee and Twin Battery Plants in Kentucky; $11.4B Investment to Create 11,000 Jobs and Power New ... https://media.ford.c[...]
[13] 뉴스 EV battery maker LG Chem sues SK Innovation, alleges trade secret theft https://www.reuters.[...] 2021-11-04
[14] 뉴스 SK Innovation loses U.S. battery trade case but gets temporary OK to sell to Ford, VW https://www.reuters.[...] 2021-11-04
[15] 뉴스 S.Korean battery makers agree $1.8 bln settlement, aiding Biden's EV push https://www.reuters.[...] 2022-12-08
[16]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17] 뉴스 SK루브리컨츠, 分社 후 ‘펄펄’ 사상 최대 실적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18] 저널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이사회 중심 경영’의 실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2025. 8. 18. 오후 6:00:51

[단독] 사모펀드서 빌린돈 갚으려…기업들 비싼값에 '빚 돌려막기'

출처: 매일 경제 ( 한국 / 한국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