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레비전 수상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비전 수상기는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양한 기술 발전을 거쳐왔다. 1920년대 기계식 텔레비전에서 시작하여, 1930년대 브라운관을 이용한 전자식 텔레비전이 등장했고, 이후 트랜지스터, LCD, 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개발되었다. 텔레비전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흑백에서 컬러로 발전했으며, 해상도, 녹화 기능, 스마트 기능 등에서도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LCD, OLED TV가 주류를 이루며,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제조사들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텔레비전은 다양한 입력 단자를 갖추고 있으며, 리모컨으로 제어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 수상기 - PROFEEL
    PROFEEL은 1980년대 소니에서 출시한 하이테크 디자인의 텔레비전 시리즈로, 튜너와 스피커를 내장하지 않고 AV 출력을 지원하여 AV 기기 시장의 변화에 발맞춘 혁신적인 제품으로 다양한 모델과 파생 제품을 출시하며 AV 매니아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 텔레비전 용어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 기술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텔레비전 기술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텔레비전 수상기
개요
텔레비전 수상기
텔레비전 수상기
유형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관련 발명주사선
텔레비전 카메라
전자총
음극선관
LCD
LE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역사
개발1920년대: 기계식 텔레비전 개발
1930년대: 전자식 텔레비전 개발
상용화1930년대 후반: 흑백 텔레비전 상용화
1950년대: 컬러 텔레비전 상용화
기술 변화CRT → LCD, LE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아날로그 방송 → 디지털 방송
기술적 특징
디스플레이 기술CRT (과거)
LCD (현재 주류)
LED (LCD의 백라이트 방식)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과거)
OLED (최신 기술)
해상도SDTV
HDTV
UHDTV (4K, 8K)
화면 비율4:3 (과거)
16:9 (현재 주류)
연결 방식안테나 단자
컴포지트 비디오
컴포넌트 비디오
HDMI
기능
주요 기능텔레비전 방송 시청
외부 기기 (DVD 플레이어, 게임 콘솔 등) 연결 및 화면 표시
스마트 기능스마트 TV 기능 (인터넷 연결, 앱 설치 등)
시장 동향
주요 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소니
TCL
하이센스
기술 경쟁OLED vs QLED
마이크로LED
시장 변화대형화 추세
고해상도화 추세
스마트 기능 강화
기타
관련 용어셋톱 박스
리모컨
방송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2. 역사

텔레비전의 역사는 초기 기계식 텔레비전에서부터 현재의 첨단 디지털 텔레비전에 이르기까지 기술 혁신의 연속이었다. 1926년 존 로지 베어드닙코프 디스크를 이용한 기계식 텔레비전을 선보였다.[110] 1930년대에 들어 미국의 방송사 RCA는 브라운관을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를 출시하고 전자식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였다. 미국, 소련, 일본, 그리고 유럽 일부에서 전자식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고 베를린 올림픽은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111]

제2차 세계대전으로 주춤하였던 텔레비전 방송은 전쟁 이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1950년대 말에는 컬러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다.[112] 21세기에 들어서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보급되고 있다.[113] 텔레비전은 표시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으며, 20세기에는 아날로그, 21세기에는 디지털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국 머피 라디오(Murphy Radio)사 1951년산 브라운관 방식 흑백 텔레비전


소니 트랜지스터 TV TV8-301(1960년): 세계 최초의 직시형 올 트랜지스터 TV


일본의 가구당 TV 보급률 추이


해상도에 따라 “8K”, “4K”, “풀HD”, “HD”, “SD”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과거에는 컬러텔레비전/흑백텔레비전으로 분류했지만, 현재는 원칙적으로 컬러 텔레비전이며, 이 분류는 텔레비전의 역사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표시 화면에 따라 LCD, 유기EL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2000년대에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브라운관 방식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종전 후, GHQ에 의해 텔레비전 연구가 금지되었으나, 1946년부터 재개되어 1953년 1월 샤프에서 일본산 1호 흑백 텔레비전(14인치, 175000JPY)을 출시하였다.[91] 같은 해 2월 일본방송협회(NHK)가 텔레비전 본방송을 시작했다. 당시 텔레비전은 고가였기 때문에 대부분 부유층이 구입하였고, 같은 해 8월 개국한 일본 최초의 민영방송인 일본텔레비전방송망(일본텔레비전)[92]광고 수입과 수상기 보급을 위해 거리 텔레비전을 설치했다. 리키도잔의 경기, 자이언츠 경기 등 프로레슬링 중계나 프로야구 중계, 대상경기 중계 등의 스포츠 중계 시간에는 거리 텔레비전에 사람이 모일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커피숍이나 목욕탕 등에도 텔레비전이 설치되었다. 1959년 황태자 아키히토 친왕의 결혼식을 계기로 일반 가정에도 텔레비전 보급이 확대되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흑백 텔레비전은 전기세탁기, 전기냉장고와 함께 「3종의 신기」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1. 초기 텔레비전

1926년 존 로지 베어드닙코프 디스크를 이용한 기계식 텔레비전을 선보였다.[110] 초기 상업용 텔레비전은 라디오에 텔레비전 장치가 추가된 형태였는데, 이 장치는 네온관 뒤에 회전하는 나선형 구멍이 있는 원판으로 빨간색 우표 크기의 영상을 만들고, 돋보기를 사용하여 두 배 크기로 확대하는 것이었다. 1930년부터 1933년까지 영국에서 판매된 베어드 "텔레비저"(Televisor)는 약 1,000대가 판매되면서 최초의 대량생산 텔레비전으로 여겨진다.[8] 기계식 텔레비전은 1928년부터 1934년까지 영국, 프랑스,[6] 미국, 그리고 소련[7]에서 시판되었다.

1930년대에 들어 미국의 방송사 RCA는 브라운관을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를 출시하고 전자식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하였다. 1897년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최초로 CRT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고안했고,[9] "브라운관"은 20세기 TV의 기초가 되었다.[10] 1930년대에 미국, 소련, 일본, 그리고 유럽 일부에서 전자식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되었고 베를린 올림픽은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111] CRT를 사용한 최초의 상업용 전자식 텔레비전은 1934년 독일의 텔레풍켄에서 제조되었다.[13][14] 그 후 프랑스(1936),[15] 영국(1936),[16] 그리고 미국(1938)[17][18]의 다른 제조업체들이 뒤따랐다.

다카야나기 겐지로는 1926년 일본 하마마쓰 공업고등학교에서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최초의 TV 시스템을 시연했다.[11] 이것은 완전한 전자식 텔레비전 수상기의 최초의 작동 사례였다.[12] 그러나 그의 연구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한 후 미국에 의해 중단되었다.[11]

2. 2. 트랜지스터 텔레비전

1952년 소니의 창업주 이부카 마사루벨 연구소에서 발명된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 회로가 더 작고 휴대하기 쉬운 텔레비전 수상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24] 1959년, 소니는 세계 최초의 완전 트랜지스터식 휴대용 텔레비전인 TV8-301을 개발하여 1960년에 출시했다.[25][26] 1960년까지 소니는 전 세계적으로 4백만 대가 넘는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를 판매했다.[29]

1967년 영국 라디오 회사가 최초의 완전 트랜지스터식 컬러 TV 수상기인 HMV 컬러마스터 모델 2700을 출시했다.[27] 트랜지스터 텔레비전의 등장은 텔레비전 시청을 공동 시청에서 개인 시청 경험으로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8]

2. 3. LCD 텔레비전

폴 K. 와이머는 1962년 RCA에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개발했고,[33] 1968년 RCA 연구소의 버나드 레흐너(Bernard Lechner)가 TFT 기반 액정표시장치(LCD) 아이디어를 고안했다.[34] 레흐너, F. J. 말로우, E. O. 네스터, J. 툴츠는 1968년에 표준 개별 MOSFET을 사용하는 동적 산란 LCD로 이 개념을 시연했다.[35]

1973년, 웨스팅하우스 전기 회사 웨스팅하우스 연구소의 T. 피터 브로디, J. A. 아사스, G. D. 딕슨은 최초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를 시연했다.[36][37] 브로디와 팡첸 루오는 1974년에 최초의 평면 능동형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AM LCD)를 시연했다.[34]

1982년까지 일본에서는 AM LCD 기술을 기반으로 한 휴대용 LCD TV가 개발되었다.[38] 1984년에는 최초의 컬러 LCD 휴대용 TV인 2.1인치 엡손 ET-10(엡손 엘프)이 출시되었다.[39][40] 1988년, 샤프의 나가야스 엔지니어가 이끄는 연구팀은 14인치 풀컬러 LCD 디스플레이를 시연했고,[34][41] 이는 전자 산업에 LCD가 CRT를 대체하는 표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기술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주었다.[34] 샤프는 1992년에 최초의 벽걸이형 TV를 출시했다.[42]

2000년대 초, CRT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에 거의 완전히 대체되었다. 1997년경 플라즈마 디스플레이가, 그 뒤를 이어 LCD가 대체했다. 2010년대 초에는 LED 백라이트 LCD를 사용하는 LCD TV가 텔레비전 세트의 압도적인 대다수를 차지했다.[1][2][3][4][5]

2. 4. OLED, 플라스마 및 기타 기술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층이 전류에 반응하여 빛을 방출하는 유기 화합물 박막인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이 유기 반도체 층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다. OLED는 텔레비전 화면과 같은 장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컴퓨터 모니터, 휴대 전화, 휴대용 게임기, PDA와 같은 휴대용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OLED에는 소형 분자 기반과 폴리머를 사용하는 두 가지 주요 계열이 있다. OLED에 이동성 이온을 추가하면 작동 방식이 약간 다른 발광 전기화학 셀(LEC)이 생성된다. OLED 디스플레이는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싱(PMOLED) 또는 액티브 매트릭스 어드레싱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OLED(AMOLED)는 각 픽셀을 켜거나 끄는 박막 트랜지스터 백플레인이 필요하지만 더 높은 해상도와 더 큰 디스플레이 크기를 제공한다.

OLED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없이 작동한다. 따라서 깊은 블랙 레벨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CD)보다 더 얇고 가볍다. 어두운 방과 같이 주변 조명이 낮은 조건에서는 OLED 화면이 LCD보다 더 높은 명암비를 달성할 수 있다.

OLED TV


2010년대에 들어 주요 제조사에서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을 응용한 3DTV(입체 텔레비전 방송)가 출시되었으나, 콘텐츠 부족과 전용 안경 필요 등의 이유로 크게 보급되지 못했다. 화면이 약간 곡선인 TV도 한때 유행했지만 마찬가지로 크게 보급되지 못했다.[99]

2014년경부터는 4K 8KTV 방송(4K 8K 텔레비전 방송) 등 기술 발전에 따라 TV의 화질과 음질이 더욱 높아졌다. 또한 제조사는 이 무렵부터 초기 박형 TV 교체 수요를 예상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결되어 유튜브 등 디지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TV가 보급되고 있다.

2018년은 HDR 원년(HDR元年)이라고 불리며, 더욱 영상미를 추구한 하이엔드 TV(high-end television)가 등장했다.

2019년 중반 기준으로, LCD가 신제품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는 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DLP 기술은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여전히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플라스마 및 CRT 디스플레이의 생산은 완전히 중단되었다.[1][2][3][4][5][58]

2. 5. 한국 텔레비전의 역사

1953년 1월 샤프에서 일본 최초의 흑백 텔레비전(크기 14인치, 가격 175000JPY)을 출시하였다.[91] 같은 해 2월 일본방송협회(NHK)가 텔레비전 본방송을 시작했다. 당시 텔레비전은 고가였기 때문에 대부분 부유층이 구입하였고, 같은 해 8월 개국한 일본 최초의 민영방송인 일본텔레비전방송망(일본텔레비전)[92]광고 수입과 수상기 보급을 위해 거리 텔레비전을 설치했다.

리키도잔의 경기, 자이언츠 경기 등 프로레슬링 중계나 프로야구 중계 등의 스포츠 중계 시간에는 거리 텔레비전에 사람이 모일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이후 오사카텔레비전방송(OTV, 현: 아사히방송텔레비전)과 중부일본방송의 텔레비전 부문(현: CBC텔레비전)에도 확산되었다. 커피숍이나 목욕탕 등에도 텔레비전이 설치되었다. 1959년 황태자 아키히토 친왕의 결혼식을 계기로 일반 가정에도 텔레비전 보급이 확대되었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흑백 텔레비전은 전기세탁기, 전기냉장고와 함께 「3종의 신기」 중 하나로 여겨졌다.

사카구치 안고는 『기류 통신』에서 "수년 안에 모든 가정에 텔레비전을" 약속할 수 있는 정치가의 출현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93]

1960년 7월, 도시바에서 일본 최초의 컬러 텔레비전(크기 21인치, 가격 520000JPY)이 출시되었다.[94]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컬러 텔레비전 보급이 확대되었다. 컬러 텔레비전은 에어컨, 자동차와 함께 신 3종 신기(3C) 중 하나로 여겨졌다. 1973년에는 컬러 텔레비전 보급률이 흑백 텔레비전을 넘어섰다.

1978년 무렵부터는 음성다중방송 대응 텔레비전, 1990년대에는 하이비전 방송 대응 텔레비전이 등장했다.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텔레비전 수출이 감소했다.[98]

1990년대 후반 지상 디지털 방송 전환이 결정되면서, 신제품들은 지상파 디지털 방송 튜너를 탑재하게 되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아날로그 튜너만 있는 모델의 생산을 중단하였다. 오리온전기는 2009년을 마지막으로 아날로그 튜너만 있는 모델과 브라운관 방식 TV 생산을 중단했다.

2010년대에는 주요 제조사에서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을 응용한 3DTV(立体テレビ放送)가 출시되었으나, 콘텐츠 부족과 전용 안경 필요성 때문에 크게 보급되지 못했다.[99] 화면이 곡선인 TV도 유행했지만, 역시 크게 보급되지 않았다.

2014년경부터는 4K 8KTV 방송(4K 8Kテレビ放送) 등 기술 발전에 따라 TV의 고화질, 고음질화가 진행되었다. 제조사들은 초기 박형 TV 교체 수요를 예상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결하여 유튜브 등 디지털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는 TV가 보급되고 있다.

2018년은 HDR 원년(HDR元年)이라고 불리며, 영상미를 추구한 하이엔드 TV(ハイエンドテレビ)가 등장했다.

일본 국내 전체 가구 중 컬러 텔레비전 보유 가구 비율(세대 보급률(世帯普及率))은 1982년 조사 이후 98%를 밑돈 적이 없었으며, 2006년 3월 말 현재 세대 보급률은 99.4%였다.[100] 그러나, TV 시청 감소(テレビ離れ)와 브라운관 TV가 통계에서 제외됨에 따라 2014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101]

3. 구성

텔레비전 수상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 장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케이블 연결 단자, 채널 선택 및 신호 복조를 위한 전자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텔레비전 수상기의 주요 디스플레이 기술은 다음과 같다.

기술설명
음극선관(CRT)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가 형광면에 부딪혀 빛을 내는 방식. 20세기 텔레비전의 기초가 됨.
액정 디스플레이(LCD)액정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 QLED, 양자점, LED, LCD TN, LCD IPS, LCD PLS, LCD VA 등 다양한 변형이 있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전류에 반응하여 빛을 내는 유기 화합물 박막을 이용하는 방식. 자체 발광하여 깊은 블랙 레벨 표현 가능.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전기적으로 대전된 이온화된 기체를 포함하는 작은 셀을 사용하는 방식.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캐논(Canon)과 도시바가 공동 개발했으나 2010년 개발 중단.
프로젝터영화관처럼 시청자 측에서 투영하는 전면 투사 방식.
LED대화면 옥외 광고 등에 사용되지만, 화소 피치를 작게 만들기 어려워 주로 액정 TV의 백라이트로 사용됨.


3. 1. 입력 단자

요즘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여러 가지 방식의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복합적인 입력 단자가 장착되어 있다.[86] 현재 대부분의 텔레비전은 뒷면이나 앞면에 단자를 갖추고 있으며, HDD 레코더, BD 레코더, 게임기 등 다양한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지상파DMB) 전환 이후 일반적인 입출력 단자는 다음과 같다.

단자 종류설명
HDMI 단자고화질 영상 및 음성 신호 전송
RF 단자F형(안테나) 단자 (지상파DMB, BS·110°CS). 현재, 동축 75Ω F형 단자는 지상파DMB용과 BS용 단자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어폰(헤드폰)용 스테레오 미니 단자음성 출력
LAN 단자인터넷 연결용
USB 단자외장 HDD를 추가하여 방송 녹화가 가능한 기종 등



구형 단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레거시 기기용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단자 종류설명
컴포지트(RCA) 단자표준 화질 영상 및 음성 신호 전송
컴포넌트 단자, D-Sub 단자고화질 영상 신호 전송
S-비디오 단자, 컴포넌트 단자컴포지트 단자보다 향상된 화질의 영상 신호 전송
스테레오 또는 모노 오디오 단자보통 영상 단자와 1쌍
RGB 21핀아날로그 RGB 신호 전송
i.LINK 단자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 전송
적외선 시스템 단자명칭은 기종·제조업체에 따라 다름
전화 회선 단자다이얼업 연결용


3. 2.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전 수상기의 외형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분하는 기준으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투영기(DLP) 등이 있다.[6]

RCA 630-TS, 1946년~1947년에 판매된 최초의 대량생산 전자식 텔레비전 수상기


삼성(Samsung) 와이드스크린 LCD TV와 DVD 플레이어


1928년부터 1934년까지 영국, 프랑스, 미국, 소련에서 기계식 텔레비전이 시판되었다. 초기 상업용 텔레비전은 라디오에 텔레비전 장치가 추가된 형태였는데, 네온관 뒤에 회전하는 나선형 구멍이 있는 원판을 달아 빨간색 우표 크기의 영상을 만들고 돋보기로 두 배 확대하는 방식이었다. 1930년~1933년 영국에서 판매된 베어드 "텔레비저"(Televisor)는 약 1,000대가 판매되어 최초의 대량생산 텔레비전으로 여겨진다.[8]

최초의 상업용 전자식 텔레비전은 1934년 독일의 텔레풍켄에서 제조되었다.[13][14] 이후 프랑스(1936),[15] 영국(1936),[16] 미국(1938)[17][18]에서 전자식 텔레비전이 제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영국에서 약 19,000대, 독일에서 약 1,600대의 전자식 텔레비전이 제조되었다. 미국에서는 1942년 4월 생산이 중단될 때까지 약 7,000~8,000대의 전자식 수상기가 제조되었다가 1945년 8월 생산이 재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 관련 기술 발전과 대량 생산으로 텔레비전 가격이 하락하고 여가 시간 및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면서 서구 세계에서 텔레비전 사용이 급증했다. 1946년 미국 가구의 0.5%만이 텔레비전을 소유했지만, 1954년에는 55.7%, 1962년에는 90%가 텔레비전을 소유하게 되었다.[21] 영국에서는 1947년 15,000가구, 1952년 140만 가구, 1968년에는 1,510만 가구가 텔레비전을 시청했다.[22]

폴 K. 와이머(Paul K. Weimer)는 RCA에서 1962년에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개발했고,[33] RCA 연구소의 버나드 레흐너(Bernard Lechner)가 1968년에 TFT 기반 액정표시장치(LCD)의 아이디어를 고안했다.[34] 1973년, 웨스팅하우스 전기 회사 웨스팅하우스 연구소(Westinghouse Research Laboratories)의 T. 피터 브로디(T. Peter Brody) 등이 최초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FT LCD)를 시연했다.[36][37] 브로디와 팡첸 루오(Fang-Chen Luo)는 1974년에 최초의 평면 능동형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AM LCD)를 시연했다.[34]

1982년 일본에서 AM LCD 기술 기반 휴대용 LCD TV가 개발되었다.[38] 1984년에는 2.1인치 엡손(Epson) ET-10[39] (엡손 엘프(Epson Elf))가 최초의 컬러 LCD 휴대용 TV로 출시되었다.[40] 1988년, 샤프(Sharp Corporation)의 나가야스(T. Nagayasu) 엔지니어 연구팀은 14인치 풀컬러 LCD 디스플레이를 시연하여,[34][41] LCD가 CRT를 대체할 것이라는 확신을 전자 산업에 심어주었다.[34] 최초의 벽걸이형 TV는 샤프(Sharp Corporation)가 1992년에 출시했다.[42]

21세기 첫 10년 동안 CRT "브라운관" 디스플레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에 거의 완전히 대체되었다. 1997년경에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가, 그 뒤를 이어 LCD가 대체했다. 2010년대 초에는 LED 백라이트 LCD를 사용하는 LCD TV가 제조되는 텔레비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1][2][3][4][5]

2014년에는 곡면 OLED TV가 출시되었지만,[43][44][45] 2020년에는 롤러블 OLED TV가 출시되었다.[46][47] 2023년에는 무선 TV와 투명 TV가 출시되었고,[48][49] 광고를 표시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대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TV도 등장했다.[50]

2019년 중반 기준으로, LCD가 신제품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는 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DLP 기술은 프로젝션 시스템에서 여전히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플라스마 및 CRT 디스플레이의 생산은 완전히 중단되었다.[1][2][3][4][5][58]

주요 경쟁 TV 기술은 다음과 같다.

기술설명
CRT음극선관을 이용한 방식으로, 20세기 텔레비전의 기초가 되었다.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방식으로, 다양한 변형(QLED, 양자점, LED, LCD TN, LCD IPS, LCD PLS, LCD VA 등)이 있다.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방식으로, 자체 발광하여 깊은 블랙 레벨을 표현할 수 있다.
플라스마플라스마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대전된 이온화된 기체를 포함하는 작은 셀을 사용한다.
SED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의 약자로, 캐논(Canon)과 도시바가 공동 개발했으나 2010년 개발 중단.
프로젝터영화관처럼 시청자 측에서 투영하는 전면 투사 방식이 일반적인 모니터로 사용된다.
LED대화면 모니터로 옥외 광고 등에 사용되지만, 화소 피치를 작게 만들기 어려워 주로 액정 TV의 백라이트로 사용된다.


3. 2. 1. CRT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이 1897년 최초로 CRT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고안했다.[9] "브라운관"은 20세기 TV의 기초가 되었다.[10] 1926년 다카야나기 겐지로는 일본 하마마쓰 공업고등학교에서 음극선관(CRT)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최초의 TV 시스템을 시연했는데,[11] 이것은 완전한 전자식 텔레비전 수상기의 최초의 작동 사례였다.[12]

편향 코일과 전자총을 보여주는 14인치 브라운관


브라운관(CRT, cathode-ray tube)은 전자총(컬러 텔레비전의 경우 세 개)과 텔레비전 이미지가 표시되는 형광 스크린을 포함하는 진공관이다.[59] 전자총은 전자빔을 가속하고, 이 빔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다양한 전기장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기장을 사용하여 편향되어 형광 스크린에 래스터 이미지를 스캔한다.

텔레비전 수상기(또는 브라운관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컴퓨터 모니터)에서 전체 화면 영역은 프레임을 초당 25회 또는 30회 완료하는 고정된 패턴인 래스터로 반복적으로 스캔된다. 이미지 정보는 전자총에 전류를 공급하는 비디오 신호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거나, 컬러 텔레비전의 경우 세 가지 기본 색상(빨강, 녹색, 파랑)의 형광체에 빔이 닿는 세 개의 전자총 각각에서 수신된다.[62] 텔레비전 초기 시대를 제외하고는 이미지를 브라운관 표면에 스캔하는 데 ''자기 편향''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전자총 바로 너머 튜브 목 주위에 배치된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에 다양한 전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59]

3. 2. 2. DLP

2001년형 DLP 프로젝터인 크리스티 미라지 5000


디지털 라이트 프로세싱(DLP, Digital Light Processing)은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를 사용하는 일종의 영상 프로젝터 기술이다. 일부 DLP에는 TV 튜너가 있어 TV 디스플레이의 한 유형이 되기도 한다. 1987년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래리 혼벡이 처음 개발했다. DLP 이미징 장치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가 발명했지만, 최초의 DLP 기반 프로젝터는 1997년 디지털 프로젝션(Digital Projection Ltd)에서 출시했다. 디지털 프로젝션과 텍사스 인스트루먼츠는 DLP 프로젝터 기술로 1998년 에미상을 수상했다. DLP는 기존의 정적 디스플레이부터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과 의료, 보안, 산업용 등의 비전통적인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에도 사용된다.

DLP 기술은 DLP 전면 프로젝터(주로 교실과 사업장용 독립형 프로젝션 장치), DLP 후면 투사 텔레비전 및 디지털 사이니지에 사용된다. 또한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션의 약 85%와 적층 제조에서 일부 SLA 3D 프린터의 광원으로 수지를 고체 3D 물체로 경화시키는 데에도 사용된다.[63]

3. 2. 3. 후면 투사

후면 투사 방식 TV(RPTV)는 초기 텔레비전 시대에 큰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었다. 1936년 당시에는 브라운관(CRT)의 편향각 문제로 인해 9인치보다 큰 화면을 수평으로 장착하기 어려웠다.[64] 큰 화면의 CRT는 깊이가 매우 깊어져 수상기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1937년 필립스(Philips)는 4.5인치 브라운관에서 25인치 화면으로 이미지를 후면 투사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출시했다.[66] 이 방식은 브라운관에 매우 높은 전압과 전류를 가해 밝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후면에서 투사하는 방식이었다. 필립스는 당시 백색 형광체보다 밝은 녹색 형광체를 사용하기도 했다.[66] 그러나 초기 브라운관은 수명이 짧아 잦은 교체가 필요했고, 필립스는 결국 제품을 회수해야 했다.[67]

이후 기술 발전으로 브라운관이 개선되었고, 1950년대에는 더 효율적인 백색 형광체와 소형 브라운관으로도 충분한 밝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69] 그러나 여전히 브라운관 수명은 직시형 브라운관보다 짧았다. 1950년대 CRT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 큰 화면과 직사각형 브라운관이 등장했고, 후면 투사 방식은 점차 사라졌다.

2000년대 초중반, RPTV는 LCD 및 플라즈마 TV보다 저렴한 대형 화면 대안으로 다시 인기를 얻었다.[70] 당시 CRT TV보다 크고 가벼웠으며, 평면 화면을 가졌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RPTV는 어둡고 명암비와 시야각이 낮으며, 실내 조명에 영향을 받는 등 화질 문제가 있었다.[70] 또한 CRT처럼 부피가 크다는 단점도 있었다.

RPTV는 장치 하단의 DLP, LCoS 또는 LCD 프로젝터를 사용하고 거울을 통해 이미지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스크린은 시야각을 희생하여 밝기를 높이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사용하기도 했다. 일부 초기 모델은 CRT 프로젝터(CRT projector)를 사용했고, 무게가 최대 약 226.80kg에 달하기도 했다.[71] 대부분의 RPTV는 초고성능 램프(Ultra-high-performance lamp)를 광원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했다.[72]

3. 2. 4. 플라스마

플라스마 패널(PDP)은 30인치(약 76cm) 이상의 대형 TV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이다.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전기적으로 대전된 이온화된 기체를 포함하는 작은 셀을 사용하는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형광등이 이러한 챔버의 일반적인 예시이다. 2014년경, TV 제조업체들은 플라스마 TV 생산을 단계적으로 중단했는데, 이는 LED나 LCD에 비해 4K 해상도에서 제조가 더 어렵고 비용이 더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73]

1997년, 필립스는 CES와 CeBIT에서 후지쯔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최초의 대형(42인치) 상업용 평판 TV를 선보였다.[74][75][76]

3. 2. 5. LCD

스피커가 화면 양쪽에 있는 일반적인 LCD TV


'''액정 표시 장치 텔레비전'''(LCD TV)은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텔레비전이다. LCD 텔레비전은 비슷한 크기의 CRT에 비해 훨씬 얇고 가볍고, 훨씬 더 큰 크기(예: 90인치 대각선)로 제공된다.[77] 제조 비용이 하락하면서 이러한 기능 조합으로 LCD가 텔레비전 수상기에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LCD 텔레비전은 전 세계적으로 처음으로 CRT 기반 텔레비전 판매량을 넘어섰으며,[77] 다른 기술에 대한 판매 수치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LCD TV는 대형 화면 시장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후면 투사 텔레비전이라는 주요 경쟁업체들을 빠르게 대체했다. 2010년대 중반에는 LCD가 압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판매되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유형이 되었다.[1][2]

LCD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OLED, FEDSED를 포함한 다른 기술들이 이러한 약점을 해결한다. LCD는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자점과 미니 LED 백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2000년대가 되면서 약 반세기 동안 대부분을 차지했던 브라운관 텔레비전을 대신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평판텔레비전이 부상했다.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JEITA)에 따르면, 2003년에 액정 및 플라스마와 같은 평판의 출하액이 브라운관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초기 액정 TV의 화면 크기는 휴대전화용 2인치 정도에서 13인치 정도였으며, 생산 시 액정 수율이 낮고 불량 픽셀(닷)이 섞이기 쉬워 저가격화와 대형화는 어렵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생산 기술의 개량으로 2002년경부터 30인치 전후의 대형 사이즈 제품도 등장했고, 2005년 8월에는 샤프(Sharp)가 65인치 액정 TV를 출시했다. 액정은 기본적으로 소비 전력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2010년대에 백라이트를 형광관 대신 저전력 LED로 한 기종이 널리 보급되면서 더욱 절전화에 성공했다.

3. 2. 6. OLED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층이 전류에 반응하여 빛을 방출하는 유기 화합물 박막인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이 유기 반도체 층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하다. OLED는 텔레비전 화면과 같은 장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컴퓨터 모니터, 휴대 전화, 휴대용 게임기, PDA와 같은 휴대용 시스템에도 사용된다.

OLED에는 소형 분자 기반과 폴리머를 사용하는 두 가지 주요 계열이 있다. OLED에 이동성 이온을 추가하면 작동 방식이 약간 다른 발광 전기화학 셀(LEC)이 생성된다. OLED 디스플레이는 패시브 매트릭스 어드레싱(PMOLED) 또는 액티브 매트릭스 어드레싱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OLED(AMOLED)는 각 픽셀을 켜거나 끄는 박막 트랜지스터 백플레인이 필요하지만 더 높은 해상도와 더 큰 디스플레이 크기를 제공한다.

OLED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없이 작동한다. 따라서 깊은 블랙 레벨을 표시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CD)보다 더 얇고 가볍다. 어두운 방과 같이 주변 조명이 낮은 조건에서는 OLED 화면이 LCD보다 더 높은 명암비를 달성할 수 있다.

; 유기 EL

: “EL”은 “Electro Luminescence(일렉트로루미네선스)”의 약자이다. “EL”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빛이 나는 냉광 현상의 총칭으로, 백열전구처럼 열의 부산물로 얻는 빛과 구별된다.

: “EL”에는 황화아연 등의 무기물을 사용하는 “무기 EL 디스플레이”와 디아민류 등의 유기물을 사용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두 종류가 있지만, 기존의 무기 EL은 컬러 표시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용도가 제한적이었다. 실용화된 예로는 시계의 백라이트, 의료 기기의 표시 디스플레이, 24시간 사용하는 편의점의 계산대 디스플레이, 우주왕복선에 탑재된 컴퓨터 등이 있다. 유기 EL은 무기 EL에 비해 “TV에 적합한 풀컬러 표시가 가능하다”, “낮은 전압으로 발광하여 밝다”, “얇게 만들 수 있으며 화면을 말아서 사용하는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등의 특징을 갖는다. 유기 EL은 전극 사이에 유기 EL 소재를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액정이나 플라즈마에 비해 구조가 매우 단순하다. 따라서 액정도 아니고 플라즈마도 아닌 새로운 영상 표시 방식을 채용한 차세대 TV로 주목받았다.

: PDA 클리에(CLIE)에서 유기 EL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니(Sony)는 2007년 10월 1일 세계 최초의 유기 EL TV인 “XEL-1”(패널의 최저 두께는 약 3mm로 세계 최박)을 12월(실제로는 일부 가전 양판점이 11월 22일에 앞당겨 판매했으며, 일반 소비자 대상 판매는 12월 1일)에 출시했다.[102]

: 유기 EL TV는 차세대 TV로 기대가 크지만, 2010년대에는 소재의 수명과 가격이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4. 종류 및 분류

텔레비전 수상기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방식: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으며, 21세기에는 디지털 방식이 주류이다.
  • 해상도: 8K, 4K, 풀HD, HD, SD 등으로 나뉜다.
  • 디스플레이: LCD, 유기EL(OLED) 등이 있으며, 2000년대에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브라운관 방식도 있었다.
  • 녹화 기능: 하드디스크(HDD) 내장형, 외장 HDD 연결 가능형이 있으며, 과거에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녹화하는 텔레비디오도 있었다.
  • 기타: 스마트텔레비전, 휴대용 텔레비전, 무선 텔레비전, 게임기 내장 텔레비전 등이 있다. (각 항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


1990년대 후반 일본에서 지상파 디지털 방송 전환이 결정된 후, 2000년대 후반에는 대부분의 회사에서 아날로그 튜너만 있는 모델 생산을 중단하였다. 오리온전기는 2009년을 마지막으로 아날로그 튜너 및 브라운관 방식 TV 생산을 중단하고, 2010년 이후에는 지상파 디지털 튜너를 탑재한 박형 TV만 생산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전환 이후에도 저가형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나 BS/CS 디지털 방송 미지원 제품이 판매되었으나, 아날로그 방송 종료 후에는 디지털 튜너 연결이 필요하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지상파 디지털/BS 디지털 튜너 내장형 브라운관 TV와 샤프(SHARP) 아쿠오스를 중심으로 지상파 아날로그 튜너만 탑재한 LCD TV도 생산되었다.

4. 1. 스마트 텔레비전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텔레비전을 가리키지만, 현재는 그것을 넘어 영상 콘텐츠를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누구와도” 시청할 수 있는 등, 새로운 서비스 모델의 구축을 지향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87] 정의는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고, 방송 사업자, 제조업체, 인터넷 기업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 등의 OS를 갖추고, 인터넷을 통해 앱을 설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텔레비전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동영상공유서비스의 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TV튜너까지 내장된 것이지만, 튜너 기능을 생략하고 튜너리스텔레비전이라고도 불리는 것이 좁은 의미의 스마트 텔레비전이다.

4. 2. 휴대용 텔레비전

휴대가 가능한 소형·경량의 텔레비전이다. 현재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 가능한 화면이 10형-15형 정도 크기의 LCD 휴대용 텔레비전이 판매되고 있다. 그 외에도, 매우 소수이지만 재난방지용품 판매장에서는 "FM/AM 수신기 겸용 원세그 수상기"도 판매되고 있다.[87]

1970년대 후반에는 외출 시에도 시청이 가능한 휴대용 텔레비전이 등장했고, 이때는 라지카세와 일체형으로, 화면은 브라운관 방식으로 모노크롬(흑백)이었으며, 어쨌든 휴대할 수 있지만 상당히 무거운 것이었다(1978년도시바가 발매한 라지카세 첨부 GT-4500[88] 등이 있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 액정을 사용함으로써 손바닥 크기까지 소형화되었고(초기의 모니터는 흑백), 1980년대 중반에는 휴대용 컬러 수상기가 등장했다. 2006년에 원세그 방송이 시작되어 원세그 탑재 휴대전화나 스마트폰도 상당히 보급되었지만, 2010년대에 NHK수신료 지불 문제를 계기로 신제품에는 탑재되지 않게 되었다.

현재는 튜너 부분은 고정형이고, 화면만 무선 방식으로 집 안에서 휴대할 수 있는 타입도 있다. 무선 텔레비전은 튜너 기기와 모니터가 독립되어 있고, 양자 간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무선통신(무선랜 등)에 의해 전송한다. 무선 텔레비전 튜너라는 튜너 부분만 있는 것도 판매되고 있으며, 이것은 PC나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이 텔레비전 화면이 된다.[89]

4. 3. 무선 텔레비전

무선 텔레비전은 튜너 기기와 모니터가 독립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무선 통신(무선랜 등)을 통해 전송한다.[89]

PC, 태블릿, 스마트폰을 텔레비전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무선 텔레비전 튜너도 판매되고 있다.[89]

4. 4. 게임기 내장 텔레비전

샤프제 브라운관 텔레비전 “패미컴텔레비전C1”은 닌텐도의 패미컴을, “SF1”은 후속 기기인 슈퍼패미컴을 내장한 텔레비전이었다.[89] 2000년에 후지TV가 88888JPY의 가격으로 5,000대를 웹 한정으로 판매한 “CX-1”은 CPU에 “CX-1 엔진”을 탑재한 세가의 라이선스를 받은 드림캐스트 호환기로 취급된 브라운관 텔레비전이었다.[89] 2010년에 소니가 제조하고, 영국에서만 판매한 BRAVIA KDL22PX300은 플레이스테이션2를 내장한 액정 텔레비전이었다.[89] 현재는 스마트텔레비전에서 안드로이드 앱의 스마트텔레비전 대응 게임을 설치하여 플레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89]

5. 특별 용도 텔레비전

대부분의 텔레비전은 가정용으로 설계되었지만, 호텔, 의료 및 기타 상업 환경을 포함한 여러 시장에서는 다양한 제품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는 텔레비전으로는 숙박업용, 의료용, 옥외용 텔레비전 등이 있다.

5. 1. 숙박업용 텔레비전

대부분의 텔레비전은 가정용으로 설계되었지만, 호텔이나 의료 시설 등에서는 특수한 기능이 요구된다. 숙박업계(Hospitality industry)를 위해 제작된 텔레비전은 시설 내부 텔레비전 시스템의 일부로, 투숙객이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78][79]

숙박업용 텔레비전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설정 메뉴 잠금: 비밀번호를 통해 설정 메뉴를 숨기고 잠가 투숙객이 설정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한다.
  • 볼륨 제한: 투숙객이 과도하게 큰 소리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을 방지한다.
  • 사용자 지정 시작 이미지: 호텔 로고 등 사용자 지정 이미지를 텔레비전 시작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 채널 숨기기: 특정 채널을 투숙객이 시청하지 못하도록 숨길 수 있다.
  • 셋톱박스 제어: 텔레비전 뒷면의 데이터 포트를 통해 셋톱박스를 제어하여 채널 목록, 유료 시청, 주문형 비디오, 스마트폰/태블릿 캐스팅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78][79]


숙박 시설은 콘텐츠 저작권 침해에 취약하므로, 많은 콘텐츠 제공업체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요구한다.[80] 셋톱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숙박업계 TV는 업계 표준 Pro:Idiom을 해독한다. H.264는 북미의 ATSC 1.0 표준은 아니지만, 숙박업계 TV 콘텐츠에는 H.264로 인코딩된 비디오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H.264 디코딩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수십, 수백 대의 TV를 관리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숙박업계 TV는 USB 드라이브에 설정을 저장하고 빠르게 복원하여 설정을 복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및 클라우드 기반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체 TV 그룹을 모니터링하고 구성할 수 있다.

5. 2. 의료용 텔레비전

의료용 TV는 사용자가 이동성이 제한되거나 시청각 장애가 있을 수 있는 의료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한 추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주요 기능은 베개 스피커 연결인데, 간호사 호출 기능, TV 리모컨, 오디오용 스피커를 결합한 것이다. 여러 대의 TV가 근접하여 사용되는 다인실의 경우, 각 리모컨이 하나의 TV만 제어하도록 고유 코드를 사용하여 TV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81] 침대 옆 정보 오락 시스템이라고도 하는 소형 TV는 화면 아래에 모든 기능 키패드가 있어, 베개 스피커나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상호작용할 수 있다.[81] 이러한 TV는 일반적으로 항균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소독제를 사용한 매일 청소에도 견딜 수 있다.[81]

5. 3. 옥외용 텔레비전

대부분의 텔레비전은 가정용으로 설계되었지만, 호텔, 의료 등 여러 상업 환경에서도 다양한 제품이 요구된다.

옥외용 텔레비전은 야외 사용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보통 주점, 운동장 등 야외 공간에서 볼 수 있다. 대부분 고화질 텔레비전 기술을 사용하며, 본체가 견고하고 화면은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도 잘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 방지 코팅이 되어 있고, 내후성이 있으며 도난 방지 브래킷도 장착되어 있다. 야외용 TV 모델은 BD 플레이어 및 PVR과 연결하여 기능을 높일 수 있다.[82]

6. 교체, 재활용 및 폐기

미국에서는 평균적으로 소비자가 6.9년마다 텔레비전을 교체하지만, 고급 소프트웨어와 앱 덕분에 교체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83] 최근 전자폐기물 관련 법규의 변화로 인해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텔레비전 폐기가 텔레비전 재활용이라는 형태로 점점 더 용이해졌다. 텔레비전 재활용의 과제로는 적절한 위험물 폐기, 매립지 오염 및 불법 국제 거래가 포함된다.[84]

7. 시장 및 주요 제조사

텔레비전 수상기는 여러 가전 제품 제조사들의 주력 품목이다. 2011년 판매된 텔레비전 수상기는 약 2억 4767만 대였다.[114]

미국 소비자 보고서(Consumer Reports) 제품 테스트, LCD 및 플라즈마 TV 세트


주요 경쟁 TV 기술은 다음과 같다.

  • CRT
  • LCD (QLED, 양자점, LED, LCD TN, LCD IPS, LCD PLS, LCD VA 등)
  • OLED
  • 플라즈마

7. 1. 세계 시장

2016년 전 세계 LCD TV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20.2%), LG전자(12.1%), TCL(9%), 하이센스(6.1%), 소니(5.6%) 순이었다.[85] 2023년 세계 TV 출하량은 삼성전자(16%), 하이센스(11%), TCL(11%), LG전자(10%), 샤오미(5%) 순이다.[109]

2016년 전 세계 LCD TV 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85]

순위제조업체시장 점유율 (%)본사
1삼성전자20.2수원한국어, 대한민국
2LG전자12.1서울한국어, 대한민국
3TCL9후이저우중국어, 중국
4하이센스6.1칭다오중국어, 중국
5소니5.6도쿄일본어, 일본
7스카이워스3.8선전중국어, 중국
8TPV Technology (필립스)3.8홍콩중국어, 중국
9비지오3.7얼바인 (캘리포니아주)|얼바인영어, 미국
10창홍3.2미아양중국어, 중국
11하이얼3칭다오중국어, 중국
12기타27.2



2019년 TV 시장 점유 브랜드 비율은 다음과 같다.

TV 시장 점유 브랜드 비율 (2019년 자료)
삼성전자TCLLG전자하이센스스카이워스샤오미소니창홍AOC/TP Vision콘카Others
17.8%13%11%7.5%5.8%5.5%4.2%3.9%3.7%2.8%24.8%



2023년 세계 TV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16%), 하이센스(11%), TCL(11%), LG전자(10%), 샤오미(5%), 기타 제조사(46%) 순이다.[109] 고급 TV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TCL, 하이센스 외에 소니의 시장 점유율이 높다.[109]

7. 2. 일본 시장

2010년대에는 일본 업체들이 해외 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려 세계 시장에서 불리한 상황에 놓이면서, 비용 절감을 위해 텔레비전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다른 업체에 매각하는 사례가 급증했다. 이는 과거 대규모 투자가 오히려 화를 부른 결과였다.[98]

2000년대 일본 제조사들의 국내 생산과 TV 사업 부문은 큰 변화를 겪었다. 2012년 도시바는 국내 생산을, 히타치는 자체 생산을 각각 종료했다. 2014년 파나소닉은 플라즈마 TV 판매를 종료했고, 소니는 TV 사업을 분사했다. 2016년 파나소닉은 TV용 액정 패널 생산을 종료했으며, 2018년 도시바는 TV 사업을 하이센스에 매각했고, 히타치는 국내 생산을 종료했다.

7. 3. 한국 시장 (추가)

대한민국은 삼성전자LG전자를 필두로 세계 텔레비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특히 OLED TV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114] 더불어민주당은 5G, 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산업 혁신을 지원하고,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자료에 따르면, TV 시장 점유 브랜드 비율은 다음과 같다.[114]

TV 시장 점유 브랜드 비율 (2019년 자료)
삼성전자TCLLG전자하이센스스카이워스샤오미소니창홍AOC/TP Vision콘카Others
17.8%13%11%7.5%5.8%5.5%4.2%3.9%3.7%2.8%24.8%



과거에는 일본 업체들이 일본 시장을 장악하고 지상파 디지털 방송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했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한민국을 비롯한 해외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려 텔레비전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매각하는 사례가 늘었다.[98]

8. 화면 크기

텔레비전 화면 크기는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의 경우 관의 대각선 치수로,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 유효 시청 영역의 대각선 치수로 표시된다. 단위는 사실상 인치(1인치=2.54cm)이다. 계량법상 일본에서는 인치 사용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므로, 제조업체는 인치 표기를 피하고 '20형' 등으로 표시하지만, 20형은 이 경우 20인치를 의미한다. 같은 숫자라면 브라운관보다 평판 디스플레이의 시청 영역이 더 넓다.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경우 숫자 뒤에 'V'(비주얼 사이즈)가 붙고('26V', '32V', '37V' 등), 브라운관 TV보다 2인치에 해당하는 크기가 된다.[51][52][53][54][55][56][57]

대각선 치수(인치)에서 세로 가로 치수(cm)를 유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면 가로세로 비율세로 (cm)가로 (cm)
4:3인치 수 × 0.6 × 2.54 ≒ 인치 수 × 1.52인치 수 × 0.8 × 2.54 ≒ 인치 수 × 2
16:9인치 수 × 0.49 × 2.54 ≒ 인치 수 × 1.24인치 수 × 0.87 × 2.54 ≒ 인치 수 × 2.2



예를 들어 30인치 와이드 TV의 세로 치수는 30 × 0.49 × 2.54 = 약 37.3cm이다.

9. 단자

텔레비전은 다양한 기기 연결을 위한 단자를 갖추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자는 다음과 같다.


  • HDMI 단자
  • RF 단자 (F형(안테나) 단자 (지상파DMB, BS·110°CS))[86] (현재, 동축 75Ω F형 단자는 지상파DMB용과 BS용 단자가 있는 경우가 많다)
  • 이어폰(헤드폰)용 스테레오 미니 단자
  • LAN 단자 (인터넷 연결용)
  • USB 단자 (외장 HDD를 추가하여 방송 녹화가 가능한 기종 등)


과거에 사용되었던 단자는 다음과 같다. 일부는 레거시 기기용으로 남아있다.

  • 컴포지트(RCA) 단자
  • 컴포넌트 단자, D-Sub 단자
  • S-비디오 단자, 컴포넌트 단자
  • 스테레오 또는 모노 오디오 단자 (보통, 영상 단자와 1쌍)
  • RGB 21핀
  • i.LINK 단자
  • 적외선 시스템 단자 (명칭은 기종·제조업체에 따라 다름)
  • 전화 회선 단자 (다이얼업 연결용)


1990년대까지 지상파용 안테나 단자는 VHF·UHF 분리형(단자가 별개)인 경우가 많았다. 1980년대까지의 텔레비전은 VHF 단자가 동축 75Ω F형이고 UHF는 피더 직부착(300Ω)이었으며, 1970년대 이전의 텔레비전은 VHF 단자도 동축·피더 직부착형이었다.

DVD 시대에는 퍼스널 컴퓨터용 비디오 카드 (그래픽 카드)와 연결하기 위한 DVI 단자를 탑재한 기종이 있었다. 블루레이 디스크 시대가 되면서 외부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는 HDMI 단자가 주류가 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어폰 단자가 모노럴 미니 단자였던 시대가 있었다.

10. 리모컨

리모컨


원격 제어를 위한 장치 또는 시스템이다. 리모컨의 사양은 제조업체마다 다르며, 같은 제조업체라도 시대에 따라 사양이 다른 경우가 있다.

가전제품 판매점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단독으로 판매되는 서드파티 제조사의 리모컨은 제조업체 설정을 변경하여 여러 제조사의 TV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HDD 레코더나 DVD·BD 플레이어 등의 기본적인 기능까지 조작 가능한 제품도 많다. 녹화 장치의 리모컨은 설정을 변경하여 동일하거나 다른 제조업체의 TV 조작도 가능한 경우가 있다.

리모컨을 분실하거나 배터리가 없을 때에도 최소한의 조작(전원, 채널, 볼륨 등)이 가능하도록 TV 본체에 기본적인 버튼이 있는 경우가 많다.

; TV 리모컨의 역사

1960년대까지는 전원 켜기/끄기, 채널 변경/선택, 볼륨 조절을 위한 다이얼이나 스위치가 본체에만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적외선 방식의 무선 리모컨으로 원격 조작이 가능한 제품이 등장하여 1980년대에 보급되기 시작했고[106], 1990년대 이후에는 리모컨으로 조작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11. 채널 설정

현대에는 디지털 방송이 주류를 이루면서 초기 설정 단계에서 거주 지역의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채널을 포함한 모든 지역 정보가 자동으로 설정된다.[107]

과거에는 채널 선택 다이얼을 돌리거나,[107] 방송 채널이 설정된 본체 버튼을 눌러 원하는 방송국을 수동으로 찾는 방식이 주류였다. 이후 디지털 프리셋 방식(수신 채널 항목의 숫자를 바꾸는 동시에 화면이 바뀌는 방식)이 보급되어 전파가 약한 지역에서도 원하는 방송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거주 지역의 지역 번호나 시외 국번(제조사에 따라 다름)을 입력하여 모든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도 보급되어 이사 후 재설정이 간소화되었다. 단, 지역 번호나 시외 국번이 등록된 지역은 각 도의 도청 소재지의 기간 송신소(종가국 등 대형 송신소)의 수신 지역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미등록 지역에서는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방송이 없는 채널을 제외하고(순차 선택 시) 방송이 있는 채널만 선택할 수 있는 '채널 스킵' 기능은 아날로그 프리셋 시대부터 탑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외부 입력 표시를 연결된 기기에 맞게 변경하거나, 연결된 기기가 없는 외부 입력 채널을 제외하는 '입력 스킵' 기능도 탑재되고 있다.

12. 설치 방법

텔레비전 설치 방법으로는 TV 다이 위에 두는 방법, 뒷면의 VESA 마운트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하거나 모니터암으로 가동적으로 지지하는 방법, 벽면의 높은 위치(천장에 가까운 위치)에 "TV 선반"을 만들어 설치하는 방법(음식점 등에서 채택되는 방법)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HS Technology – The Source for Critical Information and Insight. – IHS Technology http://www.displayse[...]
[2] 웹사이트 RIP, rear-projection TV https://www.cnet.com[...] CNET
[3] 웹사이트 Mitsubishi Drops DLP Displays: Goodbye RPTVs Forever http://www.cepro.com[...]
[4] 웹사이트 LG's Exit May Herald End of Plasma TVs – Tom's Guide http://www.tomsguide[...] 2014-10-28
[5] 웹사이트 Discontinue Notice of TFT-LCD (CCFL Products) http://www.datadispl[...] Mitsubishi Electric 2012-07-11
[6] 웹사이트 Early British Television: Baird http://www.tvhistory[...]
[7] 웹사이트 Pre-1935 http://www.tvhistory[...]
[8] 웹사이트 Pre-1935 Baird Sets: UK http://www.tvhistory[...]
[9] 서적 Flat-Panel Displays and CRT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Inc. 1985
[10] 웹사이트 Karl Ferdinand Braun https://www.lindahal[...]
[11] 웹사이트 Kenjiro Takayanagi: The Father of Japanese Television https://web.archive.[...] 2009-05-23
[12] 웹사이트 Milestones:Development of Electronic Television, 1924-1941 http://www.ieeeghn.o[...] 2015-12-11
[13] 웹사이트 Telefunken http://www.earlytele[...]
[14] 웹사이트 1934–35 Telefunken http://www.tvhistory[...]
[15] 웹사이트 1936 French Television http://www.tvhistory[...]
[16] 웹사이트 1936 Baird T5 http://www.tvhistory[...]
[17] 웹사이트 Communicating Systems, Inc. http://www.earlytele[...]
[18] 웹사이트 America's First Electronic Television Set http://www.tvhistory[...]
[19] 웹사이트 American TV Prices http://www.tvhistory[...]
[20] 웹사이트 Annual Television Sales in USA http://www.tvhistory[...]
[21] 웹사이트 Number of TV Households in America http://www.tvhistory[...]
[22] 서적 Environment and Society: A Critical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23]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earlytele[...]
[24] 서적 Business and Industry: Savings and investment options to telecommuting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4
[25] 간행물 Sony Founder Masaru Ibuka's New Year's Dream Comes True: The Launch of Sony's TV Business https://www.sony.net[...] Sony 2019-10-01
[26] 서적 Japanese Design https://books.google[...] The Museum of Modern Art 2009
[27] 문서 Electrons in Shadow-mask Colour Tubes Thorn-AEI Radio Valves and Tubes Limited 1967
[28] 서적 A History of Industrial Design https://books.google[...] Phaidon Press 1983
[29] 서적 Evolu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Symbiosis of Adaptive Value Networks and IC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7
[30] 뉴스 1966: BBC tunes in to colour http://news.bbc.co.u[...] 2020-11-19
[31] 서적 Lenk's Television Handbook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95
[32] 서적 Newnes TV and Video Engineer's Pocket 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1999
[33] 간행물 The TFT A New Thin-Film Transistor 1962-06
[34] 간행물 The Inventors of TFT Active-Matrix LCD Receive the 2011 IEEE Nishizawa Medal 2012
[35] 서적 Liquid Gold: The Story of Liquid Crystal Displays and the Creation of an Industry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5
[36] 논문 Thin Film Transistor Technology—Past, Present, and Future https://www.electroc[...] 2013-01-01
[37] 논문 A 6 × 6 inch 20 lines-per-inch liquid-crystal display panel 1973-11-01
[38] 논문 Current Status of LCD-TV Development in Japan 1982-10-12
[39] 서적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
[40] 웹사이트 ET-10 https://global.epson[...] 2019-07-29
[41] 서적 Conference Record of the 1988 International Display Research Conference 1988-10-01
[42] 서적 Popular Science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1992-01-01
[43] 웹사이트 LG presents at IFA 2014 its curved OLED TVs with 4K resolution https://www.digitala[...] 2014-09-08
[44] 웹사이트 LG unveils world's first flexible OLED TV https://newatlas.com[...] 2014-01-07
[45] 웹사이트 Do real TVs have real curves? https://www.cnet.com[...]
[46] 웹사이트 LG's $100,000 rollable OLED TV is canceled https://www.theverge[...] 2024-05-16
[47] 웹사이트 65" rollable TV LG Signature OLED R is now available for $87,000 https://www.gsmarena[...]
[48] 웹사이트 LG's 'wireless' and wildly expensive 97-inch OLED TV sees first global release https://www.theverge[...] 2023-08-03
[49] 웹사이트 LG's world-first wireless transparent OLED TV takes the game right back to Samsung https://www.techrada[...] 2024-01-09
[50] 웹사이트 This free TV comes with two screens https://www.theverge[...] 2023-05-15
[51] 이미지 https://www.guenthoe[...]
[52] 웹사이트 When Cambridge invented the world's smallest telly http://www.cambridge[...] 2017-01-10
[53] 웹사이트 Samsung reveals a 292-inch TV, the largest we've seen at CES https://www.cnet.com[...] CNET
[54] 웹사이트 TV Size Over the Past 8 Years https://flowingdata.[...] 2009-09-23
[55] 웹사이트 LCD TV: Average screen size U.S. 1997-2022 https://www.statista[...]
[56] 웹사이트 Remember when TVs weighed 200 pounds? A look back at TV trends over the years https://www.cnet.com[...] CNET
[57] 웹사이트 TV screens are getting bigger as technology improves and prices fall https://apnews.com/a[...] 2024-11-03
[58] 웹사이트 spanish info about tv http://tvbaratas.net[...] 2016
[5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athode Ray Tube http://inventors.abo[...]
[60] 웹사이트 Mineral Yearbook 2007:Strontium http://mineral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61] 서적 Minerals Yearbook https://books.google[...] Bureau of Mines 2011-05-08
[62] 웹사이트 How Computer Monitors Work http://computer.hows[...] 2000-06-16
[63] 웹사이트 How Digital Light Processing Works https://thre3d.com/h[...] THRE3D.com
[64] 서적 Electrons in Picture Tubes 1964
[65] 웹사이트 Murphy model A42V https://www.bvws.org[...] 1936
[66] 웹사이트 Mullard Television Projection Tube https://frank.pocnet[...]
[67] 웹사이트 Philips http://www.thevalvep[...]
[68] 웹사이트 Philips http://www.thevalvep[...]
[69] 웹사이트 The Optics of Projection Television http://www.r-type.or[...]
[70] 웹사이트 How Projection Television Works https://electronics.[...] 2000-12-19
[71] 웹사이트 America's Television Graveyards – VICE https://www.vice.com[...] 2017-02-16
[72] 웹사이트 Rear projection vs. LCD vs. plasma https://www.cnet.com[...] CNET
[73] 웹사이트 Why Samsung's F8500 is the last great plasma TV https://www.cnet.com[...] CNET 2021-05-21
[74] 웹사이트 Philips et Thomson en position d'attente https://www.lesechos[...] 1997-04-09
[75] 웹사이트 20 Jahre Flachbildfernseher - OLED und 4K momentan Spitze der Entwicklung | RTF.1 https://www.rtf1.de/[...]
[76] 웹사이트 Fujitsu is World's First to Mass Produce 42-inch Color Plasma Display Panels https://pr.fujitsu.c[...]
[77] 뉴스 Global LCD TV sales overtake CRT https://www.theregis[...] 2008-02-22
[78] 웹사이트 Why Are Hotel TVs So Bad? https://www.popularm[...] Popular Mechanics 2017-09-18
[79] 웹사이트 More hotels will let you watch your own Netflix Engadget https://www.engadget[...] 2017-06-22
[80]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Hospitality TV And A Normal TV? https://droidrant.co[...] 2022-03-23
[81] 웹사이트 Supporting Bedside Technologies for Patient Satisfaction https://healthtechma[...] 2017-01-27
[82] 웹사이트 SunBrite outdoor TV: An expensive luxury https://www.usatoday[...]
[83] 뉴스 Your Smart TV Is Only Going to Get Dumber https://www.wsj.com/[...] 2018-11-25
[8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20-04-11
[85] 웹사이트 Global market share held by LCD TV manufacturers from 2008 to 2017 http://www.statista.[...]
[86] 문서
[87] 웹사이트 第1部 特集 ICTが導く震災復興・日本再生の道筋 https://www.soumu.go[...] 総務省 2012-01-01
[88] 웹사이트 時代が生んだ重量級のポータブル情報端末機器 「TOSHIBAテレビ(ラジオカセット付)GT-4500」 https://fabcross.jp/[...] fabcross 2016-01-29
[89] 웹사이트 https://www.pixela.c[...]
[90] 웹사이트 【キーマン列伝】30年の研究が実を結んだ「テレビの父」 〜高柳 健次郎氏 https://news.mynavi.[...] 2012-06-26
[91] 웹사이트 1953年に、国産第1号テレビの本格的量産を開始 https://blog.sharp.c[...] 2014-03-13
[92] 문서
[93] 웹사이트 坂口安吾 桐生通信 https://www.aozora.g[...]
[94] 웹사이트 1号機ものがたり 製品詳細 https://toshiba-mira[...]
[95] 웹사이트 アナログテレビ最大6400万台がゴミに 地デジ移行で http://www.asahi.com[...] アサヒコム 2007-03-06
[96] 웹사이트 ブラウン管テレビの生産が世界中で終了へ、量産開始から約70年 | 財経新聞 https://www.zaikei.c[...]
[97] 뉴스 「昭和」の象徴…ブラウン管TVの生産終了へ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4-12-08
[98] 웹사이트 予測できた「地デジ特需」終了 テレビ巨額投資の謎: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99] 웹사이트 曲面ディスプレイTVは死んだ。CESを現地取材している記者が語る最新のTVトレンド | ギズモード・ジャパン https://www.gizmodo.[...]
[100] 문서
[101] 웹사이트 二人以上世帯では96.6%…カラーテレビの普及率をさぐる(不破雷蔵)-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102] 문서
[103] 문서
[104] 서적 業界研究シリーズ 電機 日本経済新聞社 2006
[105] 문서
[106] 웹사이트 テレビは画質や大きさだけじゃない!昭和のリモコンの進化が健気すぎる | 和樂web 日本文化の入り口マガジン https://intojapanwar[...]
[107] 문서 당시 민방 TV 방송국 수 적고 VHF/UHF 각 1개국만 있는 지역 많아 UHF는 해당 UHF 방송국에 사실상 고정
[108] 웹사이트 電気機械器具品質表示規程 http://www.caa.go.jp[...] 消費者庁 2013-05-23
[109] 웹사이트 Global TV Shipments Fall 3% in 2023; China Drives Premium Segment Growth https://www.counterp[...] 2024-08-28
[110] 웹사이트 BAIRD TELEVISION http://www.bairdtele[...]
[111] 서적 기술의 프로메테우스 신원문화사 2006
[112] 웹사이트 텔레비전의 역사 http://www.scieng.ne[...] 2005-08-21
[113] 웹사이트 What is DTV? http://www.dtv.gov/w[...] 2012-02-19
[114] 웹사이트 TV수상기 브랜드 현황 https://www.statis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