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ㅡ는 훈민정음의 기본 자모 중 하나로, 땅의 모습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卽(즉) 자의 중성과 같다고 설명된다. 17세기 이후 ㆍ의 소실로 모음 조화가 약화되었으며, 현대 한국어에서는 후설 비원순 고모음([ɯ]) 또는 중설 비원순 고모음([ɨ])으로 발음된다. 외래어 표기 및 일본어, 중국어 표기에도 사용되며, 유니코드에서 U+3161 (단독 자모), U+1173 (중성용)으로 표현된다. 획순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번에 긋는 가로획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ㅡ | |
---|---|
문자 정보 | |
종류 | 홀소리 |
자명 | 으 |
훈몽자회 | 應, 不用終聲 (응, 불용종성) |
자원 | 땅의 모습 |
획수 | 1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ŭ |
국어의 로마자 표기 | eu |
획순 | ㅡ (eu) stroke order.png |
![]() |
2. 역사
훈민정음에서는 ㅡ를 땅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설명하며, '즉(卽)' 자의 중성과 같다고 하였다. 혀가 조금 오그라들고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ㆍ(아래아)와 결합하여 ㅗ, ㅛ, ㅜ, ㅠ 등의 모음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17세기에 ㆍ가 실제 발음에서 소멸되면서, ㅡ와 대응되는 음성·양성 모음의 조화가 흔들렸고, 이는 전반적인 모음 조화가 약해지는 결과로 이어졌다.
『훈민정음』에서는 평탄한 자형은 땅을 본뜬 것이며, 땅을 나타내는 음모음의 기본 글자라고 설명한다. 세종 서문에서는 "如즉字中聲"으로 규정하고 있다.
『훈몽자회』(1527년)에서는 '우'(응(應)의 종성을 제외한 발음)로 불렸다.
2. 1.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에서는 ㅡ를 땅의 모습을 본뜬 글자로 설명하며, '즉(卽)' 자의 중성과 같다고 하였다. 혀가 조금 오그라들고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다고 설명하였다.[1] ㆍ(아래아)와 결합하여 ㅗ, ㅛ, ㅜ, ㅠ 등의 모음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7세기가 넘어가면서 ㆍ가 실제 발음에서 소멸되기 시작하면서 이와 대응되는 ㅡ의 음성·양성 모음의 조화가 흔들림에 따라 전반적인 모음 조화가 약해지는 영향을 주었다.
『훈민정음』의 중성자에서 평탄한 자형은 땅을 본뜬 것이며, 땅을 나타내는 음모음의 기본 글자이다. 세종 서문에서는 "如즉字中聲"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명칭은 『훈몽자회』(1527년)에서 '우'(응(應)의 종성을 제외한 발음)로 불렸다.
중성 모음의 자모와 결합하여 ㅢ가 만들어진다(ㅡ + ㅣ).
이 자모는 글자를 만드는 기본이 되는 천·지·인을 나타내는 세 개의 기본 글자 중 하나이며, 하늘을 상징하는 ㆍ와의 조합으로 기본 자모 ㅗ, ㅛ, ㅜ, ㅠ가 만들어진다. ㆍ가 이 자모보다 위에 위치하면 양성 모음을, 아래에 위치하면 음성 모음을 나타낸다.
2. 2. 음운 변화
훈민정음에서는 ㅡ를 '卽'(즉)의 중성과 같다고 설명한다. 또한, 혀가 조금 오그라들고 소리가 깊지도 얕지도 않으며, 땅이 펼쳐진 모양을 본떴다고 설명한다.[1] ㅡ는 ㆍ와 합쳐져 ㅗ, ㅛ, ㅜ, ㅠ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7세기 이후 ㆍ가 실제 발음에서 사라지면서, ㅡ와 대응되는 음성·양성 모음의 조화가 흔들리고, 이는 전반적인 모음 조화가 약화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현대 한국어에서 ㅡ는 단모음으로, 후설 비원순 고모음(ɯ) 또는 중설 비원순 고모음(ɨ)으로 발음된다. 표준어 발음은 이 두 소리의 중간 발음인 근후설 비원순 근고모음 이다. 동남 방언에서는 , 문화어에서는 로 발음된다.
자명 | 으 (훈몽자회: 應, 不用終聲) |
---|---|
발음 |
현대 한국어에서는 단모음으로, 후설 비원순 고모음(ɯ) 혹은 중설 비원순 고모음(ɨ)으로 발음한다. 표준어 발음은 두 소리의 중간 발음인 근후설 비원순 근고모음 으로 표기할 수 있다. 다른 발음으로는 (동남 방언), (문화어)가 있다.
3. 발음
음소는 ((문화어에서는 )로 표기된다. /ㅣ/ 의 입술 모양과 혀의 높이에서, 혀를 뒤로 당긴 비원순 후설 고모음의 약간 중설에 가깝게 발음된다. 간략 음성 기호에서는 가 많이 사용된다. /ㅜ/의 입술이 둥글게 말리는 것과는 달리 입술을 편 상태로 발음된다.
3. 1. 현대 한국어
표준어에서는 근후설 비원순 근고모음 로 발음된다. 동남 방언에서는 로, 문화어에서는 로 발음되기도 한다.
자명 | 으 (훈몽자회: 應, 不用終聲) |
---|---|
발음 |
3. 2. 방언별 발음
현대 한국어에서는 단모음으로, 후설 비원순 고모음(ɯ) 혹은 중설 비원순 고모음(ɨ)으로 발음한다. 표준어 발음은 두 소리의 중간발음인 근후설 비원순 근고모음 ɯ̽으로 표기할 수 있다. 다른 발음으로는 ə(동남 방언), ʊ(문화어)가 있다.자명 | 발음 |
---|---|
으 (훈몽자회: 應, 不用終聲) |
3. 3. 외래어 표기
음소는 문화어에서 로 표기된다.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뒤에 모음이 따르지 않는 자음을 종성 자음으로 표기할 수 없는 경우 'ㅡ' 모음을 붙인다. (예: Christmas → '''크'''리'''스'''마'''스''')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다른 우(ウ)단 음절은 모음 자모로 ㅜ를 쓰지만, '스(ス)', '츠(ツ)', '즈(ズ, ヅ)'는 '스', '쓰', '즈'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스(ス)'는 드물게 '수'로 쓰기도 한다.)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z, c, s, zh, ch, sh, r 다음에 오는 i ([z̩])에 'ㅡ'를 붙여 쓴다. (예: 쓰촨/Sichuan → 쓰촨)
4. 코드 값
이름 | 종류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EU | 단독 자모 | U+3161 | ㅡ | ㅡ |
HANGUL JUNGSEONG EU | 중성용 | U+1173 | ᅳ | ᅳ |
5. 획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