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 (1970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백》(1970년)은 1951년 체코슬로바키아 외무부 차관 아르투르 런던이 체포되어 세뇌와 고문을 통해 허위 자백을 강요받고 공개 재판에 회부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이브 몽탕이 런던 역을, 시몬느 시뇨레가 그의 아내 역을 맡았으며, 코스타 가브라스가 감독했다. 영화는 스탈린주의의 부당함을 비판하며, 런던이 회고록을 출판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왔다가 프라하의 봄을 겪는 장면을 마지막으로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슬로바키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007 리빙 데이라이트
007 리빙 데이라이트는 1987년 개봉한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15번째 영화로, 티모시 달턴이 제4대 제임스 본드 역을 맡아 KGB 망명 사건 조사 중 무기 밀매 음모를 파헤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존 글렌 감독, a-ha의 주제가, 애스턴 마틴 V8 등장으로 유명하다. - 체코슬로바키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카프카 (영화)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1991년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카프카》는 프란츠 카프카의 삶에서 영감을 받아 1919년 프라하를 배경으로 작가이자 보험 사정인인 카프카가 동료 살해 사건을 조사하며 비밀 조직과 연루되는 이야기를 흑백 화면과 독일 표현주의 스타일로 독특하게 그려냈다. -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 영화 - 배신의 계절 (영화)
1984년 앨런 버그 살인 사건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된 영화 배신의 계절은 백인 우월주의 단체에 잠입한 FBI 요원의 갈등과 위험을 그린 1988년 개봉한 미국의 범죄 스릴러 영화로, 데브라 윙어와 톰 베린저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 영화 - 의문의 실종
1973년 칠레 쿠데타 당시 미국인 찰스 호먼의 실종 사건을 다룬 영화 《의문의 실종》은 실종된 아들을 찾는 아버지의 시선을 통해 미국의 음모를 파헤치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던지는 작품으로,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에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잭 레먼에게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안겨주었다. - 프라하를 배경으로 한 영화 - 007 카지노 로얄 (2006년 영화)
《007 카지노 로얄》은 이언 플레밍의 소설을 원작으로 다니엘 크레이그가 제임스 본드 역을 처음 맡아 냉철하고 현실적인 묘사를 강조한 제임스 본드 시리즈 21번째 영화로, 테러리스트 자금원 르 시프르를 막기 위해 몬테네그로 카지노의 포커 게임에 참여하는 본드의 이야기와 베스퍼 린드와의 관계, 배후 조직의 존재를 다루며 흥행과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다. - 프라하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은 어벤져스: 엔드게임 이후 유럽 수학여행 중 미스테리오의 음모에 맞서는 스파이더맨 피터 파커의 활약을 그린 2019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이다.
고백 (1970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Aveu |
영어 제목 | The Confession |
프랑스어 | L'aveu |
한국어 제목 | 고백 |
영화 정보 | |
감독 | 코스타=가브라스 |
제작 | 로베르 드ルフ만 베르트랑 자발 |
각본 | 호르헤 셈프룬 |
원작 | 아르투르 런던 (책 "L'aveu") 리즈 런던 |
출연 | 이브 몽탕 시몬 시뇨레 가브리엘레 페르제티 |
촬영 | 라울 쿠타르 |
편집 | 프랑수아즈 보노 |
배급사 | 파라마운트 픽처스 |
개봉 정보 | |
프랑스 | 1970년 4월 29일 |
이탈리아 | 1970년 9월 25일 |
일본 | 1971년 3월 20일 |
기술 정보 | |
상영 시간 | 139분 |
언어 | 프랑스어 |
기타 | |
제작 국가 |
2. 줄거리
1951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외무부 차관이자 공산주의자인 아르투르 런던(일명 제라르)은 어느 날 갑자기 비밀 경찰에 체포된다. 그는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대독 레지스탕스 운동에 참여한 화려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제라르는 자신이 알지도 못하는 죄목으로 독방에 감금되어 가혹한 심문을 받으며 '자백'을 강요당한다. 그는 자신이 서방의 스파이 혐의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런던은 독방 감금, 수면 박탈, 세뇌 등 상상을 초월하는 고문을 겪으며 점차 무너져 내린다.
마찬가지로 체포된 친구들이 차례차례 죄를 "고백"하고, 제라르는 점차 궁지에 몰리며 결국 거짓 자백을 하게 된다. 이 모든 것은 공산당 내부의 권력 투쟁에 의한, 급진적 스탈린주의자가 행한 대숙청의 일환이었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기타 인물
4. 제작
이브 몽탕은 배역을 위해 15kg 이상 체중을 감량했다. 몽탕은 1956년 헝가리 사태에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영화에 대해 "이 역할 때문에 나 자신에게 가한 행위에는 일종의 '속죄' 행위가 있었다"고 말했다.[3]
항목 | 내용 |
---|---|
원작 | Artur London|아르투르 런던영어, 리즈 런던 |
감독 | 코스타 가브라스 |
각본 | 호르헤 셈프룬 |
촬영 | 라울 쿠타르 |
음악 | Giovanni Fusco|조반니 푸스코it |
편집 | 프랑수아즈 보노 |
5. 평가 및 수상
빈센트 캔비는 1970년 12월 ''뉴욕 타임스''에서 영화 ''고백''을 ''Z''(1969)보다 더 나은 영화로 여기지는 않았지만, 이 영화의 주제가 "훨씬 더 복잡하고, 훨씬 더 인간적이기에, 나는 그것이 훨씬 더 흥미롭다고 생각한다"고 평했다. 그는 "지적이고 감정적인 고뇌의 처절한 영화이며, 멜로드라마의 숨 가쁜 장치로 극화되었다."라고 덧붙였다.[1] 로저 이버트는 1971년 4월에 "이 영화는 ''Z''와 같은 스릴러가 아니며, 그럴 수도 없다. 왜냐하면 마지막에 정의가 나타나지도 않고, 가면을 벗길 악당도 없기 때문이다."라고 썼다. 그는 감독이 "이 영화가 반공산주의가 아니라 반스탈린주의임을 주장하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덧붙였다.[4] 폴린 케일은 ''뉴요커''에서 이 영화가 "강하고 이상주의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역사의 희생자가 되는지를 보여주는 사려 깊고 지적인 시위"라고 썼다. 그녀는 "영화는 차분하지만, 코스타 가브라스의 작품은 엄청난 활력을 가지고 있지만, 영화가 거의 끝나갈 때까지 공감을 얻지 못한다."라고 평가했다.[2]
로널드 버건과 로빈 카니는 ''블룸스버리 외국 영화 가이드''(1988)에서 "각본의 정적이고 장황한 특성이 연출이나 연기에 의해 충분히 완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제목의 거짓 자백으로 이어지는 몇몇 심문 장면은 충격을 주지 않을 수 없다."라고 썼다.[5]
이 영화는 골든 글로브와 BAFTA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 프랑스에서 이 영화는 프랑스 좌파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프랑스 공산당과 소련에 대한 환멸을 느끼는 데 기여했다.[6]
6. 역사적 배경
1951년 체코슬로바키아 외무부 차관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영웅인 아르투르 루드비크(제라르)는 공산주의자였다. 그는 자신과 주변 인물들이 StB(비밀경찰)에 의해 감시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아르투르는 "집권당 위에 있는" 단체에 의해 체포되어 수개월 동안 독방에 감금된다. 아르투르는 세뇌, 수면 박탈 등 가혹한 심문을 받으며 반역을 포함한 상상의 범죄를 자백하도록 강요받는다. 결국 거짓 자백을 하고 라디오로 생중계되고 영화관에서 상영될 공개 재판을 받게 된다.
6. 1. 스탈린주의와 슬란스키 재판
1951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스탈린주의 세력이 주도한 대숙청의 일환으로, 외무부 차관이었던 아르투르 런던(제라르)이 비밀경찰에 체포되어 가혹한 취조를 받았다. 이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내부 권력 투쟁의 결과였다. 친구들의 거짓 자백으로 궁지에 몰린 그는 결국 있지도 않은 서방 국가 스파이 혐의를 인정해야 했다.6. 2. 프라하의 봄과 소련 침공
1968년 아르투르는 감금 경험에 대한 회고록을 완성하고 출판하기 위해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온다. 그 무렵 프라하의 봄 속에서 전체 사건을 조작했던 스탈린주의 세력은 당에 의해 권력에서 밀려났고, 아르투르는 이제 당이 아르투르 자신만큼이나 그 해에 일어난 일의 진실을 드러내기를 원한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는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이 시작되자마자 프라하에 도착한다.7.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L'Aveu프랑스어는 1970년대 한국의 민주화 운동 시기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당시 군사독재 체제하에서 언론 통제와 인권 탄압이 자행되던 한국 사회에서, 이 영화는 권력의 횡포와 개인의 존엄성 훼손이라는 보편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깊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L'Aveu프랑스어은 한국 사회에 민주주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 사회는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L'Aveu프랑스어과 같은 영화를 통해 과거 권위주의 체제의 문제점을 성찰하고, 민주주의 가치를 확립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는 현재까지도 한국 사회가 민주주의와 인권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 영화가 보여주는 스탈린주의 체제의 폭력성과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더욱 굳건히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보수 진영 일각에서는 영화에서 묘사된 스탈린주의 체제의 비극을 반면교사로 삼아,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 안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8. 기타
영화 제작 당시 아르투르 런던은 공산주의자였다.[4] 이 영화는 프랑스 좌파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프랑스 공산당과 소련에 대한 환멸을 느끼는 데 기여했다.[6] 독일에서는 싱어송라이터 라인하르트 메이가 자신의 노래 'In Tyrannis'(1972)를 작곡하도록 영감을 주었으며, 그는 네덜란드어('De bekentenis') 및 프랑스어('Tyrannie') 버전으로 출판했다.[7]
참조
[1]
뉴스
Costa-Gavras Depicts a Believer's Betrayal by His Belief: Montand and Signoret Star in 'Confession' Other Movies Arrive on Local Screens
https://www.nytimes.[...]
2022-05-08
[2]
잡지
The Current Cinema: Stalinism
https://archives.new[...]
2022-05-08
[3]
간행물
Paris Match
1991-11-21
[4]
웹사이트
The Confession
https://www.rogerebe[...]
2022-05-08
[5]
서적
The Bloomsbury Foreign Film Guide
Bloomsbury
[6]
서적
Which Socialism, Whose Détente?: West European Communism and the Czechoslovak Crisis of 1968
http://books.openedi[...]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7]
뉴스
Liedermacher Reinhard Mey - "Waldeck war Sehnsucht"
https://taz.de/Liede[...]
Taz.de
2008-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