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천도시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갑천도시고속도로는 대전광역시를 통과하는 유료 도로로, 1993년 일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연장 및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 과정을 거쳤다. 2009년 2개 이상 자치구에 걸쳐있는 도로로 고시되었으며, 2010년 도로 구간이 연장되어 총 연장이 24.53km가 되었다. 대전 시내 유일의 유료도로이며, 하이패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주요 경유지로는 대전광역시 대덕구와 서구 일대가 있으며, 갑천역, 원촌 나들목, 대화 요금소 등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 대한민국의 유료 도로 - 봉담과천로
봉담과천로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과 과천시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2014년 고시되었으며 왕복 4~8차로로 구성되어 나들목과 분기점을 통해 주변 지역과의 접근성을 높인다. - 대전 대덕구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전 대덕구의 교통 - 대덕대로
대전광역시 서구에서 대덕구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인 대덕대로는 배재로와 직결되고 대청로와 연결되어 유성구와 서구를 잇는 역할을 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및 제32호선 구간을 포함한다. - 대전 서구의 교통 - 대덕대로
대전광역시 서구에서 대덕구를 잇는 주요 간선도로인 대덕대로는 배재로와 직결되고 대청로와 연결되어 유성구와 서구를 잇는 역할을 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및 제32호선 구간을 포함한다. - 대전 서구의 교통 - 흑석리역
흑석리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호남선의 무배치 간이역으로, 1935년 영업을 시작해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화물, 소화물, 여객 취급 중지를 거쳐 다시 간이역이 되었으며, 1975년 역사를 이전 신축하여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서대전역과 계룡역 사이에 위치한다.
갑천도시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이름 | 갑천도시고속도로 |
다른 이름 | 천변도시고속화도로 |
도로 종류 | 도시고속화도로 |
총 연장 | 24.53km |
개통 연도 | 1993년 |
관리 |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
노선 정보 | |
기점 |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
주요 경유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광역시 서구 |
종점 |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
추가 정보 | |
영어 이름 | Gapcheondosi Expressway |
비고 | 川辺都市高速化道路(천변도시고속화도로)와 갑천도시고속도로는 같은 도로를 지칭함. 全線開通(전선개통) : 2004년 南北(남북) 방향 起点(기점) : 대전광역시 대덕구 終点(종점) : 대전광역시 서구 |
2. 역사
- 1993년 : 3공구 (와동IC ~ 원촌교), 5공구 (대덕대교 ~ 만년교) 구간이 개통되었다.[3]
- 1995년 7월 19일 : 원촌육교 ~ 와동육교 4.6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했다.[3]
- 1998년 7월 22일 : 싱가포르 Piling 과 협약을 체결했다.
- 2000년 3월 31일 : 사업제안서를 대전광역시에 제출했다.
- 2001년 2월 21일 : 최종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 2001년 11월 1일 : 천변도시고속화도로 건설 민간투자(외자유치)사업 실시계획 승인.[4]
- 2001년 12월 20일 : 공사를 착공했다.
- 2003년 10월 13일 : 사업 기간을 2003년 10월 19일에서 2004년 4월 27일까지로 연장했다.[5]
- 2004년 4월 26일 : 사업 기간을 2004년 4월 27일에서 2004년 7월 31일까지로 연장했다.[6]
- 2004년 8월 7일 : 원촌육교 ~ 문예지하차도(대화육교) 4.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했다.[7]
- 2004년 9월 6일 : 4공구 도로를 개통했다.
- 2009년 7월 14일 : 2개 이상 자치구에 걸쳐있는 도로로 '''갑천도시고속도로'''를 고시했다.[8]
- 2010년 3월 30일 : 도로구간을 대덕구 와동 와동육교에서 신탄진동 현도교까지 연장했다. 이에 따라 총 연장이 17.34km에서 24.53km로 증가했다.[9]
- 2012년 5월 18일 : 통행료를 인상했다.[10]
- 2015년 12월 22일 : 와동육교 ~ 문평대교 4.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했다.[11]
- 2018년 11월 15일 : 하이패스를 개통했다.[12]
- 개통 예정 구간
- * 1,6공구 (현도교 ~ 문평대교)
2. 1. 개요
3. 특징
대전광역시를 통과하는 유료도로 가운데 고속도로를 제외하고는 유일한 유료도로이다.[2] 총 차입금액 1,580억 원 중 사무라이펀드로 차입한 금액이 1,346억 원으로 2006년도에 약 39억 원의 재원을 보전했으며, 2007년에는 엔화의 급격한 상승으로 66억 원, 2008년에는 약 100억 원 정도를 재정 보전하였다.[2] 2011년도에 자금상환기간이 되면 전액 상환해야 한다.[2] 2016년 7월부터 일부 구간에 24시간 전일제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되고 있다.
4. 노선
현도교 남단에서 국도 제17호선(신탄진로), 대덕대로1527번길과 연결되며, 불무교 남단에서는 불무로와 연결된다. 문평대교 남단에서는 구즉세종로와 연결되나 미개통 상태이며, 구즉세종로와 직결될 예정이다. 대덕산업단지에는 바로타 B1 노선이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이 있다.
들말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대덕대로), 대덕대로1277번길, 대덕대로1284번길과 연결되지만, 가수원 방향 진출과 신탄진 방향 진입은 불가능하다. 시알들네거리에서는 테크노7로, 신일서로126번길과 연결되며, 신일고가교를 통해 가수원 방향 진출 및 신탄진 방향 진입이 가능하다. 신일나들목교에서는 가수원 방향 진입 및 신탄진 방향 진출이 가능하다.
환경생태공원진입로와 와동육교에서는 국도 제17호선(신탄진로)과 연결되지만, 가수원 및 신탄진 방향 모두 진출입이 불가능하다. 한빛대교에서는 배울1로와 연결된다. 신대교와 당산교는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기점과 종점 역할을 한다.
원촌교네거리에서는 아리랑로와 연결되며, 원촌육교가 있다. 대화TG/IC는 한밭TG 방면으로 연결되며, 본선요금소가 있고 진출입차량은 한밭TG로 연결된다. 대화대교를 지나 엑스포지하차도가 이어진다.
대덕대교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대덕대로)과 연결되며, 문예지하차도가 있다. 만년고등학교에서는 만년로, 갑천네거리에서는 둔산대로와 연결된다. 월평주공아파트1단지와 은평공원에서는 월평동로, 월평중로와 연결되지만, 신탄진 방향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하다.
갑천대교네거리에서는 한밭대로와 연결되며, 갑천지하차도가 있다. 대전월평초등학교에서는 월평서로와 연결된다. 갑천역을 지나 만년교네거리에서는 국도 제32호선(계룡로)과 연결되며, 만년지하차도가 있다. 월평동에서는 월드컵대로484번길과 연결된다.
4. 1. 본선
현도교 남단에서 국도 제17호선(신탄진로), 대덕대로1527번길과 연결되며, 불무교 남단에서는 불무로와 연결된다. 문평대교 남단에서는 구즉세종로와 연결되나 미개통 상태이며, 구즉세종로와 직결될 예정이다. 대덕산업단지에는 바로타 B1 노선이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이 있다.들말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대덕대로), 대덕대로1277번길, 대덕대로1284번길과 연결되지만, 가수원 방향 진출과 신탄진 방향 진입은 불가능하다. 시알들네거리에서는 테크노7로, 신일서로126번길과 연결되며, 신일고가교를 통해 가수원 방향 진출 및 신탄진 방향 진입이 가능하다. 신일나들목교에서는 가수원 방향 진입 및 신탄진 방향 진출이 가능하다.
환경생태공원진입로와 와동육교에서는 국도 제17호선(신탄진로)과 연결되지만, 가수원 및 신탄진 방향 모두 진출입이 불가능하다. 한빛대교에서는 배울1로와 연결된다. 신대교와 당산교는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기점과 종점 역할을 한다.
원촌교네거리에서는 아리랑로와 연결되며, 원촌육교가 있다. 대화TG/IC는 한밭TG 방면으로 연결되며, 본선요금소가 있고 진출입차량은 한밭TG로 연결된다. 대화대교를 지나 엑스포지하차도가 이어진다.
대덕대교네거리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대덕대로)과 연결되며, 문예지하차도가 있다. 만년고등학교에서는 만년로, 갑천네거리에서는 둔산대로와 연결된다. 월평주공아파트1단지와 은평공원에서는 월평동로, 월평중로와 연결되지만, 신탄진 방향으로만 진출입이 가능하다.
갑천대교네거리에서는 한밭대로와 연결되며, 갑천지하차도가 있다. 대전월평초등학교에서는 월평서로와 연결된다. 갑천역을 지나 만년교네거리에서는 국도 제32호선(계룡로)과 연결되며, 만년지하차도가 있다. 월평동에서는 월드컵대로484번길과 연결된다.
4. 2. 한밭요금소 ~ 농수산오거리 구간
wikitable
5. 통행료
2012년 5월 18일 기준 통행료는 다음과 같다.
구분 | 통행료 |
---|---|
경차 (1,000cc 미만) | 400원 |
소형(16인승 이하, 2.5t 미만) | 800원 |
중형(17인승 이상~32인승 이하, 2.5t 이상~5.5t 미만) | 900원 |
대형(33인승 이상, 5.5t 이상) | 1,400원 |
통행료는 현금, 선불교통카드, 후불교통카드로 된 신용카드, 체크카드, 하이패스로 납부할 수 있다.[14][12]
6. 주요 경유지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 석봉동 · 문평동 · 신일동 · 상서동 · 와동 · 신대동 · 읍내동 · 대화동) - 서구 (만년동 · 월평동
7. 주요 건물 및 시설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갑천역 (대전광역시 서구 갑천도시고속도로 지하 1833(월평동)
- 원촌 나들목
- 대화 요금소
- 대화 분기점
- 대덕 나들목
- 한밭 나들목
8. 미개통 구간 및 논란
참조
[1]
문서
도로명주소 기준
[2]
회의록
제5대-제180회-제3차-예산결산특별위원회-2009.03.20 금요일 회의록
http://council.metro[...]
[3]
공고
대전광역시공고 제1995-173호
http://theme.archive[...]
1995-07-19
[4]
고시
대전광역시고시 제2001-122호
2001-11-01
[5]
고시
대전광역시고시 제2003-133호
http://www.daejeon.g[...]
2003-10-13
[6]
고시
대전광역시고시 제2004-45호
http://www.daejeon.g[...]
2004-04-26
[7]
공고
대전광역시공고 제2004-367호
http://gwanbo.mois.g[...]
2004-08-07
[8]
공고
대전광역시공고 제2009-177호
http://www.daejeon.g[...]
2009-07-14
[9]
고시
대전광역시고시 제2010-49호
http://www.daejeon.g[...]
2010-03-30
[10]
공고
대전광역시공고 제2012-660호
http://210.104.41.43[...]
2012-05-18
[11]
공고
대전광역시공고 제2015-1482호
http://www.daejeon.g[...]
2015-12-22
[12]
문서
전용차로에서만 이용 가능
[13]
뉴스
대전 갑천우안도로 무산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0-04-08
[14]
문서
2018년 11월 15일 요금소에 [[하이패스]] 차로가 개통되었다.
[15]
문서
하이패스 이용 불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