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신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신사는 일제강점기 강원도에 건립되었던 신사이다. 1913년 봉의산에 처음 건립된 후, 1941년 국폐소사로 승격되어 일제의 식민 통치 도구로 활용되었다. 강원신사는 신사 참배 강요를 통해 한국인의 정신을 억압하고 일본 제국주의 이념을 강요했으며, 해방 이후 폐지되었다. 현재 강원신사 부지에는 건축물들이 남아있으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되어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신사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한국의 신사 - 조선신궁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배 강화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한 신사로, 천조대신과 메이지 천황을 주신으로 모셨으며, 신사 참배 강요 논쟁과 해방 후 철거, 그리고 건립 과정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와 한국인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1919년 완공된 건축물 - 대전교도소
대전교도소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되었던 교정시설로, 한국전쟁 당시 학살 사건과 교도관 피살, 재소자 자살 사건 등 여러 사건을 겪었으며, 현재 유성구에 위치하고 2025년 재이전 예정이다. - 1919년 완공된 건축물 - 진주 남악서원
진주 남악서원은 김유신, 최치원 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1919년에 재건되어 경주 서악서원의 이름을 본떠 남악서원이라 이름 지었다. - 일제강점기의 신토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일제강점기의 신토 - 조선신궁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배 강화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한 신사로, 천조대신과 메이지 천황을 주신으로 모셨으며, 신사 참배 강요 논쟁과 해방 후 철거, 그리고 건립 과정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와 한국인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강원신사 | |
|---|---|
| 기본 정보 | |
| 명칭 | 강원 신사 |
| 원어 명칭 | 江原神社 |
| 위치 | 강원도 춘천읍 |
| 상세 정보 | |
| 제신 | 천조대신 명치천황 국혼대신 소잔오존 |
| 등급 | 국폐소사 |
| 창건 | 1918년 (대정 7년) |
| 예제일 | 10월 15일 |
2. 역사
강원신사의 역사는 1913년 춘천시 봉의산에 작은 신사神祠가 세워진 것에서 시작되었다.[8][9][1] 1915년 조선총독부의 '신사 사찰 규칙' 시행을 계기로[10][2] 요선동에 새로운 신사神社 건립이 추진되어 1919년 완공되었다.[9]
이후 신사의 지위는 점차 격상되었다. 1936년 도(道)에서 제사 비용을 지원하는 도공진사(道供進社)로 지정되었고,[11][12][3] 1937년에는 국혼대신과 스사노오노 미코토를 추가로 봉안하였다. 1938년에는 강원도를 대표하는 신사라는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강원신사'''로 이름을 바꾸었다.[4] 마침내 1941년 10월 1일, 전라남도 광주부의 광주신사와 함께 국가에서 관리하는 국폐소사(國幣小社)로 승격되었다.[8][13][5]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함에 따라 1945년 11월 17일 강원신사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6] 폐지 이후 신사 터에는 호텔이 들어섰으나, 구 궁사택, 누문, 석단 등 일부 건물과 구조물은 철거를 면하고 현재까지 남아 호텔의 일부로 활용되고 있다.
2. 1. 건립 배경
강원신사의 건립은 1913년(다이쇼 2년) 춘천시 봉의산 숲속에 황대신궁을 멀리서 참배하기 위한 요배소(遙拜所)로서 작은 신사神祠를 세운 것에서 시작되었다.[8][9][1] 이는 일제강점기 초기 신사 건립의 한 형태였다.본격적인 신사神社 건립은 1915년(다이쇼 4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신사 사찰 규칙'(총독부령 제82호)을 시행하면서 추진되었다. 이 규칙은 기존의 소규모 신사나 요배소를 정식 신사 체계로 편입하거나 정리하려는 목적을 가졌으며, 이에 따라 기존 봉의산의 신사가 폐지될 상황에 놓였다.[10][2] 이를 피하고 일제의 종교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춘천 지역 유지들과 일본인 거류민들은 춘천읍 요선동에 정식 신사를 세우기로 하고 총독부에 건립을 신청했다.[10]
1918년(다이쇼 7년) 3월 14일, 조선총독부는 춘천 신사의 창립을 허가했다.[10][2] 같은 해 8월 17일에 지진제(地鎭祭, 공사 시작 전 땅의 신에게 안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고 신사 건물 건축에 착수하여, 1919년(다이쇼 8년) 6월 30일에 준공하였다.[9] 이후 같은 해 7월 7일에는 진좌제(鎭座祭, 신사의 신체(神體)를 신전에 안치하는 의식)를 거행하며 신사로서의 기능을 시작했다.[9]
2. 2. 초기 건립 및 이전
1913년(다이쇼 2년), 춘천 읍내의 봉의산 숲속에 신사神祠를 세워 황대신궁의 요배소로 삼은 것이 그 시작이다.[1][8] 같은 해 첫 제사를 올렸다.[9]1915년(다이쇼 4년) 10월 1일, 신사 사찰 규칙(다이쇼 4년 조선총독부령 제82호)이 시행되자, 기존 신사神祠의 폐사를 피하기 위해 춘천읍 요선동에 신사神社 창립을 출원했다.[2][10] 1918년(다이쇼 7년) 3월 14일, 춘천 신사의 창립이 허가되었고,[2][10] 같은 해 8월 17일에 지진제를 거행하고 신전 등 건축에 착수했다.[9] 1919년(다이쇼 8년) 6월 30일에 준공하였고, 같은 해 7월 7일에 진좌제를 거행하며 신사를 이전, 확장하였다.[9]
2. 3. 강원신사로의 개칭 및 승격
1936년 8월 11일, 조선총독부는 춘천신사를 도(道)에서 신찬폐백료(神饌幣帛料, 제사 비용)를 공진해야 하는 신사인 도공진사(道供進社)로 지정하였다.[11][12][3] 1937년 8월 23일에는 국혼대신(大國魂大神|오오쿠니타마노오오카미일본어)과 스사노오노 미코토(素盞嗚尊|스사노오노미코토일본어)를 추가로 봉안하는 증사(増祀)가 허가되었다. 이듬해인 1938년 6월 16일, 도(道)를 대표하는 신사, 즉 도사(道社)로서의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신사의 이름을 '''강원신사'''로 바꾸었다.[4]1937년에는 신사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봉찬회(奉贊會)가 조직되어, 황기 2600년(서기 1940년)을 기념하여 국폐사(國幣社)로 승격시키기 위한 준비를 진행했다. 이러한 준비를 거쳐 1941년 10월 1일,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부의 광주신사와 함께 국폐소사(國幣小社)로 정식으로 열격(列格)되었다.[8][13][5]
2. 4. 국폐소사 승격 및 역할
1936년 8월 11일, 도(道)에서 신찬폐백료(神饌幣帛料, 신에게 바치는 음식과 예물 비용)를 공진해야 하는 신사인 도공진사(道供進社)로 지정되었다.[11][12][3] 이는 일제강점기 식민 통치 하에서 신사의 공적인 지위를 강화하는 조치였다. 1937년 8월 23일에는 일본 신화의 신인 국혼대신(國魂大神)과 스사노오노 미코토(素盞嗚尊)를 추가로 모시는 증사(增祀)가 허가되었는데, 이는 조선 땅에 일본의 신들을 내세워 황국신민화 정책을 강요하려는 의도를 드러낸다.1938년 6월 16일, 도를 대표하는 신사로서의 지위를 더욱 명확히 하고자 이름을 '''강원신사'''로 바꾸었다.[4] 1937년에는 신사 관계자들과 지역 유지들을 중심으로 봉찬회(奉贊會)가 조직되어, 황기 2600년(서기 1940년)을 계기로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국폐사(國幣社)로 승격시키기 위한 사전 정비 작업에 착수했다.[8][13]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41년 10월 1일, 강원신사는 전라남도 광주부의 광주신사와 함께 국폐소사(國幣小社)로 공식 승격되었다.[8][13][5] 국폐소사 승격은 강원신사가 조선총독부의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신사참배를 강요하는 핵심 시설로서 위상이 격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일제가 조선 민중의 정신적 지배를 강화하고 식민 통치를 공고히 하려는 정책의 일환이었다.
2. 5. 폐지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함에 따라 1945년 11월 17일 강원신사는 폐지되었다.[6]폐지 이후에도 본전, 배전, 누문 등 주요 건물에는 조선의 건축 양식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파괴를 면할 수 있었다. 현재 강원신사가 있던 자리에는 호텔이 세워졌으며, 구 궁사택, 누문, 석단, 석첩 등 일부 건물과 구조물은 호텔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3. 건축 양식
강원신사는 본전, 배전, 누문 등 주요 건물에 조선의 전통 건축 양식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3. 1. 조선 건축 양식의 도입
본전(本殿), 배전(配殿), 누문(樓門) 등 강원신사의 주요 건물에는 조선의 건축 양식이 도입되었다. 해방 이후 신사 터에는 호텔이 들어섰지만, 건물들이 조선 양식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대부분 파괴를 면할 수 있었다. 옛 궁사택, 누문, 돌층계, 석축 등은 현재 호텔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곳에는 1956년부터 춘천세종호텔이 자리 잡고 있다.3. 2. 현재의 모습
해방 이후 강원신사 터에는 호텔이 들어섰다. 1956년부터는 춘천세종호텔이 이곳에 자리 잡고 운영 중이다. 강원신사는 건립 당시 본전(本殿), 배전(配殿), 누문(樓門) 등 주요 건물에 조선의 건축 양식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건축적 특징 덕분에 일부 건물은 일제강점기 이후에도 철거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었다. 현재 옛 궁사택, 누문, 돌층계, 석층 등은 호텔의 일부로 남아 활용되고 있다.4. 갤러리
(내용 없음)
4. 1. 전경
4. 2. 신문과 세수사
4. 3. 배전 전경
4. 4. 본전과 배전
참조
[1]
간행물
神社明細帳(江原神社)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
간행물
神社創立許可
朝鮮総督府官報
1918-03-14
[3]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440号
朝鮮総督府官報
1936-08-11
[4]
뉴스
春川神社の称号を/江原神社に改称/来三十日に奉告祭
毎日新報
1938-06-24
[5]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1565号
朝鮮総督府官報
1941-10-01
[6]
간행물
内務省告示第264号
官報
1945-11-22
[7]
서적
本邦の人種言語に付鄙考を述て世の真心愛国者に質す
1890
[8]
문서
祠는 신사의 4격 중 가장 낮은 격이다.
[9]
간행물
神社明細帳(江原神社)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
간행물
神社創立許可
朝鮮総督府官報
1918-03-14
[11]
문서
道公進社
[12]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440号
朝鮮総督府官報
1936-08-11
[13]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1565号
朝鮮総督府官報
1941-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