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탄생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족의 탄생》은 세 개의 서로 다른 '가족'의 모습을 그린 2006년 대한민국 영화이다. 식당을 운영하는 미라와 전과자인 남동생 형철, 불륜을 저지르는 어머니와 딸 선경, 그리고 채현과 경석의 관계를 통해 각기 다른 가족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영화는 춘사영화상, 부산 영화평론가 협회상,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청룡영화상 등 국내 영화제에서 여러 상을 받았으며,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에서 골든 알렉산더상을 수상하는 등 해외에서도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태용 (1969년) 감독 영화 - 만추 (2010년 영화)
김태용 감독의 2010년 멜로 영화 《만추》는 1966년 이만희 감독의 동명 영화를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탕웨이와 현빈이 주연을 맡아 수감된 여자와 위태로운 남자의 짧고 강렬한 사랑을 미국 시애틀을 배경으로 그렸으며 다수의 국제 영화제에 초청, 탕웨이는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김태용 (1969년) 감독 영화 - 원더랜드 (2024년 영화)
원더랜드는 가상 세계에서 그리운 사람을 재현해주는 설정을 배경으로, 식물인간 연인과 세상을 떠난 배우자를 의뢰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2024년 김태용 감독의 SF 영화이다. - 드라마 영화 - 제불찰씨 이야기
TV 생방송 재판에서 사형 여부가 결정되는 거미 제불찰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제불찰씨 이야기는 어린 시절 누나와의 기억을 쫓으며 사건에 휘말리는 제불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엄상현, 조현정 등의 성우진이 참여했고 관련 학술 논문도 존재한다. - 드라마 영화 - 내 사랑 내 곁에 (영화)
2009년에 개봉한 영화 《내 사랑 내 곁에》는 박진표 감독이 연출하고 하지원과 김명민이 주연을 맡아 루게릭병 환자와 그를 사랑하는 여자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고 주요 영화제에서 주연 배우들이 연기력을 인정받아 수상했다. - 2006년 영화 - 더 리턴
더 리턴은 11살 때부터 환영에 시달리던 조애나 밀스가 고향에서 15년 전 살인 사건과 연관된 단서를 찾아 진범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을 그린 2005년 개봉 영화이다. - 2006년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가족의 탄생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Family Ties |
로마자 표기 | Gajogeui tansaeng |
장르 | 드라마 |
개봉일 | 2006년 5월 18일 |
상영 시간 | 113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제작 | |
감독 | 김태용 |
제작자 | 배용국, 정태운 |
각본 | 김태용, 성기영 |
촬영 | 조용규 |
편집 | 성수아 |
음악 | 조성우 |
제작사 | 블루스톰 |
배급사 | 롯데 엔터테인먼트 |
출연 | |
주연 | 문소리 고두심 엄태웅 공효진 김혜옥 봉태규 정유미 |
조연 | 주진모 |
마케팅 | |
등급 | 15세 관람가 |
흥행 | |
제작비 | 250만 미국 달러 |
수익 | 104만300 미국 달러 |
관객수 | 221,925명 |
흥행수익 (원화) | 1,225,585,500원 |
2. 줄거리
이 영화는 세 개의 서로 다른 '가족'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두 이야기는 거의 같은 시기에 일어난다.[9]
첫 번째 이야기에서, 요식업자 미라(문소리)는 혼자 살아가고 있었는데, 전과자인 남동생 형철(엄태웅)이 훨씬 나이 많은 새 아내 무신(고두심)과 함께 갑자기 나타난다. 미라는 마지못해 그들이 가족의 집에 잠시 머물도록 허락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갈등이 생기고, 무신의 어린 의붓딸 채현이 예기치 않게 도착하면서 세 어른은 곧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두 번째 이야기는 성미가 급한 젊은 여성 선경(공효진)과 그녀의 소원해진 어머니(김혜옥)와의 관계를 다룬다.[10] 선경은 어머니가 유부남(주진모)과 불륜을 저지르는 것에 분노를 느낀다. 선경은 일본에서 취업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지만, 어머니가 암으로 사망한 후 어린 이복 동생 경석을 돌보기 위해 해외 이주를 포기해야 한다.
세 번째 이야기는 몇 년 후 채현(정유미)과 경석(봉태규)의 관계를 통해 앞선 두 이야기의 줄거리를 엮는다. 대학생이 된 경석은 채현이 다른 남자들에게 보이는 개방적인 태도에 극도로 질투심을 느끼고, 그가 생각하기에 그녀의 "가벼운" 행동으로 인해 그들의 관계는 시험대에 오른다. 영화는 경석이 첫 번째 이야기에서 채현의 입양된 가족에게 받아들여지면서 끝을 맺는다.[11]
2. 1. 1부
문소리는 식당을 운영하며 혼자 사는 이미라 역을 맡았다. 어느 날, 전과자인 남동생 이형철(엄태웅)이 나이 많은 아내 오무신(고두심)과 함께 갑자기 나타난다. 미라는 마지못해 이들을 받아들이지만, 이들 사이에는 갈등이 생긴다.2. 2. 2부
선경(공효진)은 유부남과 불륜을 저지르는 어머니(매자, 김혜옥)에게 분노를 느낀다. 선경은 일본 취업을 준비하지만, 어머니가 암으로 사망하고 어린 이복동생 경석을 돌보게 되면서 해외 이주를 포기한다.2. 3. 3부
몇 년 후, 대학생이 된 경석(봉태규)은 채현(정유미)의 자유분방한 연애관에 질투심을 느낀다. 둘의 관계는 위기를 맞지만, 경석이 채현의 가족에게 받아들여지면서 영화는 마무리된다.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단역
- 김꽃비: 분식집 단골학생 1
- 이나리: 분식집 단골학생 2
- 황은지: 분식집 단골학생 3
- 이진선: 분식집 단골학생 4
- 김동영: 분식집 단골학생 5
- 조훈휘: 분식집 단골학생 6
- 조성환: 분식집 단골학생 7
- 이인철: 동동구리무
- 이라혜: 어린 채현
- 박중현: 면접관 1
- 김현아: 면접관 2
- 송정우: 면접관 3
- 오혜원: 담임선생님
- 경일고등학교 고적대: 고적대
- 송현희: 일본인 관광객
- 한유나: 준호 여자친구
- 추승엽: 운식 아들 1
- 김태훈: 운식 아들 2
- 김희수: 어린 경석
- 임정은: 채현/경석 선배 현아
- 고규필: 채현/경석 친구 1
- 전미영: 채현/경석 친구 2
- 조명연: 장례식장 선배 태식
- 홍재성: 상호
- 김태윤: 영호
- 신예원: 기차 뒷좌석 아이
- 류성현: 빚쟁이 남자
- 강토: 미라네 개
3. 3. 특별 출연
4.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출처 |
---|---|---|---|---|---|
2006 | 제14회 춘사영화상 | 신인남우상 | 엄태웅 | 수상 | |
제7회 부산 영화평론가 협회상 | 감독상 | 김태용 | 수상 | ||
각본상 | 김태용, 성기영 | 수상 | |||
제2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최우수 작품상 | 가족의 탄생 | 수상 | [12] | |
2006 | 제47회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 | 골든 알렉산더 (최우수 작품상) | 가족의 탄생 | 수상 | [13][14] |
여우주연상 | 문소리, 고두심, 공효진, 김혜옥 | 수상 | |||
각본상 | 김태용, 성기영 | 수상 | |||
제임슨 관객상 | 김태용 | 수상 | |||
2006 | 제27회 청룡영화상 | 여우조연상 | 정유미 | 수상 | [15] |
각본상 | 김태용, 성기영 | 후보 | [16] | ||
감독상 | 김태용 | 수상 | [15] | ||
최우수 작품상 | 가족의 탄생 | 후보 | [16] | ||
2006 |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신인여우상 | 정유미 | 후보 | [17] |
여우주연상 | 공효진 | 후보 | |||
편집상 | 성수아 | 후보 | |||
각본상 | 김태용, 성기영 | 후보 | |||
감독상 | 김태용 | 후보 | |||
최우수 작품상 | 가족의 탄생 | 후보 | |||
2007 | 제43회 백상예술대상 | 시나리오상 | 김태용, 성기영 | 후보 | rowspan=2| |
영화감독상 | 김태용 | 후보 | |||
제44회 대종상 | 여우조연상 | 김혜옥 | 후보 | ||
각본상 | 김태용, 성기영 | 수상 | [18] | ||
감독상 | 김태용 | 후보 | |||
최우수 작품상 | 가족의 탄생 | 수상 | [18] | ||
제9회 도빌 아시아 영화제 | 심사위원 로터스상 | 가족의 탄생 | 수상 |
4. 1. 국내
2006년 제14회 춘사영화상에서 엄태웅이 신인남우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제7회 부산 영화평론가 협회상에서 김태용 감독과 성기영 작가가 각본상을, 김태용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했다. 제2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는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12] 제47회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에서는 제임슨 관객상(김태용)과 여우주연상(문소리, 고두심, 공효진, 김혜옥)을, 각본상(김태용, 성기영)을 받았고, 최고상인 골든 알렉산더를 수상했다.[13][14]제27회 청룡영화상에서는 정유미가 여우조연상을, 김태용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했다.[15] 김태용 감독과 성기영 작가는 각본상 후보에, ''가족의 탄생''은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16]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에서는 정유미가 신인여우상, 공효진이 여우주연상, 성수아가 편집상, 김태용 감독과 성기영 작가가 각본상, 김태용 감독이 감독상, ''가족의 탄생''이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17]
2007년 제43회 백상예술대상에서 김태용 감독과 성기영 작가가 시나리오상, 김태용 감독이 영화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제44회 대종상에서는 김혜옥이 여우조연상 후보, 김태용 감독과 성기영 작가가 각본상을 수상했고,[18] 김태용 감독은 감독상, ''가족의 탄생''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18] 제9회 도빌 아시아 영화제에서는 심사위원 로터스상을 수상했다.
4. 2. 해외
《가족의 탄생》은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13][14] 2006년 제47회 테살로니키 국제 영화제에서 제임슨 관객상, 여우주연상(문소리, 고두심, 공효진, 김혜옥), 각본상(김태용, 성기영)을 받았으며, 최고상인 골든 알렉산더를 수상했다.[13][14] 2007년에는 제9회 도빌 아시아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로터스상을 받았다.참조
[1]
웹사이트
Family Ties (2006) - Box office / business
https://www.imdb.com[...]
2012-06-04
[2]
웹사이트
Box office by Country: Family Ties
https://boxofficemoj[...]
2012-06-04
[3]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Kim Tae-yong
http://www.koreanfil[...]
2007-05-23
[4]
웹사이트
Review and Q&A: 가족의 탄생 (Gajokeui tansaeng/FamilyTies)
https://web.archive.[...]
2011-11-02
[5]
웹사이트
TORONTO '06 DISCOVERY INTERVIEW: Kim Tae-yong: "I am curious to see the reaction of a foreign audience
https://www.indiewir[...]
2006-09-09
[6]
웹사이트
TIFF Report: Family Ties Review
https://web.archive.[...]
2006-09-01
[7]
웹사이트
Family Plays by Its Own Wonderful Rules
http://www.hancinema[...]
2006-05-18
[8]
웹사이트
Film sees love, not blood ties, key for family
http://www.hancinema[...]
2006-05-22
[9]
웹사이트
Family Ties
http://koreanfilm.or[...]
[10]
웹사이트
Rising Star
http://english.donga[...]
2006-06-09
[11]
웹사이트
Family ties and feminine heartstrings
http://koreajoongang[...]
2006-08-15
[12]
웹사이트
Pair win top prizes at Korean awards
https://variety.com/[...]
2006-12-26
[13]
웹사이트
The Awards of the 47th Thessalonik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filmfesti[...]
2006-11-26
[14]
웹사이트
Family Ties Takes Top Prize in Greece
http://www.koreanfil[...]
2006-12-08
[15]
웹사이트
BONG's Host Takes Top Prize at Blue Dragon
http://www.koreanfil[...]
2006-12-21
[16]
웹사이트
The 27th Blue Dragon Awards
https://archive.toda[...]
2012-07-01
[17]
웹사이트
5th Korean Film Awards: Nominees
http://www.imbc.com/[...]
2012-11-27
[18]
웹사이트
Family Ties Wins Top Prize at Home
http://www.koreanfil[...]
2007-06-13
[19]
웹사이트
한국영화진흥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
http://www.kobis.or.[...]
2013-12-00
[20]
웹사이트
탕웨이 남편 김태용 감독 역대 영화 관객 수.txt
http://mlbpark.donga[...]
[21]
뉴스
드라마 제목 재활용 전성시대, '어디서 들었더라…'
https://entertain.na[...]
아시아경제
2008-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