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자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자옥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활동한 인물로, 출생 연도와 생일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한다. 그는 한성관립영어학교와 와세다 대학을 중퇴하고 감리교 신앙을 가지며 YMCA 활동을 시작했다. 3.1 만세 운동 참여로 투옥되었으나 풀려났고, 민립대학기성회 창립에 참여하는 등 독립운동과 사회 운동에 헌신했다. 이후 흥업구락부 사건 등에 연루되어 투옥되었으며, 태평양 전쟁 기간에는 친일 활동을 했다. 광복 후에는 임시 경기도 도지사를 거쳐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 경기도지사를 역임했으나 6.25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그는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일제강점기의 신학자 - 박용길
    박용길은 '봄길'이라는 호를 사용한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이자 통일운동가로, 목사이자 통일운동가인 문익환의 배우자로서 민주화 운동과 통일 운동에 헌신하며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공동의장, 통일맞이 칠천만겨레모임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김일성 주석 1주기 추모 방북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 경기도지사 - 염보현
  • 경기도지사 - 김태호 (1935년)
    김태호는 1935년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중앙정보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공직을 시작하여 관선 인천시장, 경기도지사, 제12, 13, 15, 1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제13대 국회의원 임기 중 내무부 장관을 겸임하다가 2002년 다발성 골수종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김동인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으로 시작하여 '감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사실주의를 개척하고, 《창조》를 창간했으며, 사후 동인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구자옥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具滋玉
출생일1887년 3월 30일
출생지조선 경기도 광주부
사망일1950년 11월 (64세)
직책경기도지사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강계군
별명호(號)는 능주(綾州)
일본식 이름구쓰이에 치다마(具家滋玉)
경력시인, 종교인, 교육자, 정치인, 공무원, 저술가 관선 경기도지사
종교개신교(감리회)
정당무소속
학력일본 도쿄 아오야마 학원 중퇴
형제구자록(형), 구자혁(형)
배우자박인숙
친인척구본웅(조카) 이상(사돈)
정부 직책
장관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사령관)
총독존 리드 하지 (남조선 과도정부 주미군사령관)
임기1945년 8월 16일 ~ 1945년 9월 12일

2. 생애

구자옥은 일제강점기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활동한 개신교 신자이자 사회 운동가, 정치인이다. 1889년년 또는 1890년년에 경기도 광주군에서 태어났으며, 본적은 한성부 청진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진동)이다. 그의 가문은 조선 개국공신 구성로의 후손으로, 조선 세조 때의 공신 구치관의 19대손이다.

어려서 한성관립영어학교를 졸업하고 감리교 협성신학교, 일본 와세다 대학(早稲田大學), 도쿄 아오야마 학원 신학부(靑山學院 神學部) 등에서 수학했으나 모두 중퇴하였다. 1910년 이후 YMCA 중앙기독교청년회에 참여하였다.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혐의없음으로 풀려났다.[2] 1920년 윤치호, 김성수 등과 민립대학기성회 창립에 참여하여 조선인 민간 자본으로 대학교 설립을 추진했으나 조선총독부의 불허로 실패하였다. 1923년 수해구제회, 1924년 조선기근구제회 등 사회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1925년 흥업구락부, 1926년 수양동우회 결성에 참여하였다.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의 감리교측 대표로 활동하며, 이순신 장군 위토 보존 모금운동, 브나로드 운동, 농촌 계몽 활동 등에 참여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체포, 기소되었고,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재판을 받았으나, 1941년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 처분받고 가석방되었다. 태평양 전쟁 기간 중에는 황도학회에 참여하고, 매일신보에 전쟁 지원을 촉구하는 글을 기고하는 등 친일 활동을 했다.[9]

1945년 광복 직후 임시 경기도 도지사가 되어 행정을 수습하고,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연합회(대한기독교청년회(YMCA)의 전신)를 재건하였다.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고 미군정 시기에 경기도 도지사를 역임했다.[14]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경기도지사로 유임되었다.[16][17]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서울에서 조선인민군에게 납북되었으며, 1950년 11월 강계 부근에서 사망했다는 증언이 있다.[18]

2. 1. 초기 활동

경기도 광주군에서 태어났으며 본적지는 한성부 중부 청진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진동)이었다. 그러나 그는 필운동에서 생활하였다. 일제강점기개신교 신자로서 활발한 사회 활동을 벌인 유명 인사였다. 출생년대가 정확하지 않아 1889년생 설, 1890년생 설이 있고, 생일도 3월 30일설 외에 3월 20일생 설이 있다.

그의 가계는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이성계의 부장이었던 도원수 구성로의 후손으로, 조선 세조 때의 공신, 재상 겸 정치가였던 구치관의 19대손이 된다. 그의 조상들 중에는 세종대왕의 아들 임영대군의 사위 구수영(具壽永), 연산군의 사위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호양공 구문경과, 재상 구사맹, 원종의 처이자 인조, 능원대군 보의 어머니 인헌왕후 등이 있었다. 그의 선대는 본래 경기도 고양에 살았고, 고양군 벽제면 효자리에 그의 선대 묘역이 있다.

친형은 구자록과 창문사의 대표 구자혁이 있는데, 이 중 구자혁은 화가 구본웅의 아버지가 된다. 구자혁의 본처 상산 김씨에게서 얻은 아들이 화가 구본웅으로 구본웅은 이상과 가까웠는데, 구자혁의 재취 부인인 변동숙의 이복 여동생 변동림이 화가 이상의 처였다.

어려서 한성관립영어학교에 입학하였다. 한성관립영어학교 재학 중 그는 감리교 신자가 되고, 1910년 이후 YMCA 중앙기독교청년회에 참여하였다. 1909년 3월 한성관립영어학교 졸업 후 감리교협성신학교(監理敎協成神學校)로 진학했다. 그러나 중퇴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에 유학,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에 입학했으나, 이곳 또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한때 임시토지조사국기술원양성소(臨時土地調査局技術員養成所)의 측량과에 입소하여 수료하였다. 그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아오야마 학원 신학부(靑山學院 神學部)에 입학했으나 역시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감리교 협성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2. 2. 독립 운동과 사회 운동

구자옥은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조선총독부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혐의없음으로 풀려났다.[2] 1920년 6월 윤치호, 김성수 등과 함께 민립대학기성회 창립에 참여, 조선인 민간 자본으로 대학교를 설립하려 노력하였으나 조선총독부가 허가를 내주지 않아 실패하였다.

1923년 8월 9일 조선청년회연합회, 불교총무원 등 18개 사회단체와 학교 대표자들이 모여 조직한 수해구제회 창립에 참가, 송진우 등과 함께 수해구제회 집행위원으로 위촉되었다.[3] 1924년 9월 13일 이승훈의 조선기근구제회에 참여, 이상재 등과 함께 경리부원으로 선출되었다.[4]

1925년 3월 23일 흥업구락부 결성에 참가했고, 1926년 1월 수양동우회 창립에도 참여하였다.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의 감리교측 대표로 활동하며, 이순신 장군 위토 보존 모금운동, 브나로드 운동, 농촌 계몽 활동 등에 참여하였다.

1937년 6월 수양동우회 관련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 기소되었다. 1938년 5월 18일 윤치영의 진술을 통해 흥업구락부 동지회원으로 보고되었다.[7][8] 이후 수양동우회, 청구구락부,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재판에 회부되었다.

1938년 1월 수양동우회 관련 3차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8월 1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최종 무죄 처분받았다. 5월 22일 흥업구락부 관련 혐의로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가 경성고등법원에 추가 기소되었으나, 9월 신흥우 등과 전향서를 쓰고 풀려났다. 1941년 증거 불충분으로 경성복심법원에서 최종 무죄 처분받고 가석방되었다.

2. 2. 1. 독립 운동과 기독교 신앙단체 활동

1917년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朝鮮中央基督敎靑年會) 사교부 간사가 되었다.[2]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조선총독부 경찰에 체포,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혐의없음으로 풀려났다. 중앙학교 학감(學監)을 지냈으며, 그 뒤 경성기독교청년회에 감리교 대표로 참여하고 바로 경성기독교청년회 총무로 선출되고,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연합회 사교부 간사 등을 역임하며 기독교청년운동에 힘썼다.

1920년 2월 현철 등과 함께 경성에 연예강습소(演藝講習所)를 설립하는데 참여하였다.

1920년 6월 윤치호, 김성수, 한기악, 조만식, 장덕수, 안재홍, 이갑성, 송진우 등과 함께 민립대학기성회의 창립발기에 참가했으며, 민립대학기성회를 조직하고 조선인 민간 자본으로 대학교를 설립하려 노력하였으나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인허가를 내주지 않아 실패하였다. 그해 7월 일본 동경을 방문하고 귀국했다. 1920년 9월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 위원이 되었다. 1921년 미국으로 유학, 시카고의 시카고 조지 윌리엄스 대학에 입학, 1923년까지 수학하였다. 시카고 조지 윌리엄스 대학을 수료하고 1923년 2월 18일 귀국하였다.

1922년 3월 경성기독교청년회 부총무에 선출되었다. 그해 12월 안창남 비행사 후원회에 참여하고 후원회 대표에 선임되어, 안창남 귀국 환영회와 후원활동을 주관하였다. 1923년 6월에는 요코하마를 거쳐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 그해 6월 ~ 7월 하와이 한인교민회 학생들의 모국 방문단의 하와이 출발과 입국, 출국 과정에 참여하고 인솔하였다.

1923년 8월 9일 오후 경성 서대문정 민우회관에서 조선청년회연합회, 불교총무원, 중앙기독교청년회, 개벽사 등 18개 사회단체와 학교 배재고보, 보성전문, 양정고보, 보성고보 등의 학생대표자들이 모여서 조직한 수해구제회의 창립에 참가, 송진우, 이종린, 박승빈 등과 함께 수해구제회 집행위원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3] 1924년 9월 13일 이승훈의 조선기근구제회에 김병로, 이종린, 이상재, 백관수, 김약수, 김철수, 이영, 이인 등과 함께 참여하고, 이상재, 이종린 등과 함께 경리부원에 선출되었다.[4]

1925년 3월 23일 흥업구락부 결성에 참가했다. 흥업구락부는 경성부와 경기도 지방의 기독교계 지도자들인 이상재, 윤치호, 신흥우, 이갑성, 유억겸 등이 이승만 노선에 따라 조직한 것으로[5] 그밖에도 박동완, 안재홍 등도 참여하였다.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와 감리교 교회를 중심으로 온건한 민족주의 운동을 벌이다가 1927년 일찍 사망한 이상재를 제외하고는 광복 전 다양한 시기에 변절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1924년 12월 15일 귀국한 신흥우가 서울 중앙YMCA기독교청년회에서 단체 조직을 계획하고 이후 단체 설립에도 참여하였다. 1926년 1월 수양동우회의 창립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이후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의 감리교측 대표의 한 사람으로 활동하였으며, 매각될 위기에 처한 이순신 장군 위토 보존 모금운동과 브나로드 운동, 농촌 계몽 활동 등에 참여하였다.

2. 2. 2. 투옥과 재판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가 조선총독부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혐의없음으로 풀려났다.[2] 1937년 6월 수양동우회 관련 검문검속 시, 이광수 등 198명과 함께 종로경찰서에 의해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기소되었다. 같은 해 가을 윤치호 등과 함께 청구구락부 사건에 연루되어 기소되었다.[5]

1930년대 후반 이승만이 영향을 발휘하던 독립운동 단체인 흥업구락부에서도 활동하였다. 1938년 5월 18일 서대문경찰서장의 보고에 따르면, 조선총독부 서대문경찰서에 감금된 윤치영의 진술을 통해 구자옥이 흥업구락부의 동지회원 중 한 사람으로 보고되었다.[7][8] 이후 구자옥은 수양동우회 사건, 청구구락부 사건, 흥업구락부 사건 등 각각의 사건으로 재판에 회부되었다.

1938년 1월까지 수양동우회 관련 3차 재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는 무죄 판결을 받았고, 8월 1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최종 무죄 처분받았다. 5월 22일 흥업구락부 관련 혐의로 안재홍을 비롯한 흥업구락부 간부 회원 60여 명 등 100여 명과 함께 기소되어 서대문경찰서에 체포된 뒤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이후 경성고등법원에 추가 기소되었다. 총독부 경무국은 구자옥을 비롯한 52명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였다. 9월 신흥우 등 몇 명과 함께 전향서를 쓰고 풀려났으나 재판은 계속되었다. 1941년 증거 불충분으로 경성복심법원에서 최종 무죄 처분받고 가석방되었다.

2. 3. 태평양 전쟁 기간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대화숙에서 보호관찰처분을 받았다.[9] 1941년 전향하여 황도학회에 참여했고, 1944년매일신보》에 〈필승은 신의 명령〉이라는 논설을 기고하여 태평양 전쟁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전쟁 지원을 촉구하는 등 친일 활동을 했다.[9] 임전대책협의회와 경성정동연맹 등 친일 단체에도 가담했다.[10]

1940년 4월~5월 조선, 만주 기독교청년회 연합회 행사에 경성역에서 열차편으로 출발, 만주를 방문하고 돌아왔다.[11] 1940년 7월 18일부터 7월 20일에는 일본 기독교청년회 제18차 총회에 참석차 경성에서 열차편으로 출발, 배편으로 동경을 다녀왔다.[12]

1940년 창씨개명 때 '''구쓰이에 치다마'''로 창씨개명하였다.[13] 그러나 조선총독부나 친일 관변단체 주관 행사에는 불참하거나 병을 이유로 회피하였고, 해방 후 미군정의 친일 인사 조사에서도 지목되지 않았다.

1945년조선총독부는 구자옥을 요시찰 인물 중 한 명으로 보고했다.

2. 4. 생애 후반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구자옥은 임시 경기도 도지사가 되어 이쿠다 세이자부로로부터 업무를 인계받고 치안과 혼란을 수습하였다. 동시에 경성에서 태평양 전쟁으로 유명무실해진 기독교청년회를 재건,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연합회(대한기독교청년회(YMCA)의 전신) 회원이 되었다가 곧 중앙기청 총무로 선출되었다. 8월 16일 안재홍 등으로부터 건국준비위원회 참여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하고 송진우의 국민대회준비위원회에 가입하였다.

1945년 8월 16일 백남훈, 김성수, 김도연, 송진우, 윤보선, 허정, 장덕수 등과 함께 정치 세력을 형성한 뒤 우익 세력 연합으로 9월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고, 미군정 시기에 경기도 도지사를 역임했다.[14] 한국민주당 중앙집행위원이었다.

1945년 11월부터 해방 후 환국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영회에 참석하고, 임정 봉대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같은 기독교계열 인사인 김규식 등과의 접촉을 담당하였다.

1946년 2월 17일 미군정 경기도 고문회의 회원의 경기도지사 선거에 당선[15], 미군정 치하에서 다시 경기도지사가 되었다. 1947년 미군정에서 임명한 루트 중령이 경기도지사 직을 물러나면서 다시 경기도지사직을 맡았다. 1948년 7월 22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경기도지사로 유임되었고, 1949년 1월 10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다시 경기도지사로 임명, 발령되었다.[16][17] 1950년 3월 대한야구협회 고문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1월 감리교 목사 양주삼조선총독부에 협력한 일로 반민특위에 소환되자, 그는 개인 자격으로 현동완, 백낙준, 이용설, 백남훈 등과 함께 양주삼의 과오를 용서해달라는 연명 탄원서를 반민특위에 보냈다.

경기도지사 재임 중이던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한 뒤 서울에서 조선인민군에게 이끌려 월북했다.[18] 전쟁 초기 피신하지 못하고 서울 종로구 광화문 경기도청사에서 머무르다가 조선인민군 정치보위부원에게 피랍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가 정치보위부에 의해 북송되었으며, 납치된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동행했던 아들 구본준은 중도에 탈출했다. 1950년 11월 북행길 도중 강계 부근에서 사망했다는 증언이 있다.

2. 4. 1. 광복 직후 활동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구자옥은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임시 경기도 도지사가 되어 이쿠다 세이자부로로부터 업무를 인계받고 치안과 혼란을 수습하였다. 동시에 경성에서 태평양 전쟁으로 유명무실해진 기독교청년회를 재건,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연합회(대한기독교청년회(YMCA)의 전신) 회원이 되었다가 곧 중앙기청 총무로 선출되었다. 8월 16일 안재홍 등으로부터 건국준비위원회 참여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하고 송진우의 국민대회준비위원회에 가입하였다.

1945년 8월 16일 백남훈, 김성수, 김도연, 송진우, 윤보선, 허정, 장덕수 등과 함께 정치 세력을 형성한 뒤 우익 세력 연합으로 9월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고, 미군정 시기에 경기도 도지사를 역임했다. 당시 YMCA에서는 증경 총무를 맡고 있었다.[14] 한국민주당 중앙집행위원이었다.

1945년 11월부터 해방 후 환국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환영회에 참석하고, 임정 봉대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같은 기독교계열 인사인 김규식 등과의 접촉을 담당하였다.

1946년 2월 17일 미군정 경기도 고문회의 회원의 경기도지사 선거에 당선[15], 미군정 치하에서 다시 경기도지사가 되었다.

2. 4. 2. 경기도지사 재직과 최후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일본이쿠다 세이자부로가 물러난 경기도 도지사 자리를 임시로 맡아 업무를 인계받고 치안과 혼란을 수습했다. 8월 16일 안재홍 등의 건국준비위원회 참여 요청을 거절하고 송진우의 국민대회준비위원회에 가입했다. 이후 백남훈, 김성수, 김도연, 송진우, 윤보선, 허정, 장덕수 등과 함께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고, 미군정 시기에 경기도 도지사를 역임했다.[14]

1946년 2월 17일 미군정 경기도 고문회의 회원의 경기도지사 선거에 당선되어[15] 다시 경기도지사가 되었다. 1947년 미군정에서 임명한 루트 중령이 경기도지사 직을 물러나면서 다시 경기도지사직을 맡았다. 1948년 7월 22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경기도지사로 유임되었고, 1949년 1월 10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다시 경기도지사로 임명, 발령되었다.[16][17] 1950년 3월 대한야구협회 고문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1월 감리교 목사 양주삼조선총독부에 협력한 일로 반민특위에 소환되자, 그는 개인 자격으로 현동완, 백낙준, 이용설, 백남훈 등과 함께 양주삼의 과오를 용서해달라는 연명 탄원서를 반민특위에 보냈다.

경기도지사 재임 중이던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한 뒤 서울에서 조선인민군에게 이끌려 월북했다.[18] 전쟁 초기 피신하지 못하고 서울 종로구 광화문 경기도청사에서 머무르다가 조선인민군 정치보위부원에게 피랍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가 정치보위부에 의해 북송되었으며, 납치된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동행했던 아들 구본준은 중도에 탈출했다. 1950년 11월 북행길 도중 강계 부근에서 사망했다는 증언이 있다.

3. 사후

그의 묘소와 가묘는 모두 미상이다.[1] 그의 아들 구본준은 6.25 전쟁 당시 탈출에 성공하여 이승만 정부의 경무대에 입사, 경무대 대변인을 역임했다.[1]

1934년 출간한 저서 현대 성경해석이 1990년 6월 연세대학교에서 재간행되었다.[1]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종교 부문 중 개신교계 인물로 포함되었다.[1]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1]

4. 저서 및 역서


  • 《현대 성경해석》 (1934)

5. 가족 관계

관계이름기타
아버지?
어머니?
구자록(具滋祿, 1875년 ~ 1945년)
조카구숙자
구자혁(具滋爀, 1885년 ~ 1959년)창문사 대표
형수상산김씨 (商山金氏, 1884년 ~ 1907년)구자혁의 본처
조카구본웅(具本雄, 1906년 3월 7일 ~ 1953년 2월 2일)서양화가
질부강임(姜姙, ? ~ 1970년)
형수변동숙(卞東淑, 1890년 ~ 1974년)구자혁의 후처
부인박인숙(朴仁淑, 1889년 ~ ?)
박인숙 (1955년 6월)
아들구본준(具本俊, ? ~ 1998년 7월 21일)
며느리유경재(兪璟在, 1921년 ~ ?)
손자구광모(具光謨, 1941년 ~ )중앙대 행정학과 교수
손녀구영모(具英謨, 1942년 ~ )
손자구윤모(具允謨, 1945년 ~ )
손녀구은모(具恩謨, 1947년 ~ )
손녀구경모(具敬謨, 1949년 ~ )
사위문용린(文龍鱗, 1947년 ~ )서울특별시 교육감, 교육부장관 역임
손자구승모(具承謨, 1951년 ~ )
사돈변동림(卞東琳, 1916년 ~ 2004년)이상의 처, 김환기의 처


  • 그의 가계는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이성계의 부장이었던 도원수 구성로의 후손으로, 조선 세조 때의 공신, 재상 겸 정치가였던 구치관의 19대손이다.
  • 조상들 중에는 세종대왕의 아들 임영대군의 사위 구수영(具壽永), 연산군의 사위 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호양공 구문경과, 재상 구사맹, 원종의 처이자 인조, 능원대군 보의 어머니 인헌왕후 등이 있었다.

참조

[1] 뉴스 京畿道知事에 具滋玉氏發令 한성일보 漢城日報 1949-01-13
[2] 뉴스 朝鮮初有의 米國 黑人의 聲樂會 동아일보 1920-08-01
[3] 뉴스 十八團體가 모혀서 水害救濟會發起 동아일보 1923-08-11
[4] 뉴스 饑饉救濟會의 實行方針 決定 동아일보 1924-10-02
[5] 서적 친일파 99인 1 돌베개 1993-02-01
[6] 뉴스 基靑總務에 具滋玉氏被選 동아일보 1935-02-16
[7] 서적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2005
[8] 서적 동산회고록:윤치영의 20세기 삼성출판사 1991
[9] 서적 친일논설선집 실천문학사 1987-08
[10] 논문 일제말기 기독교의 친일행위 http://mahan.wonkwan[...] 2000-12
[11] 뉴스 消息 동아일보 1940-04-02
[12] 뉴스 消息 동아일보 1940-07-18
[13] 문서
[14] 웹사이트 한국 YMCA 역사 http://www.pcymca.or[...]
[15] 뉴스 京畿道初代知事에 具滋玉氏就任式 동아일보 1946-02-17
[16] 뉴스 京畿道知事에 具滋玉氏發令 한성일보 漢城日報 1949-01-13
[17] 뉴스 具知事正式留任 동아일보 1949-01-13
[18] 웹사이트 구자옥(具滋玉) http://www.kwari.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