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연구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갯벌연구센터는 2004년 서해수산연구소 소속으로 설치되어 국립수산과학원 직속 갯벌연구소를 거쳐 현재는 다시 서해수산연구소 소속으로 운영되고 있다. 주요 연구 장비로는 퇴적물 입도 분석기, 광파측정기, 부유물질 분석기, 수심수온염분측정기(CTD), 광학현미경, 실체현미경, 분광광도계, 항온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산시 소재의 관공서 - 군산교도소
1910년 광주감옥 군산분감으로 시작하여 군산형무소를 거쳐 1961년 군산교도소로 개칭된 군산교도소는 한국 교정 행정의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 교정시설이다. - 군산시 소재의 관공서 -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군산학생교육문화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군산학생교육문화관은 1993년 군산학생종합체육관 준공을 시작으로 설립되어 군산지역 평생학습관 지정, 군산교육문화회관으로의 명칭 변경, 그리고 대야공공도서관 편입을 거쳐 현재의 전라북도교육청 직속 기관이 되었다. - 2015년 설립 - 주한 타지키스탄 대사관
주한 타지키스탄 대사관은 서울에 위치한 타지키스탄의 외교 공관으로, 1992년 한-타지키스탄 수교 이후 2015년 설립되어 양국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 2015년 설립 - 창원 다이노스
창원 다이노스는 NC 다이노스의 퓨처스리그 팀으로, 고양에서 활동하며 퓨처스리그 상위권 성적을 기록, 스폰서십 마케팅과 유료 관중제를 도입하는 등 노력했으나, 2017년 시즌 후 창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 대한민국 수산청
대한민국 수산청은 1966년 농림부 외청으로 발족하여 수산 정책을 담당하다가 해양수산부 출범과 함께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 갯벌연구센터 | |
|---|---|
| 기본 정보 | |
| 국문 명칭 | 갯벌연구센터 |
| 영문 명칭 | Tidal Flat Research Institute |
| 위치 | |
| 좌표 | 36°00′42″N 126°45′25″E |
| 상세 정보 | |
|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심원면 만돌리 1277 |
| 개요 | 갯벌의 효율적인 보전·관리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 수행 |
| 주요 업무 | |
| 주요 연구 분야 | 갯벌 생태 연구 갯벌 환경 연구 갯벌 자원 연구 갯벌 정책 연구 |
| 주요 사업 | 갯벌 생태 복원 사업 갯벌 환경 개선 사업 갯벌 자원 개발 사업 갯벌 교육·홍보 사업 |
| 기타 | |
| 관련 기관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고창군 |
2. 연혁
- 2004년 2월 2일: 서해수산연구소의 소속기관으로 갯벌연구센터 설치.
- 2009년 4월 30일: 국립수산과학원 직속 갯벌연구소로 개편.
- 2015년 10월 16일: 서해수산연구소 소속 갯벌연구센터로 개편.
2. 1. 설립 초기 (2004년 ~ 2009년)
2004년 2월 2일, 서해수산연구소의 소속 기관으로 갯벌연구센터가 처음 설치되었다.2. 2. 국립수산과학원 직속 갯벌연구소 시절 (2009년 ~ 2015년)
2009년 4월 30일, 서해수산연구소 소속기관에서 국립수산과학원 직속 갯벌연구소로 개편되었다. 이 조직 형태는 2015년 10월 16일 다시 서해수산연구소 소속의 갯벌연구센터로 환원될 때까지 유지되었다.2. 3. 서해수산연구소 소속으로 복귀 (2015년 ~ 현재)
2015년 10월 16일, 국립수산과학원 직속 갯벌연구소에서 서해수산연구소 소속의 갯벌연구센터로 다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3. 주요 연구 장비
갯벌연구센터는 갯벌 생태계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첨단 연구 장비를 보유하고 운영한다. 이러한 장비들은 퇴적물 분석, 지형 및 고도측량, 수질 측정, 저서생물 관찰 등 갯벌 연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센터가 보유한 주요 장비로는 퇴적물 입자 분석을 위한 퇴적물입도분석기, 지형 측량용 광파측정기, 부유물질 분석기, 수질 연속 관측용 수심수온염분측정기(CTD) 등이 있다. 또한, 생물 연구를 위한 광학현미경과 실체현미경, 해수 성분 분석용 분광광도계, 그리고 특정 조건에서의 생물 사육 실험을 위한 항온실 시설도 갖추고 있다. 각 장비의 구체적인 기능과 사양에 대한 정보는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퇴적물 분석 장비
갯벌연구센터에서 갯벌 퇴적물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장비명 | 용도 | 제조사 | 모델명 |
|---|---|---|---|
| 퇴적물입도분석기 | 퇴적물 입도 자동 분석 | 미국 Micromeritics | Sedigraph 5100 |
| 광파측정기 | 갯벌의 지형 및 고도 측량 | 일본 | GTS-751 |
| 부유물질분석기 | 부유물질 자동 분석 | 미국 Particle Sizing Systems | Accusizer 780A |
| 수심수온염분측정기(CTD) | 수심별 현장 수질 연속 관측 | 미국 SBE, YSI | SBE 19, YSI 6600 |
| 광학현미경 | 생물 조직, 혈구, 병원생물, 생식소 등 관찰, 저서생물 동정을 위한 미세구조 관찰 | 일본 올림푸스 | BX60, BX-41, BH-2 등 |
| 실체현미경 | 갯벌 저서생물 동정을 위한 미세구조 관찰, 촬영 | 독일 Leica, Zeiss | Leica MZ 16, Zeiss Stemi DV4 등 |
| 분광광도계 | 해수 영양염 및 클로로필 분석 | 호주 Varian | Cary 1E |
| 항온실 | 갯벌 유용패류 온도사육실험 | 국산 | 자체 제작 |
3. 1. 1. 퇴적물입도분석기
퇴적물 입도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미국 Micromeritics사의 Sedigraph 5100 모델을 사용한다.3. 2. 지형 및 환경 측정 장비
갯벌연구센터에서는 갯벌의 다양한 환경 요소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해 여러 전문 장비를 사용한다. 주요 장비와 그 용도는 다음과 같다.| 장비명 | 용도 | 제조국 | 기종 |
|---|---|---|---|
| 퇴적물입도분석기 | 퇴적물 입도 자동 분석 | 미국 | Micromeritics, Sedigraph 5100 |
| 부유물질분석기 | 부유물질 자동 분석 | 미국 | Particle Sizing Systems Accusizer 780A |
| 광학현미경 | 생물 조직, 혈구, 병원생물, 생식소 등 관찰, 저서생물 동정을 위한 미세구조 관찰 | 일본 | BX60, BX-41, BH-2 등 |
| 실체현미경 | 갯벌 저서생물 동정을 위한 미세구조 관찰, 촬영 | 독일 등 | Leica MZ 16, Zeiss Stemi DV4 등 |
| 분광광도계 | 해수 영양염 및 클로로필 분석 | 호주 | Varian Cary 1E |
| 항온실 | 갯벌 유용패류 온도사육실험 | 대한민국(제작) | - |
3. 2. 1. 광파측정기
갯벌의 지형 및 고도를 측량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기종은 일본에서 제작된 GTS-751이다.3. 2. 2. 수심수온염분측정기(CTD)
수심별 현장 수질을 연속적으로 관측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주요 기종으로는 미국의 SBE 19와 YSI 6600이 있다.3. 3. 부유물질 분석 장비
갯벌 환경에서 부유물질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부유물질분석기와 같은 전문적인 분석 장비가 사용된다.3. 3. 1. 부유물질분석기
부유물질 자동 분석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기종은 미국의 Particle Sizing Systems사에서 제작한 Accusizer 780A이다.3. 4. 생물 관찰 장비
갯벌연구센터는 갯벌 생태계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 및 관찰 장비를 운용하고 있다. 주요 장비와 그 용도는 다음과 같다.| 장비명 | 용도 | 주요 기종 |
|---|---|---|
| 퇴적물입도분석기 | 퇴적물 입도 자동 분석 | 미국 Micromeritics Sedigraph 5100 |
| 광파측정기 | 갯벌의 지형 및 고도 측량 | 일본, GTS-751 |
| 부유물질분석기 | 부유물질 자동 분석 | 미국, Particle Sizing Systems Accusizer 780A |
| 수심수온염분측정기(CTD) | 수심별 현장 수질 (수온, 염분 등) 연속 관측 | 미국, SBE 19, YSI 6600 |
| 광학현미경 | 생물 조직, 혈구, 병원생물, 생식소 관찰, 저서생물 미세구조 관찰 | 일본, BX60, BX-41, BH-2 등 |
| 실체현미경 | 저서생물 미세구조 관찰 및 촬영 | Leica MZ 16, Zeiss Stemi DV4 등 |
| 분광광도계 | 해수 영양염 및 클로로필 분석 | 호주, Varian Cary 1E |
| 항온실 | 갯벌 유용 패류 온도 사육 실험 | 국산(제작) |
광학현미경과 실체현미경의 자세한 정보는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4. 1. 광학현미경
생물 조직, 혈구, 병원생물, 생식소 등을 관찰하거나 저서생물 동정을 위한 미세구조 관찰에 사용되는 현미경이다. 주요 기종으로는 일본에서 제작된 BX60, BX-41, BH-2 등이 있다.3. 4. 2. 실체현미경
갯벌 저서생물 동정을 위한 미세구조 관찰 및 촬영에 사용된다. 보유 기종은 다음과 같다.- Leica MZ 16
- Zeiss Stemi DV4 등
3. 5. 해수 분석 장비
(내용 없음)3. 5. 1. 분광광도계
갯벌연구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분광광도계는 해수의 영양염 및 클로로필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기종은 호주 Varian사의 Cary 1E 모델이다.3. 6. 기타 연구 장비
; 퇴적물입도분석기- 용도: 퇴적물 입도 자동 분석
- 기종: Micromeritics Sedigraph 5100영어 미국
; 광파측정기
; 부유물질분석기
- 용도: 부유물질 자동 분석
- 기종: Particle Sizing Systems Accusizer 780A영어 미국
; 수심수온염분측정기(CTD)
; 광학현미경
; 실체현미경
; 분광광도계
- 용도: 해수 영양염 및 클로로필 분석
- 기종: Varian Cary 1E영어 호주
3. 6. 1. 항온실
갯벌 유용패류의 온도 사육 실험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기종은 국산으로 제작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