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천어는 몸길이 약 40cm로 등이 검푸르고 측면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몸 측면에 나뭇잎 모양의 얼룩무늬(퍼마크)가 특징인 물고기이다. 수온 2~18°C의 맑고 차가운 물에서 서식하며, 댐 건설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제한되거나 둑중개와 잡종화되는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일본 혼슈, 규슈 일부 지역에 분포하며,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작은 산천어는 튀김이나 식초절임으로, 큰 것은 소금구이로 요리하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자체의 어류로 지정하고 있다. 산란기에는 금어기가 설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낚시 방법과 문화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어속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연어속 - 홍연어
    홍연어는 붉은색을 띠는 태평양 연어의 일종으로, 산란기에 몸 색깔이 변하며 북태평양 등지에 분포하고 동물 플랑크톤을 주식으로 하며 회귀 본능이 강하지만, 기후 변화 등으로 개체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산천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분류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기강
연어목
연어과
아과연어아과
태평양연어속
사쿠라마스
아종산천어 (사쿠라마스)
학명Oncorhynchus masou masou (Brevoort, 1856)
국명산천어 (山川魚), 산녀 (山女)
영명Cherry trout, Yamame trout, Seema
어류 정보
학명 (라틴어)Oncorhynchus masou
학명 명명자Brevoort, 1856
상태평가 불가
영어 이름masu salmon
이미지
산천어
산천어
산천어
산천어

2. 특징

몸길이는 약 40cm 정도이며, 등은 검푸른 색을 띠고 측면에는 검은 반점이 있다. 몸의 측면에는 위아래로 길게 이어진 "나뭇잎·약과 모양"의 얼룩무늬(퍼마크)가 특징이다.[11] 번식기가 되면 몸 전체가 검게 변하고, 연한 분홍색에서 진한 붉은색까지의 산란색이 몸통과 지느러미에 불규칙적으로 나타난다.[14]

산천어. 위아래로 길게 이어진 진한 타원형 무늬(퍼마크)가 특징이다.


홋카이도(北海道), 도호쿠 지방(東北地方) 일부에서는 "야마베(ヤマベ)"라고도 불린다.[2] 규슈(九州) 일부 지역(후쿠오카현(福岡県), 구마모토현(熊本県), 오이타현(大分県) 등)에서는 산천어와 아마고를 통틀어 "에노하(エノハ)"라고도 한다.[3] 2년생이라도 전장은 약 20cm 정도에 불과하지만, 댐(ダム) 호수 등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거슬러 올라오는 것은 4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4]

성장함에 따라 점차 희미해져 30~40cm급이 되면 일반적으로는 붉은색 연어(サクラマス)와 비슷한 은색에 가까운 체색이 된다. 하지만 구마모토현(熊本県)의 계곡에서는 대형이면서도 붉은색을 유지한 개체(일명·홍산천어(紅ヤマメ))가 현지 낚시꾼들에게 확인되고 있다. 또한 하치노헤 반도(下北半島)의 오하타가와(大畑川)에는 스기노코(スギノコ)라고 불리는, 보통 산천어와 비교하면 체색이 진하고 청록색을 띠며 퍼마크가 약간 작은 산천어가 서식하고 있다.[12]

둑중개(イワナ)와 마찬가지로 현재 각지에서 볼 수 있는 산천어는 대부분 양식 번식어를 방류한 것이며, 이것이 그 지역에 원래 서식하고 있던 개체와 잡종화하여 순수한 지역 개체가 남아 있는 하천은 매우 적다고 생각된다.

최근에는 댐 등에 의해 서식지와 산란장이 제한되거나, 둑중개 서식지와 산천어 서식지 관계없이 양쪽을 방류하는 등의 원인으로 보이는 둑중개(イワナ)와 산천어의 잡종화 개체인 "카와사바(カワサバ)"가 발견된다.

카와사바(カワサバ)(둑중개(イワナ)×산천어(ヤマメ))


위 4마리 카와사바(カワサバ), 아래에서 두 번째 둑중개(イワナ), 가장 아래 산천어(ヤマメ)


카와신주가이(カワシンジュガイ)의 유생이 아가미와 지느러미에 붙어 이동한다.

3. 서식

산천어는 수온이 2°C~18°C 정도인 맑고 차가운 물에서 서식하며, 여름에도 20°C를 넘지 않는 곳을 선호한다. 가을과 겨울에는 깊지 않은 계곡이나 강 웅덩이에서 수생곤충이나 갑각류를 잡아먹는다. 여름에는 수온이 18°C 이하이고 물 흐름이 있는 곳을 찾아 이동하며, 다소 깊은 웅덩이나 바위 그늘이 있는 모래나 자갈 바닥에서 서식한다.[13]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등지에 분포하며, 최근에는 방류로 인해 분포가 혼란스러워지고 있다.[6][7][8][9] 둑중개와 서식지가 겹치기도 하며, 잡종인 "카와사바"가 발견되기도 한다.

카와신주가이의 유생이 산천어의 아가미와 지느러미에 붙어 이동한다.

4. 생태

몸길이 약 40cm로 등이 검푸르며 측면에 검은 반점이 있다. 수온이 2°C~18°C 정도로 여름에도 20°C 이상 올라가지 않는 맑은 물에서 산다. 산란기는 9-10월로 강 상류의 수심 30-60cm의 모래와 자갈이 깔린 곳에 암수가 산란장을 파고 알을 낳아 정자를 뿌린 뒤 자갈과 모래로 알을 덮는데, 이와 같은 습성은 연어와 매우 비슷하다. 수정된 알은 8°C에서 2-3개월 만에 부화하고 다음해 4-5월에 산의 눈이 녹을 무렵 알에서 깬 어린 산천어는 모래와 자갈을 헤치고 나오며, 물에 떠내려오는 곤충의 유충을 먹고 자란다.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도호쿠 지방(東北地方)의 일부 지역에서는 산천어를 "야마베(ヤマベ)"라고도 부른다.[2] 또한, 규슈(九州)의 일부 지역(후쿠오카현(福岡県), 구마모토현(熊本県), 오이타현(大分県) 등)에서는 산천어와 아마고를 통틀어 "에노하(エノハ)"라고도 한다.[3] 2년생이라도 전장은 약 20cm 정도에 불과하지만, 댐(ダム) 호수 등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거슬러 올라오는 것은 4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가을에 하천 상류역, 주로 본류의 자갈이 많은 하천에 산란장을 만들고 한 번에 약 200개의 알을 낳는다.[4] 따라서, 어업협동조합이나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하천에서는 산천어 보호를 위해 10월부터 4월까지 금어기로 지정되어 있다. 니가타현(新潟県)에서의 귀환율은 0.03%로 추정되고 있다.[5]

5. 아종

다배체: 수정부터 배 발생까지의 온도[15]나 pH를 조절하여 다배체 개체를 성장시키는 기술[16]이 확립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해 생산되어 담수 양식된 개체는 보통 개체보다 단기간에 대형화하여 은연어[17]라는 명칭으로 상품화되어 낚시터 등에 이용된다.[18]

6. 요리

작은 산천어는 내장을 제거하고 튀김이나 식초절임으로 먹고, 큰 것은 소금구이로 먹는다. 기생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날것으로 먹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1] 미야자키현 미마타정에서는 양식한 산천어 알을 특산품("황금 연어알")으로 판매한다.[1]

7. 보존

수역에 따라 다르지만, 곤들매기 등과 함께 산란기인 10월부터 이듬해 2월~4월경을 중심으로 자원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는 금어기가 설정되어 있다.[19][20] 어획 방법(포획 방법)과 함께 포획 가능한 체장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화천 산천어축제 등이 열리며, 산천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8. 낚시

하천의 어업권을 가진 어업협동조합의 지정을 받아 입어가 허용된다.


  • 하천에서의 산천어, 붉은점줄무늬산천어 낚시는 난이도가 높은 계류낚시이다. 대상어인 열목어, 무지개송어에 비해 매우 경계심이 강하다. 낚시할 때는 산천어가 사람의 기척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낚싯대는 휘두르느라 지치지 않도록 가벼운 것이 좋다.
  • 미끼를 사용한 조법은 표시를 단 찌낚시이다.[11] 낚싯줄은 매우 가는 것을 사용하고, 바늘도 가능하면 작은 것을 사용한다. 최근에는 제로낚시가 유행하고 있다. 미끼는 이른 봄 수서곤충이 적은 시기에는 연어알이나 누에(밤나무혹벌이나 꿀벌집나방 등의 나방의 애벌레)가 좋다. 하천의 증수 시에는 지렁이가 효과적이다. 평상시에는 가능한 한 돌좀, 하루살이, 날도래 등의 하천에 서식하는 물벌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입질은 변화가 풍부하고, 미묘하며, 민첩하기 때문에 표시의 움직임을 잘 보고, 재빨리 챔질(바늘을 물고기 입에 걸도록 하는 행위)할 필요가 있다. 이 어려움 때문에 강낚시 중에서도 평가가 높은 낚시이다. 이상(30cm 이상)의 산천어는 계류 낚시꾼의 동경이며, 속칭 "계류의 왕"이라고 불리는 열목어에 대해 산천어는 "'''계류의 여왕'''"이라고도 불린다. 루어를 이용한 낚시도 있으며 스푼이나 스피너 등이 사용된다.
  • 산천어(아마고)는 '''본류'''(하천 상류역이지만 하류에 위치하고, 강폭이 50m 이상인 곳)에서도 낚을 수 있다. 계류보다 먹이가 풍부하기 때문에, 어류는 대형으로 자라 40cm를 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바다로 내려갔다가 다시 강으로 거슬러 오르는 사쿠라마스가 회유하는 하천에서는 시즌이 되면 노릴 수 있다. 사쿠라마스는 60cm나 되기 때문에, 강력한 힘에 견딜 수 있는 전용 본류 낚싯대가 시마노(SHIMANO), 다이와(DAIWA), 가마카츠(GAMAKATSU) 등의 메이커에서 개발・판매되고 있다. 본류 낚싯대를 사용하면 대형 산천어나 무지개송어도 함께 노릴 수 있다. 사쿠라마스는 하천을 거슬러 오르는 동안 거의 먹이를 먹지 않기 때문에, 「100일 동안 낚시를 해도 한 번 걸릴까 말까」라고 할 정도로 어려운 낚시이다.

9. 문화

산천어는 "계류의 여왕"이라고도 불리며,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높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산천어를 지자체의 어류로 지정하고 있다.

지자체비고
군마현 쓰마고이촌
야마나시현 코스게무라민간에서는 일본 최초의 양식에 성공.



무라카미 야스나리의 저서 중에는 산천어를 소재로 한 다음과 같은 문학 작품이 있다.


  • 『핑크, 뻬꼰』 ISBN 978-4198612320
  • 『핑크가 있는 산』 ISBN 978-4198612177
  • 『핑크와 스노우 할아버지』 ISBN 978-4198612450
  • 『핑크! 펄!』 ISBN 978-4198612603


미야자와 아키라의 음반 산 여자도 산천어를 소재로 한 음악 작품이다.

참조

[1] 웹사이트 魚介類の名称表示等について(別表1) http://www.jfa.maff.[...] 水産庁 2013-05-29
[2] Kotobank 2023-07-06
[3] 웹사이트 エノハとは? http://www.enoha.net[...]
[4] 논문 小支流におけるイワナヤマメ当歳魚の生息数移動分散および成長 https://doi.org/10.2[...]
[5] 간행물 研究発表会要旨 平成15年度 https://www.pref.nii[...] 新潟県内水面水産試験場
[6] 논문 九州に於けるヤマメとアマゴの分布 https://dl.ndl.go.jp[...] 東京動物學會 1957-01-15
[7] 논문 日本産淡水魚類の線虫類:総説 https://u-nagano.rep[...] 長野県短期大学 1998-12
[8] 논문 球磨川渓流域におけるヤマメ生息密度と河床形態との関係 https://doi.org/10.1[...] 日本水産増殖学会
[9] 논문 神通川で漁獲されたサクラマスの最近の魚体の小型化 https://doi.org/10.1[...] 日本水産増殖学会
[10] 웹사이트 国内移入によるかく乱 http://ryuiki.net/in[...] NPO法人 流域環境保全ネットワーク
[11] Kotobank 2023-07-06
[12] 논문 ヤマメ https://doi.org/10.1[...]
[13] 논문 河畔植生による水温上昇抑制効果 https://agriknowledg[...]
[14] 논문 サクラマスのライフサイクルの調整機構の解明と教材化 https://mue.repo.nii[...] 宮城教育大学
[15] 논문 温度刺激によるヤマメ染色体の倍数化について https://agriknowledg[...] 新潟県内水面水産試験場
[16] 논문 ヤマメ同質・異質倍数体の成長と生残 https://doi.org/10.2[...]
[17] 웹사이트 全雌三倍体サクラマスの名称決定! https://www.pref.toc[...] 栃木県
[18] 논문 管理釣り場用新魚種開発 https://agriknowledg[...] 栃木県水産試験場 2019-03
[19] 웹사이트 長野県漁業調整規則 https://www.pref.nag[...]
[20] 웹사이트 富山県内の内水面におけるイワナ・ヤマメ等の採捕禁止期間 http://www.pref.toya[...] 富山県庁
[21] 웹사이트 Valid Species of the Genus Oncorhynchus http://www.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