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병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병우는 평안북도 벽동군 출신의 안과 의사이자 한글 기계화 운동가이다. 1938년 한국 최초로 안과 전문 의원을 개원했으며, 일제강점기 창씨개명에 반발하여 '금일 공병우 사망'을 선언했다. 해방 후에는 세벌식 자판 개발과 보급에 힘썼고, 기계식 타자기 개발에 기여했다. 1959년부터 1977년까지 한글학회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1988년 한글문화원을 개설했다. 1995년 사망 후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벽동군 출신 - 차인태
    차인태는 평안북도 벽동군 출신의 대한민국 방송인으로, 동아방송 대학방송경연대회 금상 수상을 통해 방송계에 입문하여 KBS 아나운서, MBC 아나운서, 제주MBC 사장, 경기대학교 교수, 이북5도위원회 평안북도 도지사 및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의 발명가 - 유노윤호
    유노윤호는 2004년 그룹 동방신기의 멤버로 데뷔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솔로 가수와 배우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1986년생 대한민국 연예인이다.
  • 대한민국의 발명가 - 강대원
    강대원은 벨 연구소에서 MOSFET를 최초로 개발하고 플로팅 게이트 MOSFET를 발명하여 현대 전자 기기와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자 전기공학자이다.
공병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병우 박사
공병우 박사
이름공병우
출생일1907년 1월 24일
출생지대한제국 평안북도 벽동군
사망일1995년 3월 7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종교개신교
배우자이용희
친척장면(국무총리, 사돈)
장발(화가, 사돈)
자녀3남 6녀
웹사이트아래아 한글 탄생과 공병우 박사
공병우 타자기와 관련 있는 세벌식 카페
직업
직업안과 의사
국어학자
저술가
수필가
사진가
장르수필
저술
사진
활동 기간1938년~1995년
경력
경력공안과 원장
한글학회 이사장
한글문화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
학력
학력일본 나고야 제국대학 의학박사
수상
수상대통령상(1958)
외솔문화상(1974)
금관문화훈장(1995)

2. 생애

공병우는 한글 학회 이사장(1959~1977)을 지냈으며, 이후 한글문화원을 개설(1988)하여 원장을 지냈다. 평안북도 벽동의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1938년 한국인 최초로 안과 전문 의원인 공안과를 개원한 의학박사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창씨개명 정책에 반발하여 스스로 '금일(오늘) 공병우 사망'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 한글 기계화 운동에 주력하면서 세벌식 글자판 개발과 보급에 전념했고, 1949년 개량형 기계식 타자기를 개발했다. 그 이전에는 다섯벌식, 네벌식, 세벌식 글자판 타자기가 나와 있었으나 모두 개량에 실패했기 때문에 공병우 타자기가 개량에 성공하면서 일반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60년대 말 박정희 정부에서 타자기에 네벌식 글자판을 표준으로 채택했고, 1983년 전두환 정부에서 컴퓨터두벌식 자판을 표준으로 채택하면서 글자판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5년 3월 7일, 노환으로 8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타계 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해부학 실습을 위해 시신을 기증하였다.

2. 1. 출생과 성장

공병우는 1906년 평안북도 벽동에서 유복한 집안의 팔삭동이로 태어났으며, 본관은 김포이다.

2. 2. 의학자로서의 삶

1926년 조선 의사 검정 시험에 합격하였다.[1] 1936년 일본 나고야 제국 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1938년 한국인 최초로 안과 전문 의원인 공안과를 개원하였다.[1] 1958년 한국 최초로 콘택트렌즈를 도입, 시술하였다.[1]

2. 3. 한글 기계화 운동

일제강점기 말, 강압적인 창씨개명 정책에 반발하여 스스로 '금일(오늘) 공병우 사망'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 사재를 털어 한글 기계화 운동에 주력하였다.

1949년 초성, 중성, 종성의 세벌식 자판을 채택한 최초의 "실용적인" 한글 타자기를 개발하였다. 1959년부터 1977년까지 한글 학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68년 기계식 한영 겸용 타자기를 발명하였다. 1970년대 한글 네벌식 자판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1971년 기계식 한글 점자 타자기를 개발하였다. 1980년대 세벌식 자판을 미국 교포 사회에 보급하였다. 1988년 한글문화원을 개설하였다.

2. 4. 디지털 시대의 한글 연구

공병우는 90대였던 1990년대에도 한글과학화와 발전을 위한 평생의 꿈을 추구했다. 그가 만든 한글문화원은 1980년대 중반부터 매킨토시 컴퓨터를 직접 활용하여 직결식 한글 세벌식 글자꼴을 개발하였다. 그는 세벌식이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한글을 기계와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글문화원에서 훗날 아래아한글 개발을 함께한 박흥호와 함께 세벌식 자판 배열을 완성했으며, 세벌식 입력기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공병우 박사는 그 무렵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재야에서 실력을 떨치던 젊은 프로그래머였던 강태진, 정내권, 이찬진, 안대혁 등과 교류하였고, 이들을 지원했다. 이들은 한글문화원에서의 인연으로 훗날 한글과컴퓨터를 창업했으며, 국산 워드프로세스인 아래아한글을 개발하였다.

그는 군사정권하에서 세벌식 자판과 조합형 코드가 IT 표준으로 정착되지 못한 현실을 안타까워했으며 과학적으로 한글을 모두 표현하지 못하는 완성형 코드를 비판하고 조합형 코드를 지지하였다. 또한 한글의 창제 원리에 맞지 않는 네모 글자꼴의 한글 글꼴들의 획일화를 비판하였다.

2. 5. 노년과 죽음

1990년대 PC통신(하이텔)에 세벌식의 우수성에 대해 글을 올리고, 키보드에 붙이는 세벌식 자판을 무료로 보내주는 등 세벌식을 널리 알리는 일을 계속했다.[3] 1995년 3월 7일, 노환으로 8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타계 후, 후진들의 의학 교육을 위한다는 유지에 따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 몸소 해부학 실습을 위해 시신을 기증하였다. 유언에 따라 유산은 맹인 복지를 위해 사용되었다.나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지 말고, 장례식도 치르지 말라. 쓸 만한 장기는 모두 기증하고 남은 시신도 해부용으로 기증하라. 죽어서 땅 한 평을 차지하느니 차라리 그 자리에서 콩을 심는 게 낫다.한국어

3. 학력

평양의학강습소 학사[1]

나고야 대학 의과대학원 의학 석사·의학박사[1]

4. 수상

연도상 이름내용
1949년 10월국회의장상전국 과학 전람회에 한글 타자기 출품
1958년 10월대통령 표창한글 타자기 발명 공로
1962년 8월대통령 표창건국 공로 식산
1968년 10월문화공보부 장관상한글 전용 공로자
1970년 7월평택 군수 감사장평택군 관내 안과 환자 1개월 간 무료 진료
1974년 3월외솔 문화상한글 문화 개발 공로
1975년 10월은장 박애장대한 적십자사 70주년 기념
1978년 9월여군단장 감사패여군 창설 제28주년 기념 여군 한글 타자 기술 향상 기여
1979년 3월서울 적십자사 총재 표창모범 납세자
1979년 10월대한 적십자사 총재 표창적십자 사업 발전 기여
1980년 2월종로구청장 표창새마을 저축 증대 기여
1980년 5월평안북도 첫 문화상평안북도 도민의 날
1981년 4월국민훈장 석류장장애인의 날
1983년 7월사회복지법인 우성원 및 구화학교 공동명의 감사패우성원 및 구화 학교 준공
1984년 10월한국 교회 100주년 기념 맹인 선교회 공로패맹인 개안 및 맹인 재활 사업 기여
1987년 1월제1회 서재필서재필 기념재단에서 한글 타자기 발명 및 한글 컴퓨터 개발 등 한글 기계화 공로
1990년은관문화훈장한글발전유공자
1995년금관문화훈장(추서)


5. 저서


  • 나는 내식대로 살아왔다한국어 (1989년, 대원사, 자서전)[1]
  • 공병우사진集한국어 (1980년, 삼화인쇄(주)출판부)[2]
  • 新小眼科學일본어 (1939년, 경성: 유한양행학술부, 일본어)[3]

6. 사후 발간

김은식이 2012년에 펴낸 《공병우》(한겨레 인물탐구 9), 송현이 2008년에 펴낸 《공병우: 한글기계화의 아버지》, 신현영이 2006년에 펴낸 《공병우》(우리 위인 동화 6) 등이 출간되었다.

참조

[1] 문서 1906년 음력 12월 30일
[2] 뉴스 정전협정문 작성한 '공병우 타자기' 아시나요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18-07-21
[3] 뉴스 공병우 박사 10주기 '세벌식' 불씨 살린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