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비는 몸길이 약 17cm의 철새로, 금속성 광택의 청색 등, 적갈색 이마와 목, 흰색 아랫부분과 청색 가슴 띠를 특징으로 한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 깃털이 길며, 7아종으로 분류된다. 제비는 주로 곤충을 먹고, 헛간, 마구간, 다리 등에 둥지를 지어 번식하며, 한국에서는 여름철새로 알려져 있다. 제비는 한국 문화에서 긍정적인 상징으로 여겨지며, 우정사업본부 마크로 사용되기도 한다. 제비는 넓은 지역에 서식하며, 개체수는 안정적이지만, 기후 변화와 서식지 감소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여름철새 - 파랑새
파랑새는 한국 문화에서 동방울새를 지칭하며, 수컷은 검은 갈색 머리와 푸른색을 띤 갈색 윗등을 가지고, 곤충류를 먹으며 숲 속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종이다. - 한국의 여름철새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전북구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전북구의 새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 북아메리카의 새 - 참매
참매는 전 세계 숲에 서식하며 조류와 포유류를 사냥하는 중대형 수리매로, 아종에 따라 크기와 깃털 색깔이 다르고, 매사냥에 이용되어 왔으며, 도시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장하는 추세이다. - 북아메리카의 새 - 대백로
대백로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왜가리과에 속하는 흰색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장식깃과 검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집단 번식을 하는 습성이 있고, 과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었지만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제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irundo rustica |
학명 명명 | Linnaeus, 1758 |
학명 이명 | Hirundo erythrogaster |
학명 이명 명명 | (Boddaert, 1783) |
영어 이름 | barn swallow |
일본어 이름 | ツバメ (츠바메) |
중국어 이름 | 家燕 |
러시아어 이름 | Деревенская ласточка |
독일어 이름 | Rauchschwalbe |
스페인어 이름 | golondrina común |
포르투갈어 이름 | andorinha-das-chaminés |
프랑스어 이름 | Hirondelle rustique |
아랍어 이름 | خطاف المخازن |
핀란드어 이름 | haarapääsky (하아라패애스퀴)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참새목 |
과 | 제비과 |
속 | 제비속 |
종 | 제비 |
아종 | |
아종 목록 | H. r. rustica H. r. erythrogaster H. r. transitiva H. r. savignii H. r. gutturalis (ツバメ, 츠바메) H. r. mandschurica H. r. saturata (アカハラツバメ, 아카하라츠바메) H. r. tytleri |
분포 | |
![]() | |
보전 상태 | |
IUCN Red List | LC (최소 관심) |
2. 형태
제비는 등이 금속성 광택이 나는 청색이고, 가슴은 밤색이다. 꼬리는 깊게 패여 '연미형'이라 불린다.[109] 전체 길이는 약 17cm, 날개폭은 약 32cm이다.[91] 날개 길이는 11-12cm, 꼬리 길이는 7-10cm, 몸무게는 12g~22g이다.[109]
수컷 제비(''H. r. rustica'')는 꼬리 깃털(2cm~7cm)을 포함하여 17cm~19cm 길이다. 날개 길이는 32cm~34.5cm, 무게는 16g~22g이다.[6] 윗부분은 강철 청색이고 적갈색 이마, 턱, 목을 가지고 있으며, 흰색에 가까운 아랫부분과 넓고 짙은 청색 가슴 띠로 구분된다. 바깥쪽 꼬리 깃털은 길게 뻗어 깊게 갈라진 "제비 꼬리"를 형성하며, 위쪽 꼬리 바깥쪽 끝에 흰색 점이 있다.[6]
암컷은 수컷과 비슷하지만 꼬리 깃털이 짧고, 윗부분과 가슴 띠의 푸른색 광택이 덜하며, 아랫부분은 더 옅다. 어린 제비는 갈색을 띠며 얼굴은 옅은 적갈색, 아랫부분은 더 흰색이며, 성체의 긴 꼬리 깃털이 없다.[7]
붉은 얼굴과 파란색 가슴 띠는 성체 제비를 아프리카 ''Hirundo'' 종 및 환영 제비와 쉽게 구별하게 한다.[3] 어린 제비는 짧은 꼬리 깃털 때문에 어린 붉은 가슴 제비와 혼동될 수 있지만, 붉은 가슴 제비는 가슴 띠가 더 좁고 꼬리에 흰색이 더 많다.[13]
2. 1. 제비의 특징
제비는 몸길이 약 17cm, 날개길이 11-12cm, 날개폭 32cm, 꼬리길이 7-10cm, 몸무게 12g~22g 정도이다.[109] 등은 금속성 광택이 나는 청색이고, 가슴은 밤색이며, 꼬리는 깊게 패여 있다.[109] 수컷은 꼬리 깃털이 2cm~7cm 더 길어 전체 몸길이는 17cm~19cm이다. 날개 길이는 32cm~34.5cm이고 무게는 16g~22g이다.[6] 강철 청색의 윗부분과 적갈색 이마, 턱, 그리고 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흰색에 가까운 아랫부분과 넓은 짙은 청색 가슴 띠로 구분된다. 바깥쪽 꼬리 깃털은 길게 뻗어 있어 깊이 갈라진 독특한 "제비 꼬리"를 형성하며, 위쪽 꼬리 바깥쪽 끝에는 흰색 점이 있다.[6] 암컷은 수컷과 외모가 비슷하지만 꼬리 깃털이 더 짧고, 윗부분과 가슴 띠의 푸른색은 덜 광택이 나며, 아랫부분은 더 옅다.[7] 어린 개체는 더 갈색이며 얼굴은 더 옅은 적갈색이고 아랫부분은 더 흰색이다. 또한 성체의 긴 꼬리 깃털도 없다.[7] 빨간 얼굴과 파란색 가슴 띠의 독특한 조합은 성체 제비를 아프리카 ''Hirundo'' 종 및 환영 제비와 쉽게 구별하게 해준다.[3]2. 2. 아종
제비는 7아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3][15][7][24][3][25][26][27][28][29][30][31]- 제비(''H. r. gutturalis'')
:* 히말라야 산맥 동부에서 중국, 한국, 일본, 쿠릴 열도, 대만, 캐나다 등에서 번식한다.
:*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가 1786년에 기술했다.
:* 아랫부분이 희고 가슴 띠가 끊어져 있으며, 가슴은 밤색이고 아랫부분은 분홍색을 띤다.
:* 중앙 및 동부 히말라야 산맥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이 이 아종에 포함되었지만, 주요 번식지는 일본과 한국이다.
:* 동아시아 번식종은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인도네시아와 뉴기니까지 열대 아시아 전역에서 겨울을 난다. 최근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겨울을 나는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다.
:* 아무르강 지역에서 ''H. r. tytleri''와 잡종을 형성한다.
:* 두 개의 동아시아 형태는 한때 지리적으로 분리되었지만, 인류의 거주지 확대로 인해 둥지 위치가 겹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 알래스카와 워싱턴 주에서 방랑하며, 북미 번식 아종인 ''H. r. erythrogaster''와는 아랫부분의 붉은색으로 쉽게 구별된다.
- 붉은배제비(''H. r. saturata'')
:* 캄차카 반도, 만주, 오호츠크 해, 중국 허베이 성 등에서 번식한다.
- ''H. r. rustica''
:* 유럽 아종의 명칭으로, 북극권까지 북쪽, 북아프리카, 중동, 시킴까지 남쪽, 예니세이 강까지 동쪽으로 유럽과 아시아에서 번식한다.
:* 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인도 아대륙으로 넓은 전선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겨울을 나는 제비는 적어도 91°E까지 유라시아 전역에서 온 것으로, 연간 이동 거리가 11660km에 이르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 유럽 아종은 유전자 서열이 처음으로 분석되어 발표되었다.
- ''H. r. transitiva''
:* 1910년 에른스트 하르테르트에 의해 기술되었다.
:* 남부 터키에서 이스라엘까지 중동에서 번식하며 부분적으로 정착하지만, 일부는 동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난다.
:* 아랫부분은 오렌지색이고 가슴 띠가 끊어져 있다.
:* ''Chelidon rustica transitiva'' Hartert의 홀형은 성체 암컷으로, 국립 리버풀 박물관의 척추동물 동물학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으며, 접근 번호는 NML-VZ T2057이다.
:* 이 표본은 1863년 12월 16일 헨리 베이커 트리스트람에 의해 팔레스타인 에스드라엘론 평원에서 수집되었다.
:* 이 표본은 1896년 박물관에서 캐논 헨리 베이커 트리스트람의 컬렉션을 구매하여 리버풀 국립 컬렉션에 들어왔다.
- ''H. r. savignii''
:* 이집트에 서식하는 아종으로, 1817년 제임스 프랜시스 스티븐스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프랑스 동물학자 마리 쥘 세자르 사비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아랫부분이 오렌지색인 ''transitiva''와 유사하지만, ''savignii''는 완전하고 넓은 가슴 띠와 아랫부분의 붉은 색조가 더 짙다.
- ''H. r. tytleri''
:* 1864년 토머스 제르돈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고 영국 군인, 박물학자, 사진 작가인 로버트 크리스토퍼 타일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아랫부분이 짙은 오렌지색이고 가슴 띠가 불완전하며, 꼬리도 더 길다.
:* 시베리아 중부에서 북부 몽골까지 번식하며 동부 벵골에서 태국, 말레이시아까지 겨울을 난다.
- ''H. r. erythrogaster''
:* 1783년 피터 보데르트에 의해 기술된 북아메리카 아종이다.
:* 유럽 아종과 달리 아랫부분이 더 붉고 파란색 가슴 띠가 더 좁고 종종 불완전하다.
:* 알래스카에서 멕시코 남부까지 북미 전역에서 번식하며 소앤틸리스 제도, 코스타리카, 파나마, 남아메리카로 이동하여 겨울을 난다.
:* 일부는 번식 범위의 최남단에서 겨울을 날 수 있다.
:* 이 아종은 좁은 전선에서 중앙아메리카를 통과하므로 양쪽 해안의 저지대에서 통과하는 동안 풍부하다.
:* 1980년대 이후, 이 아종의 소수가 아르헨티나에서 둥지를 트는 것이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6종의 제비 아종이 인식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1883년 로버트 리지웨이에 의해 ''saturata'',[15] 1883년 베네딕트 디보프스키에 의해 ''kamtschatica'',[17] 에르빈 스트레제만에 의해 ''ambigua'',[16] 1934년 빌헬름 마이세에 의해 ''mandschurica''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추가 또는 대체 형태가 제안되었다.[13] 이러한 형태의 유효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하여,[17][18] 이 문서에서는 터너와 로즈의 처리를 따른다.[7]
''H. r. tytleri''의 짧은 날개, 붉은 배, 불완전한 가슴 띠는 ''H. r. erythrogaster''에서도 발견되며, DNA 분석 결과 북미의 제비가 바이칼 호 지역의 시베리아를 식민지화했는데, 이는 북미와 유라시아 간의 분포 변화와 반대 방향이다.[31]
3. 생태
제비는 날개길이 11-12cm, 꼬리길이 7-10cm, 몸무게 12-22g 정도이다. 등은 금속성 광택이 나는 청색, 가슴은 밤색이며, 꼬리는 깊게 패여 있다. 날아다닐 때는 날개를 펄럭이기도 하고 날개를 멈추고 미끄러지듯이 날기도 한다.[109]
제비는 칼새를 포함한 다른 공중 곤충(insectivore)과 습성이 유사하다. 빠른 비행은 하지 않으며, 속도는 초당 11m/s, 최대 20m/s로 추정되고 날갯짓 속도는 초당 약 5회, 최대 7~9회이다.[41][42] 일반적으로 얕은 물이나 땅 위에서 열린 지역에서 먹이를 먹는다.[43]
번식 후에는 공동 둥지에 모이며, 때로는 수천 마리에 이른다. 갈대밭이 규칙적으로 선호되며, 새들은 갈대 위로 낮게 급강하하기 전에 떼를 지어 소용돌이친다.[50] 갈대밭은 이주 전과 이주 중에 중요한 식량원이다. 제비는 지상이나 물 위를 낮게 이동하면서 날개 위에서 먹이를 먹을 수 있는 주행성 이주 조류이지만, 갈대밭은 지방 침전을 설정하거나 보충할 수 있게 해준다.[51]
수컷 제비는 작은 영역을 방어하고 짝을 유인하기 위해 노래한다. 수컷은 번식기(4월 말~8월) 내내 노래하는데, 유럽의 ''H. r. rustica''와 북미의 ''H. r. erythrogaster''에서 "지저귀는 소리"와 상승하는 "P-음절"로 구성된다.[52] 명관이 발달한 번식기 수컷은 "츄비츄비츄비츄르르르르"와 같이 비교적 큰 울음소리로 운다. 일본어에서는 "흙을 먹고 벌레를 먹으니 입이 쓰다"와 같이 듣기 표현으로 불린다. 울음소리는 낮보다는 이른 아침부터 오전 중에 들을 기회가 많다.
제비는 호수나 강 위를 낮게 미끄러지듯 날아가 입을 벌려 물을 떠 마신다.[3] 비슷한 방식으로 목욕하며, 비행 중 물에 잠시 몸을 담근다.[49] 고양이나 참매 등 둥지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침입자를 공격하며, 종종 위협에 매우 가까이 날아간다.[65] 성체 제비는 포식자가 거의 없지만, 일부는 참매, 매, 올빼미에게 잡힌다.[6][13]
부화 성공률은 90%이고, 둥지를 떠나는 생존율은 70~90%이다. 평균 사망률은 첫 해에 70~80%, 성체는 40~70%이다. 기록적인 수명은 11년 이상이지만, 대부분은 4년 미만으로 생존한다.[7]
3. 1. 서식지
대한민국에서 제비는 흔히 볼 수 있는 여름새이다. 이동할 때나 번식 초기에는 암수 또는 단독으로 생활하지만, 번식이 끝나면 가족과 함께 무리를 짓는다.[109] 과거에는 동굴에서 서식했지만, 현재는 인가, 건축물, 다리 등에 둥지를 짓고 산다.[109] 둥지는 보통 한 집에 한 개이며 매년 같은 둥지를 보수해서 사용한다.[109] 귀소성이 강하여 매년 같은 지방에 돌아오는 예가 많다.[109]제비는 목초지, 초원, 농지와 같이 키가 낮은 초목이 있는 탁 트인 지역, 특히 물이 근처에 있는 곳을 선호한다.[6] 숲이 우거진 지역이나 가파른 지역,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은 피한다.[6] 겨울에는 울창한 숲과 사막만을 피한다.[35]
3. 2. 먹이
제비는 파리, 딱정벌레, 매미, 날도래, 하루살이, 벌, 잠자리 등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는다.[109] 먹이 활동은 보통 둥지에서 반경 500m 이내에서 이루어진다.[109] 번식 지역에서는 큰 파리가 먹이의 약 70%를 차지하며, 진딧물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6] 겨울 서식지에서는 날아다니는 개미를 포함한 벌목 곤충이 중요한 먹이가 된다.[7] 메뚜기, 귀뚜라미, 나방도 먹는다.[45] 알을 낳을 때는 짝을 지어 사냥하지만, 그 외에는 종종 큰 무리를 짓는다.[7]3. 3. 번식
제비의 산란기는 4-7월경이며, 한배에 3-7개의 알을 낳는다.[109] 연 2회 번식하며 2회째의 산란은 1회의 새끼가 떠난 후 12-16일경에 이루어진다.[109] 새끼는 알을 품은 후 13-18일 만에 부화하고 그 후 20-24일이면 둥지를 떠난다.[109] 암수가 함께 새끼를 기른다.[109]흙과 마른 풀을 타액으로 굳혀 둥지를 만든다.[109] 둥지는 일반적으로 새로 만들지만, 오래된 둥지를 수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09]



3. 4. 이동
제비는 철새로, 한국에서는 여름에 번식하고 겨울에는 동남아시아 등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109] 일본에서 번식하는 제비의 주요 월동지는 타이완, 필리핀, 보르네오섬 북부, 말레이 반도, 자바섬 등이다.[13]1912년 12월 23일, 영국의 스태퍼드셔에서 제임스 메이스필드에 의해 고리가 부착된 제비가 남아프리카 나탈에서 발견되면서 영국과 남아프리카 사이의 제비 이동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39] 제비는 장거리 이동을 하는 새로, 하와이, 버뮤다, 그린란드, 트리스탄다쿠냐, 포클랜드 제도, 심지어 남극 대륙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13][40]
개별 제비는 매년 같은 겨울철 서식지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으며,[13] 넓은 지역에서 모여 갈대밭에서 집단 횃대를 한다.[78] 나이지리아의 한 횃대에는 약 150만 마리의 새가 있는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횃대 규모는 매우 클 수 있다.[73] 이러한 횃대는 포식자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횃대 새의 도착은 아프리카 매와 같은 포식자를 압도하기 위해 동기화된다.[73] 제비는 태국 산지와 아르헨티나 중부와 같은 겨울철 서식지의 온대 지역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13][38]
4. 분류
제비는 칼 폰 린네가 1758년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Hirundo rustica''로 처음 묘사했다.[9] ''Hirundo''는 라틴어로 "제비"를 뜻하며, ''rusticus''는 "시골의"를 의미한다.[10] 제비속(''Hirundo'')의 대부분 종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지만, 제비는 아메리카 대륙까지 서식지를 확장한 유일한 종이다.[11]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영어 일반 명칭인 "barn swallow"는 1851년에 처음 사용되었지만,[12] 1789년 길버트 화이트의 《셀본 자연사》에 더 이른 사용 예가 나타난다. 화이트는 "굴뚝제비"가 굴뚝뿐만 아니라 헛간에도 둥지를 튼다고 언급하며, 스웨덴에서는 헛간제비('ladusvala')라고 불린다고 썼다.[13] 이는 영어 이름이 스웨덴어 용어를 직역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제비속 내에서 붉은가슴제비는 이전에 제비의 아종으로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 붉은가슴제비는 제비보다 약간 작고, 가슴띠가 더 좁으며, 꼬리 깃털이 짧다.[14]
일반적으로 제비는 6종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아종 | 학명 | 명명자 | 특징 | 분포 지역 |
---|---|---|---|---|
제비 | H. r. gutturalis |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 1786년[13] | 아랫부분이 희고 가슴 띠가 끊어짐. 가슴은 밤색, 아랫부분은 분홍색.[25] 아무르강 지역에서 H. r. tytleri와 잡종 형성.[7] | 히말라야 동부에서 중국, 한국, 일본, 쿠릴열도, 대만, 캐나다 등에서 번식,[13] 인도, 스리랑카[27]에서 인도네시아, 뉴기니까지 열대 아시아 전역에서 월동, 호주에서 월동하는 개체 수 증가.[7] 알래스카와 워싱턴주에서 길잃은새(Vagrant)로 발견.[28] |
붉은배제비 | H. r. saturata | 로버트 리지웨이, 1883년[15] | 캄차카, 만주, 오호츠크해, 중국 허베이성 등에서 번식 | |
H. r. rustica | 칼 폰 린네, 1758년 | 유럽 아종, 유전자 서열이 처음으로 분석되어 발표.[21] | 북극권까지 북쪽, 북아프리카, 중동, 시킴까지 남쪽, 예니세이강까지 동쪽으로 유럽과 아시아에서 번식.[7] 아프리카, 아라비아, 인도 아대륙으로 넓은 전선에서 월동.[7] 남아프리카에서 월동하는 제비는 연간 이동 거리가 11660km에 이르는 것으로 기록.[20] | |
H. r. transitiva | 에른스트 하르테르트, 1910년 | 아랫부분은 오렌지색이고 가슴 띠가 끊어져 있음.[7] | 남부 터키에서 이스라엘까지 중동에서 번식, 일부는 동아프리카에서 월동.[7] | |
H. r. savignii | 제임스 프랜시스 스티븐스, 1817년 | 아랫부분이 오렌지색인 transitiva와 유사하지만, 완전하고 넓은 가슴 띠와 아랫부분의 붉은 색조가 더 짙음.[3] | 이집트에 서식[24] | |
H. r. tytleri | 토머스 제르돈, 1864년 | 아랫부분이 짙은 오렌지색이고 가슴 띠가 불완전함. 꼬리가 더 김.[25] | 시베리아 중부에서 북부 몽골까지 번식, 동부 벵골에서 태국, 말레이시아까지 월동.[7] | |
H. r. erythrogaster | 피터 보데르트, 1783년 | 북미 아종, 유럽 아종과 달리 아랫부분이 더 붉고 파란색 가슴 띠가 더 좁고 종종 불완전.[7] | 알래스카에서 멕시코 남부까지 북미 전역에서 번식, 소앤틸리스 제도, 코스타리카, 파나마, 남아메리카로 이동하여 월동.[29] 1980년대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둥지를 트는 것이 발견. |
동아시아에서는 ''saturata'',[15] ''kamtschatica'',[17] ''ambigua'',[16] ''mandschurica'' 등 여러 추가 아종이 제안되었으나, 유효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17][18]
''H. r. tytleri''의 짧은 날개, 붉은 배, 불완전한 가슴 띠는 ''H. r. erythrogaster''에서도 발견되며, DNA 분석 결과 북미의 제비가 바이칼호 지역의 시베리아를 식민지화했다는 결과가 나왔다.[31]
5. 인간과의 관계
제비는 매력적인 외모를 지녔고,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아먹기 때문에 인간의 건물에 둥지를 틀고 함께 살아가는 것에 대해 인간은 관대하게 대해왔다. 또한 이 눈에 띄는 새는 이른 시기에 이동하는 종 중 하나이므로 여름이 다가옴을 알리는 신호로 여겨진다.[82]
구세계에서 제비는 아주 오래전부터 인공 구조물과 다리를 이용해 온 것으로 보인다. 초기 언급으로는 베르길리우스의 ''농경시''(기원전 29년)에 "''Ante garrula quam tignis nidum suspendat hirundo''" (수다스러운 제비가 서까래에 둥지를 걸기 전에)라는 구절이 있다.[80]
많은 소 사육 농가에서는 제비가 ''살모넬라'' 감염을 퍼뜨린다고 믿었지만, 스웨덴의 한 연구에서는 이 새가 박테리아의 매개체라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81]
기후 변화는 제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뭄은 체중 감소와 깃털 재생 속도를 늦추고, 사하라 사막의 확장은 유럽에서 이동하는 조류에게 더 큰 장애물이 될 것이다. 덥고 건조한 여름은 새끼에게 필요한 곤충 먹이가 줄어들게 할 것이다. 반대로, 따뜻한 봄은 번식기를 연장시키고 더 많은 새끼를 낳을 수 있으며, 서식지 북쪽에서 건물 밖 둥지를 사용할 기회 또한 늘어나 더 많은 자손을 낳을 수도 있다.[79]
제비는 역사적으로 삼림 개간으로 인해 선호하는 개방된 서식지가 조성되고, 인류의 거주로 인해 안전한 인공 둥지 부위가 풍부해지면서 크게 이익을 얻었다. 그러나 1950년대 이스라엘에서 DDT 사용, 19세기 미국에서 집참새와의 둥지 경쟁, 그리고 유럽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농업 집약화로 인한 곤충 먹이 감소로 인해 개체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등 지역적으로 감소하는 사례도 있었다.[7]
5. 1. 한국 문화 속 제비
흥부전에서는 마음 착한 흥부를 돕고 마음 나쁜 놀부를 벌하는 존재로 묘사된다.[110] 우정사업본부는 제비를 상징 마크로 사용하고 있다.[110]제비는 벼농사에서 해충을 먹어주는 익조로 여겨져 옛날부터 소중히 다루어졌다.[95] 제비 둥지가 있는 집은 안전하다는 이야기가 있어, 둥지를 떠난 후에도 둥지를 소중히 남겨두는 경우가 많아 "상서로운 새" (길조)로 여겨진다.[96]
5. 2. 제비 보호
제비는 벼농사에서 해충을 먹어주는 익조로 소중히 여겨져 왔으며, 제비를 죽이거나 둥지, 새끼에게 장난치는 것은 관습적으로 금지되어 왔다.[95] 에도 시대에는 제비의 분뇨가 잡초 제거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졌다.[96] 제비 둥지가 있는 집은 안전하다는 이야기도 있어, "상서로운 새"로 여겨진다. 그러나 분뇨 낙하 문제 등으로 둥지를 철거하는 경우도 있으며, 둥지를 철거할 때 알이나 새끼가 다치면 조수 보호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환경성의 조사에 따르면, 제비의 둥지 짓기를 환영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다.[97]일본 조류의 회는 2013년부터 "제비의 육아 상황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20년까지 8년간 5351명으로부터 연 1만 586개소의 둥지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그중 46%가 둥지를 떠났다.[98]
일본에서는 가나가와현에서 2006년 이후 종 단위로 감소종으로 지정되어 있다.[99]
6. 문화 속 제비
제비는 문학, 예술, 상징 등 다양한 문화 속에서 나타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는 "제비 한 마리가 봄을 만들지 않는다"라는 속담이 나오는데, 이는 한 가지 좋은 일만으로 행복을 논할 수 없다는 뜻이다.[82] T. S. 엘리엇은 그의 시 "황무지"에서 제비와 관련된 신화를 인용하기도 했다.[83]
제비 문신은 선원들 사이에서 안전한 귀환을 상징하는 전통으로 여겨진다. 과거에는 제비 둥지를 훼손하면 소나 암탉에게 해가 된다는 미신이 있었다.[85]
문장학에서 제비는 발이 없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상속받을 토지가 없는 젊은 아들을 상징한다.[86] 에스토니아와 오스트리아는 제비를 국조로 지정했다.[87][88]
다음은 제비를 상징으로 채택한 기업, 단체, 지역 목록이다.
구분 | 명칭 |
---|---|
국가 |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
지방 공공 단체 | 아오모리현 나카도마리정, 이와테현 시와정, 미야기현 야마모토정,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지바현 마츠도시, 니가타현 쓰바메시, 야마나시현 오시노촌, 미에현 가와고에정, 도쿠시마현 아난시 |
기업·단체 (심볼 마크) | 일본 구급 구명사 협회, JR 버스 (국철 버스), freee, TOPPERS 프로젝트, 도쿄공업대학 |
기업 (로고 마크) | 콘도 레이싱 |
기업 (마스코트 캐릭터) | 신케이세이 전철 (신짱, 케이짱),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쓰바쿠로, 쓰바미, 토루쿠야, 엔타로) |
한국에서는 우정사업본부가 제비 마크를 우체국의 상징으로 사용하고 있다.[110]
6. 1. 문학 속 제비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에서는 왕자를 도와 가난한 사람들을 돕다가 얼어죽는 제비 이야기가 나온다. 전래동화 《흥부와 놀부전》에서도 제비는 마음 착한 흥부를 돕고 마음 나쁜 놀부를 벌하는 존재로 묘사된다.T. S. 엘리엇의 시 "황무지"에는 "''Quando fiam uti chelidon [ut tacere desinam]?"'' ("내가 침묵을 그칠 수 있도록 언제 제비가 될까?")라는 구절이 인용되었다. 이는 필로멜라가 나이팅게일로, 그녀의 자매 프로크네가 제비로 변하는 신화를 가리킨다.[83]
- 『죽취 이야기』 - 카구야히메가 다섯 명의 귀공자에게 내건 결혼 조건 중에 "제비의 자안패"가 있다.
- 『엄지 공주』 - 엄지 공주가 부상당한 제비를 간호하고, 후에 제비와 함께 꽃의 나라로 간다.
- 『행복한 왕자』 - 금색으로 빛나는 왕자상이, 겨울을 나기 위해 이집트로 건너가려는 제비를 시켜, 가난하고 불행한 사람들을 위해 자신이 두른 보석과 금박을 나눠주는 이야기.
- 『가을 이야기』 - NHK 모두의 노래에서 방송된, 겨울을 나지 못한 제비의 이야기를 가사로 한 노래.
- 『참새 효행』 - "옛날에, 제비와 참새는 자매였다. 어느 날 부모의 임종에 즈음하여, 참새는 겉모습을 돌보지 않고 달려갔기에 때를 맞출 수 있었다. 그러나 제비는 붉은 연지를 바르며 치장했기에 부모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 그 후, 신은 효심이 깊은 참새에게는 오곡을 먹고 살 수 있게 했지만, 제비에게는 벌레밖에 먹을 수 없게 했다"는 설화.
6. 2. 상징
길버트 화이트는 그의 선구적인 저서 《셀본의 자연사》에서 집제비를 상세히 연구했지만, 이 주의 깊은 관찰자조차도 겨울에 이 새가 이동하는지 아니면 동면하는지 확신하지 못했다.[13] 다른 지역에서는 이 새의 긴 여정이 잘 관찰되었으며, 제비 문신은 안전한 귀환의 상징으로 선원들 사이에서 전통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선원은 5000nmi 항해 후에 이 방랑하는 동료의 문신을 새겼다. 두 번째 제비는 10000nmi 해상 항해 후에 추가되었다.[84]과거에는 이 유익한 곤충을 향한 관용이 집제비 둥지에 가해지는 피해에 관한 미신에 의해 강화되었다. 그러한 행위는 소가 피 섞인 우유를 내거나 아예 우유를 내지 않게 하거나, 암탉이 알을 낳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었다.[85] 이것은 제비 둥지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수 있다. 적절한 매년 보수를 거치면 10~15년 동안 생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한 둥지는 48년 동안 사용된 것으로 보고되었다.[85]
문장학에서는 젊은 아들(상속 토지가 없는)을 나타내는 'martlet', 'merlette' 또는 'merlot'으로 묘사된다. 당시 흔한 믿음이었던 발이 없는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86] 조류학자들의 캠페인의 결과로, 집제비는 1960년 6월 23일부터 에스토니아의 국조가 되었으며, 오스트리아의 국조이기도 하다.[87][88]
제비를 국조로 채택하고 있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오스트리아에게 제비는 친숙한 새이다. August Silberstein영어이 집필한 장편 소설 『오스트리아의 마을 제비』를 바탕으로 요제프 슈트라우스가 『오스트리아의 마을 제비』라는 왈츠를 작곡했다.
다음 지방 공공 단체가 시/읍/면의 새(시조, 읍조, 면조)로 제비를 채택하고 있다.
다음 기업·단체가 심볼 마크로 제비를 채택하고 있다.
- 일본 구급 구명사 협회
- JR 버스 (국철 버스)
- freee
- TOPPERS 프로젝트 - TOPPERS의 제비[104]
- 도쿄공업대학
다음 기업이 로고 마크로 제비를 채택하고 있다.
- 콘도 레이싱 - 대표 이사인 곤도 마사히코의 곤도(近藤)의 K를 "젊음"을 의식한 제비를 이미지화 했다.
다음 기업이 마스코트 캐릭터로 제비를 채택하고 있다.
- 신케이세이 전철 - 신짱, 케이짱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쓰바쿠로, 쓰바미, 토루쿠야 (2014 - 2022), 엔타로 (2005 - 2014)
한국에서는 우체국의 상징으로 우정사업본부가 제비 마크를 사용중이다.[110]
참조
[1]
IUCN
Hirundo rustica
2021-11-12
[2]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sexual selection and implications for speciation in the Barn Swallow
https://www.research[...]
2014-00-00
[3]
웹사이트
The Barn Swallow Is Slowly Conquering the World
https://www.audubon.[...]
2024-03-12
[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Alive
Lynx Edicions
2014-00-00
[5]
웹사이트
Barn Swallow Audubon Field Guide
https://www.audubon.[...]
2024-03-13
[6]
서적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concise edition (2 volumes)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Swallows & Martins: An Identification Guide and Handbook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8]
논문
Analysis of female song provides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sex differences in a widely studied songbird
2020-10-00
[9]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Editio decima, reformata.
Holmiae. (Laurentii Salvii).
[10]
서적
A Latin dictionary for schools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1]
간행물
Birds of the World: Recommended English Names
Princeton
[12]
OED
Barn
[13]
서적
The Natural History and Antiquities of Selborne
T. Bensley
[14]
서적
A Field Guide to birds of The Gambia and Senegal
Pica Press
[15]
논문
Systematic notes on Asian birds. 31. Eastern races of the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Linnaeus, 1758
http://www.repositor[...]
2007-11-24
[16]
논문
Welche Rasse von Hirundo rustica bretet in Sikkim?
[17]
논문
Systematic notes on Asian birds. 13. A preliminary review of the Hirundinidae
http://www.repositor[...]
2007-11-17
[18]
논문
Notes on some Asiatic swallows
[19]
웹사이트
European Swallow Hirundo rustica
http://safring.adu.o[...]
Avian Demography Unit, Department of Statistical Sciences, University of Cape Town
2007-12-01
[20]
웹사이트
Bird ringing across the world
http://www.euring.or[...]
Euring
2007-12-01
[21]
논문
SMRT long reads and Direct Label and Stain optical maps allow the generation of a high-quality genome assembly for the European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rustica)
[22]
웹사이트
Vertebrate Zoology
https://www.gbif.org[...]
2021-12-01
[23]
서적
Type Specimens of Birds in the Merseyside County Museums (formerly City of Liverpool Museums)
http://archive.org/d[...]
1978-12-01
[24]
논문
Type specimens of birds. Part 2.
http://www.repositor[...]
2007-11-24
[25]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Smithsonian Institution and Lynx Edicions
[26]
논문
The breeding Swallow of the Western Himalayas
[27]
논문
The Common Swallow Hirundo rustica rustica in Ceylon
[28]
서적
The North American Bird Guide
Pica Press
[29]
서적
Birds of Venezuela
Christopher Helm
[30]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Costa Rica
Cornell University Press
[31]
논문
Barn swallows before barns: population histories and intercontinental colonization
[32]
논문
Settlement patterns of female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across different group sizes: access to colorful males or favored nests?
http://link.springer[...]
2021-06-10
[33]
논문
Nest-site selection in the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What predicts seasonal reproductive success?
http://dx.doi.org/10[...]
2006-11-00
[34]
웹사이트
BirdLife International Species factsheet: Hirundo rustica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7-12-06
[35]
서적
SASOL Birds of Southern Africa
Struik
[36]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Trinidad and Tobago
Comstock Publishing
[37]
논문
Swallows ''Hirundo rustica'' Linnaeus roosting on wires
https://biodiversity[...]
2017-12-23
[38]
서적
A Guide to the Birds of Thailand
Saha Karn Baet
[39]
서적
The Migration Atlas: Movements of the Birds of Britain and Ireland
T & AD Poyser
[40]
논문
First documented record of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in the Antarctic
https://www.research[...]
2001
[41]
논문
Wingbeat frequency of barn swallows and house martins: a comparison between free flight and wind tunnel experiments
http://jeb.biologist[...]
2009-05-21
[42]
논문
Kinematics of the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over a wide range of speeds in a wind tunnel
http://jeb.biologist[...]
[43]
서적
The Barn Swallow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07-14
[44]
논문
White stork Ciconia ciconia nests as an attractant to birds and bats
2024-01-25
[45]
웹사이트
Hirundo rustica (Barn swallow)
https://animaldivers[...]
[46]
PhD
Predation strategies in aerial feeding birds
University of Stirling
1978
[47]
논문
Segregation in the African wintering grounds of English and Swiss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a stable isotope study
[48]
논문
Heterogeneity in stable isotope profiles predicts coexistence of populations of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differing in morphology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49]
서적
Bird behaviour
https://archive.org/[...]
Granada
[50]
서적
Collins Bird Guide
HarperCollins
[51]
웹사이트
The EURING Swallow Project in Italy
http://www.euring.or[...]
2007-12-01
[52]
논문
Global song divergence in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exploring the roles of genetic, geographical and climatic distance in sympatry and allopatry
https://academic.oup[...]
2021-06-10
[53]
논문
Song correlates with social context, testosterone and body condition in male barn swallows
http://dx.doi.org/10[...]
2021-06-10
[54]
논문
Ventral colour, not tail streamer length, is associated with seasonal reproductive performance in a Chinese population of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gutturalis'')
[55]
논문
Do male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experience a trade-off between the expression of multiple sexual signals?
2003-09
[56]
논문
Sexual selection for white tail spots in the barn swallow in relation to habitat choice by feather lice
1999-12
[57]
서적
The Barn Swallow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07-14
[58]
논문
Extra-pair paternity and tail ornamentation in the barn swallow
1997-11
[59]
논문
Mixed reproductive strategy and mate guarding in a semi-colonial passerine, the swallow ''Hirundo rustica''
1985-10
[60]
논문
Deceptive use of alarm calls by male swallows, ''Hirundo rustica'': a new paternity guard
[61]
논문
Barn Swallows use freshwater and marine algae in nest construction
[62]
논문
Nest building is a sexually selected behaviour in the barn swallow
[63]
논문
Geographical trends in breeding parameters of swallows ''Hirundo rustica'' and house martins ''Delichon urbica''
[64]
논문
Juvenile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L. from late broods start autumn migration younger, fuel less effectively and show lower return rates than juveniles from early broods
[65]
서적
Sexual Selection and the Barn Swallow
Oxford University Press
[66]
논문
Gape coloration reliably reflects immunocompetence of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nestlings
http://www.georgealo[...]
[67]
서적
Bird-parasite interactions: Ecology, evolution, and behaviour
Oxford University Press
[68]
논문
The feather holes on the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and other small passerines are probably caused by ''Brueelia'' spp. lice
http://www.zoologia.[...]
2009-09-03
[69]
논문
Sexual selection, feather breakage and parasites: the importance of white spots in the tail of the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70]
논문
The incidence of American swallow bugs (''Oeciacus vicarius'') in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colonies in northeast Texas
[71]
논문
Movement of the Eastern Swallow (''Hirundo rustica gutturalis'') ringed at Mootpuzha, Kerala
https://biodiversity[...]
2017-12-23
[72]
논문
Wintering of a Peregrine Falcon on an electricity pylon and its food in a suburban area of western Japan
[73]
논문
A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roost under attack: timing and risks in the presence of African Hobbies ''Falco cuvieri''
https://web.archive.[...]
[74]
논문
First observation of African tigerfish ''Hydrocynus vittatus'' predating on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in flight
https://onlinelibrar[...]
2014
[75]
웹사이트
''Hirundo rustica''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76]
뉴스
World Cup airport 'threatens swallow population'
https://www.theguard[...]
2006-11-16
[77]
보도자료
'World Cup 2010' development threatens millions of roosting Barn Swallows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06-11-16
[78]
보고서
Draft swallow monitoring and bird aircraft interaction
https://web.archive.[...]
Dube TradePor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formation Center
2007-04
[79]
논문
Climate change: a Swallow's eye view
2009-01
[80]
웹사이트
The Georgics
http://www.sacred-te[...]
2007-11-28
[81]
논문
Barn swallows (''Hirundo rustica'') test negative for ''Salmonella''
[82]
서적
The Nicomachean Ethics of Aristotle
Prometheus
[83]
서적
The Harper Anthology of Poetry
https://archive.org/[...]
Harper and Row
[84]
웹사이트
Hardtack and marlinspikes – life and work aboard ship
http://mmbc.bc.ca/do[...]
Maritime Museum of British Columbia
2007-12-01
[85]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 Windus
[86]
서적
Symbolic and Mythological Animals
Aquarian Press
[87]
웹사이트
The State — Structure and Symbols
https://web.archive.[...]
Estonian Embassy in London
[88]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of Estonia
http://www.einst.ee/[...]
The Estonia Institute
[89]
IUCN
''Hirundo rustica''
2015-12-13
[90]
웹사이트
''Hirundo rustica'' Linnaeus, 1758
http://www.itis.gov/[...]
ITIS
[91]
서적
ひと目でわかる野鳥
[92]
문서
江戸時代中期の説話集『新著聞集』や大正時代の岩田勝市『因伯珍談』に記録が見られる。
[93]
논문
本州のツバメ類の巣内より採集された吸血動物,および巣の新古による吸血動物相の違い
[94]
문서
直下には便器。民家の軒先など人が住むにぎやかな環境に営巣するという習性そのもの。
[95]
서적
甲子夜話
[96]
웹사이트
おかげ横丁の野鳥
https://www.okageyok[...]
伊勢福
2020-06-05
[97]
웹사이트
ツバメの巣作りは歓迎されているの?
https://www.biodic.g[...]
環境省
2019-04-26
[98]
뉴스
ツバメ 過疎と共に去りぬ/人口減→捕食の危険性上昇→営巣回避か/13~20年 日本野鳥の会調査
日本農業新聞
2021-06-26
[99]
웹사이트
ツバメ
http://conservation.[...]
神奈川県
2015-12-13
[100]
보고서
ツバメ
http://www.bdcchiba.[...]
千葉県
[101]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ツバメ」
http://jpnrdb.com/se[...]
(NPO法人 Envision環境保全事務所)
2017-05-19
[102]
문서
燕は渡り鳥として知られるが頻繁に女の巣に通うことから例えられる。後に女性解放運動家・平塚らいてうの夫となる、平塚より3歳年下の画家・奥村博史が(運動の邪魔にならないよう、一時的に身を引いた際に)、自分を例えて「水鳥たちが遊ぶ池に迷い込んだ若い燕」と表現したことに由来する(瀬戸内寂聴の小説『美は乱調にあり』では、平塚が奥村をラブレター上で若い燕と形容したことになっている)。
[103]
웹사이트
ツバメが低く飛ぶと本当に天気が悪くなりますか?
https://www.jma-net.[...]
秋田地方気象台
2015-08-13
[104]
웹사이트
公式マスコット
https://www.toppers.[...]
TOPPERSプロジェクト
2019-07-07
[105]
IUCN
''Hirundo rustica''
2019
[106]
서적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출판사 정보 없음)
[107]
논문
Nombres en castellano de las aves del mundo recomendados por la Sociedad Española de Ornitología (Novena parte: Orden Passeriformes, Familias Cotingidae a Motacillidae)
https://www.ardeola.[...]
2018-06-11
[108]
웹인용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지정,관리
https://web.archive.[...]
2017-07-30
[109]
논문
한국에 도래하는 제비의 번식생태 및 관리방안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7-08
[110]
웹인용
우정사업본부
http://www.koreapost[...]
2018-04-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귀한 손님인데 배설물 때문에”…내성천과 제비의 공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