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항은 북제의 마지막 황제이자 북제 후주 고위의 장남으로, 570년에 태어나 577년에 즉위했으나 재위 기간은 짧았다. 북주 군의 침입으로 인해 도주, 포로가 되었고, 578년 목제파의 반란에 연루되어 살해되었다. 580년 수 문제에 의해 장안 북쪽에 장례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8년 사망 - 북주 무제
북주 무제 우문옹은 권신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폐불 정책을 통해 재정을 확보하였으며,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했으나 진나라 공격을 앞두고 병사한 북주의 제3대 황제이다. - 578년 사망 - 유스티누스 2세
유스티누스 2세는 565년부터 578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그의 치세는 재정 고갈, 아바르족 침입, 사산 제국과의 전쟁, 융통성 없는 외교, 정신 질환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570년 출생 - 무함마드
무함마드는 570년경 메카에서 태어나 이슬람교를 창시하고 최종 예언자로 여겨지며, 610년경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고 메디나로 이주하여 공동체를 건설, 아라비아 반도 통일에 기여했으나 그의 삶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 570년 출생 - 혜현
고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족 성 | 고(高) |
휘 | 항(恆) |
생년 | 무평 원년 6월 22일 (570년 8월 9일) |
몰년 | 북주 건덕 7년 (578년) |
아버지 | 후주(後主) |
어머니 | 목황후 |
능묘 | 홍독천 |
연호 | 승광 : 577년 |
왕조 | |
왕가 | 고씨 |
왕조 | 북제 |
통치 | |
즉위 | 577년 2월 4일 |
퇴위 | 577년 4월 5일 |
이전 통치자 | 고위 |
후임 통치자 | 없음 |
칭호 | 북제 유주 |
연호 | 승광(承光) |
생애 | |
출생 | 570년 |
사망 | 577년 (7세) |
황제 | |
재위 기간 | 577년 2월 4일 - 577년 4월 5일 |
기타 정보 | |
아버지 | 고위 |
어머니 | 목사리 |
2. 생애
570년 6월, 북제 후주 고위의 장남으로 수도 업에서 태어났으며, 같은 해 10월 황태자로 책봉되었다.[4] 577년 1월, 북주의 침입으로 국가가 위태로운 상황에서 아버지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아 즉위하였다.[1][2]
그러나 즉위 직후 수도 업이 함락 위기에 처하자, 태황태후 호씨, 황태후 목씨, 아버지 고위 등과 함께 제주, 청주 등지로 피난길에 올랐다.[1][2] 피난 도중 임성왕 고개에게 제위를 넘기려 했으나 실패했고,[1][2] 결국 청주의 남등촌에서 북주 군대에 사로잡혔다.[1][2]
북주의 수도 장안으로 압송되어 온국공(溫國公)에 봉해졌으나,[1] 578년 목제파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9세의 나이로 살해되었다.[1] 580년, 양휴지와 진덕신의 건의로 수 문제에 의해 장안 북쪽에 정식으로 장례가 치러졌다.[1]
2. 1. 출생과 황태자 책봉
570년 6월[4] (다른 기록에 따르면 7월 또는 8월) 북제 후주 고위의 장남으로 수도 업(鄴)에서 태어났다.[4] 그의 어머니는 당시 고위의 후궁이었던 무설리 귀비였다.[4] 고항의 출생을 축하하며 아버지 고위는 사면령을 내렸다.[4]당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고위의 유모이자 무 귀비의 양어머니였던 루링쉬안은 고항이 황태자가 되기를 바랐다.[4] 하지만 고위의 황후였던 후뤼 황후의 반대를 염려하여, 고위의 허락을 받아 고항을 후뤼 황후에게 맡겨 양육하게 했다.[4]
결국 570년 10월[4] (다른 기록에 따르면 11월 2일경[4]), 태어난 지 불과 3개월 만에 고항은 황태자로 책봉되었다.[4] 이후 후뤼 황후의 아버지 후뤼 광이 모반 혐의로 처형되고 후뤼 황후가 폐위되면서, 고항의 어머니 무씨는 572년 겨울 '우황후'로 책봉되었고, 573년 3월에는 좌황후 호씨마저 폐위되자 단독 황후가 되었다.[4]
2. 2. 즉위와 북주의 침입
577년 1월, 아버지 고위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아 즉위했다. 하지만 이때는 이미 북주의 군대가 수도 업 근처까지 진격해 온 위급한 상황이었다.[1][2]태황태후 호씨와 황태후 목씨가 먼저 제주(현재의 산둥성 랴오청시 부근)로 피난했고, 곧이어 고항과 아버지 고위도 업을 버리고 제주로 도망쳤다.[1][2] 고위는 제주에서 최후의 저항을 하기보다는 황하 이남으로 이동하여 군대를 재정비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남쪽의 진(陳)나라로 망명할 계획을 세웠다.[2]
고위는 제주에서 숙부인 임성왕 고개( 高湝중국어 )에게 제위를 넘기려 했다. 이를 위해 곡률효경에게 양위 문서와 옥새를 주어 영주로 보냈으나, 곡률효경은 도중에 북주에 항복하여 양위는 이루어지지 못했다.[1][2] 일부 기록에 따르면, 고위는 고개를 무상황( 無上皇중국어 )으로 삼고 고항은 수국천왕( 守國天王중국어 )으로 삼는 조서를 내렸다고도 한다.[1] (다른 기록에서는 송국천왕( 宋國天王중국어 ) 또는 종국천왕( 宗國天王중국어 )으로 기록되어 논란이 있으며[2], 실제로 이 칭호가 사용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2])
북주 군대의 추격이 계속되자, 고위는 태황태후 호씨를 제주에 남겨두고, 황태후 목씨, 빈 풍소련, 고항 등 소수의 측근들과 함께 다시 청주(현재의 산둥성 칭저우시 부근)로 피난했다.[1][2] 이때 수십 명의 신하만이 그들을 따랐다.[1]
그러나 청주의 남등촌( 南鄧村중국어 )에서 진나라로 도망치려던 고항 일행은 결국 북주의 장군 울지근(尉遲勤)에게 사로잡혔다.[1][2] 고항 일행은 먼저 업으로 압송되었고, 이후 북주의 수도 장안으로 끌려갔다.[1][2] 장안에서 고항은 온국공( 溫國公중국어 )에 봉해졌다.[1] 북주 무제는 처음에는 고씨 일족을 예우하는 듯했으나, 북제가 완전히 평정되자 고위와 고항을 포함한 고씨 일족 대부분을 장안으로 데려갔다.[2]
578년, 목제파가 반란을 모의했다는 사건에 연루되어 고항 역시 처형되었다.[1] 당시 그의 나이는 9세였다.[1]
580년, 양휴지와 진득신이 당시 북주의 실권자였던 수 문제(훗날 수나라 초대 황제)에게 고항의 장례를 치러줄 것을 건의했고, 수 문제는 이를 받아들여 고항을 장안 북쪽에 묻어주었다.[1]
2. 3. 양위와 최후
승광 원년(577년) 1월, 아버지 고위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아 즉위했다. 그러나 이때는 이미 북주의 군대가 수도 업에 가까이 다가온 위급한 상황이었다. 태황태후 호씨와 황태후 목씨가 먼저 제주로 피신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고항 역시 제주로 도망쳐 수도 업을 포기했다.고항은 임성왕 고개에게 제위를 넘기려 하였다. 곡률효경에게 양위 문서와 옥새를 주어 영주의 고개에게 보내려 했으나, 곡률효경은 북주에 투항하며 양위 시도는 실패했다. 이후 고개에게 조서를 보내 그를 무상황(無上皇)으로 삼고, 고항 자신은 수국천왕(守國天王)이 되었다.
고항은 아버지 고위, 태후 목씨와 함께 청주로 피신했으나, 이때 그를 따르는 신하는 수십 명에 불과했다. 결국 청주의 남등촌(南鄧村)에서 북주의 장군 울지근에게 사로잡혀 업으로 보내졌고, 이후 장안으로 압송되어 온국공(溫國公)에 봉해졌다.
건덕 7년(578년), 북주 무제는 고위의 옛 신하인 목제파가 반란을 모의했다는 구실로 그를 처형했다. 고씨 가문을 경계하던 북주 무제는 이 사건을 빌미로 삼아 고항을 비롯한 구 북제의 고씨 황족들을 대거 숙청했는데, 이때 고항도 연루되어 살해되었다. 당시 그의 나이는 9세였다.
대항 2년(580년), 양휴지와 진덕신 등이 당시 북주의 실권자였던 수공(隋公) 수 문제에게 고항의 장례를 치러줄 것을 건의했다. 양견이 이를 받아들여 고항은 장안 북쪽의 홍독천(洪瀆川)에 매장될 수 있었다.
3. 가계
wikitext
세대 | 관계 | 성명 (생몰년) | 비고 |
---|---|---|---|
본인 | 본인 | 고항 (570년 ~ 578년) | 북제 유주 |
부모 | 아버지 | 고위 (556년 ~ 577년) | 북제 후주 |
어머니 | 목황후 (557년 ~ 577년) | ||
조부모 | 친할아버지 | 고담 (538년 ~ 569년) | 북제 무성제 |
친할머니 | 호씨 | 무성황후 | |
외할아버지 | (미상) | ||
외할머니 | 목씨 부인 (목청소) | ||
증조부모 | 친증조할아버지 | 고환 (496년 ~ 547년) | 북제 신무제 (추존) |
친증조할머니 | 루조군 (501년 ~ 562년) | 무명황후 (추존) | |
친외증조할아버지 | 호언지 | 호태후의 아버지 | |
친외증조할머니 | 범양 노씨 | 호태후의 어머니 | |
외증조할아버지 | (미상) | ||
외증조할머니 | (미상) | ||
외외증조할아버지 | (미상) | ||
외외증조할머니 | (미상) | ||
고조부모 | 친고조할아버지 | 고수생 (472년 ~ 526년) | |
친고조할머니 | 한기희 (? ~ 496년) | 문목황후 (추존) | |
친증조외할아버지 | 루내간 | 루조군의 아버지 | |
친증조외할머니 | (미상) | 루조군의 어머니 | |
친외고조할아버지 | 호상 | 호언지의 아버지 | |
친외고조할머니 | (미상) | 호언지의 어머니 | |
친외증조외할아버지 | 노도약 (491년 ~ 548년) | 범양 노씨의 아버지 | |
친외증조외할머니 | 흥양 정씨 | 범양 노씨의 어머니 | |
외고조할아버지 | (미상) | ||
외고조할머니 | (미상) | ||
외증조외할아버지 | (미상) | ||
외증조외할머니 | (미상) | ||
외외고조할아버지 | (미상) | ||
외외고조할머니 | (미상) | ||
외외증조외할아버지 | (미상) | ||
외외증조외할머니 | (미상) |
4. 연호
wikitext
참조
[1]
서적
Bei Qi Shu vol.08
[2]
서적
Bei Qi Shu vol.09
[3]
논문
Resolve to Become a Buddha (Chengfo)—Changing Aspirations and Imagery in Sixth-Century Chinese Buddhism
https://doi.org/10.1[...]
2008-06-01
[4]
서적
Bei Qi Shu
[5]
서적
Early Chinese religion. Part two, Period of Division (220-589 AD)
https://www.worldcat[...]
BRILL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