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은 1975년 NWA 유나이티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단체 이전을 거쳐 현재 WWE에서 관리하는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다. 할리 레이스가 초대 챔피언이며, 릭 플레어가 6회로 최다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렉스 루거는 523일로 최장 기간 챔피언이며,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은 약 5분으로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 타이틀은 NWA, WCW를 거쳐 WWE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나카무라 신스케가 챔피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91년부터 2000년까지 WCW에서 운영된 2급 챔피언십 타이틀로, NWA 미드애틀랜틱 TV 왕좌에서 시작되어 중견급 레슬러들이 경쟁하는 무대였으며 부커 T가 최다 챔피언을 기록했고, WCW 몰락과 함께 사라졌다.
  • 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1988년부터 2001년까지 WCW에 존재했던 태그팀 챔피언십으로,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시작하여 WWE에 인수된 후 WWF 태그팀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더들리 보이즈를 마지막 챔피언으로 사라졌다.
  • WWE 챔피언십 - WWE 태그팀 챔피언십
    WWE 태그팀 챔피언십은 스맥다운 브랜드의 태그팀 활성화를 위해 2016년 창설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라이노와 히스 슬레이터가 초대 챔피언이며, 디 우소즈가 최장수, 더 뉴 데이가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WWE 챔피언십 -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WWE)은 WWE의 태그팀 레슬링 챔피언십으로, 2002년 WWE RAW에서 처음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통합 과정을 거쳐 2024년 4월 15일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한다.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기본 정보
현재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벨트 (2020년-현재)
현재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벨트 (2020년–현재)
챔피언십 이름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나카무라 신스케
획득일2024년 11월 30일
생성일1975년 1월 1일
프로모션짐 크로켓 프로모션스 (1975년–1988년)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1988년–2001년)
WWE (2001년; 2003년–현재)
브랜드스맥다운
최다 획득릭 플레어 (6회)
초대 챔피언할리 레이스
최장 기간 보유렉스 루거 (3회, 523일)
최단 기간 보유스티브 오스틴 (2회, 5분)
최고령 챔피언테리 펑크 (56세 85일)
최연소 챔피언데이비드 플레어 (20세 121일)
가장 무거운 챔피언빅 쇼 (226.8 kg)
가장 가벼운 챔피언칼리스토 (77.1 kg)
과거 명칭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미드-애틀랜틱) (1975년–1981년)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무제한) (1981년–1991년)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1991년–2001년)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2001년)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3년–현재)

2. 역사

1975년 NWA에서 '''NWA 유나이티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짐 크로켓이 운영하는 미드-애틀란틱 챔피언 레슬링에서 탄생하였으며, 할리 레이스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19] 1981년 NWA에서 유일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이 되었고, 1986년 챔피언십 위상이 2위로 변경되었다.

1988년 테드 터너가 이끄는 WCW가 창설되면서 NWA와 분리되었고, 1991년부터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001년 WWE(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가 WCWECW를 흡수하면서 WWE로 이동하였고,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었다.

2003년 7월, 스맥다운 단장 스테파니 맥맨이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을 부활시켰고, 에디 게레로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22] 2012년 그랜드 슬램 챔피언십 기타 챔피언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2015년 섬머슬램에서는 존 시나세스 롤린스의 "Winner takes all" 경기가 있었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WWE 브랜드 분리와 통합을 통해 챔피언십은 Raw와 스맥다운을 오가며 변동이 있었다.

2. 1. NWA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 (1975년 ~ 1991년)

1975년 1월 1일, 할리 레이스가 초대 챔피언으로 등극하며 NWA 유나이티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시작되었다. 이 타이틀은 미드-애틀란틱 챔피언 레슬링(짐 크로켓 프로모션)에서 탄생하였다.[19] 1981년,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한 NWA 지역 단체 빅 타임 레슬링의 운영 중단으로 미드-애틀란틱 버전이 유일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이 되었다.

1986년,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이 프로모션의 주요 챔피언십이 되면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타이틀은 두 번째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 테드 터너가 회사를 인수하고 1988년 11월에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으로 이름을 바꾼 후에도 이 타이틀은 계속해서 두 번째 챔피언십으로 사용되었다.

할리 레이스, 초대 챔피언


NWA와 WCW에서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을 획득한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선수챔피언 등극 횟수
할리 레이스초대
릭 플레어여러 차례
로디 파이퍼여러 차례
렉스 루거여러 차례
니키타 콜로프



1991년 1월, WCW는 타이틀 이름을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하며 NWA에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2. 2. WCW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1991년 ~ 2001년)

1988년 테드 터너가 회사를 인수하고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으로 이름을 변경한 후에도 이 타이틀은 유지되었다. WCW는 1991년 1월에 타이틀 이름을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변경함으로써 NWA로부터 멀어지기 시작했다.[1]

WCW에서 이 타이틀을 획득한 대표적인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스팅
  • 릭 루드
  • 스티브 오스틴
  • 사사키 켄스케


1991년 4월 6일,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에피소드에서 니키타 콜로프는 챔피언 렉스 루거와의 경기 후 난투극에서 1980년대 클래식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를 파괴했다. 콜로프는 스스로가 진정한 챔피언이라고 주장하며 타이틀 벨트로 루거를 쳐서 기절시키고 링 포스트에 챔피언십 벨트를 반복해서 부딪쳤다. 이후 루거는 새롭게 디자인된 벨트를 착용했으며, 이 벨트는 2001년 3월 WCW가 월드 레슬링 연맹(WWF)에 인수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1]

WWE(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가 WCWECW를 흡수하면서 이 타이틀은 WWE로 이동되었고, 부커 T가 WCW에서의 마지막 챔피언이 되었다.[19]

2. 3. WWE (월드 레슬링 엔터테인먼트) (2001년 ~ 현재)

2001년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은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잠시 사라졌다.[21] 그러나 2003년, 브랜드 확장 이후 스맥다운 단장 스테파니 맥맨이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으로 부활시켰다.[22] 에디 게레로가 토너먼트에서 우승하여 부활 후 첫 챔피언이 되었다.[22]

2012년 WWE 메인이벤트를 통해 그랜드 슬램 챔피언십의 기타 챔피언십으로 인정되었다. 2015년 섬머슬램에서 존 시나세스 롤린스의 "Winner takes all" 경기가 열렸다. 브랜드 분리와 통합을 거치며 Raw와 스맥다운을 오가며 챔피언십이 진행되었다.

타지리, 나카무라 신스케 등 일본인 레슬러도 챔피언에 등극하였다.[21][22] 2024년 11월 8일, 스맥다운 제너럴 매니저 닉 알디스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의 여성 버전을 소개했다.

3. 역대 타이틀 명칭

타이틀 명칭연도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미드-애틀란틱 버전)1975년 1월 1일 ~ 1981년 1월 27일
NWA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981년 1월 27일 ~ 1991년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1991년 ~ 2001년
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2001년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2003년 ~ 현재


4. 벨트 디자인

2014년에 WWE 로고가 업데이트된 것을 제외하면, 2003년 타이틀 부활부터 2020년 새로운 디자인으로 교체될 때까지 사용된 WWE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챔피언십 디자인 중 하나


1991년 4월 6일,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에피소드에서 니키타 콜로프는 렉스 루거와의 경기 후 난투극 도중 1980년대 클래식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벨트를 파괴했다.[1] 이후 새로운 디자인의 벨트로 교체되었으며, 이 벨트는 2001년 3월까지 사용되었다.

2003년,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으로 부활하면서 새로운 디자인의 벨트가 사용되었다. 이 벨트는 7각형 모양에 미국 국기와 WWE 로고, "UNITED STATES CHAMPION" 문구가 새겨져 있었으며, 2014년에 WWE 로고가 현재의 로고로 업데이트되었다.[8][9]

2020년 7월 6일 ''Raw'' 에피소드에서 MVP는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의 벨트를 선보였다. 중앙 플레이트는 거꾸로 된 7각형이며, 상단에는 금색 배경에 흰색 별이 있는 WWE 로고가 있다. 그 아래에는 빨간색으로 "UNITED STATES", 파란색으로 "CHAMPION"이 새겨져 있고, 두 단어 사이에는 8개의 별이 있다. 챔피언이라는 단어 아래에는 미국 국기의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 아래 날개를 펼친 독수리가 있다. WWE의 다른 챔피언십 벨트와 마찬가지로, 챔피언의 로고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두 개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있다.[10]

4. 1. 커스텀 디자인


  • 2000년, 랜스 스톰은 이 챔피언십을 획득한 뒤 공식적으로 "캐나디안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벨트에 커다란 캐나다 국기 스티커를 부착했다.[11]
  • 존 시나는 2004년과 2005년에 챔피언십을 보유하는 동안, 당시 그의 힙합 기믹에 맞춰 이 타이틀의 스피너 벨트를 사용했다.[11]
  • LA 나이트는 2024년 10월 챔피언십을 보유하는 동안, 검은색 스트랩 전체에 흰색 "LA" 로고가 새겨진 자신만의 커스텀 버전을 선보였다.[11]

5. 기록들

기록선수비고
초대 챔피언할리 레이스[19]
최장수 챔피언렉스 루거523일 (NWA/WCW)
딘 앰브로스351일 (WWE)[19]
최단 기간 챔피언"스터닝" 스티브 오스틴약 5분[19]
최다 챔피언릭 플레어6회 (NWA/WCW)
존 시나5회 (WWE)[19]
최중량급 챔피언빅 쇼230kg
최경량급 챔피언칼리스토77kg
최고령 챔피언테리 펑크56세[19]
최연소 챔피언데이비드 플레어20세[19]



부커 T와 세스 롤린스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과 월드 챔피언십을 동시에 보유한 유일한 두 선수이다. 부커 T는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롤린스는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보유했다. 렉스 루거골드버그는 처음 월드 챔피언십을 획득했을 때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이었지만, 부커 T와 롤린스와는 달리 월드 챔피언십 획득 후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을 반납했다.[19]

NWA/WCW와 WWE를 통틀어 이 타이틀은 21번이나 공석이 되었다.[19]

나카무라 신스케는 2024년 11월 30일 서바이버 시리즈: 워게임즈에서 LA 나이트를 꺾고 3회 챔피언에 등극하여 현재 챔피언이다.[20]

6. 역대 챔피언

3회 챔피언 나카무라 신스케


초대 챔피언은 할리 레이스였다. 총 103명의 챔피언이 있었으며, 릭 플레어가 6회로 최다 획득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9] 최장 기간 챔피언은 렉스 루거로 1989년 5월 22일부터 1990년 10월 27일까지 523일간 타이틀을 유지했다. 반면 "스터닝" 스티브 오스틴의 두 번째 챔피언 기간은 약 5분에 불과해 최단 기간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WWE 소속으로는 딘 앰브로스가 2013년 5월 19일부터 2014년 5월 5일까지 351일간 챔피언 자리를 지켜 최장 기간 챔피언이 되었다. 부커 T와 세스 롤린스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과 월드 챔피언십을 동시에 보유한 유이한 선수들이다. 부커 T는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롤린스는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보유했다. (렉스 루거와 골드버그는 월드 챔피언십을 처음 획득했을 때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이었지만, 부커 T와 롤린스와 달리 월드 챔피언십 획득 후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을 반납했다.) 테리 펑크는 2000년 9월 22일 56세의 나이로 타이틀을 획득해 최고령 챔피언이 되었고, 데이비드 플레어는 1999년 7월 5일 20세의 나이로 최연소 챔피언이 되었다. NWA/WCW와 WWE를 통틀어 이 타이틀은 21번 공석이 되었다.

현재 챔피언은 3회 챔피언인 나카무라 신스케이다. 그는 2024년 11월 30일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밴쿠버에서 열린 서바이버 시리즈: 워게임즈에서 LA 나이트를 꺾고 챔피언에 등극했다.[20]

NWA / JCP
챔피언획득 횟수보유 일수날짜
할리 레이스1183일1975년 1월 1일
조니 발렌타인
※1975년 10월 4일, 비행기 사고로 인한 은퇴로 왕좌 공석
192일1975년 7월 3일
테리 펑크
※토너먼트 결승에서 존스를 꺾고 획득
118일1975년 11월 9일
폴 존스1106일1975년 11월 27일
블랙잭 멀리건1217일1976년 3월 13일
폴 존스242일1976년 10월 16일
블랙잭 멀리건2203일1976년 12월 15일
보보 브라질121일1977년 7월 7일
릭 플레어183일1977년 7월 29일
리키 스팀보트172일1977년 10월 21일
블랙잭 멀리건377일1978년 1월 1일
미스터 레슬링121일1978년 3월 19일
릭 플레어2251일1978년 4월 9일
리키 스팀보트2104일1978년 12월 18일
릭 플레어
※1979년 8월 12일,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획득으로 반납
3133일1979년 4월 1일
지미 스누카
※토너먼트 결승에서 스팀보트를 꺾고 획득
1232일1979년 9월 1일
릭 플레어497일1980년 4월 20일
로디 파이퍼1193일1981년 1월 27일
와후 맥다니엘
※1981년 9월, 부상으로 반납
131일1981년 8월 8일
서전트 슬로터
※토너먼트 결승에서 스팀보트를 꺾고 획득
1228일1981년 10월 4일
와후 맥다니엘217일1982년 5월 21일
서전트 슬로터275일1982년 6월 7일
와후 맥다니엘374일1982년 8월 22일
그렉 발렌타인1162일1982년 11월 4일
로디 파이퍼214일1983년 4월 16일
그렉 발렌타인3228일1983년 4월 30일
딕 슬레이터1129일1983년 12월 14일
리키 스팀보트363일1984년 4월 21일
와후 맥다니엘
※왕좌 획득 시합에 난입이 있었기 때문에 다음 달에 반납
46일1984년 6월 24일
와후 맥다니엘
※토너먼트 결승에서 마니 페르난데스를 꺾고 획득
5167일1984년 10월 7일
매그넘 TA1119일1985년 3월 23일
탤리 블랜차드1129일1985년 7월 21일
매그넘 TA2153일1985년 11월 28일
니키타 콜로프1327일1986년 8월 17일
렉스 루거1137일1987년 7월 11일
더스티 로즈
※1988년 4월 15일, 짐 크로켓 주니어 폭행으로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아 반납
1140일1987년 11월 26일
배리 윈덤
※토너먼트 결승에서 니키타 콜로프를 꺾고 획득
1282일1988년 5월 13일
WCW
챔피언획득 횟수보유 일수날짜
렉스 루거275일1989년 2월 20일
마이클 헤이즈114일1989년 5월 7일
렉스 루거3522일1989년 5월 22일
스탠 한센149일1990년 10월 27일
렉스 루거4209일1990년 12월 16일
스팅185일1991년 8월 25일
릭 루드1377일1991년 11월 19일
더스틴 로즈
※1993년 5월 루드와의 방어전 후, 왕좌 보관
1109일1993년 1월 11일
더스틴 로즈
※루드와의 결전에서 승리하여 획득
2118일1993년 8월 30일
스티브 오스틴1239일1993년 12월 27일
리키 스팀보트424일1994년 8월 24일
스티브 오스틴20일1994년 9월 18일
짐 더간199일1994년 9월 18일
베이더187일1994년 12월 27일
스팅243일1995년 6월 18일
사사키 켄스케143일1995년 11월 13일
원 맨 갱132일1995년 12월 27일
코난1159일1996년 1월 29일
릭 플레어
※1996년 11월, 부상으로 반납
5140일1996년 7월 7일
에디 게레로
※토너먼트 결승에서 DDP를 꺾고 획득
176일1996년 12월 29일
딘 말렌코184일1997년 3월 16일
제프 제럿172일1997년 6월 9일
124일1997년 8월 21일
커트 헤닝1103일1997년 9월 15일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1111일1997년 12월 28일
레이븐10일1998년 4월 19일
골드버그
※1998년 7월 6일, WCW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 획득으로 반납
190일1998년 4월 20일
브렛 하트
※왕좌 결정전에서 DDP를 꺾고 획득
120일1998년 7월 20일
렉스 루거52일1998년 8월 10일
브렛 하트273일1998년 8월 13일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234일1998년 10월 26일
브렛 하트369일1998년 11월 30일
로디 파이퍼312일1999년 2월 8일
스콧 홀
※1999년 3월 18일, 부상으로 인해 왕좌 공석
124일1999년 2월 21일
스콧 스타이너
※토너먼트 우승으로 획득했으나, 1999년 7월 5일에 박탈
184일1999년 4월 11일
데이비드 플레어
※릭 플레어로부터 수여받아 획득
134일1999년 7월 5일
크리스 베노아133일1999년 8월 9일
시드 비셔스141일1999년 9월 12일
골드버그20일1999년 10월 24일
브렛 하트413일1999년 10월 25일
스콧 홀
※1999년 12월 19일, 부상으로 인해 왕좌 공석
240일1999년 11월 8일
크리스 베노아
※왕좌 결정전에서 제럿을 꺾고 획득
20일1999년 12월 19일
제프 제럿
※2000년 1월 16일, 뇌진탕으로 인해 왕좌 공석
226일1999년 12월 20일
제프 제럿
※케빈 내쉬로부터 수여받아 획득
383일2000년 1월 17일
스콧 스타이너383일2000년 4월 16일
랜스 스톰165일2000년 7월 18일
테리 펑크20일2000년 9월 22일
랜스 스톰235일2000년 9월 23일
제너럴 레크션114일2000년 10월 29일
랜스 스톰312일2000년 11월 13일
제너럴 레크션248일2000년 11월 26일
셰인 더글라스121일2001년 1월 14일
릭 스타이너140일2001년 2월 5일
부커 T1127일2001년 3월 18일
WWE
챔피언획득 횟수보유 일수날짜
크리스 캐니언
※부커 T로부터 수여받아 획득
145일2001년 7월 26일
타지리112일2001년 9월 10일
라이노128일2001년 9월 23일
커트 앵글120일2001년 10월 22일
에지
※2001년 11월 18일, 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봉인
15일2001년 11월 12일
에디 게레로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으로 부활
283일2003년 7월 27일
빅 쇼1146일2003년 10월 19일
존 시나1136일2004년 3월 14일
부커 T265일2004년 7월 29일
존 시나23일2004년 10월 3일
칼리토 카리비안 쿨141일2004년 10월 7일
존 시나3104일2004년 11월 18일
올랜도 조던1170일2005년 3월 3일
크리스 베노아360일2005년 8월 21일
부커 T334일2005년 10월 21일
부커 T436일2006년 1월 13일
크리스 베노아441일2006년 2월 19일
존 브래드쇼 래필드153일2006년 4월 2일
바비 래슐리148일2006년 5월 26일
핀레이148일2006년 7월 14일
미스터 케네디141일2006년 9월 1일
크리스 베노아5218일2006년 10월 13일
몽텔 본테이비어스 포터1342일2007년 5월 20일
맷 하디183일2008년 4월 27일
셸턴 벤자민1242일2008년 7월 20일
몽텔 본테이비어스 포터272일2009년 3월 17일
코피 킹스턴1125일2009년 6월 1일
더 미즈1223일2009년 10월 5일
브렛 하트56일2010년 5월 17일
R-트루스120일2010년 5월 24일
더 미즈296일2010년 6월 14일
대니얼 브라이언1176일2010년 9월 19일
셰이머스147일2011년 3월 14일
코피 킹스턴248일2011년 5월 1일
돌프 지글러1181일2011년 6월 19일
잭 라이더128일2011년 12월 18일
잭 스와거149일2012년 1월 16일
산티노 마렐라1166일2012년 3월 5일
안토니오 세자로1239일2012년 8월 19일
코피 킹스턴333일2013년 4월 15일
딘 앰브로스1350일2013년 5월 19일
셰이머스2182일2014년 5월 5일
루세프1145일2014년 11월 3일
존 시나4146일2015년 3월 29일
세스 롤린스128일2015년 8월 24일
존 시나534일2015년 9월 20일
알베르토 델 리오178일2015년 10월 25일
칼리스토12일2016년 1월 11일
알베르토 델 리오210일2016년 1월 14일
칼리스토2118일2016년 1월 24일
루세프2126일2016년 5월 22일
로만 레인즈1106일2016년 9월 25일
크리스 제리코182일2017년 1월 9일
케빈 오웬스128일2017년 4월 2일
크리스 제리코22일2017년 4월 30일
케빈 오웬스265일2017년 5월 2일
AJ 스타일스116일2017년 7월 7일
케빈 오웬스32일2017년 7월 23일
AJ 스타일스274일2017년 7월 25일
바론 코빈169일2017년 10월 8일
돌프 지글러28일2017년 12월 17일
바비 루드153일2018년 1월 16일
랜디 오턴127일2018년 3월 11일
진더 마할18일2018년 4월 8일
제프 하디189일2018년 4월 16일
나카무라 신스케1163일2018년 7월 15일
루세프332일2018년 12월 18일
나카무라 신스케22일2019년 1월 27일
R-트루스235일2019년 1월 29일
사모아 조174일2019년 3월 5일
레이 미스테리오115일2019년 5월 19일
사모아 조219일2019년 6월 3일
리코셰121일2019년 6월 23일
AJ 스타일스3134일2019년 7월 14일
레이 미스테리오230일2019년 11월 25일
안드라데1150일2019년 12월 26일
아폴로 크루즈196일2020년 5월 25일
바비 래슐리2175일2020년 8월 30일
리들149일2021년 2월 21일
셰이머스3131일2021년 4월 11일
다미안 프리스트1191일2021년 8월 21일
핀 밸러148일2022년 2월 28일
씨어리174일2022년 4월 18일
바비 래슐리3100일2022년 7월 2일
세스 "프리킨" 롤린스247일2022년 10월 12일
오스틴 씨어리2257일2022년 11월 26일
레이 미스테리오384일2023년 8월 11일
로건 폴1273일2023년 11월 4일
LA 나이트1118일2024년 8월 3일
나카무라 신스케32024년 11월 30일


참조

[1] 서적 Monsters of the Mat https://archive.org/[...]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2] 웹사이트 2016 WWE Draft results: WWE officially ushers in New Era https://www.wwe.com/[...] 2016-07-19
[3] 웹사이트 7/24 WWE Battleground Results – CALDWELL'S Complete Report https://www.pwtorch.[...] 2016-07-24
[4] 웹사이트 Keller's WWE SmackDown Report 4/11: Superstar Shake-up Night 2 details https://www.pwtorch.[...] 2017-04-11
[5] 웹사이트 WWE Raw Live TV Review: The Superstar Shakeup Night One, Sasha Banks vs. Bayley, Matt Hardy and Bray Wyatt vs. The Revival for a shot at the vacant Raw Tag Titles https://prowrestling[...] 2018-04-16
[6] 웹사이트 Keller's WWE SmackDown Report 4/17: Superstar Shake-up concludes, tracking which Raw wrestlers will be added to Smackdown roster https://www.pwtorch.[...] 2018-04-17
[7] 웹사이트 4/22 WWE Raw Results: Powell's review of the first episode following the WWE Superstar Shakeup https://prowrestling[...] 2019-04-22
[8] 웹사이트 WWE Rebrands With New Logo Tied to Digital Network https://variety.com/[...] 2014-08-15
[9] 웹사이트 7/6 WWE Raw Results: Powell's live review of Raw Women's Champion Asuka vs. Smackdown Women's Champion Bayley in a non-title match, Rey Mysterio and Aleister Black vs. Seth Rollins and Murphy, Big Show and The Viking Raiders vs. Randy Orton, Andrade, and Angel Garza https://prowrestling[...] 2020-07-06
[10] 웹사이트 New WWE United States Title Design revealed https://www.ringside[...] 2020-07-07
[11] 트윗 "The Champion makes the title" #SmackDown 2024-10-25
[12] 웹사이트 Powell's WWE Clash of Champions 2017 live review: AJ Styles vs. Jinder Mahal for the WWE Championship, Kevin Owens and Sami Zayn put their WWE careers on the line vs. Randy Orton and Shinsuke Nakamura with Shane McMahon and Daniel Bryan as referees https://prowrestling[...]
[13] 웹사이트 KELLER'S WWE SMACKDOWN REPORT 12/19: Daniel Bryan and Shane McMahon fallout from Clash of Champions, Shinsuke & Orton & Styles vs. Sami & KO & Jinder https://www.pwtorch.[...] 2017-12-19
[14] 웹사이트 12/26 Barnett's WWE Smackdown Live TV Review: WWE Champion AJ Styles vs. Kevin Owens, the final edition of 2017 https://prowrestling[...]
[15] 웹사이트 KELLER'S WWE SMACKDOWN REPORT 1/16: U.S. Title Tournament semi-finals with Xavier vs. Jinder, Roode vs. Mojo, Shane-Bryan drama continues https://www.pwtorch.[...] Pro Wrestling Torch
[16] 웹사이트 12/26 Barnett's WWE Smackdown Live TV Review: WWE Champion AJ Styles vs. Kevin Owens, the final edition of 2017 https://prowrestling[...]
[17] 웹사이트 01/02 Barnett's WWE Smackdown Live TV Review: WWE Champion AJ Styles vs. Sami Zayn in a non-title match, The Usos vs. Shelton Benjamin and Chad Gable for the Smackdown Tag Titles, U.S. Title tournament continues on the first Smackdown of 2018 https://prowrestling[...] 2018-01-02
[18] 웹사이트 01/09 Barnett's WWE Smackdown Live TV Review: AJ Styles addressed handicap match title defense at the Royal Rumble, U.S. Title tournament continues, Bludgeon Brothers vs. The Ascension, Ruby Riott vs. Becky Lynch https://prowrestling[...]
[19] 웹사이트 WWE United States Championship Title History http://www.wwe.com/i[...] WWE 2009-01-02
[20] 뉴스 WWE Survivor Series: WarGames 2024 live results: Winners, highlights and analysis https://www.usatoday[...] 2024-11-30
[21] 웹사이트 NWA/WCW United States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9-15
[22] 웹사이트 WWE United States Championship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9-15
[23] 문서 WCW에서 WWE로 승계되지 않는 설정도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