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오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임 오버"는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실패하거나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문구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게임의 장르와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는다. 1950년대 핀볼 머신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아케이드 게임 시대를 거쳐 가정용 게임으로 발전하면서 널리 사용되었다. 게임 오버는 생명을 모두 소진하거나, 특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컨티뉴 기능을 통해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저장 기능의 발전으로 게임 오버의 빈도가 줄어들었지만, 일부 게임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남아있다. 게임 외적으로는 어떤 상황이나 과정의 종료, 패배를 인정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대 신조어 - 로큰롤
록앤롤은 1950년대 중반 시작된 국제적인 음악 스타일로, 가스펠, 블루스, 스윙 음악의 영향을 받아 미국 남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알란 프리드, 엘비스 프레슬리, 척 베리, 빌 헤일리 등의 활약으로 대중화되어 십대 문화를 형성하고 사회적 변화를 반영했으나 1950년대 후반 쇠퇴 후 록 음악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1950년대 신조어 - 고도를 기다리며
《고도를 기다리며》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과 실존적 고뇌, 삶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다. - 비디오 게임 문화 - 유튜버
유튜버는 유튜브에 비디오를 제작 및 게시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도 불리며 MCN의 등장으로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향력 증가와 수익 창출에도 불구하고 시장 과점, 수익 불안정성, 영상 조작, 저작권 침해 등 문제점과 비판이 존재한다. - 비디오 게임 문화 - 칩튠
칩튠은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와 게임기의 보급과 함께 등장하여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음악 장르로, 독특한 음색과 기법으로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하여 현재는 다양한 음악가들과 행사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며 주류 팝 음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비디오 게임 플레이 - 오픈 월드
오픈 월드는 플레이어가 자유롭게 탐험하고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비선형적인 게임 플레이를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디자인이다. - 비디오 게임 플레이 - 데스매치
데스매치는 FPS 게임의 한 종류로, 여러 플레이어가 가상 공간에서 서로를 죽여 점수를 얻는 게임 모드이며, 1993년 게임 《둠》을 통해 대중화되어 FPS 게임의 주요 모드로 자리 잡았다.
게임 오버 | |
---|---|
게임 오버 | |
![]() | |
개요 | |
종류 | 비디오 게임 용어 |
의미 | 플레이어의 패배 또는 게임 종료를 알리는 메시지 |
역사 | |
기원 | 아케이드 게임 |
최초 사용 시기 | 1950년대 초 전자 기계 게임 |
사용 | |
초기 아케이드 게임 | 게임 종료 시 "GAME OVER" 메시지 표시, 추가 코인 투입 유도 |
현대 게임 | 다양한 표현 방식 사용 (컷신, 특수 효과, 다른 문구 등) |
예시 | "You Died" (다크 소울) "WASTED" (Grand Theft Auto V) "Finish Him/Her" (Mortal Kombat) "The Tower Has Fallen" (킹덤 러시) |
특징 | |
고전 게임 | 종종 높은 점수 기록 시 이름 입력 기능 제공 |
난이도 설정 | 게임 오버 없이 엔딩을 볼 수 있도록 난이도 설정 기능 제공 |
"컨티뉴" 기능 | 게임 오버 후 추가 비용 지불 또는 특정 조건 만족 시 게임 재개 가능 |
사회 문화적 영향 | |
대중 문화 | 영화, 음악,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죽음', '실패', '끝'의 은유로 사용됨 |
게임 문화 | 좌절감과 성취감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요소 |
기타 | |
관련 용어 | 컨티뉴 부활 체크포인트 |
2. 역사
"게임 오버"라는 문구는 1950년대 초 전기 기계식 핀볼 머신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전구를 통해 이 문구를 밝혔다.[1] 비디오 게임 콘솔과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기 전에는 아케이드 게임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주요 플랫폼이었고, 사용자는 아케이드 게임 머신에 토큰이나 동전을 넣어 게임을 해야 했다. 초기 아케이드 비디오 게임은 대부분 타이머가 종료되면 게임이 끝났지만, 슈팅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1978)는 플레이어가 적에게 죽임을 당했을 때(총에 맞거나 적이 플레이어에게 도달) 게임 오버가 되는 방식을 대중화했다.[2] 플레이어는 게임이 종료되기 전까지 유한한 수의 생명을 받았다.[3]
아케이드 비디오 게임 황금기 동안 플레이어는 보통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유한한 수의 생명(또는 시도)을 받았고, 생명이 모두 소진되면 "게임 오버" 메시지가 표시되며 게임이 종료되었다. 이 문구 뒤에는 "다시 플레이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와 함께 플레이어가 게임을 계속하려면 추가 토큰을 넣으라는 메시지가 나오기도 했다.
가정용 콘솔로 게임이 이식되면서 "게임 오버" 화면과 "계속하시겠습니까?" 프롬프트는 유지되었지만,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게임을 계속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비디오 게임 산업이 아케이드 중심에서 가정용 게임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화면은 재정적 이점을 제공하지 않아 중요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게임 오버 개념은 위험 요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게임에 남아있었다. 게임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플레이어는 게임 오버 화면을 보게 되고, 게임 또는 레벨의 처음이나 이전에 저장된 상태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다.
일부 게임은 생명이 없는 플레이어에게 메뉴에서 계속하거나 "게임 오버"를 선택하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저장 기능이 개발되면서 플레이어는 게임의 이전 상태에서 다시 스폰할 수 있게 되었고, 게임 오버 메시지는 덜 일반적이 되었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저장하거나 체크포인트에 도달하면(자동 저장) 게임 상태가 메모리에 저장되었다. 많은 최신 게임은 완료될 때까지 "종료"되지 않으며, "게임 오버" 화면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게임의 처음으로 강제 복귀하는 경우는 드물고, 진행 상황의 상당한 손실을 의미하는 경우는 조금 더 일반적이다. 로그라이크는 이 규칙의 가장 일반적인 예외이며, 퍼머데스는 이 장르의 필수 요소이다.
2. 1. 일본에서의 게임 오버
"게임 오버"는 일본식 영어인지에 대해 사전마다 설명이 다르지만, 1950~60년대 미국의 아케이드 게임에서는 이미 "GAME OVER"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9]。 일본에서 "게임 오버"가 부정적인 의미, 특히 "패배"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영향이 컸다. 그 이전까지 아케이드 게임에서는 컴퓨터가 플레이어의 득점을 방해했지만, 스페이스 인베이더에서는 플레이어를 물리치고 게임을 종료시키는 것이 목적이 되었다. 이러한 스릴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패배=게임 오버"라는 인식이 생겨났다[9]。1990년대 이후 아케이드 게임에서는 기록 카드나 네트워크 도입으로 플레이어의 실력과 관계없이 1회 플레이 시간이 크게 변동하지 않는 게임이 등장했다. 이러한 게임에서는 플레이어의 실수로 인한 플레이 시간 영향이 적고, 실력 있는 플레이어에 대한 보상도 플레이 시간 연장과는 다른 형태로 주어지면서 "게임 오버=패배"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는 약해졌다는 견해도 있다[9]。
3. 게임 오버의 다양한 형태
"게임 오버"는 다양한 변형을 거쳐왔다. 예를 들어 리틀 킹스 스토리에서는 "LIFE OVER", 나이츠 인투 드림즈..., 나이츠: 저니 오브 드림즈에서는 "NIGHT OVER", 남극 탐험, 소닉 더 헤지혹에서는 "TIME OVER" 메시지가 나타난다.[9]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에서는 "YOU ARE DEAD"(3 이전은 "YOU DIED")라는 혈자가 표시되고, 다크 소울, 컵헤드, 마인크래프트(하드코어 모드)에서는 "YOU DIED"가 사용된다.[9] 클로노아, 루이지 맨션에서는 "GOOD NIGHT"가 표시된다.[9]
이 외에도 베요네타 시리즈의 "THE WITCH HUNTS ARE OVER", 테라리아의 "YOU WERE SLAIN", 힐 클라임 레이싱의 "DRIVER DOWN" 등 다양한 표현이 사용된다.[9]
일부 게임은 특정 레벨, 미션, 게임 모드 등에만 해당되는 구체적인 패배 조건 메시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플랜츠 vs. 좀비는 좀비수족관 미니 게임 등에서 "All your pet zombies have perished!"와 같은 메시지를 사용한다.[9]
3. 1. 장르별 게임 오버 조건
다음은 장르별 일반적인 게임 오버 조건의 예시이다. 단, 게임에 따라 조건이 크게 바뀌거나 특정 장면에 추가 조건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예시이다.장르 | 게임 오버 조건 |
---|---|
액션 게임, 슈팅 게임 | 플레이어 캐릭터 사망, 모든 캐릭터 소진, 또는 라이프 소진.[9] |
대전 격투 게임 | 상대에게 패배.[9] |
어드벤처 게임 | 잘못된 선택, 또는 목적 달성 실패.[9] |
롤플레잉 게임 (RPG) | 주인공 또는 파티 전멸, 또는 마비, 석화 등 행동 불능.[9] |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 포함) | 자산 마이너스(파산), 또는 성적 미달.[9] |
스포츠 게임 | 경기/시즌 패배, 또는 규정 순위/점수 미달.[9] |
워 시뮬레이션 게임 | 아군 유닛 전멸, 특정 유닛 사망, 적에게 지정 지역 점령, 본거지 점령, 또는 임무 실패.[9] |
연애 게임 | 이성에게 차임, 고백 실패, 또는 특정 인물과 맺어지지 못함.[9] |
퍼즐 게임 | 시간 초과, 또는 막힘.[9] |
음악 게임 | 클리어 조건 미달, 또는 게이지 소진.[9] |
레이스 게임 | 시간 초과, 또는 순위 미달.[9] |
퀴즈 게임 | 오답 횟수 초과, 또는 점수 미달.[9] |
테이블 게임 | 패배, 또는 소지점 소진.[9] |
메달 게임 | 배당 없음, 또는 배당 소진.[9] |
4. 컨티뉴
비디오 게임 중에는 게임 오버 시점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컨티뉴'''(Continue) 기능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컨티뉴를 하면 일반적으로 게임을 계속 이어서 할 수 있지만, 작품에 따라서는 컨티뉴 시 점수가 초기화되거나(《킹 오브 파이터즈》) 컨티뉴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점수의 일의 자리가 1씩 증가(《스트리트 파이터》)하는 등의 페널티가 부과되기도 한다.
몇몇 게임에서는 컨티뉴를 통해 보너스 아이템을 얻거나 난이도가 낮아지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도 있다.
아케이드 게임의 경우 컨티뉴를 하기 위해서는 추가 요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오락실에서는 뒤에 기다리는 사람이 있을 경우 컨티뉴를 자제하고 다음 사람에게 양보하는 것이 암묵적인 규칙이다. 이를 어기고 계속 컨티뉴를 하는 행위는 "연코"(연속 코인)라고 불리며 비매너 행위로 간주된다.
4. 1. 아케이드 게임에서의 컨티뉴
아케이드 게임에서는 게임 오버가 되었을 때, '컨티뉴' 기능을 통해 게임을 이어서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컨티뉴를 하려면 추가 요금을 투입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제한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그 시간 안에 결정을 해야 한다.[9]일부 게임에서는 컨티뉴 시 페널티가 적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점수가 초기화되거나(《스타폭스》, 《록맨》, 《소닉 더 헤지혹》 등), 점수가 감소하거나(《대전! 퍼즐 구슬》 등), 컨티뉴 횟수에 따라 점수의 일의 자리가 1씩 증가하는 경우(《파이널 파이트》, 《스트리트 파이터 II》 등)도 있다. 또한, 컨티뉴 횟수에 제한을 두거나, 컨티뉴 여부에 따라 진정한 최종 보스나 엔딩, 숨겨진 스테이지 등의 출현 조건이 달라지는 게임도 있다.[9]
하지만 컨티뉴를 통해 보너스 아이템을 얻거나 난이도가 낮아지는 등, 게임을 더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요소가 있는 게임도 있다. 이는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들을 배려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9]
대한민국의 오락실에서는 뒤에 기다리는 사람이 있을 경우, 컨티뉴를 하지 않고 다음 사람에게 차례를 양보하고 다시 줄을 서서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매너이다. 하지만 이는 암묵적인 규칙일 뿐, 명시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몇 번이고 컨티뉴를 반복하는 행위는 '연속 코인'(연코)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부 오락실에서는 '무제한대'라고 하여 컨티뉴 제한 없이 계속 게임을 할 수 있는 기기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 경우, 다음 플레이를 기다리는 사람이 있어도 자리를 비켜줄 필요가 없다.[9]
4. 2. 가정용 게임에서의 컨티뉴
가정용 게임에서는 게임 오버가 되었을 때 다시 게임을 이어갈 수 있는 다양한 컨티뉴 방법이 있다.- 스테이지 재시작: 게임 오버가 된 스테이지부터 다시 시작한다. 예를 들어 록맨 시리즈나 대전형 격투 게임 등에서 이 방식을 사용한다.[1]
- 지점 재시작: 게임 오버가 된 특정 지점부터 다시 시작한다. 슈퍼 동키콩 시리즈의 컨티뉴 배럴이 그 예시이다.[1]
- 비밀번호: 게임 오버 시 표시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게임을 재개한다. 이 방식은 저장 기능이 없는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챔피언십 로드 러너(1985년), 봄버맨 등이 그 예시이다.[1]
초창기 가정용 게임에서는 컨티뉴가 특수한 조작이나 조건을 필요로 하는 "비기"인 경우가 많았지만, 점차 표준 기능으로 자리 잡아 선택만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시리즈의 경우, 1편에서는 비기였지만,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2에서는 선택식으로 변경되었다.[1]
일부 게임에서는 컨티뉴를 사용하면 페널티가 적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점수가 초기화되거나(스타폭스, 록맨, 소닉 더 헤지혹 등), 점수가 감소하거나(대전! 퍼즐 구슬 등), 컨티뉴 횟수에 따라 점수가 증가하는(파이널 파이트, 스트리트 파이터 II 등) 경우가 있다.[1] 또한, 컨티뉴 없이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진정한 최종 보스, 엔딩, 숨겨진 스테이지 등이 나타나는 게임도 있다.[1]
하지만 컨티뉴를 통해 보너스 아이템을 얻거나 난이도가 낮아지는 등 플레이어를 돕는 요소가 있는 게임도 있다.[1]
5. 게임 오버가 없는 게임
일부 게임에서는 게임 오버라는 개념이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모모타로 전철 시리즈》, 《와리오 랜드》 시리즈, MMORPG 등이 있다. MMORPG에서는 플레이어 캐릭터가 사망해도 페널티는 있지만, 게임 오버로 취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9]
6. 다양한 엔딩
게임에 따라 다양한 엔딩이 존재한다.
- '''배드 엔딩(Bad Ending)''': 좋지 않은 내용의 결말을 의미한다.[38] 두근두근 메모리얼 시리즈와 같은 게임이 예시이다. 배드 엔딩을 맞이하면 스태프 롤 없이 바로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가거나, 어두운 분위기의 BGM이 흐르는 경우가 많다.[38]
- '''데드 엔딩(Dead Ending)''': 주인공이 사망하는 등, 배드 엔딩 중에서도 특히 최악의 결말을 뜻한다.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와 같은 잔혹 게임이나, 카마이타치의 밤과 같은 미스터리/서스펜스물, Fate/stay night와 같은 성인 게임 등에서 자주 나타난다.
- '''노멀 엔딩(Normal Ending)''': 평범한 결말을 의미한다.[39]
- '''해피 엔딩(Happy Ending)'''/'''베스트 엔딩(Best Ending)''': 좋은 결말을 의미하며,[40] 그중에서도 가장 행복한 결말을 베스트 엔딩이라고 부른다.
- '''트루 엔딩(True Ending)''': 제작자가 의도한 진실된 결말을 의미한다. 타카하시 타츠야가 만든 용어로, 1996년에 발매된 시즈쿠에서 처음 사용된 후 널리 퍼졌다.
- '''메리 배드 엔딩(Merry Bad Ending)''': 해석에 따라 해피 엔딩 또는 배드 엔딩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결말을 의미한다.
7. 게임 외적 용례
이 문구는 현실에서 논쟁이나 과정의 종료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2011년 1월, 여러 북아프리카와 중동 국가의 시위대와 폭도들은 "게임 오버"라는 슬로건을 배너에 사용하여 반정부 정서를 표현했다.[4]
"게임 오버"는 패배를 인정하는 문구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영화 ''에이리언 2''에서 윌리엄 허드슨 이병은 자신과 탐험대를 구출하러 온 수송선이 파괴된 후 "게임 오버, 친구. 게임 오버!"라고 외친다.[5]
참조
[1]
웹사이트
Miniature bowling alley
https://patents.goog[...]
[2]
간행물
Nishikado-San Speaks
https://archive.org/[...]
Live Publishing
2004-04-15
[3]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Gamer's Edition 2015 Ebook
https://books.google[...]
Guinness World Records
2014-11-06
[4]
웹사이트
'Game Over' for your government?
http://silversprite.[...]
2011-07-15
[5]
웹사이트
Aliens (1986) - Memorable quotes
https://www.imdb.com[...]
IMDB
2011-08-03
[6]
Youtube
Game Over: Alien 3
https://www.youtube.[...]
2009-02-09
[7]
비디오 게임
"Zen Pinball 2 - Aliens vs. Pinball pack"
2016-04-26
[8]
웹사이트
Bill Paxton
http://www.avclub.co[...]
2012-05-28
[9]
뉴스
"「ゲームオーバー」の意味は「試合終了」なのか、「敗北」なのか? 徹底的に調べてみたら、『大辞泉』の「ゲームオーバー」の記述が変わることになった"
https://news.denfami[...]
マレ
2020-04-30
[10]
문서
ゲージの名称は各ゲームによって異なる。
[11]
문서
初音ミク -Project DIVA- では演奏中に「ゲージがなくなった瞬間にゲームオーバー」となる他、演奏の終了後に判定された評価が「STANDARD」以上でないとクリア扱いにならない。
[12]
문서
全ての逃走者が全滅するとゲームオーバーになる
[13]
문서
ファイブツアーズシリーズでは全滅するとゲームオーバー、ファイブボンバーシリーズでは制限時間内に全員答えられないとゲームオーバーなど。
[14]
문서
ピンボールランナーでは、ランナーが転倒するとゲームオーバー、クリフクライムでは2人目のクライマーが、途中で落下するとゲームオーバーなど。
[15]
문서
『クイズ!ヘキサゴンII』の「仲間を救え!底抜けドボンクイズ」の救出失敗などゲームオーバーに似てなるものもあるがゲームオーバーではない。
[16]
문서
『沙羅曼蛇』など場面により途中参加不可能な状態であっても「GAME OVER」と表示される場合がある。
[17]
문서
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の麻雀格闘倶楽部シリーズの2022年最新バージョンである「Extreme」のデモ画面では、「GAME OVER」と「e-amusementPASSをタッチしてください」を交互に表示させている。
[18]
문서
コピーソフト=海賊版や改造、改竄、盗品など
[19]
문서
コピー突破ツールやアクションリプレイ、互換機など
[20]
문서
例えばRPGで通常では倒せないボスキャラクターに想定外の高レベルや特定イベントクリア等をせずに無理やり戦闘に勝利した場合、取得条件未達成なのにアイテムなどがある場合。カウンターストップの数値を超えているデータ等。
[21]
문서
"「スマホ又はタブレット (コンピュータ)|タブレットやゲーム」運営会社(機種分割払い等も含む)への延滞(滞納処分|滞納)などで強制解約などになってしまうと、「支払不能者」で他社など(4大キャリアやサブブランド、格安Sim等)に契約も不可能になるなど。"
[22]
문서
他人(偽名)名義等でスマホ等を契約した場合等
[23]
문서
任天堂のソフトやハードのパッケージにはその旨の注意書きがある。
スマホ等の分割払いの支払い不能の場合端末の遠隔ロックされるなど。
[24]
문서
セーブしてタイトル画面に戻る項目を選択すると、本来のゲームオーバー条件に当てはまった時と全く同様のゲームオーバーシーンが流れる。
[25]
문서
但し、『電車でGO!』の場合は「運転終了」の訳語として「GAME OVER」と表示されるが、クリアした場合と途中終了の場合とで色が異なる(クリア時→運転終了:緑+GAME OVER:オレンジ、途中終了時→運転中止:赤+GAME OVER:黄)
[26]
문서
「ミラクルロピット 2100年の大冒険」では通常の残機切れによるゲームオーバーのほかに、スタッフロールが流れ終わった後にも「PLAYER 1 GAME OVER」と表示される。
[27]
웹사이트
[CEDEC 2015]特許があるからこそ,新たなアイデアが生まれる。「知的財産制度はゲーム業界の発達にどのように貢献してきたのか」聴講レポート
https://www.4gamer.n[...]
4Ggamer.net
2015-09-01
[28]
문서
このカードは、購入できなくても比較的容易に入手できる方法がベストセラーズ『スーパー桃太郎電鉄DX究極本』などで紹介されている。製作時、ゲームバランス調整のためさくまあきら本人が膨大なマイナス状態のデータを渡され、規定期間内に逆転できるようチューニングしている。
[29]
문서
なお、『無双シリーズ』ではステージごとの敗北条件を満たしたり、自軍の総大将が倒されたり、ステージの制限時間がなくなったり、プレイヤーが戦死したりするとゲームオーバーとなり、「(自軍の軍団名)敗北」「(プレイヤー武将名)戦死」(エディットモードなどでの自作武将の場合は「1P(2P)戦死」)と表示され、「敗北・総大将」(または「敗北・死亡」)のBGMが流れた後(『真・三國無双2』と『真・三國無双3』ではリプレイ画面表示後)ゲームオーバー画面が表示される。
[30]
문서
例外として、ファミコン版の『ドラゴンクエスト』では、選択肢によってはゲームオーバーになる場面が存在する。リメイク版では夢オチとなり、リムルダールの宿屋で再開するだけでゲームオーバーとはならない。またDS版・スマホ版のV,VIではストーリー中のミニゲームにて「Game Over」の表示を見ることができる。
[31]
문서
FF6ではペナルティ込みで最後にセーブした町などに戻されるのみ。なお、「GAME OVER」の文字が実際に表示されるのは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FF7以降(オンラインの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XI|FF11、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XIV|FF14を除く)である。
[32]
문서
『グランド・セフト・オートIV』では「Busted」や「Wasted」の表示はなく、代替として病院送りの場合は画面が白くなり、逮捕された場合は画面が暗転する演出がなされる
[33]
문서
IV以前の作品は双方とも、Vでは逮捕時のみボディアーマーと弾薬が没収され、それらを再び集めるための費用は治療費よりも高くつくこともある。ただし所持金をまったく持っていない場合でも治療費や保釈金には影響せず、キャラクターが死亡ないし収監されることはないため、ゲームオーバーとはならない
[34]
문서
『グランド・セフト・オートV』『グランド・セフト・オート:トリロジー 決定版』では、ミッション失敗時に『(人物)が死亡した』『(人物)が死んでしまった』などと表示されるが、再開時で最終通過地点から戻ることができる
[35]
문서
ただし風邪薬や胃腸薬を渡すことで感謝の言葉がもらえ、満足度が上がる
[36]
문서
後者では、3DS版のミニゲームにおいてゲームオーバーが存在する
[37]
문서
なお、コインの枚数が0枚のときにミスをしても、画面が暗転した後、何事もなかったかのようにミスをした地点から再スタートされる。
[38]
문서
ただし、『サモンナイト』のようにプレイヤーによっては良い結末(主人公が魔王に乗っ取られるが、ほかのエンディングと違い戦死者が出ずに、主人公が元の世界に帰還する)と捉える事もある。
[39]
문서
本作でのノーマルエンドは、最終ボスを(物語上の設定で)倒すことに失敗し、ボンバーマンとそのお供であるポミュを除いて主要人物が全滅するというもの。
[40]
문서
ただし、『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X』のようにプレイヤーによっては悪い結末(主人公のティーダ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ティーダがラスト・ボスのエボン=ジュを倒した後消えてしまう)と捉える事もある。
[41]
문서
7th style以降。当初は「THANK YOU FOR PLAYING THIS GAME.」と併記されていたが、tricoro以降は「THANK YOU FOR PLAYING」となった。変わった例としてSPADAでは「Game Over」の表示後に「THANK YOU FOR PLAYING」と表示される。copulaではテーマの鉄道にちなみ「またのご乗車お待ちしております」と、CANNON BALLERSではテーマのレースにちなみ「THANK YOU FOR DRIVING」と、それぞれ置き換え・併記されている。そしてRootageでは「GAME OVER」と「THANK YOU FOR PLAYING」の各文字がタイトル1文字目から順に光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