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원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원선은 1910년 10월 27일에 태어나 1971년 12월 16일에 사망한 인물로, 윤치소의 아들이자 윤보선의 동생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농림국에서 근무했고, 해방 후에는 대한민국 내무부 서기관, 경기도 내무국장 등을 역임했다. 1960년에는 한국운수 상무를 지냈으며, 같은 해 10월 경기도지사에 임명되었으나 민선으로 바뀌면서 퇴임했다. 이후 신민당 경기도지사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5.16 군사 정변 이후 정치정화법 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2. 생애

2. 1. 초기 활동

1910년 10월 27일 가선대부, 중추원참의 등을 지낸 윤치소중추원의관 이봉하(李鳳夏)의 딸 이범숙(李範淑)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은 그의 친형이었다. 이승만미국 독립운동 측근이자 내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윤치영은 그의 삼촌이었다. 조선 말의 개혁사상가, 민권운동가 좌옹 윤치호는 그의 5촌 당숙이었다.

어머니 이범숙은 전주이씨로 세종대왕의 넷째 아들 광평대군 이여의 후손이었다.

그의 집안은 조선 중기의 형제 정승 윤두수, 윤근수 가문의 후예였으나 5대조 윤발이 관직을 얻지 못했고 고조부 윤득실은 통덕랑에 그쳤다. 고조부 윤득실의 셋째 아들인 증조부 윤취동이 아산에 대농토를 마련했고, 할아버지 윤영렬, 종조부 윤웅렬 형제가 무관이 되면서 가세를 일으켰다.

그의 당숙 윤치호는 자신의 사촌의 아들들 중 그가 외모가 잘생겼다고 한다. 1934년 11월 6일의 일기에 사촌의 아들들 중 그가 가장 잘생겼다고 하였다. 재동보통학교에 입학, 재동보통학교 재학 중 1926년 1월 17일 조선체육협회가 주관한 한강 빙상 경기에 출전하여 학동부문 최종 결승전에서 3위로 도착했다.[1] 재동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 동경고등원예학원(東京高等園藝學院)과 도쿄농과대학을 수학했다. 일본 유학중이던 1929년 8월 11일부터 8월 13일까지 원산 송도원에서 개최된 수영강습에 동생 윤한선과 함께 참가, 만기 수료일 수영대회에서 윤한선은 5급, 윤원선은 6급을 받았다.[2]

2. 2. 관료 활동과 기업인 활동

1933년 조선총독부 농림국 임정과 농림촉탁으로 임용되어 1941년까지 근무하였다.[3] 1934년 12월 20일 경성부 장곡천정교회에서 흥선대원군의 증손녀이자 영선군 이준용의 서녀인 이진완과 결혼하였다.[3] 결혼식 피로연은 결혼식 당일 12월 20일 명월관12월 22일 조선호텔에서 열렸다.[3] 1935년 6월에는 경성원예전수학원에서 주최하는 가정부인원예강좌에 출강하였고, 6월 24일부터는 JODK 방송의 오후 원예강좌에 출연하였다.[4]

1939년 다시 조선총독부 농림국 농림촉탁이 되었다가, 1941년 농림국 임정과 주사가 되었다. 1941년 당시 창씨개명이 실시되자 윤원선은 창씨개명을 거부하고 본명을 사용하였다. 1943년 7월 12일 강원제약주식회사 이사[5], 7월 19일 강릉약업주식회사 이사[6]로 참여했다. 1944년 7월 24일 강릉약업주식회사가 윤덕기에 인수된 뒤에도 강릉약업의 이사로 참여하였다.[7]

해방 이후 강원생약통제주식회사 상무 취체역으로 근무하였다. 1948년 대한민국 내무부 건설국 서무과장 서기관으로 임용되었다.[8] 1950년 경기도청 내무국장[9], 보건부 소관 세출예산 경기도 담당 재무관, 1953년 상공부 특허국 심사관 등을 거쳐 1960년 퇴직하였다.

2. 3. 경기도지사 재직과 퇴직

1960년 초 공직에서 물러나 한국운수(韓國運輸)의 주주가 되고, 그해 6월 4일 한국운수주식회사 주주총회에서 취체역에 선출되고[10], 같은 6월 한국운수 상무로 선출되었다. 1960년 10월 7일장면내각에 의해 경기도지사에 임명되었다. 당시 대통령은 그의 친형인 윤보선이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이 관선에서 민선으로 바뀌면서 12월 28일에 퇴임하였다.

1960년 8월 각 시도지사가 관선에서 민선으로 바뀌면서 바로 신민당에 입당, 그해 11월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신민당 공천으로 경기도지사 후보로 입후보하여 확정, 기호 7번으로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60년의 3.15 부정 선거 관련자로 지목된 내무부 지방국장 출신 최병환에게 사형이 구형되자, 1961년 3월 3일 이태용(민주당), 양일동(신민당), 김의택(신민), 이해익 등 9명과 함께, 3.15 부정선거로 기소중이던 내무부 전 지방국장 최병환의 구명 탄원서를 제출하였다.[11][12] 탄원은 받아들여져 특재 최종 재판에서 최병환은 징역 5년으로 감형되었다.[13]

2. 4. 생애 후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 정변 이후 군정에서 실시한 정치정화법(1962년 3월 공포) 대상자로 선정되었다.[14] 1962년 4월 1일 정당사회단체의 중앙조직 부장 및 중앙위원급 이상과 도의 정부책임자 334명을 정치정화법 심사대상자로 선정할 때 한 사람으로 포함되었다.[14] 1963년 2월 28일 정치정화법 대상자에서 해제되었다.[15]

1971년 12월 16일에 사망, 12월 18일 숭실대학교 근처에서 발인하여 경기도 평택군 팽성면 객사리(현 평택시 팽성읍 객사리) 선영 근처에 안장되었다.[16]

3. 역대 선거 결과




4. 가족 관계

윤원선은 해방 이후, 한국 사회에서 명문가로 여겨지는 집안 출신이다.[17] 아버지는 윤치소중추원 참의를 지냈으며, 어머니 이범숙은 광평대군의 후손이었다.[17] 형은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이다. 부인 이진완은 흥선대원군의 증손녀이자 영선군 이준용의 서녀였다.[17]

5. 기타

윤원선은 1934년 12월 20일 헌의대원왕 이하응의 장손이자 고종의 조카 이준용의 서녀 이진완과 결혼했다.[18] 윤치호 가문은 충청남도 아산군 음봉면, 둔포면과 천안군에 막대한 토지를 소유한 양반 가문이었다. 윤원선의 결혼식은 당초 박영효가 주례를 보기로 하였으나[18], 박영효가 불참하여 김우현(金禹鉉) 목사가 주례로 바뀌었다.[19]

참조

[1] 뉴스 氷上에서 演出된 希有의 大激戰 조선일보 1926-01-19
[2] 뉴스 興趣津津한 十日間 水泳講習圓滿終了 동아일보 1929-08-13
[3] 뉴스 李鍝公전하 御令妹 결혼, 20일 오후 2시에 공회당에서 조선중앙일보 1934-12-20
[4] 뉴스 JODK放送番組 조선신문 1935-06-24
[5] 간행물 조선총독부 관보 제4942호 조선총독부 1943-07-12
[6] 간행물 조선총독부 관보 제4938호 조선총독부 1943-07-19
[7] 간행물 조선총독부 관보 제5240호 조선총독부 1944-07-24
[8] 뉴스 政府人事發令 조선중앙일보 1949-03-04
[9] 뉴스 京畿道知事에 李海翼氏가 就任 동아일보 1950-10-17
[10] 뉴스 韓運重役 選出 경향신문 1960-06-04
[11] 뉴스 反革命을 비호하는 民議員들 崔炳煥을 寬大히‥‥ 경향신문 1961-03-04
[12] 뉴스 崔炳煥 救命運動 조선일보 1961-03-04
[13] 뉴스 崔仁圭에 死刑 동아일보 1961-04-17
[14] 뉴스 政淨法 審査對象者名單 동아일보 1962-04-01
[15] 뉴스 政淨法該當者中 解除者의 名單 조선일보 1963-02-28
[16] 뉴스 訃音 조선일보 1971-12-17
[17] 문서 이준용의 첩 전순혁 소생이다.
[18] 뉴스 李鍝公전하 御令妹 결혼, 20일 오후 2시에 공회당에서 1934-12-20
[19] 뉴스 매일신보 1934-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