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시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시박은 덩굴성 식물로, 주변 식물을 감고 올라가거나 땅을 가로질러 뻗으며, 8~9월에 꽃이 피고 10월에 가시로 덮인 열매를 맺는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나, 번식력이 뛰어나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변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농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대한민국과 일본 등지에서 제거 작업이 진행 중이며, 씨앗이 열리기 전에 뽑는 것이 효과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시박족 - 차요테
    차요테는 박과의 덩굴성 식물로 열매, 덩이줄기, 잎, 줄기, 씨앗 등 모든 부분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녹색 또는 흰색의 배 모양 열매는 샐러드, 볶음, 절임, 수프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가시박족 - 수세미오이
    수세미오이는 인도나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열매의 섬유로 수세미를 만들고, 어린 열매는 식용, 수액은 화장수나 약용, 씨앗은 식용유 추출에 사용된다.
가시박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열매와 꽃
열매와 꽃
학명Sicyos angulatus
명명자L. (1753)
한국어 이름가시박
아레치우리 (荒れ地瓜, 일본어에서 유래)
영어 이름burr cucumber
star-cucumber
분류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군
강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미분류)장미군
박목
박과
아레치우리속
생태 정보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생태교란 생물

2. 형태

가시박은 주변 식물을 감고 올라가거나 땅을 가로질러 뻗는 덩굴성 식물이다. 1그루 당 25,000개 이상의 씨가 달린 경우도 있을 정도로 번식력이 뛰어나다.[3]

2. 1. 줄기

줄기는 덩굴성이며 4~8미터까지 자라고, 털이 많고 옅은 녹색을 띠며 홈이 파여 있다. 3~4갈래로 갈라진 덩굴손을 이용해 다른 물체에 얽힌다.[3]

2. 2. 잎

잎은 오각형이며, 3~5개의 손바닥 모양 엽을 가지고 있다. 잎의 너비는 약 약 20.32cm이다. 가장자리는 약간 톱니 모양이고, 잎의 윗면은 보통 털이 없으며, 아랫면은 특히 잎맥에 미세한 털이 있다.[3] 잎자루는 두껍고 털이 있으며, 약 약 12.70cm 길이이다. 잎은 잎자루에 부착되는 곳에서 깊게 들어간다.[3] 잎자루와 줄기가 형성하는 일부 접합부 반대편에는 분지된 덩굴손이 자라며, 다른 곳에는 꽃눈이 있다.[3] 잎 표면에는 흰색의 볼록한 점이 산재하며 거칠다. 호박잎처럼 부드러워서 나물로 해 먹거나 쌈을 싸 먹기도 한다. 조리하여 채소로 먹을 수 있다.[6][7]

2. 3. 꽃

가시박은 암수한그루(자웅동주)이며 암수딴꽃이다. 수꽃은 긴 자루에 달린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흰색 또는 황백색을 띤다. 각 수꽃은 너비가 약 약 0.76cm이며, 5개의 뾰족한 치아가 있는 꽃받침, 5개의 엽이 있고 녹색 잎맥이 있는 꽃부리, 중앙에 수술 뭉치가 있다.[3] 수꽃의 은 합착되어 한 덩어리가 되며, 꽃자루에는 선모가 드문드문 있다.[9] 암꽃은 엷은 녹색으로 짧은 가지 끝에 둥근 모양으로 모여 피며, 암술은 1개이고 씨방 하위이다.[9] 개화 시기는 8~9월이다.[9]

2. 4. 열매

열매는 흰 가시로 덮여 있으며, 길고 뾰족한 가시가 별사탕 모양으로 촘촘히 나 있다.[3] 만지면 아프며, 가시가 작고 단단하며 탄력이 있어서 얇은 옷은 관통하기도 한다. 열매는 길이 1cm 정도이며, 쓴맛과 떫은맛이 있어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10] 열매 안에는 씨앗이 1개 들어 있다.[3]

3. 생태

가시박의 잎은 오각형이며, 덩굴 줄기는 4 ~ 8미터까지 자라 주변 식물들을 가린다. 흰 꽃은 암꽃과 수꽃이 있으며, 암꽃은 둥근 모양이다. 8월에 꽃이 피어 10월에는 흰 가시로 덮인 열매가 된다. 번식력이 뛰어나 1그루 당 25,000개 이상의 씨가 달린 경우도 있다.[4] 열매는 길이 1센티미터 정도로 길고 뾰족한 가시가 별사탕 모양으로 촘촘히 나 있다.

포 강 둑에 가시박이 침입한 모습


유럽에서는 18세기 동안 관상 식물로 도입되었으며, 독일에서 귀화한 첫 번째 보고는 183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탈리아에서는 1853년부터 트렌티노에서 보고되었다.[4]

가시박은 다소 습한 부엽토를 좋아하며, 숲 가장자리, 강둑, 하천변 등에서 대규모 군락을 형성한다.

3. 1. 분포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남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에도 외래종으로 유입되었다.[9] 좀 더 세부적으로는 캐나다온타리오주퀘벡주, 그리고 미국의 동부 및 남부 지역(노스다코타주텍사스주를 경계)이 원산지이다.[2]

일본에서는 1952년 시즈오카현 시미즈항에서 미국이나 캐나다로부터 수입된 대두에 종자가 섞여 들어온 것이 처음 확인되었으며, 스기모토 준이치에 의해 보고되었다.[11] 이후 돼지풀처럼 토목 작업 기계나 공사 차량에 부착되어, 공사 잔토, 되메우기용 토사와 함께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두부 콩의 유통 경로를 따라 분포를 넓혔으며,[14] 최근에는 각지의 하천 부지 등에서 군생하여 넓은 풀밭을 만들고 있다. 아오모리현 이남에서 큐슈까지 일본 각지에서 확산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1952년 시미즈항에서 수입된 대두에 섞여 유입된 것이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3. 2.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가시박은 빠르게 자라 주변 식물을 뒤덮어 햇빛을 차단하고, 토종 식물의 생육을 방해한다.[5] 하천변의 갈대밭을 침범하여 제비 등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감소시킨다.[15] 다마가와 유역에서는 이동 전 제비의 둥지가 되는 갈대밭이 가시박에 침식되어 감소하고 있다.

4. 방제

가시박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대한민국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제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덩굴처럼 감아 올라가 고목마저 덮어 고사시키고 성장·번식력이 강하며, 뿌리가 남으면 재생하기 때문에 주변 고유 재래종을 뿌리째 몰아낼 우려가 있다. マルハナバチ|마루하나바치일본어(말벌)류가 가시박 꽃을 즐겨 찾으므로 제초 시 주의가 필요하다.[20]

4. 1. 제거 방법

씨앗이 열리기 전, 가능한 한 작을 때 뽑는 것이 효과적이다.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제거 작업을 수년간 지속해야 한다.[22] 일본 국토교통성나가노현 등에서는 가시박 구제 안내서를 제공하고 있다.[17] 나가노현에서는 매년 7월 마지막 일요일을 "가시박 구제 전현 통일 행동의 날"로 지정하여, 민관 합동 구제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16] 한국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매년 7월 마지막 일요일을 "가시박 구제 전현 통일 행동의 날"로 지정하여 구제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4. 2. 농작물 피해

가시박은 수박 과실 오반 세균병의 병원균을 옮길 수 있어 수박 재배 농가에 피해를 줄 수 있다.[1] 따라서 수박 재배지 주변의 가시박은 뽑아서 처리해야 한다.[1]

5. 기타

가시박 꽃에는 꿀이 많아 호박벌, 꿀벌, 다양한 파리, 땅벌, 말벌 등이 찾는다.[3] 일부 벌은 수꽃에서 꽃가루를 모으기도 한다. 호박 노린재와 ''Anasa repetita''는 점박이 오이 딱정벌레, 줄무늬 오이 딱정벌레, 잎벌레 ''Acalymma gouldi''처럼 가시박을 먹고 산다. 초식 포유류는 가시박을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3]

가시박 잎은 데쳐서 채소로 먹을 수 있다. 전통 아메리카 원주민 의학에서는 가시박 달임액을 성병 치료에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6][7]

참조

[1] 간행물 ITIS 2007-10-16
[2] 간행물 PLANTS 2015-11-12
[3] 웹사이트 Bur cucumber http://www.illinoisw[...] 2016-12-08
[4] 웹사이트 Scheda monografica "Sicyos angulatus" https://www.regione.[...] Regione Piemonte 2020-12-21
[5] 웹사이트 Scheda monografica "sicio, zucca matta" http://www.biodivers[...] Regione Lombardia 2020-12-21
[6] 웹사이트 "''Sicyos angulatus'' - L." http://www.pfaf.org/[...] Plants For A Future 2016-12-13
[7] 웹사이트 Cucurbitaceae ''Sicyos angulatus'' L. http://naeb.brit.org[...] Native American Ethnobotany 2016-12-22
[8] 간행물 YList 2024-08-17
[9] 웹사이트 アレチウリ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侵入生物DB 2012-08-07
[10] 웹사이트 アレチウリとは http://www.pref.naga[...] 長野県 2012-08-07
[11]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12] 논문 アレチウリ(''Sicyos angulatus'' L.)の台木利用に関する研究-1-栽培上の特性 https://cir.nii.ac.j[...] 1978-03
[13] 논문 接ぎ木キュウリの台木の種類とウイルス混合感染による萎凋との関係 https://doi.org/10.3[...] 1990
[14] 논문 帰化雑草「アレチウリ」の猛威 https://doi.org/10.5[...] 2003
[15] 논문 出水がアレチウリ群落の拡大に及ぼす影響とその考察-実験・数値解析からの検討 https://doi.org/10.2[...] 2006
[16] 웹사이트 長野県アレチウリ駆除大作戦 http://www.pref.naga[...] 長野県 2015-10-22
[17] 웹사이트 アレチウリ駆除のノウハウ https://www.hrr.mlit[...] 国土交通省千曲川河川事務所 2015-10-22
[18] 웹사이트 アレチウリの防除 https://www.pref.nag[...] 長野県林業総合センター 2015-10-22
[19] 논문 特定外来生物アレチウリ抑制のためのアレチウリ埋土種子除去方法の開発 https://doi.org/10.2[...] 2013
[20] 문서 山梨県の特定外来生物 「アレチウリ」 https://www.pref.yam[...]
[21] 간행물 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22] 문서 가시박 퇴치 설명서 http://www.hrr.mlit.[...] 국토 교통성 치쿠마가와 하천 사무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