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ㅜ는 한글 낱자 중 하나로, 21번째 홀소리이다. 음소는 u로 표기되며, 원순 후설 고모음이다. 훈민정음의 중성자에서 ㅡ와 ㆍ로 구성되었으며, 훈몽자회에서는 '우'로 불렸다. ㅓ와 합쳐져 ㅝ, ㅣ와 합쳐져 ㅟ, ㅓ와 ㅣ가 모두 합쳐지면 ㅞ가 된다. 문화관광부 2000년식과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모두 u로 표기하며, 유니코드에서는 U+315C와 U+116E로 정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낱자 -
    ㄸ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ㄷ을 겹쳐 쓴 형태이며, 된소리를 나타내고,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는 U+3138 (단독형)과 U+1104 (초성용) 코드로 등록되어 있다.
  • 한글 낱자 -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쌍비읍이라고도 하며,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고,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서 U+3143, U+1108 등의 코드 값을 가진다.
문자 정보
종류홀소리
자명
훈몽자회牛 (소 우)
발음 정보
닿소리 위치 (어두)후설 원순 고모음
닿소리 위치 (어중)어두와 동일
생성 정보
자원(으) 아래에 (아래아)를 추가
획수2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u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u

2. 음성

음소는 u|uipa로 표기된다.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고 혀를 뒤로 당겨 발음하는 원순 후설 고모음 u|uipa이다. 와 달리 입술을 충분히 둥글게 오므린다.

3. 역사

훈민정음』의 중성자에서 땅을 상징하는 와 하늘을 상징하는 로 구성되었으며, 하늘을 나타내는 가 아래쪽에 놓여 있어 땅에서 시작하는 음모음의 초출자에 분류된다. 세종 서문에서는 "如君字中聲(여군자중성)"으로 규정되어 있다.

1527년에 출판된 『훈몽자회』에서 '우(午)'로 불렸다.

4. 조합


  • 중성모음 와 합쳐진 ㅟ(ㅜ+ㅣ)이다.
  • 같은 음성모음 와 합쳐진 (ㅜ+ㅓ)이다.
  • 가 모두 합쳐진 ㅞ(ㅜ+ㅓ+ㅣ)이다.
  • 같은 음성 모음의 최초 출현 글자와 결합하여 가 만들어진다. (ㅜ + )
  • 중성 모음의 자모와 결합하여 ㅟ가 만들어진다. (ㅜ + )
  • 상기 2개의 자모와 결합하여 ㅞ가 만들어진다. (ㅜ + ㅓ + ㅣ)

5. 표기

'ㅜ'는 한글 홀소리의 하나로, 20번째 글자이다. 혀의 뒷부분을 높이 올려서 발음하는 고모음이며, 입술을 둥글게 내밀어 발음하는 원순 모음이다.

문화관광부 2000년 표기법과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모두 'u'로 표기한다.

기업명, 인명, 단체명 등에서는 'oo'로 표기되기도 한다. 또한 자음이 없는 우의 경우 w를 보충하여 'woo'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예: 대우→Daewoo).

ㅜ의 코드
종류유니코드 값HTML 코드
홀소리U+315Cㅜ
첫가끝U+116Eᅮ
한양U+F831
반각U+FFD3ᅮ


6. 획순

ㅜ 쓰기 획순

7. 관련 문자

ㅜ|우한국어의 유니코드 값은 다음과 같다.

종류코드HTML
홀소리U+315Cㅜ
첫가끝U+116Eᅮ
한양U+F831
반각U+FFD3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