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겉보기 역행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겉보기 역행 운동은 지구에서 관찰할 때 행성이 일시적으로 멈춘 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라틴어 'retrogradus'에서 유래되었으며, 지구의 공전 궤도와 외행성의 공전 궤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고대에는 천동설로 설명하려 했으나, 지동설이 받아들여지면서 지구와 행성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로 설명된다. 내행성인 금성과 수성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역행 운동을 하며, 소행성과 카이퍼 대 천체도 이 현상을 보인다. 행성의 역행 운동은 점성술에서도 사용되며, ℞ 기호로 표시되나, 과학적인 근거는 부족하다는 비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계동역학 - 황도
    황도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연중 겉보기 운동 경로로, 천구 적도에 대해 약 23.4° 기울어져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기준면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추분점 결정과 일식, 월식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태양계동역학 - 지점
    지점은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로 인해 발생하는 계절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하지와 동지를 포함하며, 태양 직하점의 위치와 낮과 밤의 길이 변화,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
  • 천체동역학 - 호만 전이 궤도
    호만 전이 궤도는 우주선을 낮은 원형 궤도에서 높은 원형 궤도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타원 궤도로, 두 번의 엔진 점화를 통해 궤도를 변경하며, 특정 조건 하에서 최소 에너지를 사용하는 궤도 전이 방법이다.
  • 천체동역학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점성술 - 황도대
    황도대는 황도를 따라 분포하는 별자리 영역 또는 별자리들을 가리키는 천구상의 띠로, 천문학에서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지만 주로 점성술에서 12궁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세차 운동으로 천문학적 별자리와 점성술적 별자리의 경계가 달라진다.
  • 점성술 - 칠요
    칠요는 고대 수메르에서 시작되어 바빌로니아를 거쳐 전 세계로 전파된, 7개의 행성과 신들의 명칭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요일을 정하는 방식이다.
겉보기 역행 운동
개요
현상특정 천체가 정상적인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관측 위치특정 관점에서 관측될 때 발생
관련 용어순행
정류
원인
이유관측자와 관측 대상의 상대적인 위치와 운동
태양계 행성지구가 다른 행성보다 태양을 더 빨리 공전하기 때문에 발생
별의 경우지구의 공전으로 인해 별의 위치가 약간 변하는 현상 (시차)
추가 정보
관련 링크OED 온라인 버전 - Prograde, adj.
Air-Blast Coupling to Prograde and Retrograde Surface Wav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2. 어원

'레트러그레이드(retrograde)'는 라틴어 'retrogradus'에서 파생되었으며, "뒤로"를 뜻하는 'retro'와 "걸음"을 뜻하는 'gradi'의 합성어로 "뒷걸음"을 의미한다.[7][2] 이 용어는 황도대항성, 그리고 천구의 다른 천체들에 대한 행성의 이동 경로를 묘사하는 형용사로 주로 사용된다.[7]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행성이 특정 시간에 멈췄다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할 때 쓰인다.[7][2]

"수성의 역행"은 역행 운동이 명사로 사용된 예시이다. 또한, '역행(逆行)'은 "일정한 방향과 반대로 감"을 뜻하는 한자어이며,[8] 때로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뜻하는 자동사로도 사용된다.

3. 역사적 배경

고대 천문학자들은 행성의 겉보기 역행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행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그리스어로 '방랑자'를 의미한다.[4]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는 기원전 3세기에 천동설을 제안하여 행성들이 주전원과 천원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역행 운동을 설명했다.[4] 기원전 240년, 그리스 천문학자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지동설을 제안했지만,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시대에 이르러서야 지동설이 널리 받아들여졌다.

갈릴레오는 1612년 12월 28일과 1613년 1월 27일에 해왕성을 관측했지만, 목성과 가까이 있는 고정된 별로 오인했다. 당시 해왕성은 역행으로 막 전환된 상태였기 때문에, 갈릴레오의 작은 망원경으로는 그 움직임을 감지하기 어려웠다.

4. 겉보기 운동

지구에서 하늘을 관측할 때, 모든 행성은 주기적으로 하늘을 지나는 방향을 바꾸는 것처럼 보인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밤마다 모든 행성과 항성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외행성은 별을 기준으로 천천히 동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행성의 일반적인 운동이므로 순행 운동이라고 한다.

2009~2010년에 게자리에 대한 화성의 겉보기 경로.


하지만 지구는 외행성보다 짧은 시간에 태양을 공전하기 때문에, 마치 고속도로에서 빠른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를 추월하는 것처럼 주기적으로 외행성을 추월한다. 이때, 지구에서 보면 추월당하는 외행성은 먼저 동쪽으로의 이동을 멈추고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후 지구가 외행성을 완전히 추월하면, 외행성은 다시 정상적인 동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9] 이러한 현상을 겉보기 역행 운동이라고 한다.

2003년에 지구에서 관측된 화성의 겉보기 역행 이동. 그림을 클릭하면 움직이는 선으로 그것의 이동을 볼 수 있다.


수성금성과 같은 내행성도 비슷한 방식으로 역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들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과 정반대 방향(충)에 위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의 역행 주기는 태양과의 내합 부근에서 나타난다. 소행성이나 명왕성을 포함한 카이퍼 대 천체들도 겉보기 역행 운동을 보인다.

갈릴레오는 1612년 12월 28일과 1613년 1월 27일에 해왕성을 관측했지만, 목성과 매우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합) 항성으로 오인했다. 당시 해왕성은 겉보기 역행 운동을 시작하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갈릴레오의 작은 망원경으로는 그 움직임을 알아채기 어려웠다.

4. 1. 행성별 역행 주기

각 행성의 겉보기 역행 주기는 다음과 같다.

행성주기기간
화성25.6개월72일
목성13.1개월121일
토성12.4개월138일
천왕성12.15개월151일
해왕성12.7개월158일



이 기간은 각 행성의 회합 주기와 일치한다. 더 먼 거리에 있는 행성일수록 더 빈번하게 역행하는데, 이는 겉보기 역행 운동이 태양-지구-외행성이 일 때 일어나기 때문이다. 거리가 멀수록 공전 주기가 길어져 지구에서 보기에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므로, 실질적으로 충은 지구의 공전에 좌우된다. 반면 화성과 같이 공전 주기가 짧은 경우에는 화성의 공전도 영향을 받는다.[9]

4. 2. 특수한 경우

수성에서는 근일점 부근에서 태양의 겉보기 역행 운동이 나타난다. 수성이 근일점에 도달하기 전후 약 4일 동안 수성의 공전 각속도가 자전 각속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10] 수성의 궤도는 태양계의 다른 행성보다 타원형이 더 심하며, 이로 인해 근일점 근처에서 공전 속도가 빨라진다. 결과적으로 수성 표면의 특정 지점에서는 태양이 떴다가 다시 지고, 그 후에 다시 뜨는 현상이 수성일 동안에 나타난다.[5]

화성의 위성 포보스데이모스는 화성 표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두 위성 모두 화성을 동쪽(순행) 방향으로 공전하지만, 데이모스는 1.23 화성 항성일의 궤도 주기를 가져 초동기 궤도를 가지는 반면, 포보스는 0.31 화성 항성일의 궤도 주기를 가져 준동기 궤도를 가진다. 이 때문에 궤도 주기가 화성의 자전 주기와 달라져서 겉보기에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5. 점성술에서의 역행 운동

점성술에서는 전통적으로 역행 운동을 '본래의'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는 것으로 여겨 불운하거나 불길한 징조로 보았으며, 출생 때에 역행하던 행성은 출생 천궁도의 취약점으로 간주했다.[11]

심리 점성술은 전통적인 접근법과는 다르게, 역행하는 행성이 외면의 사실보다는 내면의 현실이나 과거와 관련이 있다고 해석한다. 마사 랭 위스콧은 천궁도의 출생인에게 초기의 부양자들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역행하는 행성에 의해 나타나는) 어떤 특징을 억제하거나 사라지게 만드는 효력을 지니는 유년의 사건들을 묘사함으로써 역행 운동을 설명한다.

태양은 절대로 역행하지 않지만, 동등한 조건을 갖는다. 예를 들어, 17세기 점성술의 거장 윌리엄 릴리에 따르면, 달의 일주 운동이 상대적으로 느릴 때 달은 마치 역행하는 것처럼 역할한다. 닐 미켈슨은 태양이 역행 방식으로 행동하는 조건 하의 상황을 묘사한다.[12]

천궁도에서 역행 운동은 철자 R에 꼬리가 달린 ℞ 기호로 표시된다. 그러나 점성술에서 역행 운동이 다소 "불길하다"는 주장을 포함하여 점성술의 예언적 주장들을 뒷받침할 만한 과학적인 근거는 현재로서는 부족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rograde, adj. https://www.oed.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Wesley
[3] 웹사이트 Retrograde | Define Retrograde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2-08-17
[4]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Wesley
[5] 서적 Exploring Mercury: the iron planet Springer
[6] 간행물 Air-Blast Coupling to Prograde and Retrograde Surface Waves null
[7]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Wesley
[8] 웹인용 Retrograde | Define Retrograde at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3-04-15
[9] 서적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Addison-Wesley
[10] 서적 Exploring Mercury: the iron planet Springer
[11] 웹사이트 Astrology with Jan Spiller - Astrology 101 - Mercury Retrograde At Birth http://www.janspille[...]
[12] 서적 Encyclopedia of Astrology Philosophical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