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지사는 경기도의 행정 수반으로, 조선시대 관찰사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미군정기를 거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946년부터 1995년까지는 대통령이 임명했고,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직선제로 선출된다. 역대 도지사 명단과 선거 결과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지사 - 염보현
- 경기도지사 - 김태호 (1935년)
김태호는 1935년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중앙정보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관선 인천시장, 경기도지사, 제12, 13, 15, 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제13대 국회의원 임기 중 내무부 장관을 겸임하다가 2002년 다발성 골수종으로 사망했다. - 경기도청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경기도와 서울대학교가 공동 설립하여 경기도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 기술창업 지원, 인력 양성, 국내외 교류 협력 사업 등을 수행하는 융합기술 연구 기관이다. - 경기도청 -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도 지방공기업으로, 시설 관리, 물류 시스템 구축, 활성화 사업 개발, 배후단지 개발,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며 평택항을 무역항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충청남도지사
충청남도지사는 충청남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존재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도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선 도지사 체제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지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직책 | 경기도지사 |
로마자 표기 | Gyeonggi-do Jisa |
휘장 | }} |
관할 구역 | 경기도 |
임기 | 4년 |
부지사 | 3명의 부지사 |
웹사이트 | 경기도지사 공식 웹사이트 |
현직 정보 | |
현직 | 김동연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 | |
역사 | |
직위 형성일 | 1946년 2월 15일 |
초대 지사 | 구자옥 |
2. 역대 도지사
선출 방법 | 역대 | 성명 | 임기 |
---|---|---|---|
관선 | 1 | 구자옥 (具滋玉) | 1945년 8월 15일 - 1945년 9월 12일 |
2 | 찰스 A. 앤더슨 (Charles A. Anderson) | 1945년 9월 12일 - 1946년 1월 | |
3 | 루트 워크 (Ruth B. Work) | 1946년 1월 - 1946년 2월 14일 | |
관선 | 1 | 구자옥 (具滋玉) | 1946년 2월 15일 - 1950년 7월 |
직무대행 | 최응복 (崔應福) | 1950년 7월 - 1950년 10월 12일 | |
2 | 이해익 (李海翼) | 1950년 10월 13일 - 1952년 9월 11일 | |
3 | 김영기 (金英基) (1905년) | 1952년 9월 12일 - 1953년 11월 22일 | |
4 | 이익흥 (李益興) | 1953년 11월 23일 - 1956년 5월 21일 | |
5 | 최헌길 (崔獻吉) | 1956년 5월 26일 - 1960년 5월 11일 | |
6 | 최문경 (崔文卿) (정치인) |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7일 | |
7 | 윤원선 (尹源善)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8일 | |
민선 | 8 | 신광균 (申光均)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5월 24일 |
관선 | 9 | 박창원 (朴昌源)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6일 |
10 | 이흥배 (李興培) | 1963년 12월 19일 - 1964년 7월 8일 | |
11 | 박태원 (朴泰遠) (경기도지사) | 1964년 7월 8일 - 1968년 9월 4일 | |
12 | 남봉진 (南鳳振) | 1968년 9월 4일 - 1971년 6월 12일 | |
13 | 김태경 (金泰卿) | 1971년 6월 12일 - 1972년 6월 30일 | |
14 | 손수익 (孫守益) | 1972년 6월 30일 - 1973년 1월 15일 | |
15 | 조병규 (趙炳奎) | 1973년 1월 16일 - 1976년 10월 12일 | |
16 | 손재식 (孫在植) | 1976년 10월 12일 - 1980년 1월 16일 | |
17 | 김주남 (金周南) | 1980년 1월 17일 - 1980년 9월 2일 | |
직무대행 | 채재영 (蔡在榮) | 1980년 9월 3일 - 1980년 9월 8일 | |
18 | 염보현 (廉普鉉) | 1980년 9월 9일 - 1983년 10월 14일 | |
19 | 김태호 (金泰鎬) (1935년) | 1983년 10월 15일 - 1984년 10월 9일 | |
20 | 이해구 (李海龜) | 1984년 10월 10일 - 1986년 1월 8일 | |
21 | 김용래 (金容來) (1934년) | 1986년 1월 9일 - 1987년 12월 29일 | |
22 | 임시빈 (任仕彬) | 1987년 12월 30일 - 1990년 6월 20일 | |
23 | 이재창 (李在昌) | 1990년 6월 21일 - 1992년 4월 20일 | |
24 | 심재홍 (沈載鴻) |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
25 | 윤세달 (尹世達) | 1993년 3월 4일 - 1994년 3월 6일 | |
26 | 임경호 (林敬鎬) | 1994년 3월 7일 - 1994년 12월 25일 | |
27 | 김용선 (金鎔善) |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2월 20일 | |
28 | 이해재 (李海載) | 1995년 2월 21일 - 1995년 6월 30일 | |
민선 | 29 | 이인제 (李仁濟) | 1995년 7월 1일 - 1997년 9월 18일 |
직무대행 | 임수복 (林秀福) | 1997년 9월 19일 - 1998년 6월 30일 | |
30 | 임창열 (林昌烈) | 1998년 7월 1일 - 1999년 7월 31일 | |
직무대행 | 권호장 (權皓章) | 1999년 8월 1일 - 1999년 10월 17일 | |
30 (복귀) | 임창열 (林昌烈) | 1999년 10월 18일 - 2002년 6월 30일 | |
31 | 손학규 (孫鶴圭)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
32 | 김문수 (金文洙)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33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34 | 남경필 (南景弼)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
35 | 이재명 (李在明) (정치가) | 2018년 7월 1일 - 2021년 10월 25일 | |
직무대행 | 오병권 (吳秉權) | 2021년 10월 26일 - 2022년 6월 30일 | |
36 | 김동연 (金東兗) | 2022년 7월 1일 - |
1945년 해방 이후 경기도지사는 처음에는 관선으로 임명되다가, 1960년 제2공화국 시절 신광균 지사가 민선으로 잠시 선출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 이후 다시 관선으로 바뀌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현재까지 주민 직선제로 선출되고 있다.
역대 경기도지사 및 권한대행, 임기는 다음과 같다.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도정방침 |
---|---|---|---|---|---|---|
민선 | 초대 | 구자옥 | 1946년 2월 15일 ~ 1949년 1월 10일 | rowspan=9 | | 애국애족, 질서확립, 민주행정, 보건향상 | |
관선 | 1949년 1월 10일[2] ~ 1950년 7월 30일 | |||||
권한대행 | 손영기 | 1950년 7월 30일 ~ 1950년 10월 12일 | ||||
2대 | 이해익 | 1950년 10월 13일 ~ 1952년 9월 11일 | 기강확립, 부흥건설, 대민행정, 치산치수 | |||
3대 | 김영기 | 1952년 9월 12일 ~ 1953년 11월 22일 | 행정의 민주화, 도의 앙양, 생산의 극대화, 성실 봉공 | |||
4대 | 이익흥 | 1953년 11월 23일 ~ 1956년 5월 21일 | 정신무장, 산업증강, 서정쇄신, 사회계발, 전재부흥 | |||
5대 | 최헌길 | 1956년 5월 26일 ~ 1960년 5월 11일 | 기강확립, 행정쇄신, 민심수습, 치안확보 | |||
6대 | 최문경 |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7일 | 국가관 확립, 지방재정 확립, 행정능률화, 산업증강 | |||
7대 | 윤원선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8일 | 인화, 실천, 진취 | |||
민선 | 8대 | 신광균 |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5월 24일 | 민주당 | 민의존중, 산업증강, 복지증진, 행정쇄신 | |
관선 | 9대 | 박창원[3]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6일 | rowspan=21 | | 농촌경제 발전, 향토건설 추진, 관기 확립, 교육이론 확립, 국가예산 절약 | |
10대 | 이흥배 | 1963년 12월 19일 ~ 1964년 7월 8일 | 이덕치민, 관기 확립, 안거낙업, 치안 확립, 인화단결 | |||
11대 | 박태원 | 1964년 7월 8일 ~ 1968년 9월 4일 | 민의존중, 외유내강, 실천과 확인, 인화단결 | |||
12대 | 남봉진 | 1968년 9월 4일 ~ 1971년 6월 12일 | 도민소득 증대, 사회질서 확립, 주민본위 행정 | |||
13대 | 김태경 | 1971년 6월 12일 ~ 1972년 6월 30일 | 생산행정, 질서행정, 대화행정 | |||
14대 | 손수익 | 1972년 6월 30일 ~ 1973년 1월 15일 | 경기도를 사랑하자 | 증거로 행정, 사랑으로 봉사 | ||
15대 | 조병규 | 1973년 1월 16일 ~ 1976년 10월 12일 | 건강한 새 경기 | 잘사는 도민, 알찬 행정, 정의로운 사회 | ||
16대 | 손재식 | 1976년 10월 12일 ~ 1980년 1월 16일 | 명예로운 선진경기 | 효과추구 행정, 도민본위 행정, 발전지향 행정 | ||
17대 | 김주남 | 1980년 1월 17일 ~ 1980년 9월 2일 | 약진하는 선진경기 | 활기찬 지역 개발, 성실한 대민 봉사, 명랑한 질서 확립 | ||
권한대행 | 채재영 | 1980년 9월 3일 ~ 1980년 9월 8일 | ||||
18대 | 염보현 | 1980년 9월 9일 ~ 1983년 10월 14일 | 새 시대 새 경기 | 참여와 단합, 질서와 안정, 복지와 개발, 창의와 능률 | ||
19대 | 김태호 | 1983년 10월 15일 ~ 1984년 10월 9일 | 새 시대 새 경기 | 화합 안정과 정착, 책임 봉사의 실천, 복지 개발의 확충, 문화예술의 진흥 | ||
20대 | 이해구 | 1984년 10월 10일 ~ 1986년 1월 8일 | 화합으로 영광 경기 | 책임으로 지역 안정, 창의로 헌신봉사, 특성 있는 균형 개발, 향토애로 문화 창달 | ||
21대 | 김용래 | 1986년 1월 9일 ~ 1987년 12월 29일 | 약진하는 복지경기 건설 | 도민 화합과 사회 안정의 공고화, 균형 개발과 소득 기반의 확충, 문화 창달과 애향심의 함양, 개발행정 체제와 능력의 강화 | ||
22대 | 임사빈 | 1987년 12월 30일 ~ 1990년 6월 20일 | 신뢰·동참·발전 정직한 행정 | 대화합 단결, 균형된 개발, 질서와 안정 | ||
23대 | 이재창 | 1990년 6월 21일 ~ 1992년 4월 20일 | 으뜸경기 마음도 함께 보람도 함께 | - 자긍·화합·번영 - 주민생활의 안정, 균형 발전의 실현, 자치 역량의 제고, 문화예술의 창달 | ||
24대 | 심재홍 |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으뜸경기 마음도 함께 보람도 함께 | 신뢰받는 민주행정, 활력 있는 지역 경제, 풍요로운 복지 균점, 조화로운 문화 창달 | ||
25대 | 윤세달 | 1993년 3월 4일 ~ 1994년 3월 6일 | 정직한 도정 잘사는 새 경기 | - 신뢰·화합·성실 - 정직한 행정, 활기찬 경제, 안정된 사회, 건전한 문화 | ||
26대 | 임경호 | 1994년 3월 7일 ~ 1994년 12월 25일 | 정직한 도정 잘사는 새 경기 | - 활기찬 새 경기 - 생활 편익 행정, 지역 균형 개발, 사회 안정 추구 | ||
27대 | 김용선(金鎔善) |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2월 20일 | 깨끗한 도정 세계 속의 경기 | 참된 봉사행정, 밝은 민주사회, 힘찬 선진 경제, 고른 지역 개발 | ||
28대 | 이해재 | 1995년 2월 21일 ~ 1995년 6월 30일 | 깨끗한 도정 세계 속의 경기 | 참된 봉사행정, 밝은 민주사회, 힘찬 선진 경제, 고른 지역 개발 | ||
민선 | 29대 | 이인제 | 1995년 7월 1일 ~ 1997년 9월 18일 | 민주자유당[4] → 신한국당 | 일등 경기, 일류 한국 | 경제제일, 환경우선, 문화 근본 |
권한대행 | 임수복 | 1997년 9월 19일 ~ 1998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
30대 | 임창열 | 1998년 7월 1일 ~ 1999년 7월 31일[5] | 새정치국민회의 | 21세기 도전, 창조, 희망의 경기 | 경제 회생, 규제 혁파, 도정 혁신, 균형 발전, 삶의 질 향상 | |
권한대행 | 권호장 | 1999년 8월 1일 ~ 1999년 10월 17일 | - | |||
- | 임창열 | 1999년 10월 18일[6] ~ 2002년 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
31대 | 손학규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세계 속의 경기도 | 동북아 경제 중심, 통일의 전진 기지, 쾌적한 삶의 환경, 선진 교육·문화 | |
32대 | 김문수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경기도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엽니다. | 앞서가는 경기도, 편리한 경기도, 잘사는 경기도, 매력 있는 경기도 | |
33대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민선 | 34대 | 남경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 굿모닝 경기, 함께 만드는 미래 NEXT 경기 | 일자리 넘치고 따뜻하고 안전한 경기도 |
35대 | 이재명 | 2018년 7월 1일 ~ 2021년 10월 25일 | 더불어민주당 |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 | ||
권한대행 | 오병권(吳秉權) | 2021년 10월 26일 ~ 2022년 6월 30일 | 행정1부지사 | |||
36대 | 김동연 | 2022년 7월 1일 ~ | 더불어민주당 |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
2. 1. 조선시대
조선 초에는 안렴사라 하였다. 1413년까지 경기좌도와 경기우도로 나뉘어 각 도에 임명되었는데, 한 명이 좌우도를 모두 담당하기도 하였다. 조선 초에는 고려의 안렴사 제도를 이어받아 태조가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라 하였고, 태종 때부터 관찰사(觀察使) 직책이 1910년까지 유지됐다. 임기는 처음엔 6개월에서 1년, 마지막에 2년으로 늘어나 총 500여 명의 관찰사가 있었다. 마지막 관찰사는 1908년에 임명된 김사묵이다.2. 2. 일제강점기
호적 | 이름 | 한자 표기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내지인 | 히가키 나오스케 | 檜垣 直右|히가키 나오스케일본어 | 1910년 10월 1일 | 1916년 3월 28일 | 경기도장관 |
내지인 | 마쓰나가 다케키치 | 松永 武吉|마쓰나가 다케키치일본어 | 1916년 3월 28일 | 1919년 9월 26일 | 장관, 1919년 8월부터 경기도지사 |
내지인 | 구도 에이이치 | 工藤 英一|구도 에이이치일본어 | 1919년 9월 26일 | 1923년 2월 24일 | |
내지인 | 도키자네 아키호 | 時實 秋穗|도키자네 아키호일본어 | 1923년 2월 24일 | 1926년 3월 8일 | |
내지인 | 요네다 진타로 | 米田 甚太郞|요네다 진타로일본어 | 1926년 3월 8일 | 1929년 1월 21일 | |
내지인 | 와타나베 시노부 | 渡邊 忍|와타나베 시노부일본어 | 1929년 1월 21일 | 1931년 9월 23일 | |
내지인 | 마쓰모토 마코토 | 松本 誠|마쓰모토 마코토일본어 | 1931년 9월 23일 | 1934년 11월 5일 | |
내지인 | 도미나가 후미카즈 | 富永 文一|도미나가 후미카즈일본어 | 1934년 11월 5일 | 1936년 5월 21일 | |
내지인 | 야스이 세이치로 | 安井 誠一郞|야스이 세이치로일본어 | 1936년 5월 21일 | 1936년 10월 16일 | |
내지인 | 유노무라 다쓰지로 | 湯村 辰二郎|유노무라 다쓰지로일본어 | 1936년 10월 16일 | 1937년 7월 3일 | |
내지인 | 간자 요시쿠니 | 甘蔗 義邦|간자 요시쿠니일본어 | 1937년 7월 3일 | 1940년 5월 30일 | |
내지인 | 스즈카와 도시오 | 鈴川 壽男|스즈카와 도시오일본어 | 1940년 5월 30일 | 1941년 11월 19일 | |
내지인 | 마쓰자와 다쓰오 | 松沢 龍雄|마쓰자와 다쓰오일본어 | 1941년 11월 19일 | 1942년 4월 7일 | |
내지인 | 단게 이쿠타로 | 丹下 郁太郎|단게 이쿠타로일본어 | 1942년 4월 7일 | 1942년 6월 2일 | |
내지인 | 고 야스히코 | 高 安彦|고 야스히코일본어 | 1942년 6월 2일 | 1943년 12월 1일 | |
내지인 | 세토 미치카즈 | 瀬戸 道一|세토 미치카즈일본어 | 1943년 12월 1일 | 1945년 6월 16일 | |
내지인 | 이쿠타 세이자부로 | 生田 清三郎|이쿠타 세이자부로일본어 | 1945년 6월 16일 | 1945년 8월 15일 | 광복 |
2. 3. 미군정기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관선 | 초대 | 구자옥 | 1945년 8월 16일~1945년 9월 12일 | |
2대 | William Bradford Myers|윌리엄 B. 마이어스영어 | 1945년 9월 12일~1945년 11월 23일 | 현역 미육군 소령 | |
3대 | Maurice Lutwack|모리스 루트 워크영어 | 1945년 11월 23일~1946년 5월 18일 | 현역 미육군 중령 | |
4대 | Charles A. Anderson|찰스 앤더슨영어 | 1946년 5월 18일~1947년 2월 15일 | 현역 미육군 대령 |
2. 4. 대한민국
대한민국 경기도지사는 1945년 해방 이후 처음에는 관선으로 임명되다가, 1960년 제2공화국 시절 신광균 지사가 민선으로 잠시 선출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 이후 다시 관선으로 바뀌었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현재까지 주민 직선제로 선출되고 있다.역대 경기도지사 및 권한대행, 임기, 정당은 다음과 같다.
선출 방식 | 대수 | 이름 | 임기 | 정당 | 도정구호 | 도정방침 |
---|---|---|---|---|---|---|
민선 | 초대 | 구자옥 | 1946년 2월 15일~1949년 1월 10일 | rowspan=9 | | 애국애족, 질서확립, 민주행정, 보건향 | |
관선 | 1949년 1월 10일[2]~1950년 7월 30일 | |||||
권한대행 | 손영기 | 1950년 7월 30일~1950년 10월 12일 | ||||
2대 | 이해익 | 1950년 10월 13일~1952년 9월 11일 | 기강확립, 부흥건설, 대민행정, 치산치수 | |||
3대 | 김영기 | 1952년 9월 12일~1953년 11월 22일 | 행정의 민주화, 도의앙양, 생산의 극대화, 성실봉공 | |||
4대 | 이익흥 | 1953년 11월 23일~1956년 5월 21일 | 정신무장, 산업증강, 서정쇄신, 사회계발, 전재부흥 | |||
5대 | 최헌길 | 1956년 5월 26일~1960년 5월 11일 | 기강확립, 행정쇄신, 민심수습, 치안확보 | |||
6대 | 최문경 | 1960년 5월 12일~1960년 10월 7일 | 국가관 확립, 지방재정확립, 행정능률화, 산업증강 | |||
7대 | 윤원선 | 1960년 10월 7일~1960년 12월 28일 | 인화, 실천, 진취 | |||
민선 | 8대 | 신광균 | 1960년 12월 29일~1961년 5월 24일 | 민주당 | 민의존중, 산업증강, 복지증진, 행정쇄신 | |
관선 | 9대 | 박창원[3] | 1961년 5월 24일~1963년 12월 16일 | rowspan=21 | | 농촌경제발전, 향토건설추진, 관기확립, 교육이론확립, 국가예산절약 | |
10대 | 이흥배 | 1963년 12월 19일~1964년 7월 8일 | 이덕치민, 관기확립, 안거낙업, 치안확립, 인화단결 | |||
11대 | 박태원 | 1964년 7월 8일~1968년 9월 4일 | 민의존중, 외유내강, 실천과 확인, 인화단결 | |||
12대 | 남봉진 | 1968년 9월 4일~1971년 6월 12일 | 도민소득증대, 사회질서확립, 주민본위행정 | |||
13대 | 김태경 | 1971년 6월 12일~1972년 6월 30일 | 생산행정, 질서행정, 대화행정 | |||
14대 | 손수익 | 1972년 6월 30일~1973년 1월 15일 | 경기도를 사랑하자 | 증거로 행정, 사랑으로 봉사 | ||
15대 | 조병규 | 1973년 1월 16일~1976년 10월 12일 | 건강한 새경기 | 잘사는 도민, 알찬 행정, 정의로운 사회 | ||
16대 | 손재식 | 1976년 10월 12일~1980년 1월 16일 | 명예로운 선진경기 | 효과추구행정, 도민본위행정, 발전지향행정 | ||
17대 | 김주남 | 1980년 1월 17일~1980년 9월 2일 | 약진하는 선진경기 | 활기찬 지역개발, 성실한 대민봉사, 명랑한 질서확립 | ||
권한대행 | 채재영 | 1980년 9월 3일~1980년 9월 8일 | ||||
18대 | 염보현 | 1980년 9월 9일~1983년 10월 14일 | 새시대 새경기 | 참여와 단합, 질서와 안정, 복지와 개발, 창의와 능률 | ||
19대 | 김태호 | 1983년 10월 15일~1984년 10월 9일 | 새시대 새경기 | 화합안정과 정착, 책임봉사의 실천, 복지개발의 확충, 문화예술의 진흥 | ||
20대 | 이해구 | 1984년 10월 10일~1986년 1월 8일 | 화합으로 영광경기 | 책임으로 지역안정, 창의로 헌신봉사, 특성있는 균형개발, 향토애로 문화창달 | ||
21대 | 김용래 | 1986년 1월 9일~1987년 12월 29일 | 약진하는 복지경기건설 | 도민화합과 사회안정의 공고화, 균형개발과 소득기반의 확충, 문화창달과 애향심의 함양, 개발행정체제와 능력의 강화 | ||
22대 | 임사빈 | 1987년 12월 30일~1990년 6월 20일 | 신뢰·동참·발전 정직한 행정 | 대화합 단결, 균형된 개발, 질서와 안정 | ||
23대 | 이재창 | 1990년 6월 21일~1992년 4월 20일 | 으뜸경기 마음도 함께 보람도 함께 | - 자긍·화합·번영 - 주민생활의 안정, 균형발전의 실현, 자치역량의 제고, 문화예술의 창달 | ||
24대 | 심재홍 | 1992년 4월 21일~1993년 3월 3일 | 으뜸경기 마음도 함께 보람도 함께 | 신뢰받는 민주행정, 활력있는 지역경제, 풍요로운 복지균점, 조화로운 문화창달 | ||
25대 | 윤세달 | 1993년 3월 4일~1994년 3월 6일 | 정직한 도정 잘사는 새경기 | - 신뢰·화합·성실 - 정직한 행정, 활기찬 경제, 안정된 사회, 건전한 문화 | ||
26대 | 임경호 | 1994년 3월 7일~1994년 12월 25일 | 정직한 도정 잘사는 새경기 | - 활기찬 새경기 - 생활편익행정, 지역균형개발, 사회안정추구 | ||
27대 | 김용선(金鎔善) | 1994년 12월 26일~1995년 2월 20일 | 깨끗한 도정 세계 속의 경기 | 참된 봉사행정, 밝은 민주사회, 힘찬 선진경제, 고른 지역개발 | ||
28대 | 이해재 | 1995년 2월 21일~1995년 6월 30일 | 깨끗한 도정 세계 속의 경기 | 참된 봉사행정, 밝은 민주사회, 힘찬 선진경제, 고른 지역개발 | ||
민선 | 29대 | 이인제 | 1995년 7월 1일~1997년 9월 18일 | 민주자유당[4] | 일등 경기, 일류 한국 | 경제제일, 환경우선, 문화근본 |
권한대행 | 임수복 | 1997년 9월 19일~1998년 6월 30일 | 행정부지사 | |||
30대 | 임창열 | 1998년 7월 1일~1999년 7월 31일[5] | 새정치국민회의 | 21세기 도전, 창조, 희망의 경기 | 경제회생, 규제혁파, 도정혁신, 균형발전, 삶의 질 향상 | |
권한대행 | 권호장 | 1999년 8월 1일~1999년 10월 17일 | - | |||
- | 임창열 | 1999년 10월 18일[6]~2002년 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
31대 | 손학규 | 2002년 7월 1일~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세계 속의 경기도 | 동북아 경제중심, 통일의 전진기지, 쾌적한 삶의환경, 선진 교육·문화 | |
32대 | 김문수 | 2006년 7월 1일~2010년 6월 30일 | 한나라당(2006~2012) 새누리당(2012~2014) | 경기도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엽니다. | 앞서가는 경기도, 편리한 경기도, 잘사는 경기도, 매력있는 경기도 | |
33대 | 2010년 7월 1일~2014년 6월 30일 | |||||
민선 | 34대 | 남경필 | 2014년 7월 1일~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2014~2016) 무소속(2016~2017) 바른정당(2017~2018) 자유한국당(2018) | 굿모닝 경기, 함께 만드는 미래 NEXT 경기 | 일자리 넘치고 따뜻하고 안전한 경기도 |
35대 | 이재명 | 2018년 7월 1일~2021년 10월 25일 | 더불어민주당 |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 | ||
권한대행 | 오병권(吳秉權) | 2021년 10월 26일~2022년 6월 30일 | 행정1부지사 | |||
36대 | 김동연 | 2022년 7월 1일~ | 더불어민주당 |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
2. 4. 1. 관선 도지사 (1946년 ~ 1995년)
1946년부터 1995년까지 경기도지사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하였다.역대 | 성명 | 임기 |
---|---|---|
1 | 구자옥 | 1946년 2월 15일 - 1950년 7월 |
직무대행 | 최응복 | 1950년 7월 - 1950년 10월 12일 |
2 | 이해익 | 1950년 10월 13일 - 1952년 9월 11일 |
3 | 김영기 | 1952년 9월 12일 - 1953년 11월 22일 |
4 | 이익흥 | 1953년 11월 23일 - 1956년 5월 21일 |
5 | 최헌길 | 1956년 5월 26일 - 1960년 5월 11일 |
6 | 최문경 | 1960년 5월 12일 - 1960년 10월 7일 |
7 | 윤원선 | 1960년 10월 7일 - 1960년 12월 28일 |
9 | 박창원 | 1961년 5월 24일 - 1963년 12월 16일 |
10 | 이흥배 | 1963년 12월 19일 - 1964년 7월 8일 |
11 | 박태원 | 1964년 7월 8일 - 1968년 9월 4일 |
12 | 남봉진 | 1968년 9월 4일 - 1971년 6월 12일 |
13 | 김태경 | 1971년 6월 12일 - 1972년 6월 30일 |
14 | 손수익 | 1972년 6월 30일 - 1973년 1월 15일 |
15 | 조병규 | 1973년 1월 16일 - 1976년 10월 12일 |
16 | 손재식 | 1976년 10월 12일 - 1980년 1월 16일 |
17 | 김주남 | 1980년 1월 17일 - 1980년 9월 2일 |
직무대행 | 채재영 | 1980년 9월 3일 - 1980년 9월 8일 |
18 | 염보현 | 1980년 9월 9일 - 1983년 10월 14일 |
19 | 김태호 | 1983년 10월 15일 - 1984년 10월 9일 |
20 | 이해구 | 1984년 10월 10일 - 1986년 1월 8일 |
21 | 김용래 | 1986년 1월 9일 - 1987년 12월 29일 |
22 | 임시빈 | 1987년 12월 30일 - 1990년 6월 20일 |
23 | 이재창 | 1990년 6월 21일 - 1992년 4월 20일 |
24 | 심재홍 | 1992년 4월 21일 - 1993년 3월 3일 |
25 | 윤세달 | 1993년 3월 4일 - 1994년 3월 6일 |
26 | 임경호 | 1994년 3월 7일 - 1994년 12월 25일 |
27 | 김용선 | 1994년 12월 26일 - 1995년 2월 20일 |
28 | 이해재 | 1995년 2월 21일 - 1995년 6월 30일 |
2. 4. 2. 민선 도지사 (1995년 ~ 현재)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 경기도지사는 직선제로 선출되고 있다.임기 | 초상화 | 성명 | 임기 | 정당 | 선출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1대 | -- | 이인제 | 1995년 7월 1일 | 1997년 9월 18일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1995 | |
![]() | 임수복 (권한대행) | 1997년 9월 19일 | 1998년 6월 30일 | 무소속 | — | ||
2대 | 임창열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새천년민주당 | 1998 | ||
3대 | ![]() | 손학규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한나라당 | 2002 | |
4대 | ![]() | 김문수 | 2006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rowspan="2" | | 한나라당 → 새누리당 | 2006 |
5대 | 2010 | ||||||
6대 | ![]() | 남경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 2014 | |
7대 | ![]() | 이재명 | 2018년 7월 1일 | 2021년 10월 25일 | 더불어민주당 | 2018 | |
오병권 (권한대행) | 2021년 10월 26일 | 2022년 6월 30일 | 무소속 | — | |||
8대 | ![]() | 김동연 | 2022년 7월 1일 | 현직 | 더불어민주당 | 2022 |
2. 5. 역대 선거
2014년 경기도지사 선거 | ||||||
---|---|---|---|---|---|---|
정당 | 번호 | 후보자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1 | 남경필 | 2,524,981 | 50.43% | ||
새정치민주연합 | 2 | 김진표 | 2,481,824 | 49.56% | ||
합계 | 5,006,805 | 100.00% | ||||
투표율 | 53.28% |
2018년 경기도지사 선거 | ||||||
---|---|---|---|---|---|---|
정당 | 순위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1 | 이재명 | 3,370,621 | 56.40% | ||
자유한국당 | 2 | 남경필 | 2,122,433 | 35.51% | ||
바른미래당 | 3 | 김영환 | 287,504 | 4.81% | ||
정의당 | 5 | 이홍우 | 151,871 | 2.54% | ||
민중당 | 6 | 김영환 | 43,098 | 0.72% | ||
합계 | 5,975,527 | 100.00% | ||||
투표율 | 57.77% |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2019-10-05
[2]
뉴스
京畿道知事에 具滋玉氏發令
한성일보
1949-01-13
[3]
문서
현역 육군 준장
[4]
문서
민주자유당(1995)→신한국당(1995~1997)
[5]
웹사이트
제206회 임시국회 언제 열릴까
https://news.naver.c[...]
[6]
뉴스
<연합인터뷰> 임창열 경기지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