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학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글 학회는 1908년 주시경을 중심으로 설립된 국어연구학회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어 연구회,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변경하며 우리말과 글의 연구, 통일, 발전을 위해 활동해왔다. 1926년 한글날 제정,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탄압을 받기도 했다. 광복 후 194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큰 사전 편찬, 한글 전용 운동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한글 연구 및 보급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시경 - 국문 연구소
국문 연구소는 1907년 대한제국 시기 통일된 문자 체계 확립을 목표로 설치된 한국어 연구 기관으로, 《국문연구의정안》을 제출하며 활동을 종료했으나, 한국어 정서법을 국가 차원에서 정하려 한 최초의 시도이자 한글 맞춤법 규정에 영향을 미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주시경 - 독립신문
독립신문은 1896년 서재필이 창간한 한국 최초의 민간이자 한글 신문으로, 한글과 영문으로 발행되어 국민 계몽과 조선의 자주독립을 목표로 하였으나, 정부 탄압과 경영난으로 1899년에 폐간되었으며, 민중 계몽에 기여했으나 친일 논조로 비판받기도 한다. - 1921년 설립된 단체 - 국제펜클럽
국제펜클럽은 1921년 캐서린 에이미 도슨 스콧이 런던에서 설립한 국제적인 작가 단체로, 작가들의 연대와 표현의 자유 수호를 목표로 하며 유네스코 협의 관계를 맺고 작가 투옥 위원회 등을 통해 정치적 탄압을 받는 작가들을 지원한다. - 1921년 설립된 단체 -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는 의료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치과의사 단체로, 대의원총회를 최고 의결기구로 두고 치과 의료 관련 정책 및 사업을 수행한다. - 한글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 한글 - 조선어학회 사건
조선어학회 사건은 일제강점기, 일제가 조선어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어학회 회원들을 체포하고 탄압한 사건으로, 이윤재, 최현배 등이 고문과 옥사를 당했으며, 한국어 사전 편찬에 차질을 빚었으나 광복 후 『조선어대사전』 편찬으로 이어져 한국어 발전과 민족 문화 수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한글 학회 | |
---|---|
개요 | |
![]() | |
종류 | 학회 |
설립 | 1908년 |
해체 | 1921년 (조선어 연구회) |
재건 | 1927년 (조선어 학회) |
변경 | 1949년 (한글 학회)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역사 | |
전신 | 국어 연구 학회 |
창립 | 1908년 |
개칭 | 1921년 조선어 연구회로 개칭 |
재건 | 1927년 조선어 학회로 재건 |
명칭 변경 | 1949년 한글 학회로 명칭 변경 |
주요 활동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조선말 큰사전》 편찬 |
주요 활동 | |
《조선말 큰사전》 | 1929년 사전 편찬 시작 1942년 조선어 학회 사건 발생 1945년 광복 후 사전 간행 재개 1947년 ~ 1957년 《조선말 큰사전》 완간 (총 6권) |
《우리말 큰사전》 | 1992년 《우리말 큰사전》 발간 |
한글 강좌 | 일반인을 위한 한글 강좌 개설 및 운영 |
학술 연구 발표 | 국어학 관련 학술 연구 발표 및 학술지 발간 |
관련 사건 | |
조선어 학회 사건 | 1942년 일제에 의해 조선어 학회 관련 인사들이 검거 및 투옥된 사건 |
2. 역사
한글 학회는 1921년 12월 3일 임경재, 장지영, 최두선 등에 의해 조선어 연구회로 결성되었다. 이후 1931년 1월 10일에 조선어 학회로, 1949년 9월 5일에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5][2]
2. 1. 학회 창립과 명칭 변경
주시경 선생과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1908년 8월 31일 서울 봉원사(새절)에서 ‘국어연구학회’ 창립총회를 열었다.[3] 1910년 한일합병으로 국어라는 말이 일본어를 뜻하게 되면서 1911년 9월 3일 ‘배달말글몯음’(조선언문회)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4] 1913년 3월 23일에는 ‘한글모’로, 1921년 12월 3일에는 ‘조선어연구회’로,[5] 1931년 1월 10일에는 ‘조선어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2년 일제에 의해 조선어학회 사건이 일어나 큰 시련을 겪었다.[2] 1949년 9월 5일, 조선어학회는 한글 학회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2. 2. 창립년도 정정 (1987)
한글학회는 그동안 학회의 기원을 "1921년 12월 3일, 조선어연구회"로 알고 기념행사를 해왔다. 그러나 1976년에 공개된 주시경 선생의 자필 이력서, 1981년 12월 학회 창립 기념 도서 전시회에서 입수한 『한글모죽모기』 필사본, 1908년 8월 27일 자 『대한매일신보』와 『황성신문』 기사를 검토한 결과, 학회 창립일이 1908년 8월 31일 서울 봉원사에서 설립된 '국어연구학회'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2]1987년 3월 9일 한글학회 이사회에서는 창립일 수정 문제를 정기총회에 상정하기로 결정하였다. 같은 해 3월 23일에 열린 정기총회에서 학회 연원과 창립일 수정 문제를 안건으로 장시간 토론한 결과, 한글학회의 발상을 "1908년 8월 31일, 국어연구학회"로 바로잡기로 결정하였다.[2]
2. 3. 일제강점기 활동
주시경의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1921년에 결성한 조선어 연구회는 조선어 학술 연구와 조선어를 통한 민족 운동을 목표로 활동하였다. 이 단체의 활동 정신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30년에는 조선총독부와 함께 언문 철자법을 제정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민족주의적인 활동은 일본 관헌의 단속 대상이 되었으며, 1942년에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불리는 대규모 탄압을 받기도 했다.일제강점기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한글날 제정''': 1926년 음력 9월 29일, 훈민정음 창제 480주년을 기념하여 '가갸날'을 제정하고, 1928년에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현재 한글날은 양력 10월 9일이다.
- '''잡지 「한글」 간행''': 1927년, 조선어 학술 연구와 민족 의식 고취를 위해 창간하였다. 민족주의적인 내용으로 인해 발행 정지 등의 처분을 받기도 했다.
- '''언어 규범 제정''':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1936년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1941년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등 조선어 관련 규범을 제정하였다. 이 규범들은 이후 남북한 언어 규범의 기초가 되었다.
- '''사전 편찬''': 1929년 조선어 사전 편찬 위원회를 설치하고 사전 편찬 사업을 추진했으나, 1942년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중단되었다. 해방 후 1947년 「큰사전」 제1권이 간행되었고, 1957년에 제6권이 완간되었다.
- '''계몽 활동''': 문해율이 낮았던 당시, 문해율 향상을 위해 조선어 교재 편찬 등을 하였다. 해방 후에는 학교 교육에서 국어로 부활한 조선어 교원 양성 등의 활동으로 이어졌다.
2. 4. 조선어학회 사건 (1942)
주시경의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1921년에 결성된 조선어 연구회는 조선어 학술 연구와 조선어를 통한 민족 운동을 주요 활동 목표로 삼았다. 1930년, 조선어 연구회는 조선총독부와 함께 언문 철자법을 제정하기도 했지만, 민족주의적인 활동으로 인해 일본 관헌의 단속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42년에는 조선어 학회 사건이라 불리는 대규모 탄압으로 인해 학회 회원들이 체포되고 학회 활동이 중단되는 시련을 겪었다.[1]3. 광복 후 활동
1945년 광복 후 조선어학회는 활동을 재개하여, 1949년 9월 25일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2] 광복 후 조선어학회는 "한글 전용 운동"과 "국어 순화 운동"을 주요 활동으로 펼쳤다.
학술 연구 단체로서 한글 학회는 해방 후 한국에서 조선어 연구의 최전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식민지 시대에 발간된 잡지 "한글"은 해방 후에도 순수 학술 논문지로 현재까지 간행되고 있다. 조선어에 관한 계몽적인 내용은 "한글 새소식"이 담당하고 있다.[2] 한글 전용과 국어 순화는 한국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반대 세력과 격렬한 공방이 오가기도 했다. 언어 정책 또한 시기에 따라 크게 변동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한글 전용문과 한자 혼용문" 참조)
3. 1. 한글 연구 및 보급
광복 후 조선어학회는 초·중등 교과서를 편찬하고(1945년), 훈민정음 원본을 영인했으며(1946년), 세종 중등 국어교사 양성소를 설치했다(1948년).[2] 1949년 9월 25일에는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2] 이후, 큰 사전 편찬(1957년), 한글 타자기 통일 글자판 발표(1962년), 쉬운말 사전 편찬(1967년), 월간지 '한글 새소식' 창간(1972년), 우리말의 로마자 적기 발표(1984년), 제1회 우리 말글 연수회(1985년), 한국 땅이름 큰사전 편찬(1991년), 우리말 큰사전 편찬(1991년) 등의 사업을 진행했다.[2]3. 2. 한글 관련 운동
1945년 일본 제국 패망 후, 한글 학회는 한글만 쓰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1948년에는 한글 전용법을 국회에 건의했고, 1949년 '한글 전용 촉진회'를 발족했다. 이 단체는 1968년 '한글 전용 국민 실천회'로 개편되었다.1964년 한글 전용 성명서를 발표하여 한글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일상생활에서 한글만 사용
- 글자 생활의 기계화를 위한 한글 사용
-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
- 학교 과목 용어의 쉬운 한글 표기
- 한문 교육 강화
- 한자로 된 고전의 한글 번역
- 신문, 잡지의 한글 사용
1968년 정부 차원의 '한글 전용 5개년 계획' 수립을 지원했다.
1962년 문교부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에 참여하여 국어 순화 운동에도 참여했다. 이때 일본어 및 서양 외래어, 난해한 한자어를 쉬운 우리말 고유어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했고, 1967년 '쉬운 말 사전(쉬운말 사전한국어)'을 발간했다.
2005년 한글 무늬옷 입기 운동을 시작했고, 2006년 한글날 큰잔치 조직위원회를 결성했다.[1]
3. 3. 기타 활동
1999년 제1회 외국인 한국어 발표 대회를 열었다.[2] 2000년에는 학회 발행 논문집 학술정보를 제작하고, 첫 번째 우리말글 지킴이를 위촉하였다.[2] 2001년에는 우리 토박이 말 사전을 편찬하고, 첫 번째 아름다운 우리말 가게이름을 선정하였다.[2] 2004년에는 제1회 전국 한말글이름 가진 이 글짓기 대회를 열었다.[2] 2008년과 2009년에는 한글을 빛낸 자랑스러운 인물 4편 (한힌샘 주시경, 외솔 최현배, 건재 정인승, 고루 이극로)을 편찬하였다.[2]1996년에는 비영리 학술단체로는 처음으로 누리집(홈페이지)을 만들어 누리그물(인터넷)을 통하여 갖가지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 교환의 마당을 마련해 놓았으며, 정기 간행물 『한글』, 『문학한글』, 『교육한글』, 『한힌샘 연구』, 『한글 새소식』 등을 누리집에서 제공하고 있다.[2]
4. 연혁
주시경의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1921년 12월 3일에 조선어 연구회로 결성되었으며, 임경재, 장지영, 최두선 등이 참여하였다.[1] 그 후, 조선어 연구회는 1931년 1월 10일에 조선어 학회로,[1] 1949년 9월 5일에는 한글 학회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
조선어 연구회는 조선어 학술 연구와 조선어를 통한 민족 운동을 두 가지 முக்கிய குறிக்கோள்로 삼았으며, 이 정신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1] 1930년, 조선어 연구회(학회)는 조선총독부와 함께 언문 철자법을 제정하였다.[1] 그러나 민족주의적인 활동은 일본 관헌의 단속 대상이 되었고, 1942년에는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불리는 대규모 탄압이 발생하기도 했다.[1]
시기 | 명칭 |
---|---|
1908년 ~ 1911년 | 국어연구학회 |
1911년 ~ 1913년 | 배달말글몯음/조선언문회 |
1913년 ~ 1921년 | 한글모 |
1921년 ~ 1931년 | 조선어연구회 |
1931년 ~ 1949년 | 조선어학회 |
1949년 ~ 현재 | 한글학회 |
참조
[1]
서적
Sources of Korean Tradition: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10-03
[2]
웹사이트
한글학회 학회소식 (발돋음)
https://www.hangeul.[...]
2021-11-22
[3]
웹사이트
국어연구학회 [國語硏究學會]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4]
웹사이트
한글학회 100년사
https://viewer.bookr[...]
2009-09-03 #추정 날짜, 세부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날짜 확인이 어려움.
[5]
웹사이트
조선어연구회 [朝鮮語硏究會]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