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톨릭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는 1001년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에 의해 에스테르곰 대교구로 설립되었으며, 헝가리 왕을 대관할 특권을 가진 수석 대주교를 배출했다. 154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에스테르곰이 점령된 후 트르나바로 이전했고, 1993년 세케슈페헤르바르 교구와 바츠 교구로부터 영토를 얻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에스테르곰의 성 아달베르트 대성당과 부다페스트의 성 이슈트반 대성당을 공동 대성당으로 사용하며, 죄르 로마 가톨릭교구와 세케슈페헤르바르 로마 가톨릭교구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톨릭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지도
일반 정보
관할 국가헝가리
관할 지역에스테르곰, 부다페스트
관구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관구
명칭가톨릭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로마자 표기Archidioecesis Strigoniensis-Budapestinensis
현지 명칭Esztergom–Budapesti Főegyházmegye
에스테르곰 대성당
에스테르곰 대성당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지도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지도
통계
면적1,543 km² (595 제곱마일)
인구2,078,000 (2016년)
가톨릭 신자1,249,000
가톨릭 신자 비율60.1%
본당 수188
교구 설정
에스테르곰 대교구10세기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1993년 5월 31일
주요 성당
주교좌 성당성모 승천과 성 아달베르트 대성당 (에스테르곰 대성당)
공동 주교좌 성당성 이슈트반 대성당
주보 성인
주보 성인성 이슈트반 1세
교구 현황
관할 교구죄르 교구
세케슈페헤르바르 교구
보좌 주교마르토스 레벤테 발라즈
가보르 모호시
코르넬 파브리
은퇴 주교가슈파르 라도시
구성원
교구장페테르 에르되 추기경
사제 수435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001년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에 의해 '''에스테르곰 대교구'''로 설립되었으며, 니트라 교구, 파사우 교구, 레겐스부르크 교구(후자의 두 교구는 바이에른 남부 독일에 위치)에서 분할된 헝가리 영토에 위치해 있었다.[1] 이 교구는 독특하고 중요한 지위를 갖고 있었으며, 대주교에게 수석 대주교라는 칭호와 헝가리 왕을 대관할 특권을 부여했다.[1]

성 아달베르트 대성당은 1010년에 봉헌되었다.[1] 1227년에는 밀코비아 교구를 설립하기 위해 영토를 잃었지만, 1542년 폐지된 밀코비아 교구로부터 영토를 되찾았다.

1543년 에스테르곰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기 전, 대주교와 사제단은 너지솜바트로 이전했다. 성 니콜라스 교회는 대성당으로 사용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교구 점령으로 인해 목회 활동이 어려워졌고, 개신교 교리가 확산되었다. 대주교 미클로시 올라흐는 너지솜바트에서 에스테르곰 대성당 학교를 재건했고, 1561년에는 예수회를 초청하여 학교를 운영하도록 했다.[1]

1619년, 수석 대주교 페테르 파즈마니는 헝가리 사제 후보자를 양성하기 위해 빈에 파즈마네움을 설립했다.[2] 1776년, 이 대교구는 분할되어 반스카 비스트리차 교구, 로주냐바 교구, 스피시 교구가 설립되었다. 1820년, 주교좌는 에스테르곰으로 돌아왔다. 1822년 대성당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 상부 교회는 1856년에 봉헌되었고, 프란츠 리스트의 ''장엄 미사''가 초연되었다.

1912년 6월, 이 대교구는 하이두도로그 교구 (보좌 주교구로, 현재는 비잔틴 전례 대교구)가 설립되면서 영토를 잃었고, 1922년 5월에는 트르나바 사도 행정구를 설립하면서 영토를 잃었다. 1938년에는 제34회 국제 성체 콩그레스가 부다페스트에서 열렸다. 1948년에는 추기경 요제프 민젠티가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1956년 헝가리 혁명 중 잠시 석방된 민젠티는 러시아의 침공으로 부다페스트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았다.

1991년 8월, 이 대교구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교황 방문을 받았다. 1993년 교구 경계가 재조정되었고, 대교구는 세케슈페헤르바르 교구 (보좌 주교구로 변경)와 바츠 교구로부터 영토를 얻어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로 개칭되었다. 성 이슈트반 대성당은 공동 대성당으로 지정되었다.

2. 1. 설립 초기 (1001년 ~ 1543년)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에 의해 1001년 '''에스테르곰 대교구'''로 설립되었으며, 니트라 교구, 파사우 교구, 레겐스부르크 교구에서 분할된 헝가리 영토에 위치해 있었다.[1] 에스테르곰 대교구는 헝가리 왕을 대관할 특권을 가진 수석 대주교라는 칭호를 부여받는 등 독특하고 중요한 지위를 누렸다.[1]

성 아달베르트 대성당은 1010년에 봉헌되었다.[1] 1227년에는 밀코비아 교구를 설립하기 위해 영토를 잃었지만, 1542년 폐지된 밀코비아 교구로부터 영토를 되찾았다.

2. 2. 오스만 제국 점령과 트르나바로의 이전 (1543년 ~ 1820년)

1001년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에 의해 설립된 에스테르곰 대교구는 니트라 교구, 파사우 교구, 레겐스부르크 교구에서 분할된 헝가리 영토에 위치해 있었다.[1] 이 교구의 대주교는 수석 대주교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헝가리 왕을 대관할 특권을 부여받았다.[1] 성 아달베르트 대성당은 1010년에 봉헌되었다.[1]

1543년 에스테르곰이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자, 대주교와 사제단은 너지솜바트로 이전했다. 성 니콜라스 교회가 대성당으로 사용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점령으로 인해 목회 활동이 어려워졌고, 개신교 교리가 확산되었다. 대주교 미클로시 올라흐는 너지솜바트에서 에스테르곰 대성당 학교를 재건했고, 1561년에는 예수회를 초청하여 학교를 운영하도록 했다.[1]

1619년, 수석 대주교 페테르 파즈마니는 헝가리 사제 후보자를 양성하기 위해 빈에 파즈마네움을 설립했다.[2] 1776년에는 반스카 비스트리차 교구, 로주냐바 교구, 스피시 교구가 에스테르곰 대교구에서 분할되어 설립되었다. 1820년, 주교좌는 에스테르곰으로 돌아왔고, 1822년 대성당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 상부 교회는 1856년에 봉헌되었고, 프란츠 리스트의 ''장엄 미사''가 초연되었다.

2. 3. 에스테르곰 복귀와 근대 (1820년 ~ 1993년)

1820년 주교좌가 에스테르곰으로 돌아왔다.[1] 1822년 에스테르곰 대성당 복원 작업이 시작되었다. 상부 교회는 1856년에 봉헌되었고, 프란츠 리스트의 ''장엄 미사''가 초연되었다.[1]

1912년 6월, 이 대교구는 하이두도로그 교구가 설립되면서 영토를 잃었고,[1] 1922년 5월에는 트르나바 사도 행정구를 설립하면서 영토를 잃었다.[1] 1938년에는 제34회 국제 성체 콩그레스가 부다페스트에서 열렸다.[1] 1948년에는 추기경 요제프 민젠티가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다.[1] 1956년 헝가리 혁명 중 잠시 석방된 민젠티는 러시아의 침공으로 부다페스트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았다.[1]

1991년 8월, 이 대교구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교황 방문을 받았다.[1] 1993년 교구 경계가 재조정되었고, 대교구는 세케슈페헤르바르 교구와 바츠 교구로부터 영토를 얻어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로 개칭되었다. 성 이슈트반 대성당은 공동 대성당으로 지정되었다.[1]

2. 4.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 시대 (1993년 ~ 현재)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에 의해 1001년에 설립된 에스테르곰 대교구는 니트라 교구, 파사우 교구, 레겐스부르크 교구에서 분할된 헝가리 영토에 위치했으며, 대주교는 수석 대주교 칭호와 헝가리 왕 대관 특권을 부여받았다.[1] 성 아달베르트 대성당은 1010년에 봉헌되었다.[1]

1543년 오스만 제국에 에스테르곰이 함락되자 대주교와 사제단은 너지솜바트로 이전했고, 성 니콜라스 교회가 대성당으로 사용되었다.[1] 대주교 미클로시 올라흐는 너지솜바트에서 에스테르곰 대성당 학교를 재건하고 1561년 예수회를 초청했다.[1] 1619년, 수석 대주교 페테르 파즈마니는 빈에 파즈마네움을 설립했다.[2]

1776년 반스카 비스트리차 교구, 로주냐바 교구, 스피시 교구가 분할 설립되었다. 1820년 주교좌는 에스테르곰으로 돌아왔고, 1822년 대성당 복원 작업이 시작되어 1856년 상부 교회가 봉헌되었으며 프란츠 리스트의 ''장엄 미사''가 초연되었다.

1938년 제34회 국제 성체 콩그레스가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되었다. 1948년 추기경 요제프 민젠티가 체포되어 투옥되었다가 1956년 헝가리 혁명 중 잠시 석방되었으나, 러시아 침공으로 부다페스트 주재 미국 대사관에서 정치적 망명을 했다.

1991년 8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교구를 방문했다. 1993년 교구 경계 재조정으로 세케슈페헤르바르 교구와 바츠 교구로부터 영토를 얻어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로 개칭되었고, 성 이슈트반 대성당이 공동 대성당으로 지정되었다.

3. 교구 현황

3. 1. 이중 구조

이중 명칭은 헝가리의 두 주요 도시인 옛 수석 대주교좌 '''에스테르곰'''과 현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 (공동)대성당이 있음을 반영한다. 이 두 주요 도시는 헝가리 초창기 역사에서 에스테르곰헝가리 왕국의 이전 수도 중 하나였기 때문에 하나의 대교구 관할 하에 있다.

대주교 대성당이자 수석 주교좌는 에스테르곰-바르에 있는 나기볼도거소니 에스 센트 아달베르트 포세세게세게하지이다.

공동 대성당, 소 바실리카이자 세계 문화 유산인 곳은 부다페스트-센트이슈트반바로스에 있는 성 이슈트반 대성당이다.

대교구에는 페예르주 세케슈페헤르바르에 있는 또 다른 소 바실리카, 키스볼도거소니-템플롬, 마리아레메테가 있다.

3. 2. 통계

2016년 기준으로 1,249,000명의 가톨릭 신자가 있었으며, 이는 전체 인구 2,078,000명의 60.1%에 해당한다. 188개 본당과 28개 공소를 관할하며 1,543 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2014년에는 435명의 사제(교구 사제 254명, 수도 사제 181명), 23명의 부제, 725명의 평신도 수도자(남자 수도자 266명, 수녀 459명)와 38명의 신학생이 있었다.

3. 3. 관할 교구

가톨릭 에스테르곰-부다페스트 대교구의 관할 교구는 죄르 로마 가톨릭교구와 세케슈페헤르바르 로마 가톨릭교구이다. 하이두도로그 로마 가톨릭교구는 2015년 헝가리 그리스 가톨릭 하이두도로그 대교구로 승격되기 전까지 관할 교구였다. 현재 헝가리 그리스 가톨릭 교회의 수장이 된 하이두도로그 대교구는 비잔틴 전례를 따르며, 자체 관할 구역 내에 두 개의 관할 교구를 두고 있다.

4. 역대 대주교

도몬코스는 1000년에 에스테르곰 대교구의 대주교를 역임했다. 세베스티엔(세바스티안)은 1001년에 대주교를 맡았고, 1002년에는 라들라가 대주교가 되었다. 아나스타즈-아스트리크는 약 1007년에 대주교가 되었으며, 세베스티엔은 1012년 이후 다시 대주교직을 수행했다. 베네데크-베네타는 1046년부터 1055년까지 대주교를 역임했다. 네헤미아는 1075년부터 1077/79년까지, 아차는 1087년부터 약 1090년까지 대주교였다. 세라핀은 1094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로린츠 (로렌스)는 1105년, 마르첼루스는 1116년에 대주교를 맡았다. 펠리치안은 1127년에 대주교가 되었고, 마카리우스는 1143년에 태어나 1150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쾨케네스는 1150년에, 마르티리우스는 1151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루카스는 1158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니콜라스는 1181년부터 1183년까지 대주교직을 수행했다. 요브는 1185년에 대주교를 맡았다.

우그린 ''데 제네레'' 차크는 1204년 4월부터 8월까지 대주교를 역임했다. 칼란 ''데 제네레'' 바르-칼란은 1204년에 대주교가 되었고, 존은 1205년에 대주교를 맡았다. 토마스는 1224년 2월부터 11월까지 대주교를 역임했다. 로버트는 1226년부터 1239년까지 대주교였다. 마티아스 ''데 제네레'' 라토트는 1239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스테판 ''데 제네레'' 반차는 1242년에 대주교이자 추기경이었다. 베네데크는 1254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퓔뢰프 센트그로티는 1262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미클로시(니콜라스) ''데 제네레'' 칸은 1273년에 대주교를 역임했고, 베네딕토는 1274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미클로시(니콜라스) ''데 제네레'' 칸은 1276년에 다시 대주교직을 수행했다. 페테르 쾨세기 ''데 제네레'' 헤데르는 1277년에 대주교를 맡았다. 로도메르는 1279년부터 1298년까지 대주교였다. 그레고리 빅스케이는 1298년부터 1303년까지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미하일(마이클) ''데 제네레'' 뵈는 1303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토마스는 1305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볼레스라브 피아스트는 1321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미클로시(니콜라스) 뒤뢰그디는 1329년에 대주교가 되었고, 차나드 텔레그디는 1330년에 대주교를 맡았다. 니콜라스 바사리는 1350년에, 미클로시(니콜라스) 아파티는 1358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타마시(토마스) 텔레그디는 1367년에 대주교가 되었다. 야노시(존) 데 수르디스는 1376년에 대주교를 맡았고, 데메테르는 1378년에 대주교를 역임했다. 야노시(존) 카니자이는 1387년부터 1395년까지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페테르(피터)는 1418년에 사도적 보좌를 역임했다. 라슬로(라디슬라우스) 체트네키, 죄르지(조지) 호헨로헤, 야노시(존) 보르스니츠도 1418년에 사도적 보좌를 맡았다. 죄르지 팔로치는 1423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데네시 세체는 1440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야노시 비테즈는 1465년부터 1472년까지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요한 베켄슐라거는 1474년 3월 15일부터 1487년 3월 21일까지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아라곤의 존은 1480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추기경 이폴리토 데스테는 1486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타마시 바코츠는 1497년부터 1521년까지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죄르지 사트마리는 1522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라슬로 살카이는 1524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팔 바르더이/Pál Várdaihu는 1526년부터 1549년 10월 12일까지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조르지오 마르티누치는 1551년에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미클로시 올라흐는 1553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안탈 베란치치는 1569년 10월 17일부터 1573년 6월 15일까지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미클로시 텔레그디는 1580년부터 1586년 4월 22일까지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이슈트반 페헤르쾨비는 1596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야노시 쿠타시는 1597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페렌츠 포르가치는 1607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페테르 파즈마니, S.J.는 1616년 10월 28일부터 1637년 3월 19일까지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임레 로시는 1637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죄르지 리파이는 1642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고, 죄르지 세레프체니는 1666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죄르지 세체니는 1685년에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레오폴트 카를, 콜로니치 백작은 1695년 8월 22일부터 1707년 1월 20일까지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보좌 대주교 작센-차이츠의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는 1701년 1월 24일부터 1707년 1월 20일까지 재임했다. 작센-차이츠의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는 1707년 1월 20일부터 1725년 8월 23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임레 에스테르하지는 1725년에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미클로시 차키는 1751년에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페렌츠 바르코치는 1761년에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맡았다. 요제프 바트야니는 1776년 5월 20일부터 1799년 10월 23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오스트리아의 카를 암브로시우스는 1808년 3월 16일부터 1809년 9월 2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알렉산데르 루드나이는 1819년 12월 17일부터 1831년 9월 13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요제프 코파시는 1838년 12월 15일부터 1847년 9월 17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야노시 함은 1848년 6월부터 1849년 7월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야노시 시토브스키는 1849년 9월 28일부터 1866년 10월 19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였다. 야노시 시모르는 1867년 2월 22일부터 1891년 1월 23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이자 대주교를 역임했다.

콜로시 페렌츠 바사리, O.S.B.는 1891년 12월 13일부터 1913년 1월 1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야노시 체르노흐는 1912년 12월 13일부터 1927년 7월 25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유스티니안 죄르지 세레디, O.S.B.는 1927년 11월 30일부터 1945년 3월 29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존경하는 요제프 민젠티는 1945년 10월 2일부터 1973년 12월 18일까지 공작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엔드레 함바스, 미하일 엔드레이, 아르투르 슈바르츠-에겐호퍼, 임레 사보, 임레 키스베르크는 사도적 보좌를 역임했다. 라슬로 레카이는 1974년 2월 2일에 사도적 보좌로 임명되었다.

라슬로 레카이는 1976년 2월 12일부터 1986년 6월 30일까지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 라슬로 파스카이는 1987년 3월 3일부터 2002년 12월 7일까지 수석 사제, 대주교, 추기경을 역임했다(아래 참조). 1993년까지는 에스테르곰 대주교였다. 임레 아스트리크 바르세기, 빌모스 데카니, 차바 테르냐크, 안탈 스파니, 미클로시 베어, 가스파르 라도치는 보조 주교를 역임했다.

페테르 에르되는 2002년 12월 7일부터 현재까지 대주교를 역임하고 있으며, 2003년 10월 21일 S. 마리아 누오바의 추기경-사제로 임명되었다. 또한 헝가리 주교 회의 의장(2005년 9월 – 2015년 9월 2일)과 유럽 주교 회의 의장(2006년 10월 8일 – 2016년 10월 8일)을 역임했다. 이전에는 푸피의 명의 주교로 세케슈페헤르바르의 보조 주교를 역임했다. 라슬로 키스-리고, 죄르지 우드바르디, 야노스 세켈리, 페렌츠 체르하티, 죄르지 스넬은 보조 주교를 역임했다.

바기 이슈트반, 팔로시 이반, 젬플렌 죄르지, 미하이 엔드리, 사보 임레, 복자 졸탄 러요시 메슬레니, 스테파노 브레이어, 라이너 러요시, 요제프 메다르트 콜, 파울루스 팔라스티, 볼티자르 요제프, 사보 요제프, 주세페 두르구스, 토트 에메리코, 요제프 비버, 요제프 크라우트만, 페테르 데 위르메니, 조반니 베뇨프스키, 고스토니 이슈트반, 카롤 페레니, 니콜라우스 라우셔, 키라리 요제프, 마르톤 궉게이, 라디슬라우스 루젠스키, 스테파누스 너지, 게오르기우스 리치발츠키, 안톤 레바이, 파울루스 데 레바이, 페렌츠 지치, 조르지오 트리불지오는 보좌 주교를 역임했다.

5. 주요 인물

6. 논란과 과제

6. 1. 공산 정권과의 관계

6. 2. 현대 사회 문제에 대한 대응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https://www.visitesz[...]
[2] 웹사이트 History http://pazmaneum.k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