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점은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어 발생하는 계절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하지와 동지를 포함한다. 하지에는 북반구가, 동지에는 남반구가 태양을 향해 더 기울어져 태양 직하점이 각각 북회귀선과 남회귀선에 위치한다. 지점은 태양의 적위 변화가 작아 낮과 밤의 길이 변화를 거의 감지하기 어려운 시기이며, 문화적으로 다양한 축제와 기념일의 중심이 된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천구상 위치를 기준으로 정의되며, 세차 운동으로 인해 별자리 사이를 이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계동역학 - 황도
황도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연중 겉보기 운동 경로로, 천구 적도에 대해 약 23.4° 기울어져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기준면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추분점 결정과 일식, 월식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태양계동역학 - 세계의 조화
요하네스 케플러가 1619년에 발표한 "세계의 조화"는 천체의 운동, 음악, 기하학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탐구하며 행성 운동 제3법칙을 제시하고 다면체 연구를 포함하는 책이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동지점
동지는 태양 황경이 270°인 시점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여러 문화권에서 축제와 풍습이 행해지며, 한국에서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완화 시간
완화 시간은 물리학, 화학, 천문학 등에서 시스템이 외부 섭동이나 불균형으로부터 평형 상태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볼츠만 운송 방정식, 응축물질물리학, 핵자기 공명, 화학 반응 속도, 대기 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동지점
동지는 태양 황경이 270°인 시점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여러 문화권에서 축제와 풍습이 행해지며, 한국에서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 지점 | |
|---|---|
| 지점 | |
| 천문학 | |
| 종류 | 천문학적 사건 |
| 설명 | 태양이 지구의 적도 위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때 |
| 발생 시기 | 일년에 두 번 |
| 용어 | |
| 영어 | Solstice |
| 한자 | 至點 |
| 한국어 | 지점 |
| 계절 | |
| 북반구 | 여름 겨울 |
| 남반구 | 겨울 여름 |
| 관련 현상 | 태양의 고도 변화 낮 시간 변화 |
| 하지 |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
| 동지 |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 |
| 문화적 의미 | |
| 의례 | 농경 문화에서 중요 여러 축제와 종교 의례 관련 |
| 추가 정보 | |
| 관련 천문 현상 | 춘분 추분 |
2. 정의 및 기준틀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면에 대해 약 23.44도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1년 중 절반은 북반구가, 나머지 절반은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더 기울어진다. 6월 지점(하지)에는 태양 직하점이 북위 23.44도인 북회귀선에 위치하며, 12월 지점(동지)에는 태양 직하점이 남위 23.44도인 남회귀선에 위치한다.[11] 지점 부근에서는 태양의 적위 변화 속도가 매우 작아져, 지점 전후 며칠 동안은 낮 또는 밤의 길이 변화를 거의 감지하기 어렵다.
2. 1. 명칭
한국어에서는 태양의 적위가 최대가 되는 지점을 '하지점', 최소가 되는 지점을 '동지점'이라고 부른다. 영어권에서는 강조하는 특징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사용된다.- '''하지'''와 '''동지'''는 가장 일반적인 이름이지만, 북반구의 여름은 남반구의 겨울이고 그 반대이기 때문에 모호할 수 있다.
- '''6월 지점'''과 '''12월 지점'''은 지점이 발생하는 연도의 월을 나타내므로 어느 반구를 의미하는지 모호하지 않다.[18] 그러나 모든 문화권에서 지점이 매년 같은 달에 발생하는 태양력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므로(예를 들어 이슬람력과 히브리력에서는 그렇지 않다) 보편적이지는 않다.
- '''북반구 지점'''과 '''남반구 지점'''은 태양이 위치한 반구를 나타낸다.[19] 북반구 지점은 6월에 태양이 북반구의 북회귀선 바로 위에 있을 때이며, 남반구 지점은 12월에 태양이 남반구의 남회귀선 바로 위에 있을 때이다.[20]
- '''게자리의 첫 번째 지점'''과 '''염소자리의 첫 번째 지점'''은 점성술 기호를 나타낸다.[21] 춘분의 세차로 인해, 현재 지점에서 태양이 나타나는 별자리는 6월에는 황소자리, 12월에는 궁수자리이다.
3. 천문학적 관점
지구상의 관측자에게 태양은 천구 상에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 경로는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고 태양 주위를 타원 궤도로 공전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지구의 자전축은 지구의 궤도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 지구상의 관측자는 태양의 상대적인 연간 운동이 지평선에 수직으로 멈추고 방향을 바꾸는 것을 보게 된다.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자연사''에서 "태양"을 의미하는 라틴어 형태소 ''sol''과 "정지"를 의미하는 ''-stitium''으로 구성된 ''solstitium''를 언급하였다.[8]
하지와 동지에 태양은 천구 상에서 가장 높거나 낮은 지점에 도달하며, 이는 낮과 밤의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 적도에서는 하지와 동지에 태양이 천정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지만, 낮의 길이는 연중 거의 일정하다. 극지방에서는 하지 무렵에는 백야 현상이, 동지 무렵에는 극야 현상이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지구가 구형임을 발견하고 천구라는 개념을 고안해 냈으며, "태양의 정지"를 의미하는 ''ηλιοστάσιο'' (heliostāsio)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별들은 천구의 내면을 따라 원주를 따라 평행 평면 상에서 이동하는데, 이 평면들은 지구의 축에 수직이고 하늘로 무한히 연장되어 천구와 교차하여 천극을 이룬다. 태양과 행성들은 황도라는 다른 원을 따라 이동한다.
클레오메데스는 황도대(''zōdiakos kuklos'')의 띠는 비스듬한 각도를 이루는데, 그 이유는 열대권과 적도 사이에 위치하고 각 열대권과 한 점에서 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지구에서 본 계절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위도 | 태양의 궤적 및 특징 |
|---|---|
| 적도 | 춘분과 추분 때 태양이 천정을 지나간다. 하지와 동지에는 천정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낮의 길이는 연중 약 12시간으로 거의 일정하다. |
| 20° | 하지 남중 고도는 90도를 넘어 천정을 넘어간다. 여름 낮은 겨울보다 길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다. 박명은 짧다. |
| 50° | 여름과 겨울의 낮 길이 변화가 크다. 겨울 태양은 뜨는 속도가 느리고, 여름 태양은 지는 속도가 느려 박명이 오래 지속된다. 하지 무렵에는 회색 밤(gray nights) 현상이 나타난다. |
| 70° | 동지에는 극야, 하지에는 백야 현상이 나타난다. |
| 극점 | 태양은 하루 종일 같은 고도를 유지한다. 동지에는 박명조차 나타나지 않는다. |
실제로는 대기차 때문에 태양의 기하학적 위치가 지평선 아래에 있어도 실제 태양은 지평선 위에 떠 있는 경우가 있다.
3. 1. 태양에 대한 지구의 위치
지구의 계절은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면에 대해 수직이 아니고 약 23.44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를 황도 경사각이라고 하며, 자전축의 방향은 관성계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19] 그 결과, 지구 북반구는 반년(약 3월 20일부터 9월 22일경까지) 동안 태양 쪽으로 기울어지며, 이 기울기는 6월 21일경에 최대가 된다. 나머지 반년 동안은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지며, 이 기울기는 12월 21일경에 최대가 된다. 이처럼 각 반구의 태양에 대한 기울기가 가장 커지는 두 시점이 태양이 지점에 도달하는 시점이다.하짓날, 북위 23.44도의 북회귀선상에서는 태양이 정오에 천정에 도달한다. 동짓날에는 남위 23.44도의 남회귀선상에서 태양이 정오에 천정에 도달한다. 이 두 위선 사이 지역은 열대라고 불리며, 이 지역에서는 적어도 1년에 두 번 태양이 천정에 도달한다.[11]
하짓날에는 북극권 남쪽 끝인 북위 66.56도 지점에서 자정에 태양이 지평선에 닿고, 이보다 북쪽 지역에서는 24시간 동안 태양이 지평선 위에 떠 있는 백야 현상이 나타난다. 한편, 남극권 북쪽 끝인 남위 66.56도 지점에서는 정오에 태양이 지평선에 닿고, 이보다 남쪽 지역에서는 하루 종일 태양이 뜨지 않는 극야 현상이 나타난다. 동짓날에는 양반구에서 이와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10]
열대와 극권 사이 위도에서는 동짓날부터 하짓날까지 태양이 떠 있는 시간이 매일 길어지고 고도도 매일 높아진다. 하짓날부터 동짓날까지는 태양이 떠 있는 시간이 매일 짧아지고 고도는 매일 낮아진다. 이것이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운 이유이다.
3. 2. 지구에서 본 계절 변화
지구상의 관측자에게는 태양이 천구 상을 이동하는 궤적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에는 태양의 궤적이 가장 높고, 동지에는 가장 낮다. 위도에 따라 태양의 궤적과 낮의 길이 변화가 다르게 나타난다.- 적도: 태양은 춘분과 추분 때 머리 위 정중앙(천정)을 지나간다. 하지와 동지에는 천정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 날 태양은 북쪽 또는 남쪽에서 고도 66.56도에 위치한다. 적도 부근 지역에서는 낮의 길이가 연중 약 12시간으로 거의 일정하여 계절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대신 건기와 우기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11]
- 위도 20도: 태양의 남중 고도(북반구 기준)는 동지에 46.56도, 하지에는 93.44도이다. 하지의 남중 고도는 90도를 넘어가는데, 이는 태양이 천정을 넘어 북쪽(남반구에서는 남쪽) 하늘에 위치한다는 의미이다. 여름 낮은 겨울보다 길지만, 그 차이는 2~3시간을 넘지 않는다. 태양의 궤적은 일 년 내내 지평선과 가파른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박명은 1시간 정도이다.
- 위도 50도: 겨울 태양은 정오에도 16.56도 이상 뜨지 않지만, 하지에는 63.44도에 도달한다. 여름과 겨울의 낮 길이 변화가 크고, 일출과 일몰 위치도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겨울 태양은 뜨는 속도가 느리고, 여름 태양은 지는 속도가 느려 박명이 오래 지속된다. 하지 무렵에는 밤새도록 항해 박명이 지속되는 '회색 밤(gray nights)' 현상이 나타난다.
- 위도 70도: 동지에는 태양이 뜨지 않는 극야가 나타나고, 하지에는 태양이 지지 않는 백야가 나타난다.
- 극점: 태양은 하루 종일 같은 고도를 유지한다. 하지에는 지평선 위 23.44도, 동지에는 지평선 아래 23.44도에 위치한다. 동지에는 박명조차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어둡다.
실제로는 대기차 때문에 태양의 기하학적 위치가 지평선 아래에 있어도 실제 태양은 지평선 위에 떠 있는 경우가 있다.
4. 문화적 관점
많은 문화권에서 동지, 하지, 춘분, 추분과 이들 중간 시점을 기념하는 다양한 풍습이 있다. 동지에는 크리스마스, 이란의 얄다, 고대 로마의 사투르날리아, 슬라브 지역의 Korochun, 유대교의 하누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콴자, 북유럽의 율 등이 기념된다. 하지에는 가톨릭 문화권이나 북유럽 프로테스탄트 문화권에서 6월 23일부터 6월 24일에 걸쳐 거행되는 성 요한 축제(하지 축제 참조), 위카의 Litha 등이 있다. 춘분 전후에는 유대교의 유월절 등 다양한 봄 축제가 열리고, 추분에는 유대교의 초막절을 비롯한 여러 휴일이 있다. 또한 이들 네 시기의 중간에도 cross-quarter days 등의 축제일이 존재한다.[22] [23][24][25]
많은 문화에서는 지점이나 분점처럼 midsummer나 midwinter라고 부르는 계절의 중간 지점도 정한다. 일본에서는 각 계절의 시작을 절분으로 기념하는 풍습이 있다.
4. 1. 동아시아의 절기
동아시아 전통 달력에서 1년은 24개의 절기로 나뉜다. '''하지(夏至)'''는 태양이 황경 90°에 도달하는 날(양력 6월 21일경)이고, '''동지(冬至)'''는 태양이 황경 270°에 도달하는 날(양력 12월 23일경)이다.[29] 하지와 동지는 각각 여름과 겨울의 중간을 나타내며, 한자 至는 "극점"을 의미하므로 여름과 겨울의 절정을 뜻한다.4. 2. 현대의 축제
현대에도 많은 문화권에서 하지와 동지를 기념하는 축제가 열린다. 남반구의 동지에는 크리스마스가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얄다, 사투르날리아, 카라춘, 하누카, 콴자, 율도 이 무렵에 기념된다.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동지 축제가 동지에 기념된다. 북반구의 하지에는 그리스도교 문화권에서 6월 23일부터 24일까지 성 요한의 축제를 기념하고(성 요한 전야, 이반 쿠팔라의 날 참조), 현대 이교도들은 리타로 알려진 한여름을 기념한다.[22] [23][24][25]남아메리카 남단의 마푸체족은 북쪽 하지 후 며칠 후인 6월 24일에 웨 트리판투(새해)를 기념한다. 더 북쪽에 있는 아타카마족은 예전에 태양을 되돌려 부르기 위해 소음 축제를 열었다. 동쪽으로 더 가면 아이마라족은 6월 21일에 새해를 기념하는데, 태양이 티와나쿠의 태양의 문을 통해 직접 비추는 일출 때 축하 행사가 열린다. 다른 아이마라 새해 축제는 볼리비아 전역에서, 엘푸에르테 데 사마이파타 유적지에서도 열린다.
힌두력에는 두 개의 항성 하지가 있는데, 마카라 상크란티는 우타라야나의 시작을 알리고, 카르카 상크란티는 닥시나야나의 시작을 알린다. 전자는 매년 1월 14일경에 발생하고, 후자는 매년 7월 14일경에 발생한다.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는 매년 6월 21일에 중동절 파티를 열어 태양이 가장 낮은 지점에 있고 돌아오고 있음을 기념한다.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프리몬트에서는 매년 여름 하지에 프리몬트 하지 퍼레이드가 열린다. 미시시피 문화 카호키아 고고학 유적지에 있는 카호키아 우드헨지는 매년 춘분과 하지 일출 관측 장소이다.
5. 지점 결정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는 계절에 따라 변한다. 북반구에서는 6월에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아 하지가 되고, 12월에는 고도가 가장 낮아 동지가 된다.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6월에 동지, 12월에 하지가 된다.[8]
지점은 태양의 고도 변화가 멈추고 방향이 바뀌는 순간이다. 열대 지방을 제외하면 하짓날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고, 동짓날 가장 낮다. 태양의 궤적인 황도는 북반구와 남반구 사이를 이동한다. 적도 근처를 제외하면, 낮의 길이는 하지 무렵에 가장 길고 동지 무렵에 가장 짧다. 태양이 적도를 지날 때 춘분과 추분이 발생하며, 이때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1년 동안 두 번의 동지와 두 번의 춘분이 발생한다.[11]
태양의 적경 변화율 때문에 적도 근처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짧은 날이 동지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북극권이나 남극권 안에서는 태양이 며칠 또는 몇 달 동안 계속 떠 있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춘분과 달리, 지점의 정확한 시간은 측정하기 어렵다. 태양의 적위 변화는 지점 근처에서 매우 작아지기 때문이다. 지점 전후 며칠 동안 적위 변화 속도는 하루에 30각초 미만으로, 이는 태양 각 크기의 1/60에 불과하다.[26] 이러한 변화는 육분의와 같은 정밀한 도구를 사용해도 감지하기 어려우며, 그노몬[26]이나 천구의와 같은 전통적인 도구로는 더욱 불가능하다. 대기 굴절[27]의 변화도 일출/일몰 방위각의 변화를 감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과거 그리스 천문학자들은 보간법을 사용하여 지점 시간을 근사적으로 계산했다. 이 방법은 지점 전후 며칠 동안 정오의 적위각을 기록하고, 적위가 같은 두 날짜를 찾아 그 중간 시간을 지점 시간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지점 결정에서 최대 1/4일의 정확도를 얻으려면 45일 간격이 최적이라고 알려져 있다.[28]
2012년 DIO 저널에서는 여름 지점 전후 약 20일 정도에 태양의 등고도를 관측하면 1~2시간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천문력에서는 지점을 태양이 지점 직교원을 통과하는 순간, 즉 태양의 겉보기 지구 중심 천구 경도가 90°(6월 지점) 또는 270°(12월 지점)일 때로 정의한다.[29] 지점의 날짜는 매년 다르며, 시간대에 따라 하루 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 지구의 공전 주기가 365일보다 약간 길기 때문에 지점은 매년 조금씩 늦어지다가 윤일에 의해 다시 조정된다. 따라서 지점은 항상 6월 20일과 22일 사이, 12월 20일과 23일 사이에 발생한다.[30][31]
6. 별자리
세차로 인해 지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별자리 사이를 이동한다. 현재 북쪽 지점은 황소자리에, 남쪽 지점은 궁수자리에 위치해 있다.[32]
지점의 별자리 이동은 다음과 같다.
| 이동 별자리 | 시기 | |
|---|---|---|
| 북쪽 지점 | 사자자리에서 게자리로 이동 | 기원전 1458년 |
| 게자리에서 쌍둥이자리로 이동 | 기원전 10년 | |
| 쌍둥이자리에서 황소자리로 이동 | 1989년 12월 | |
| 황소자리에서 양자리로 이동 | 4609년 (예상) | |
| 남쪽 지점 | 염소자리에서 궁수자리로 이동 | 기원전 130년 |
| 궁수자리에서 뱀주인자리로 이동 | 2269년 (예상) | |
| 뱀주인자리에서 전갈자리로 이동 | 3597년 (예상) |
참조
[1]
웹사이트
Earth's Seasons - Equinoxes, Solstices, Perihelion, and Aphelion
https://aa.usno.navy[...]
2022-08-01
[2]
웹사이트
Solstices and Equinoxes: 2001 to 2100
http://www.astropixe[...]
2018-02-20
[3]
문서
Équinoxe de printemps entre 1583 et 2999
http://www.imcce.fr/[...]
[4]
문서
Solstice d’été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5]
문서
Équinoxe d’automne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6]
문서
Solstice d’hiver
http://www.imcce.fr/[...]
[7]
웹사이트
The Summer and Winter Solstices
https://www.scholast[...]
Scholastic
2017-10-01
[8]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5-12-08
[9]
문서
The Principle of relativity
[10]
웹사이트
A Solargraph taken from APEX at Chajnantor
http://eso.org/publi[...]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5-12-09
[11]
서적
The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an Epitome of Navigation
http://msi.nga.mil/M[...]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15-12-09
[12]
서적
The Geography
[13]
서적
The Geography
[14]
서적
The Geography
[15]
서적
The Geography
[16]
서적
Cleomedes' Lectures on Astronomy: A Translation of The Heave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17]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Practical Astrology
http://google.com/bo[...]
Penguin
2011-06-07
[18]
서적
Astronomy Essentials
http://google.com/bo[...]
Research & Education Assoc
1994
[19]
서적
A new manual of the elements of astronomy, descriptive and mathematical: comprising the latest discoveries and theoretic views : with directions for the use of the globes, and for studying the constellations
http://google.com/bo[...]
Ivison, Blakeman, Taylor, & Company
1877
[20]
서적
ICSE Geography
http://google.com/bo[...]
Ratna Sagar
2015-12-09
[21]
서적
A Compendium of ModernGeography
http://google.com/bo[...]
Oliver & Boyd
1869
[22]
웹사이트
Visitors Guide to the Woodhenge
http://greatriverroa[...]
2017-12-19
[23]
웹사이트
Welcome the Fall Equinox at Cahokia Mounds
https://www.illinois[...]
Illinois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24-11-25
[24]
웹사이트
Winter Solstice Sunrise Observance at Cahokia Mounds
http://www.discoverc[...]
Collinsville Chamber of Commerce
2017-12-20
[25]
뉴스
Cahokia Mounds Mark Spring Equinox : The keepers of Cahokia Mounds will host a spring gathering to celebrate the vernal equinox
https://indiancountr[...]
Indian Country Media Network
2017-12-20
[26]
웹사이트
Solstice Determination based on Observations
http://sundial.thai-[...]
2010-09-27
[27]
논문
A Fresh Analysis of Some Recent Data on Atmospheric Refraction Near the Horizon with Implications in Archaeoastronomy
1992
[28]
논문
Early Greek Solstices and Equinoxes
2001
[29]
서적
Astronomical Algorithms
https://archive.org/[...]
Willmann-Bell, Inc.
1998
[30]
웹사이트
December solstice
https://www.timeandd[...]
2018-03-21
[31]
웹사이트
June solstice
https://www.timeandd[...]
2018-03-21
[32]
서적
Mathematical astronomy morsels
Willmann-Bell, Inc.
1997
[33]
문서
Équinoxe de printemps entre 1583 et 2999
http://www.imcce.fr/[...]
[34]
문서
Solstice d’été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35]
문서
Équinoxe d’automne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36]
문서
Solstice d’hiver
http://www.imcce.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