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도래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도래목은 땋은 날개라는 뜻으로, 두 쌍의 날개가 복잡한 맥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날개가 납작하게 접히는 곤충들을 포함한다. 강도래는 씹는 턱, 긴 더듬이, 겹눈, 홑눈, 튼튼한 다리, 그리고 복부 끝에 미모를 가진 일반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갖는다. 유충은 수생 생활을 하며, 수질 오염에 민감하여 환경 지표종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강도래목은 Arctoperlaria 아목과 Euholognatha, Systellognatha 하목으로 분류되며, 일부 종은 식용 또는 낚시 미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생 생물 - 자산어보
    자산어보는 정약전이 흑산도 근해의 해양 생물을 연구하여 어류, 무린류, 개류, 잡류 등으로 분류하여 이름, 모양, 습성, 맛, 쓰임새 등을 기록한 책이다.
  • 수생 생물 - 저서생물
    저서생물은 물 밑바닥이나 표면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통칭하며, 수생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여러 요인으로 위협받고 있다.
  • 수생곤충 - 모기
    모기는 파리목 모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에 3,600종 이상이 있으며, 일부 종은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병과 같은 질병을 매개하여 인간에게 해로운 존재이지만, 다양한 생태계 역할을 수행한다.
  • 수생곤충 - 잠자리
    잠자리는 전 세계에 약 5,000종이 서식하는, 큰 날개와 긴 몸체를 가진 육식 곤충으로, 'Odonata'라는 학명을 가지며, 뛰어난 비행 능력과 수질 지표생물로서의 역할, 그리고 곤충 진화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 되는 오랜 역사와 문화적 상징성을 지닌 곤충이다.
강도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Eusthenia'' sp.
Eusthenia sp.
학명Plecoptera
명명자Burmeister, 1839
계급
아목대부분 키타카와게라아목: 본문 참조
분류
아목미나미카와게라아목
키타카와게라아목
일반 정보
영어 이름Stonefly

2. 특징

강도래는 다른 곤충에 비해 특별히 발달된 특징이 없는, 비교적 단순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씹는 턱을 가진 단순한 입틀, 길고 여러 마디로 이루어진 더듬이, 크고 겹눈, 두세 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튼튼하며 각 다리 끝에는 두 개의 발톱이 있다. 복부는 비교적 부드럽고, 심지어 성충에서도 약충의 아가미 잔재가 포함될 수 있다. 약충과 성충 모두 복부 끝에서 뻗어 나오는 길고 쌍을 이루는 꼬리털을 가지고 있다.[6]

"강도래목"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땋은-날개"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어 ''plekein''(πλέκειν, "땋다")과 ''pteryx''(πτέρυξ, "날개")에서 유래되었다.[7] 이는 두 쌍의 날개가 복잡한 맥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날개는 생물막으로 되어 있어 등을 덮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접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도래는 일반적으로 비행 능력이 좋지 않으며, 일부 종은 날개가 아예 없다. 토와다강도래나 세케이강도래와 같이 날개가 없는 종도 있다.

Lake Tahoe benthic stonefly (''"Capnia" lacustra'') 또는 ''Baikaloperla''와 같이 날개가 없는 몇몇 종은, 아마도 ''Halobates''를 제외하고,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완전히 수생 생활을 하는 유일한 곤충이다.[9] 일부 진짜 물벌레 (Nepomorpha) 또한 평생 동안 완전히 수생 생활을 할 수 있지만, 이동하기 위해 물을 떠날 수 있다.

몸은 위아래로 약간 납작하며, 머리부터 꼬리 끝까지 폭이 거의 변하지 않는 막대 모양이다. 부드럽고 약하다. 대부분의 종에서 앞날개보다 뒷날개가 더 넓으며, 비행하지 않을 때는 몸의 폭과 거의 같게 납작하게 겹쳐서 날개를 접는다.

신시류하강 곤충 중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곤충 그룹 중 하나이며, 페름기 지층에서는 현재 종과 가까운 곤충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2. 1. 유충

약충 (nymph) 강도래목 Perlidae 강도래


강도래 유충(기술적으로는 "나이아드")은 수생 생물이며 산소가 잘 공급되는 호수와 시냇물의 저서대에 산다. 뉴질랜드와 인근 섬에서 발견되는 몇몇 종은 육상 약충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조차도 매우 습한 환경에서만 서식한다. 유충은 날개가 없는 성충과 신체적으로 유사하지만, 종종 몸의 거의 모든 부분에 존재할 수 있는 외부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외골격을 통하거나 머리 뒤, 가슴 또는 항문 주변에 위치한 아가미를 통해 산소를 얻을 수 있다.[10] 산소가 잘 공급되는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질 오염에 매우 민감하며, 이는 수질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11] 대부분의 종은 유충으로 수생 잎과 저서 조류를 먹는 초식성이지만, 많은 종은 다른 수생 절지동물을 사냥한다.[6]

몸은 위아래로 약간 납작하며, 머리부터 꼬리 끝까지 폭이 거의 변하지 않는 막대 모양이다. 부드럽고 약하다. 유충은 수생이며, 형태는 성충과 거의 같지만 날개를 가지지 않고, 체표(가슴, 배)에 아가미를 갖는다. 유충기의 길이는 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나가노현 이나시 주변 등에서는 유충을 자자무시로서 식용한다. 산천어무지개송어 등의 계류 낚시의 단골 미끼이기도 하며, 오니초로라고 불린다.

유충을 채취하여 정수 환경에 두면, 다리를 굽혔다 펴는 팔굽혀펴기 운동과 같은 행동을 보인다. 이는 몸에 가까운 범위의 물을 교반하여 교체함으로써 아가미에 신선한 물을 닿게 하여 호흡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17]

2. 2. 성충

강도래는 다른 곤충에 비해 특화된 특징이 거의 없는 일반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씹는 턱을 가진 단순한 구기, 길고 여러 마디로 이루어진 더듬이, 크고 겹눈, 두세 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튼튼하며 각 다리의 끝에는 두 개의 발톱이 있다. 복부는 비교적 부드럽고, 심지어 성충에서도 약충의 아가미 잔재가 포함될 수 있다. 약충과 성충 모두 복부 끝에서 뻗어 나오는 길고 쌍을 이루는 미모를 가지고 있다.[6]

''Dinotoperla'' 이마고 (성충)
(Gripopterygidae: Dinotoperlinae)


"강도래목"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땋은-날개"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어 ''plekein''(πλέκειν, "to braid", 땋다)과 ''pteryx''(πτέρυξ, "wing", 날개)에서 유래되었다.[7] 이는 두 쌍의 날개가 복잡하게 맥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날개는 생물막으로 되어 있어 등을 덮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접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도래는 일반적으로 비행 능력이 강하지 않으며, 일부 종은 날개가 전혀 없다.

몸은 위아래로 약간 납작하며, 머리부터 꼬리 끝까지 폭이 거의 변하지 않는 막대 모양이다. 부드럽고 약하다. 대부분의 종에서 앞날개보다 뒷날개가 더 넓으며, 비행하지 않을 때는 몸의 폭과 거의 같게 납작하게 겹쳐서 날개를 접는다. 토와다강도래 (''Scopura longa'' Ueno)나 세케이강도래와 같이 날개가 없는 것도 있다.

성충은 모든 종에서 육생이며, 저작구식을 가지지만, 섭식 활동은 하지 않고 교미 후 산란하면 죽는다.

3. 생태

강도래는 다른 곤충에 비해 특화된 특징이 거의 없는 일반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씹는 턱을 가진 단순한 구기, 길고 여러 마디로 이루어진 더듬이, 크고 겹눈, 두세 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튼튼하며 각 다리의 끝에는 두 개의 발톱이 있다. 복부는 비교적 부드럽고, 심지어 성충에서도 약충의 아가미 잔재가 포함될 수 있다. 약충과 성충 모두 복부 끝에서 뻗어 나오는 길고 쌍을 이루는 미모를 가지고 있다.[6]

"강도래목"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땋은-날개"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어 ''plekein''(πλέκειν, "to braid", 땋다)과 ''pteryx''(πτέρυξ, "wing", 날개)에서 유래되었다.[7] 이는 두 쌍의 날개가 복잡하게 맥상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날개는 생물막으로 되어 있어 등을 덮을 수 있도록 납작하게 접힌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도래는 일반적으로 비행 능력이 강하지 않으며, 일부 종은 날개가 전혀 없다.

Lake Tahoe benthic stonefly (''"Capnia" lacustra'')The genus ''Capnia'' is not monophyletic and this species is suspected to belong elsewhere. 또는 ''Baikaloperla''와 같은 날개가 없는 몇몇 종은, 아마도 ''Halobates''를 제외하고,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완전히 수생 생활을 하는 유일한 곤충이다.[9] 일부 진짜 물벌레 (Nepomorpha) 또한 평생 동안 완전히 수생 생활을 할 수 있지만, 이동하기 위해 물을 떠날 수 있다.

약충(기술적으로는 "나이아드")은 수생 생물이며 산소가 잘 공급되는 호수와 시냇물의 저서대에 산다. 뉴질랜드와 인근 섬에서 발견되는 몇몇 종은 육상 약충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조차도 매우 습한 환경에서만 서식한다. 약충은 날개가 없는 성충과 신체적으로 유사하지만, 종종 몸의 거의 모든 부분에 존재할 수 있는 외부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약충은 외골격을 통해 또는 머리 뒤, 가슴 또는 항문 주변에 위치한 아가미를 통해 산소를 얻는다.[10] 약충이 산소가 잘 공급되는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 종은 수질 오염에 매우 민감하다. 이것은 그들을 수질의 중요한 지표로 만든다.[11] 대부분의 종은 약충으로 수생 잎과 저서 조류를 먹는 초식성이지만, 많은 종은 다른 수생 절지동물을 사냥한다.[6]

3. 1. 생활사

암컷은 최대 1,0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암컷은 물 위를 날아다니며 물 속에 알을 떨어뜨리는데, 바위나 나뭇가지에 매달리기도 한다. 알은 끈적한 코팅으로 덮여 있어 급류에 휩쓸려 가지 않고 바위에 부착될 수 있다.[12] 알은 일반적으로 2~3주 후에 부화하지만, 일부 종은 휴면을 겪으며 건조한 계절 동안 알이 휴면 상태로 있다가 조건이 적합할 때만 부화한다.[6]

강도래는 종에 따라 1~4년 동안 유충 형태로 지내며, 성충으로 우화하여 육상 생활을 하기 전에 12~36번의 탈피를 한다.[13] 성충이 되기 전에 유충은 물 밖으로 나와 고정된 표면에 부착하여 마지막 탈피를 한다.

성충은 일반적으로 몇 주 동안만 생존하며, 자원이 최적일 때 특정 시기에만 우화한다. 일부 성충은 전혀 먹이를 먹지 않지만, 먹이를 먹는 성충은 초식성이다.[6] 성충은 비행 능력이 좋지 않아 부화한 시내나 호수 근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12]

유충은 수생이며, 그 형태는 성충과 거의 같지만 날개를 가지지 않고, 체표(가슴, 배)에 아가미를 갖는다. 모든 종의 성충은 육생이다. 성충은 저작구식을 가지지만, 섭식 활동은 하지 않고, 교미, 산란하면 죽는다. 유충기의 길이는 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유충을 채취하여 정수 환경에 두면, 다리를 굽혔다 펴는 팔굽혀펴기 운동과 같은 행동을 보인다. 이것은 몸에 가까운 범위의 물을 교반하여 교체함으로써 아가미에 신선한 물을 닿게 하여 호흡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17]

3. 2. 행동

암컷은 최대 1,0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암컷은 물 위를 날아다니며 물 속에 알을 떨어뜨리거나, 바위나 나뭇가지에 매달리기도 한다. 알은 끈적한 코팅으로 덮여 있어 급류에 휩쓸려 가지 않고 바위에 부착될 수 있다.[12] 알은 일반적으로 2~3주 후에 부화하지만, 일부 종은 휴면을 겪으며 건조한 계절 동안 알이 휴면 상태로 있다가 조건이 적합할 때만 부화한다.[6]

강도래는 종에 따라 1~4년 동안 유충 형태로 지내며, 성충으로 우화하여 육상 생활을 하기 전에 12~36번의 탈피를 한다.[13] 성충이 되기 전에 유충은 물 밖으로 나와 고정된 표면에 부착하여 마지막 탈피를 한다.

성충은 일반적으로 몇 주 동안만 생존하며, 자원이 최적일 때 특정 시기에만 우화한다. 일부 성충은 전혀 먹이를 먹지 않지만, 먹이를 먹는 성충은 초식성이다.[6] 성충은 비행 능력이 좋지 않아 부화한 시내나 호수 근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12]

유충을 채취하여 정수 환경에 두면, 다리를 굽혔다 펴는 팔굽혀펴기 운동과 같은 행동을 보인다. 이것은 몸에 가까운 범위의 물을 교반하여 교체함으로써 아가미에 신선한 물을 닿게 하여 호흡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17]

4. 분류

전통적으로 강도래목은 "Antarctoperlaria"(또는 "Archiperlaria")와 Arctoperlaria의 두 아목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Antarctoperlaria"는 강도래목의 가장 기저 상과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가 아닌 것으로 보여 "Antarctoperlaria"는 자연적인 그룹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4]

Arctoperlaria는 Euholognatha(또는 Filipalpia)와 Systellognatha(Setipalpia 또는 Subulipalpia라고도 함)의 두 하목으로 나뉜다. 이는 계통발생과 일치하는데,[15] 민날개강도래과(Scopuridae)는 예외적으로 하목에 할당할 수 없고 Arctoperlaria의 기저 과로 간주되어야 한다. Scopuridae는 Euholognatha와 함께 "Holognatha"라는 비계급 분류군에 배치되기도 하지만, Euholognatha보다는 Systellognatha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Antarctoperlaria 및 Holognatha 분류군을 채택하지 않으면 전통적인 계급 분류군을 유지하면서 계통발생을 적절하게 재현하는 강도래목의 체계적인 레이아웃이 가능하다.[3][16]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 제안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8]

4. 1. 하위 분류

'''기초 분류군''' ("Antarctoperlaria")[14]

  • Eusthenioidea 상과
  • * Diamphipnoidae 과
  • * Eustheniidae 과
  • Leptoperloidea 상과
  • * Austroperlidae 과
  • * Gripopterygidae 과


Arctoperlaria 아목[3][15][16]

  • 기초 분류군
  • * 민날개강도래과 (Scopuridae)
  • Euholognatha 하목
  • * 흰배민강도래과 (Capniidae) - 약 300종
  • * 꼬마강도래과 (Leuctridae) - 390종 이상
  • * 민강도래과 (Nemouridae) - 700종 이상
  • * Notonemouridae 과
  • * 메추리강도래과 (Taeniopterygidae) - 약 110종
  • Systellognatha 하목
  • * 녹색강도래과 (Chloroperlidae) - 180종 이상
  • * 강도래과 (Perlidae) - 약 400종
  • * 그물강도래과 (Perlodidae) - 350종 이상
  • * 넓은가슴강도래과 (Peltoperlidae) - 약 68종
  • * Styloperlidae 과 - 약 10종
  • * 큰그물강도래과 (Pteronarcyidae) - 약 12종


메추리강도래과 (Taeniopterygidae) 성충(Euholognatha)


강도래과 (Perlidae) 성충(Systellognatha)

5. 계통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서 제안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

전통적으로 강도래목은 "Antarctoperlaria"(또는 "Archiperlaria")와 Arctoperlaria라는 두 개의 아목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Antarctoperlaria"는 강도래목의 가장 기저 상과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Antarctoperlaria"는 자연적인 그룹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4]

Arctoperlaria는 Euholognatha(또는 Filipalpia)와 Systellognatha(Setipalpia 또는 Subulipalpia라고도 함)의 두 하목으로 나뉘는데, 이는 계통발생과 일치한다.[15] 단, Scopuridae는 하목에 할당할 수 없고 Arctoperlaria의 기저 과로 간주되어야 한다. Scopuridae는 Euholognatha와 함께 "Holognatha"라는 비계급 분류군에 배치되기도 하지만, Euholognatha보다는 Systellognatha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Antarctoperlaria 및 Holognatha 분류군을 채택하지 않으면 전통적인 계급 분류군을 유지하면서 계통발생을 적절하게 재현할 수 있다.[3][16]

'''기저 계통''' ("Antarctoperlaria")


  • Eusthenioidea 상과
  • * Diamphipnoidae 과
  • * Eustheniidae 과
  • Leptoperloidea 상과
  • * Austroperlidae 과
  • * Gripopterygidae 과


'''Arctoperlaria 아목'''

  • 기저 과 Scopuridae
  • Euholognatha 하목
  • * Capniidae 과 (약 300종) – 작은 겨울 강도래
  • * Leuctridae 과 (390종 이상) – 둥근 날개 강도래
  • * Nemouridae 과 (700종 이상) – 봄 강도래
  • * Notonemouridae 과
  • * Taeniopterygidae 과 (약 110종) – 겨울 강도래
  • Systellognatha 하목
  • * Chloroperlidae 과 (180종 이상) – 녹색 강도래
  • * Perlidae 과 (약 400종) – 일반 강도래
  • * Perlodidae 과 (350종 이상)
  • * Peltoperlidae 과 (약 68종) – 바퀴벌레형 강도래
  • * Styloperlidae 과 (약 10종)
  • * Pteronarcyidae 과 (약 12종) – 연어파리, 거대 강도래

6. 인간과의 관계

강도래목은 신시류하강 곤충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곤충 그룹 중 하나이며, 페름기 지층에서는 현재 종과 가까운 곤충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유충은 나가노현 이나시 주변 등에서 자자무시로 식용하며, 산천어무지개송어 등의 계류 낚시 미끼로도 쓰인다.[17]

6. 1. 식용

강도래목 유충은 나가노현 이나시 주변 등에서 자자무시로 식용한다.[17] 산천어무지개송어 등 계류 낚시의 미끼로도 사용되며, 오니초로라고 불린다.[17]

6. 2. 낚시

산천어무지개송어 등 계류 낚시의 미끼로 자주 쓰이며, 오니초로라고도 불린다.[17]

참조

[1] 서적 Freshwater Animal Diversity Assessment 2008
[2] 문서 Brittain, 1987
[3] 논문 Phylogenetic system and zoogeography of the Plecoptera
[4] 서적 Adults and Nymphs of British Stoneflies Freshwater Biological Association
[5] 웹사이트 Clean water has bugs in it, says BYU Biology Professor Riley Nelson http://news.byu.edu/[...] 2013-05-16
[6]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English-Greek Dictionary - a Vocabulary of the Attic Language https://www.lib.uchi[...] George Routledge & Sons
[8] 웹사이트 Capniidae. Winter Stoneflies http://tolweb.org/Ca[...] 1996-01-01
[9] 서적 Lake Tahoe Watershed Assessment http://www.fs.fed.u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0] 웹사이트 ENT 425 {{!}} General Entomology {{!}} Resource Library {{!}} Compendium [plecoptera] https://www.cals.ncs[...] 2016-02-23
[11] 웹사이트 Plecoptera - Stoneflies -- Discover Life http://www.discoverl[...] 2016-02-23
[12] 웹사이트 ENT 425 {{!}} General Entomology {{!}} Resource Library {{!}} Compendium [plecoptera] https://www.cals.ncs[...] 2016-04-12
[13] 웹사이트 Order Plecoptera - Stoneflies - BugGuide.Net http://bugguide.net/[...] 2016-04-12
[14] 웹사이트 Plecoptera. Stoneflies http://tolweb.org/Pl[...] 1996-01-01
[15] 논문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timescale of stoneflies (Insecta: Plecopter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genomes https://www.scienced[...] 2019-06
[16] 문서 Nelson (1996b)
[17] 문서 Genkai-Kato, M., K. Nozaki, H. Mitsuhashi, Y. Kohmatsu, H. Miyasaka, and M. Nakanishi. 2000. Push-up response of stonefly larvae in low-oxgen conditions. Ecological Research. 15: 175-179.
[18] 문서 Kathirithamby, Jeyaraney. 2002.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Version 24 September 2002. [http://tolweb.org/Strepsiptera/8222/] in [http://tolweb.org/ The Tree of Life Web Proje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