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매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매역은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경의선의 전철역이다. 1971년 행주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행주역을 거쳐 1976년 강매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행신역으로 통합되어 폐역되었으나, 2014년 재개업하였다. 현재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폐지된 철도역 - 옥마역
    옥마역은 1965년 남포선 영업 개시와 함께 시작하여 옥서삼각선 분기점 역할을 수행했으나, 2009년 남포선 폐선으로 폐역되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경의선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경의선 - 문산역
    문산역은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과거 경의선 남측 종착역이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단절의 상징이었으나, 현재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운영되며 남북 교류의 중심 역할과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잇는 셔틀 전동열차가 운행 중이다.
강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강매역
강매역
주소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 16-2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승강장2
선로4
구조지상
연도2014년 10월 25일
사건개통
언어|mr=Kangmae-yŏk|rr=Gangmae-yeok}}
기본 정보
역명강매역
부역명루트로닉
로마자 표기Gangmae
역 번호K319
노선 정보
소속 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이전 역K318 한국항공대
다음 역행신 K320
역간 거리2.3km (한국항공대 방면), 0.8km (행신 방면)
기점으로부터의 거리서울 기점 14.1 km, 임진강 기점 38.2 km
위치 정보
소재지경기도고양시덕양구 소원로 202
운영 정보
운영 주체한국철도공사(KORAIL)
역 등급을종대매소
역 구조지상역(교상역)
승강장2면 4선
승차 인원3,077명 (2023년)
승강 인원5,753명 (2023년)
역사
개업일1974년 5월 1일 (구 역사), 2014년 10월 25일 (신 역사)
폐지일2009년 7월 1일 (구 역사)

2. 역사

1971년 5월 15일 행주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한 강매역은[4] 1996년 행신지구 택지개발 사업으로 건설된 행신역과의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로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시 폐지되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2013년 공사를 시작하여 2014년 10월 25일 재개업하였다.[9]

날짜내용
1971년 5월 15일행주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4]
1974년 5월 15일행주역으로 영업 개시[5]
1976년 5월 1일강매역으로 역명 변경[6]
1978년 8월 1일을종위탁발매소로 지정
1992년 1월 1일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1996년 12월 16일을종 대매소로 변경
2009년 7월 1일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행신역과 통합되면서 폐역[7]
2013년 7월 10일강매역 착공[8]
2014년 10월 25일강매역 재개업[9]


2. 1. 행주 임시승강장 시절 (1971년 ~ 1976년)

1971년 5월 15일 행주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4] 이후 1974년 5월 15일 행주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5] 1976년 5월 1일 강매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6]

2. 2. 강매역으로 역명 변경 및 폐역 (1976년 ~ 2009년)

1971년 개업 당시부터 경의선상에 있었던 강매역은 1996년 행신지구 택지개발 사업으로 건설된 행신역과의 역간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로,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복선전철 1단계 개통 시 수요를 행신역에 집중하기 위하여 폐지하기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노선 접근성을 불편하게 만든다는 것을 이유로 이에 반발하였고, 1 km 미만의 짧은 역간거리 문제에 대하여는, 수색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의 역간거리도 1 km 미만임을 들어 반발하였다. 이러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전철 개통시 강매역은 결국 폐지되었으나, 역 번호를 하나 비우고 역 건설 노반을 확보하는 등 여지를 남겨 두었다.[7] 결국 건설비 1780억을 투입, 2014년 10월까지 BRT 환승체계와 동시에 '신 강매역'을 신설하기로 잠정 결정하고 2013년 7월부터 신축에 들어갔다. 2014년 10월 25일 전철역으로 영업을 재개하였다.[9]

날짜내용
1976년 5월 1일행주역에서 강매역으로 역명 변경[6]
1978년 8월 1일을종위탁발매소로 지정
1992년 1월 1일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1996년 12월 16일을종 대매소로 변경
2009년 7월 1일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행신역과 통합되면서 폐역[7]


2. 3. 재개업 (2013년 ~ 현재)

1971년 개업 당시부터 경의선상에 있었던 강매역은 1996년 행신지구 택지개발 사업으로 건설된 행신역과의 역간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로,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복선전철 1단계 개통 시 수요를 행신역에 집중하기 위하여 폐지하기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노선 접근성을 불편하게 만든다는 것을 이유로 이에 반발하였고, 1 km 미만의 짧은 역간거리 문제에 대하여 수색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과의 역간거리도 1 km 미만임을 들어 반발하였다. 이러한 항의에도 불구하고 전철 개통시 강매역은 결국 폐지되었으나, 역 번호를 하나 비우고 역 건설 노반을 확보하는 등 여지를 남겨 두었다.[7] 결국 건설비 1780억을 투입, 2014년 10월까지 BRT 환승체계와 동시에 '신 강매역'을 신설하기로 잠정 결정하고 2013년 7월부터 신축에 들어갔다.[8] 2014년 10월 25일 전철역으로 영업을 재개하였다.[9]

연도내용
2013년7월 10일 : 강매역 착공[8]
2014년10월 25일 : 강매역 재개업[9]


3. 역 구조

강매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재개업하면서 새롭게 교상역사가 건설되었다.

3. 1.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재개업하면서 새롭게 교상역사가 건설되었다.

1-- 경의·중앙선용산·청량리·용문 방면
2서울 방면
3・4대곡·일산·문산 방면


3. 2. 배선도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행신역, 강매역, 한국항공대역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진출입 선로는 문산 방면 승강장 뒤쪽에 나란히 놓여 있다.

1-- 경의·중앙선용산·청량리·용문 방면
2서울 방면
3・4대곡·일산·문산 방면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강매역한국어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의·중앙선승차미개통1,2952,1422,4692,6302,7212,9322,0292,5672,8683,077[10]
하차1,1871,8882,1182,2672,3552,4822,2712,2712,5152,676






2014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4년 10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 68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6. 사진

7. 인접한 역

한국철도공사
경의·중앙선
한국항공대역 (K318)강매역 (K319)행신역 (K320)


참조

[1] 뉴스 미사지구에 지하철 5호선 연장키로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9-09-27
[2]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3] 문서 도라산 기점 42.2 km
[4] 간행물 철도청고시제25호 대한민국관보 1971-05-17
[5] 간행물 철도청고시제37호 대한민국관보 1974-08-12
[6] 간행물 철도청고시제10호 대한민국관보 1976-04-26
[7]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대한민국관보 2009-06-18
[8] 뉴스 경의선 강매역 2014년 7월 완공 목표로 15일 착공 https://n.news.naver[...] 뉴시스
[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77호 http://gwanbo.mois.g[...] 국토교통부 2014-10-01
[10]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