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mati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matic은 1970년대 초 소니, 파나소닉, JVC 등 여러 회사에서 공동 개발한 카세트식 컬러 비디오 테이프 레코딩 시스템이다. 1971년 소니에서 첫 모델을 출시했으며, 방송 및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U-matic은 휴대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인기를 얻었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더 발전된 기술에 의해 점차 대체되었다. U-matic은 디지털 오디오 저장에도 활용되었으며, 특히 콤팩트 디스크 마스터링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도입 - 새우깡
    농심에서 1971년 출시된 새우깡은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손이 가요 손이 가" CM송으로 유명하고, 논란에도 불구하고 농심의 대표적인 장수 제품이다.
  • 1971년 도입 - 스우시
    1971년 캐롤린 데이비슨이 디자인한 스우시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 니케의 날개에서 영감을 받아 움직임과 속도감을 상징하며 나이키의 핵심적인 상표가 되었다.
  • 소니 제품 - 워크맨
    워크맨은 1979년 소니가 출시한 휴대용 스테레오 카세트 플레이어이며, 청소년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으로 헤드폰 문화를 만들었고, 카세트 테이프, CD 등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하며 진화하다가 MP3 플레이어 등장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브랜드로 이어지고 있다.
  • 소니 제품 - 트리니트론
    트리니트론은 소니가 개발한 컬러 브라운관 방식으로, 단일 전자총과 어퍼처 그릴을 사용하여 높은 해상도와 밝은 화면을 구현했지만, LCD와 PDP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U-matic
개요
소니 U-matic 카세트
유형자기 카세트 테이프, 3/4인치
인코딩NTSC, PAL, SECAM
출시1971년 9월
수명1971년 9월 – 2000년 6월
기술 지원1971년 – 2016년
소유자소니
용도비디오 제작
기술 정보
릴 크기~

2. 역사

U-matic은 소니1971년 처음 선보인 전문가용 비디오 카세트 포맷이다.[4][22] 초기에는 가정용 비디오 시장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일반 소비자에게는 외면받았다.[11] 그러나 교육, 산업방송 분야에서는 비용 대비 성능과 편의성을 인정받아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1970년 소니, 마쓰시타 전기산업(현 파나소닉), 일본 빅터(JVC) 3사가 합의한 통일된 비디오 카세트 규격인 U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21]

특히 1974년 휴대용 U-matic 모델이 출시되면서 텔레비전 방송국의 전자 뉴스 수집(ENG)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기존의 16mm 필름 기반 뉴스 제작 시스템을 대체하며 현장 취재와 뉴스 속보 제작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33] 이후 화질을 개선한 '하이 밴드(High-Band)'와 'SP(Superior Performance)' 버전이 등장했으며, 1976년에는 방송 시장을 겨냥한 고성능 'BV(Broadcasting Video) 시리즈'가 출시되어 전문 영상 제작 분야에서 U-matic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했다.[20]

U-matic은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최초의 카세트형 헬리컬 스캔 VTR 표준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으나,[33] 1980년대 이후 베타캠과 같은 더 발전된 포맷의 등장으로 점차 주력 자리에서 밀려났다. 소니는 2000년 6월 U-matic VTR 생산을 공식적으로 종료했으며,[23] 현재는 주로 과거에 제작된 방대한 영상 자료의 재생 및 디지털 변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2. 1. 개발 과정

U-matic (뒷줄 왼쪽)과 Video8 (가운데), 소형 베타캠 테이프(뒷줄 오른쪽), VHS (앞줄 왼쪽), MII (앞줄 오른쪽) 비교


대형 U-matic 카세트


1969년 10월 29일, 소니는 "컬러 비디오 플레이어" 시제품을 발표하며 가정용 비디오 시장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당시 소니는 "보고 싶은 영화나 연극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가정의 텔레비전 화면에서 컬러로 재생할 수 있다"고 홍보하며, 이 기술이 "사회와 가정생활에 일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이를 "머지않아 다가올 영화·연극의 통조림 시대"라는 제목으로 크게 보도하기도 했다.

1970년 3월, 소니, 마쓰시타 전기산업(현 파나소닉), 일본 빅터(JVC) 3개 회사는 5개의 비일본계 회사와 함께 통일된 비디오 카세트 규격에 합의하여 U 규격을 제정했다.[21] 이 합의는 이후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기술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20]

1971년 10월 10일, 소니는 이 규격을 기반으로 "U-matic"이라는 상표로 첫 모델들을 출시했다.[4][22] 재생 전용 모델인 VP-1100은 23.8만, 녹화 기능이 있는 VO-1700(1972년 3월 출시)은 35.8만이었으며, 60분 테이프는 1만, 30분 테이프는 5500JPY에 판매되었다. 출시 당시 연예계 관계자들이 많이 구입했으며, 버킹엄 궁전에도 납품되었다.

초기 U-matic VCR(VO-1600 등)은 너비 약 76.20cm, 깊이 약 60.96cm, 높이 약 30.48cm에 달하는 대형 장치로, 설치를 위해 특별한 선반이 필요했다. 기능 또한 녹화, 재생, 되감기, 빨리 감기, 정지, 일시 정지(초기 모델은 비디오 음소거) 등으로 제한된 기계식 제어 방식이었다.

이후 U-matic VCR은 지속적인 개선을 거쳤다. 주요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EIA 19인치 랙 마운팅 규격 섀시 채택
  • 방송 환경을 위한 슬라이딩 랙 레일
  • 솔레노이드 제어 메커니즘 도입으로 더 정밀한 조작 가능
  • 조그 셔틀 노브, 리모컨 지원
  • 수직 귀선 기간 타임 코드(VITC) 및 종방향 타임 코드 지원
  • 내부 편집 제어 기능 (간단한 컷 편집 가능)
  • 슬로우 모션 재생
  • 돌비 오디오 노이즈 감소 기술 적용


U-matic이라는 이름은 테이프가 나선 주사 방식의 비디오 헤드 드럼 주위를 감쌀 때 그 경로가 알파벳 'U'자와 유사한 형태를 띠는 것에서 유래했다.[5] 이는 이후 베타맥스에서도 유사하게 사용된 'B-로드' 방식과 비슷하다. 초기 모델의 녹화 시간은 최대 1시간, 해상도는 약 250 TV 라인 수준이었다. 영상 신호는 주파수 변조(FM) 방식을 사용하여 테이프에 기록되었고, 색 신호는 저역 변환 직접 방식으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베타맥스의 기술적 원형이 되었다.[33]

화질 개선을 위해 두 차례의 주요 개정이 이루어졌다.

  • 하이 밴드 (High-Band): FM 반송파 주파수를 높여 대역폭을 확장하고 화질과 해상도를 개선했다. 이 개정 이후 기존 버전을 '로우 밴드(Low-Band)'라고 부르게 되었다. 하이 밴드 녹화물은 로우 밴드 기기에서 흑백으로 재생되었다.[6]
  • SP (Superior Performance): 하이 밴드보다 FM 반송파 주파수를 더욱 높이고, 이산화 크로뮴(CrO2) 테이프를 도입하여 화질을 한층 더 향상시켰다.


소니는 당초 U-matic을 가정용 VTR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했으나, 높은 제조 비용과 비싼 가격 때문에 일반 소비자에게는 외면받았다.[11] 하지만 산업 및 교육 기관에서는 충분히 감당할 만한 가격이었고, 기업 홍보나 교육용 영상 제작 등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에 소니는 마케팅 방향을 산업, 전문가, 교육 시장으로 전환했다.

U-matic은 1970년대 중반 방송 업계에서 더욱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1974년 휴대용 모델인 소니 VO-3800이 출시되면서 많은 지역 방송국과 전국 네트워크에서 전자 뉴스 수집(ENG)용으로 채택하기 시작했다. 이는 기존의 16mm 필름 카메라를 대체하며 ENG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33] 필름과 달리 현상 과정 없이 즉시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다는 장점 덕분에 뉴스 속보 제작 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33] 업무용 방송 시장을 겨냥한 "BV (Broadcasting Video) 시리즈"는 1976년부터 출시되어 현장 취재 시스템에 혁신을 가져왔다.[20]

정식 명칭은 "3/4인치 U 타입 헬리컬 VTR"이지만, 일반적으로 소니의 상표인 '''U-matic''' 또는 현장에서 "3/4인치" 등으로 불리며,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최초의 카세트형 헬리컬 VTR이 되었다.[33]

'''U-matic 개발 주요 연표'''
연도내용
1969년10월 29일소니, "컬러 비디오 플레이어" 시제품 발표
1970년3월소니, 마쓰시타, JVC 등 U 규격 합의[21]
1971년10월소니, U-matic "VP-1100" (재생 전용) 출시[22]
1972년3월소니, U-matic "VO-1700" (녹화 가능) 출시
1974년-소니, 휴대용 U-matic "VO-3800" 출시 (ENG 시대 개막 기여)
1976년6월소니, 방송용 "BV 시리즈" 출시 시작
2000년6월소니, U-matic VTR 생산 종료



소니는 현재 U-matic 테이프를 다른 미디어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3]

2. 2. 발전과 쇠퇴

1971년 소니가 U-matic VCR의 첫 모델인 VO-1600을 선보였을 때, 원래 목표는 가정용 비디오 카세트 형식 시장이었다. 초기 모델에는 가정용 텔레비전 녹화를 위한 VHF/UHF TV 튜너까지 내장되어 있었다. 당시 소니는 "보고 싶은 영화나 연극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가정의 텔레비전 화면에서 컬러로 재생할 수 있다"고 홍보하며 "사회와 가정생활에 일대 변화"가 올 것이라 기대했다. 1971년 10월 10일, 소니는 "U-matic"이라는 상표로 VP-1100(재생 전용) 모델을 출시했고[22], 1972년 3월에는 레코더인 VO-1700을 출시했다. 당시 가격은 플레이어가 23.8만, 레코더가 35.8만, 60분 테이프가 1만, 30분 테이프가 5500JPY으로 상당히 고가였다. 이 때문에 높은 제조 비용과 비싼 소매 가격으로 가정용 시장 공략은 실패로 돌아갔다.[11]

그러나 산업 및 기관 고객에게는 비용이 감당할 만한 수준이었고, 기업 통신이나 교육용 텔레비전 같은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에 소니는 U-matic의 마케팅 방향을 산업, 전문가, 교육 부문으로 전환했다. 1970년 3월, 소니, 파나소닉(구 마쓰시타 전기산업), 일본 빅터(현 JVC켄우드) 3사는 규격을 통일하여 U 규격을 만들었다.[21] 소니 외 다른 회사의 U 규격 VTR도 일반적으로 소니의 상표인 'U-matic'으로 불렸다. 정식 명칭은 "3/4인치 U 타입 헬리컬 VTR"이었지만, 흔히 'U-matic' 또는 방송 현장에서 '4분의 3'(시부산) 등으로 불렸다.[33]

U-matic은 1970년대 중반 텔레비전 방송 업계에서 더 큰 성공을 맞이했다. 특히 1974년 첫 휴대용 모델인 소니 VO-3800이 출시되면서 많은 지역 방송국과 전국 네트워크에서 이 형식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이 모델의 등장은 기존의 16mm 필름 카메라를 대체하는 전자 뉴스 수집(ENG) 시대를 열었으며, 현장 뉴스 취재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필름과 달리 현상 과정 없이 즉시 재생 가능한 비디오테이프의 장점은 속보 경쟁에서 유리하게 작용했다. 미국 CBS 방송국은 U-matic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소니에 휴대형 모델 개발을 의뢰했고, 이는 ENG 시스템의 주력 VTR로 채택되는 성공으로 이어졌다.[33] 이로 인해 1975년경부터 U-matic은 전 세계 뉴스 취재 현장에 빠르게 보급되어 필름 뉴스를 대체하는 주역이 되었다.[33]

1976년 6월, 소니는 방송국용으로 성능을 개선한 소형 고성능 U-matic "BV(Broadcasting Video) 시리즈"를 출시하며 전문 영상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20] U-matic은 저렴한 비용, 좋은 성능, 뛰어난 내구성 덕분에 오랫동안 인기를 누렸다. 많은 방송 및 비방송 기관이 이 형식을 통해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었다. 전성기에는 소니 외에도 파나소닉, JVC 등 여러 회사에서 U-matic 녹화 및 재생 장비를 생산했으며, 편집 컨트롤러, 타임베이스 콜렉터(TBC) 등 관련 파생 제품 시장도 활성화되었다.

기술적으로 U-matic은 휘도 신호를 주파수 변조(FM) 방식으로, 색 신호는 저역 변환 직접 방식으로 기록했는데[33], 이는 이후 1975년에 발표된 베타맥스 포맷의 기술적 원형이 되기도 했다.[33]

비록 현재 주류 텔레비전 제작 형식으로는 사용되지 않지만, 1970년대1980년대에 제작된 방대한 양의 영상 자료를 보관하고 재생하기 위해 전 세계 많은 텔레비전 시설에서는 여전히 U-matic 레코더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의회 도서관은 오래된 방송 및 영화 자료의 접근과 저작권 관리를 위해 수천 개의 U-matic 비디오테이프를 소장하고 있다.

소니는 2000년 6월부로 U-matic VTR 생산을 공식적으로 종료했다. 현재 소니는 기존 U-matic 테이프를 다른 미디어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23]

연도내용
1969년 10월 29일소니, "컬러 비디오 플레이어" 시제품 발표
1970년 3월소니, 파나소닉, JVC 3사, U 규격 통일 합의[21]
1971년 10월소니, U-matic "VP-1100 (재생 전용)" 판매 시작[22]
1972년 3월소니, U-matic "VO-1700 (레코더)" 판매 시작
1974년소니, 휴대용 모델 "VO-3800" 출시, ENG 시대 개막
1976년 6월소니, 업무용 방송국용 "BV 시리즈" 출시 시작
2000년 6월소니, U-matic VTR 생산 종료


3. 기술적 특징

U-matic이라는 이름은 테이프가 나선 주사 비디오 헤드 드럼 주위를 감쌀 때 테이프 경로가 알파벳 'U'자와 유사한 모양을 그리는 것에서 유래했다.[5] 베타맥스 포맷 역시 비슷한 방식의 테이프 로딩을 사용한다. 초기 U-matic의 해상도는 약 250 라인 수준이었고, 녹화 시간은 최대 1시간으로 제한되었다.

신호 기록 방식은 휘도 신호(밝기 정보)를 주파수 변조(FM)하여 기록하고, 색 신호는 주파수를 낮추어 변환한 뒤 직접 기록하는 '저역 변환 직접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은 이후 베타맥스 포맷 개발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33]

U-matic은 출시 이후 이미지 품질 개선을 위해 두 차례 주요 개정을 거쳤다. 첫 번째 개정판은 '하이밴드(High-Band)'로, 이로 인해 기존 버전은 '로우밴드(Low-Band)'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더 개선된 'SP(Superior Performance)' 버전이 등장했다. 하이밴드와 SP는 모두 FM 반송파 주파수를 높여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는 대역폭을 늘렸고, 이를 통해 이미지 품질과 해상도를 향상시켰다. 특히 SP 버전에서는 이산화크롬 코팅 테이프를 도입하여 성능을 더욱 높였다. 하이밴드로 녹화된 테이프는 로우밴드 기기에서도 재생할 수 있었지만, 흑백으로만 나왔다.[6]

U-matic 테이프는 초당 약 9.53cm의 속도로 움직인다. 테이프에 기록되는 속도는 PAL 방식의 경우 초당 8.54m, NTSC 방식의 경우 초당 10.26m이다. 이는 비디오 헤드가 드럼을 회전하며 테이프 표면을 스캔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드럼에는 2개의 비디오 헤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드럼 회전 속도는 PAL 방식에서 분당 1500회(rpm), NTSC 방식에서 분당 1800회이다.[8]

U-matic 주요 신호 주파수[7][9]
규격방식휘도 캐리어 주파수 (동기 신호 ~ 최대 백색)색 부반송파 주파수
로우밴드NTSC3.8 MHz ~ 5.4 MHz688.373 kHz
하이밴드PAL4.8 MHz ~ 6.4 MHz983.803 kHz
SP (Superior Performance)NTSC(동기 신호 정보 없음) ~ 7.0 MHz(정보 없음)
PAL5.6 MHz ~ 7.2 MHz983.803 kHz



U-matic 포맷을 정의하는 주요 기술 표준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10]


  • SMPTE 21M-1997: 3/4인치 Type E 헬리컬 스캔 – 녹화
  • SMPTE 22M-1997: 3/4인치 Type E 헬리컬 스캔 – 카세트
  • SMPTE 31M-2003: 텔레비전 아날로그 녹화 - 3/4인치 Type E – 소형 비디오 카세트
  • RP 87-1999 (2004년 보관됨): 3/4인치 Type E 헬리컬 스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녹화를 위한 참조 캐리어 주파수, 프리앰퍼시스 특성 및 오디오/제어 신호 권장 규격


오디오의 경우, 테이프 속도가 느리고 종방향 기록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초기 오디오 품질은 다소 떨어졌다. 이후 소니는 오디오 충실도를 높이기 위해 돌비 노이즈 감소 시스템 중 돌비 C 회로를 도입하기도 했다.

U-matic은 아날로그 비디오뿐만 아니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소니의 PCM-1600, -1610, -1630과 같은 PCM 어댑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U-matic 테이프에 기록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 이 어댑터는 스테레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뒤, 이를 일종의 흑백 영상 신호("유사 비디오") 형태로 만들어 U-matic VCR에 녹화했다. 이 방식은 컴팩트 디스크(CD) 제작 초기에 마스터 테이프를 만드는 표준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CD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44.1 kHz 샘플링 속도는 당시 PAL 및 NTSC 흑백 비디오 신호의 기술적 특성과 U-matic의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계산된 값에 기반한다. 오디오 CD 생산을 위한 유리 마스터는 이 PCM 어댑터의 디지털 출력을 레이저로 포토레지스트 코팅된 디스크에 기록하여 제작되었으며, 이 방식은 1990년대 중반까지 널리 쓰였다.

방송 환경에서 다른 장비와 동기화(젠록)를 맞추기 위해서는 U-matic VCR에 별도의 타임 베이스 코렉터(TBC)를 연결해야 했다.

3. 1. 문제점

U-matic 형식에는 몇 가지 반복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정지 화면 상태에서 회전하는 비디오 드럼 헤드가 테이프와 계속 마찰하여 비디오테이프가 손상되는 것이었다. 이 마찰로 인해 테이프 표면의 산화물이 벗겨지거나 테이프 자체가 구겨지기도 했다. 손상된 테이프를 재생하면 화면 일부가 수평으로 왜곡되고 오디오가 끊기는 현상이 발생했다. 제조사들은 정지 모드에서 테이프를 약간 느슨하게 하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헤드 회전을 멈추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줄이려고 시도했다.[16]

또한, 헤드 전환 노이즈로 인해 비디오 이미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는 비디오 프레임의 아랫부분이 윗부분과 수평적으로 어긋나 보이는 이미지 왜곡 현상이다.

색상 재현에도 문제가 있었는데, 특히 NTSC 색상 표준 환경에서 빨강색을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웠다. 빨간색 이미지는 다른 색상에 비해 유독 노이즈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 때문에 방송 제작 시 기술적 결함이 두드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출연자들에게 빨간색 옷을 입지 않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U-matic VCR 간에 비디오를 여러 번 복사할 경우 화질이 눈에 띄게 저하되었다. 복사를 거듭할수록 재생 안정성이 떨어지고 헤드 전환 노이즈, 색도 번짐, 색도 노이즈 등이 심해졌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비디오테이프 편집자와 엔지니어들은 화질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해결책을 사용해야 했다. 예를 들어, 타임베이스 보정기(TBC)를 사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동기 부분을 재구성함으로써 재생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덥(dub)" 케이블(정식 명칭 "복조(demodulated)" 케이블)은 비디오 회로 일부를 우회하는 다중 도체 케이블로, 증폭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이는 데 사용되었다.[17]

4. 모델

1971년 첫 모델인 VO-1600이 소개되었을 때, 소니는 U-matic을 가정용 비디오 카세트 포맷으로 자리매김하려 했고, TV 녹화를 위해 VHF/UHF 튜너까지 내장했다. 그러나 높은 제조 비용과 소매 가격 때문에 가정용 시장에서는 성공하지 못했다.[11] 대신 산업 및 기관 고객에게는 비용이 합리적이었고, 기업 통신 및 교육용 텔레비전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에 소니는 마케팅 방향을 산업, 전문가, 교육 부문으로 전환했다.

1974년 첫 휴대용 모델인 소니 VO-3800이 출시되면서 U-matic은 방송 업계에서 더욱 큰 성공을 거두었다. 많은 지역 방송국과 전국 네트워크에서 이 포맷을 채택했으며, 이는 기존의 16mm 필름 카메라를 대체하는 전자 뉴스 수집(ENG) 시대를 열었다. 비디오테이프는 필름과 달리 현상 과정 없이 즉시 재생이 가능하여 속보 제작에 유리했다.

소니 U-matic SP 테이프 레코더


수리를 위해 분해된 U-matic 플레이어


소니 편집 콘솔 BVE-600은 두 대의 연결된 U-matic 비디오 레코더를 제어한다. 이러한 어셈블리는 TV 스튜디오 등에서 전문적인 비디오 편집에 사용되었다.


U-matic은 표준 크기 외에 더 작은 카세트 크기인 U-matic S도 제공했다. 이는 소형 S-포맷 레코더용으로 개발된 휴대용 버전으로, VO-3800 외에도 소니, 파나소닉, JVC 등에서 제작한 VO-4800, VO-6800, VO-8800, BVU-50, BVU-100, BVU-110, BVU-150 등의 모델에서 사용되었다. 휴대용 레코더는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해 외부 AC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거나 충전식 니켈 카드뮴 배터리로 작동했다. S-포맷 테이프는 어댑터(소니 KCA-1)를 사용하여 구형 상단 로딩 방식 표준 U-matic 데크에서도 재생할 수 있었고, 이후의 전면 로딩 방식 기기는 S-포맷 테이프를 직접 수용할 수 있는 슬롯을 갖추었다. U-matic S 카세트는 기존의 단일 플랜지 릴 대신 전통적인 이중 플랜지 릴을 사용하여 테이프 용량이 줄어 녹화 시간이 최대 20분이었으나, 일부 제조사는 얇은 테이프를 사용하여 30분 녹화가 가능한 S-테이프를 출시하기도 했다.[12][13] ENG 시대를 연 것은 바로 이 U-matic S-포맷 데크였다.
VO 시리즈는 주로 교육, 기업,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했으며, 불균형 오디오 커넥터를 사용했고 일반적으로 SMPTE 타임 코드 기능이 없었다(일부 업체에서 사후 수정 서비스를 제공).

  • VO-3800: 최초의 휴대용 모델로, 금속 재질로 만들어져 무거웠지만 기술적으로 휴대 가능했다.
  • VO-4800: 플라스틱 부품을 사용하여 VO-3800과 동일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무게와 크기를 줄였다.
  • VO-6800: NP-1, NP-1A, NP-1B와 같은 길고 얇은 "캔디 바" 형태의 배터리를 도입하여 휴대성을 높였다.
  • VO-8800: 소니에서 생산한 마지막 휴대용 VO 시리즈로, 솔레노이드 제어 전송 기능을 갖추었다.

BVU 시리즈(Broadcasting Video U-matic)는 방송용으로 개발되어 종단 및 수직 간격 SMPTE 타임 코드, 밸런스 오디오 XLR 커넥터, 더 강력한 전송 기능을 추가했다.

  • BVU-50: 현장 녹화는 가능했지만 재생 기능은 없었다.
  • BVU-100: 현장에서 녹화와 재생이 모두 가능했다.
  • BVU-200: 1976년 출시된 상단 로딩 방식으로, 성능이 개선된 하이밴드(High Band) 규격을 도입했다. 이로 인해 기존 버전은 로우밴드(Low Band)로 불리게 되었다. 하이밴드는 향상된 컬러 녹화 시스템과 낮은 노이즈 레벨을 특징으로 했다.[14] BVU 시리즈는 ENG 및 현장 프로그램 제작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16mm 필름 사용을 점차 줄여나갔다.
  • BVU-800 시리즈: SP(Superior Performance) 규격을 도입하여 녹화 시스템을 더욱 개선했다. SP는 수평 해상도 330선을 가졌고, Y-FM 반송 주파수를 1.2 MHz로 높여 더 넓은 대역폭을 제공했다. 또한 돌비 오디오 노이즈 감소 기능이 추가되었다.
  • BVU-870: SP 개정 모델 중 하나이다.
  • BVU-900 시리즈: 소니에서 제작한 마지막 방송용 U-matic VTR이었다.[15] 초기 U-matic SP와 약 1.27cm 베타캠 SP 녹화 품질은 구별하기 어려웠지만, 포맷 자체의 한계로 인해 U-matic의 미래는 점차 어두워졌다.


초기 스튜디오 모델과 모든 휴대용 U-matic VCR은 테이프를 삽입하고 수동으로 닫는 서랍형 메커니즘("상단 로딩")을 사용했지만, 이후 스튜디오 VCR은 카세트를 직접 삽입하면 자동으로 로딩되는 방식("전면 로딩")을 채택했다. 일부 U-matic VCR은 소니 RM-440과 같은 외부 비디오 편집 컨트롤러로 제어하여 선형 비디오 편집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 소니 및 Convergence, Calaway, CMX Systems 등의 제조사는 두 대 이상의 VCR을 제어하고 동기화하여 비디오 디졸브, 문자 발생기, 오디오 컨트롤러, 디지털 비디오 효과(DVE) 등을 통합하는 A/B 롤 시스템을 제작하기도 했다.

소니 외에도 파나소닉(구 마쓰시타 전기산업), JVC(구 일본 빅터) 등 여러 회사에서 U-matic 규격에 맞는 VTR을 생산했으며, 이들 제품도 일반적으로 소니의 상표인 'U-matic'으로 통칭되었다.[20][21][33]

=== 주요 모델 목록 ===

구분모델명
재생 전용VP-1100
VP-7020
BVU-900
BVU-920 (DT 포함)
녹화/재생VO-1700
VO-5800
VO-5850
BVU-800
BVU-950 (SP 대응)


5. U-matic으로 발굴된 프로그램 (일본)

초기의 U-matic 규격으로 녹화된 프로그램은 귀중한 영상 자료가 되고 있다.


  • 마유코 단독주택 제125회 일부 (1971년 8월 27일 방송분)[24]
  • 스테이지 101 (1971년 이후 일부 회차)[25]
  • 데이비스 컵 (1972년, 일본 VS 호주)[26]
  • 오늘의 요리 (1972년 12월 외)[27]
  • 연상 게임 (1973년 1월 20일 방송)
  • 동거 시대 (TBS, 1973년 2월 18일)
  • 아카히게 (아침 이슬에 사라지다, 1973년 6월 29일 방송)[28]
  • 국토 이야기 (제37회 "장군 추방" (1973년 9월 16일 방송), 제38회 "코타니 낙성" (1973년 9월 23일 방송))
  • 낮의 선물 (1974년 2월 7일)[30]
  • 뒤돌아보지 마 츠루키치 (1974년~1975년, 제17회, 27회, 29회, 31회, 35회, 37회, 40회, 41회)[29]
  • 이 사람과 이야기하자 (1975년 2월 8일)[30]
  • 고향 자랑 서쪽 동쪽 (1975년)[31]
  • 스포트라이트 (1975년 9월 11일)[32]
  • 겐로쿠 태평기 (제9회 "백열등 출진")

참조

[1] 웹사이트 ST 21:1997 - SMPTE Standard - For Video Recording — 3/4-in Type E Helical Scan — Records https://ieeexplore.i[...] SMPTE
[2] 웹사이트 ST 22:1997 - SMPTE Standard - For Video Recording — 3/4-in Type E Helical Scan — Cassette https://ieeexplore.i[...] SMPTE
[3] 웹사이트 Broadcast Engineering, November 1984, p. 131 https://worldradiohi[...] Intertec Publishing Corporation
[4] 웹사이트 Sony Group Portal - Product & Technology Milestones−Recorder & Player https://www.sony.net[...]
[5] 웹사이트 Chapter1 The Video Cassette Tape https://www.sony.com[...] 1996
[6] 웹사이트 U-matic PALsite: U-matic Features Guide http://umatic.palsit[...]
[7] 웹사이트 U-matic https://www.nfsa.gov[...] 2010-07-08
[8] 웹사이트 U-matic PALsite: The U-matic http://umatic.palsit[...]
[9] 웹사이트 Sony U-Matic VO-2631 Tape http://www.freetimew[...]
[10] 웹사이트 Numerical index of standards, recommended practices, engineering guidelines and registered disclosure documents on the October 2009 (volume TV24-MP17) CD-ROM https://static.amine[...] SMPTE
[11] 서적 The Filmmaker's Handbook: A Comprehensive Guide for the Digital Age https://books.google[...] Penguin 2007-09-04
[12] 서적 Fast forward: Hollywood, the Japanese, and the onslaught of the VCR Norton 1987
[13] 웹사이트 Billboard - July 16, 1977 http://americanradio[...]
[14] 간행물 SMPTE Journal, Volume 85, September 1976 https://ieeexplore.i[...] 1976-09
[15] 웹사이트 Video resolution comparison chart http://www.derose.ne[...] Derose.net 2003-04-23
[16] pdf Curriculum Module 3/4" U-matic Videotape http://www.nyu.edu/t[...] New York University's Moving Image Archiving & Preservation Program
[17] 웹사이트 Notes on the Troubleshooting and Repair of Video Cassette Recorders http://www.repairfaq[...] 2010-10-07
[18] 웹사이트 Apocalypse Now REDUX https://www.mixonlin[...] 2001-08-01
[19] 뉴스 OCT 9 2 MOS Latin America's Frontrunner in Foreign Oscar Race is 'No,' With Gael Garcia Bernal http://www.hollywood[...] 2012-10-09
[20] 웹사이트 ソニービジネス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放送業務用制作機材の歴史」 http://www.sony.jp/p[...]
[21] 웹사이트 第1章 ビデオもカセットに <ビデオカセット> https://www.sony.com[...]
[22] 웹사이트 戦後日本のイノベーション100選 http://koueki.jiii.o[...]
[23] 웹사이트 テープクリーニング&フォーマット変換業務 http://www.sony.jp/p[...]
[24] 웹사이트 視聴率47.4%!超・幻の朝ドラ『繭子ひとり』を発掘! https://www.nhk.or.j[...] 2023-10-16
[25] 웹사이트 『ステージ101』田中星児さんから発掘! https://www.nhk.or.j[...] 2023-10-16
[26] 웹사이트 1972年テニス・デビスカップ発掘! 神和住純さん&坂井利郎さん https://www.nhk.or.j[...] 2023-10-16
[27] 웹사이트 昭和47年『きょうの料理』正統派“おせち”発掘! https://www.nhk.or.j[...] 2023-10-16
[28] 웹사이트 俳優・瑳川哲朗さんから『赤ひげ』発掘! https://www.nhk.or.j[...] 2023-10-16
[29] 웹사이트 『ふりむくな鶴吉』音楽の樋口康雄さんから一挙8本! https://www.nhk.or.j[...] 2023-10-16
[30] 웹사이트 “浪花のおかん”ミヤコ蝶々さん 出演番組発掘! https://www.nhk.or.j[...] 2023-10-16
[31] 웹사이트 あべ静江さん登場!『いごっそう段六』全話発掘! https://www.nhk.or.j[...] 2023-10-16
[32] 웹사이트 唱歌「ふるさと」のルーツを探る『スポットライト』 https://www.nhk.or.j[...] 2023-10-16
[33] 서적 最新映像用語辞典 リットーミュージック 1994-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