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Ę는 폴란드어와 리투아니아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폴란드어에서 Ę는 폴란드어 알파벳의 e 다음에 위치하며, 뒤에 오는 소리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Ę는 다른 모음으로 교체되기도 하며, 폴란드어 표기법의 역사에서 비모음 표기를 위해 사용되었다.

리투아니아어에서 Ę는 오고넥(ogonek)으로 불리며, 비음화를 나타냈지만, 현재는 모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문법 형태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리투아니아어 단어가 Ę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다.

Ę는 유니코드와 ISO 8859 인코딩을 포함한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Ę
기본 정보
유니코드 명칭라틴 대문자 E와 오고넥
HTML 엔티티Ę
유니코드U+0118
유니코드 명칭라틴 소문자 E와 오고넥
HTML 엔티티ę
유니코드U+0119
문자 정보
언어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발음[ẽ]
[e̝]
설명e z ogonkiem (폴란드어), e nosinė (리투아니아어)

2. 폴란드어

Ę는 폴란드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Ę가 쓰인 단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Ę2801-10-30ę2811-10-45


2. 1. 발음

Ę는 폴란드어 알파벳에서 ''e'' 뒤에 오며, 의성어인 ęsi를 제외하고는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지 않는다. 발음이 정해져 있지 않고, 뒤에 오는 소리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위치에 따른 ''ę''의 발음
위치발음예시
음소음성철자발음발음
ę + f, w, s, z, sz, ż, rz, h, chrowspan="2" |kęs|켕스pl (한 입)
ę + k, glęk|렝크pl (공포)
ę + t, d, c, dz, cz, będę|벵뎅pl (나는 ~할 것이다)
ę + p, bsęp|셍프pl (독수리)
ę + ś, ź, ć, , si, zi, ci, dzibędzie|벵지에pl (그것은 ~할 것이다)
ę + l, ł; 단어 종결cię|치엥pl ()



일부 방언에서 단어 종결 ''ę''는 으로도 발음되어 robiępl이 가끔 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이 비표준 형식은 폴란드 전 대통령 레흐 바웬사가 사용했다. 그의 발음을 반영하여 재철자된 문장 중 일부가 일반 언어에 사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Nie chcem, ale muszempl (올바르게는 Nie chcę, ale muszępl; '나는 원하지 않지만, 해야만 한다')이 있다.

2. 2. 역사

고대 폴란드어에서는 비모음이 전혀 표시되지 않거나 비음 자음을 포함한 이중 자음으로 표시되었고, Ø도 사용되었다. 폴란드 인쇄술의 역사에서 활자 인쇄술이 폴란드에 도입된 후 수십 년 동안(당시에는 전적으로 고딕체) 표기법을 표준화할 필요성이 생겼고, 16세기 초 스타니스와프 자보로프스키는 얀 후스의 고대 체코어 표기법 개혁에서 영감을 받아 폴란드어 음운론을 분석하여, ''Orthographia seu modus recte scribendi et legendi Polonicum idioma quam utilissimus''에서 비모음을 획으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폴란드어에 변별 부호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특히, 그는 비음 e 소리를 ''semivirgula superior''가 있는 ''a''로 표기할 것을 제안했는데(이 문자는 전통적으로 음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중세의 원래 발음이었기 때문이다. 아래 참조), 당시의 인쇄업자들은 이를 그다지 편리하게 여기지 않았고, 대신 히에로니무스 비에토르는 ''e''의 하단을 교차시켰다. 나중에 폴란드 인쇄업자들이 16세기 말에 안티쿠아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얀 야누쇼프스키는 새로운 글자를 주조하지 않기 위해 라틴 대문자에서 E caudata를 가져왔다.

폴란드어 ''ę'' 소리는 중세 폴란드어의 단비음 ''a''에서 진화하여 현대 언어에서 단비음 ''e''로 발전했다. 중세 모음은 장모음과 함께 늦은 원슬라브어의 병합된 비음 *''ę''와 *''ǫ''에서 진화했다.

진화
초기 원슬라브어*em~*en 및 *am~*an
후기 원슬라브어및 , 및 로 전사됨
중세 폴란드어및 , 대략 로 표기됨
현대 폴란드어→ , , , 로 표기됨


2. 3. 교체

Ę는 종종 ą와 교체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단어교체 후
mąż|망슈pl (남편)mężowie|멩쇼비에pl (남편들)
błąd|브웡트pl (오류)błędy|브웬디pl (오류들)
gołąb|고웡프pl (비둘기)gołębie|고웸비에pl (비둘기들)
dąb|동프pl (주격에서의 참나무)dębem|뎀벰pl (도구격에서의 참나무)
ręce|렝체pl (주격에서의 손)rąk|롱크pl (속격에서의 손)
pięć|피엥치pl (다섯)piąty|피옹티pl (다섯 번째)


3. 리투아니아어

리투아니아어에서 오고넥은 '노시네'(nosinė, 문자 그대로 "비음") 표로 불리며, 원래는 모음의 비음화를 나타냈다. 하지만 17세기 후반 경부터 비음 모음은 대부분의 방언에서 점차적으로 대응하는 장모음의 비음이 아닌 모음으로 변화했다.[1] 따라서 이 표는 현재 사실상 모음 길이의 표시이며(어원적으로 비음이 아닌 모음의 길이는 다르게 표시됨), 예전의 비음 ''en/em'' 형태는 현재 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kęstilt (고통받다) – kenčialt (고통받고 있다 또는 고통받는다)에서 ''ę''는 더 이상 비음이 아니다.

오고넥은 또한 동일한 형태로 쓰여 있지만 다르게 발음되는 서로 다른 문법 형태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명사의 일부 형태에서는 단어 끝에 ''ę''가 대격으로 사용된다. eglėlt (가문비나무)의 대격인 eglęlt와 같다. 또한 과거 시제 동사를 과거 분사로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tempėlt에서 tempęslt (누군가가 당긴)로 사용된다.

어떤 경우에는 ''ą'', ''ę'' 및 ''į'' (하지만 ''ė''는 제외)가 tąsalt (연장) – tęsialt (연장하다) – tįsotilt (펼쳐져 있다)와 같이 다른 형태에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부 동사는 현재 시제에만 단어 중간에 이 글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gęstalt (불이 꺼져가다)는 užgesolt (꺼졌다)와 다르다.[1]

''į'' 또는 ''ą''와 달리 리투아니아어 단어가 ''ę''로 시작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2]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Ę2801-10-30ę2811-10-45


4. 컴퓨팅 코드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ĘU+01181-10-30ĘęU+01191-10-45ę


참조

[1] 웹사이트 Gramatika http://algdas.blogas[...] 2013-02-21
[2] 웹사이트 Lietuviški žodžiai iš e raidės http://rimai.dainute[...] 2013-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