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자진은 청나라 말기의 학자, 사상가, 시인으로, 고증학자 단옥재의 외손자이다. 그는 공양학 연구를 통해 정치 개혁을 주장하고, 춘추공양학의 역사 순환론을 바탕으로 청 제국의 사회 현실을 비판했다. 아편에 반대하며 린쩌쉬의 측근으로 활동했으며, 1839년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쓴 시를 모아 《기해잡시》를 저술했다. 그의 사상은 캉유웨이, 량치차오 등 개혁파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항저우에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시인 - 추근
추근은 청나라 시대의 여성 혁명가, 시인, 교육자로, 일본 유학을 통해 혁명 사상에 심취하여 여성 해방 운동과 청나라 타도를 위한 활동을 펼치다 무장봉기 실패 후 처형되었으나, 사후 중국 혁명운동의 정신적 지주로 추앙받으며 그의 삶은 여러 작품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 청나라의 시인 - 석달개
석달개는 광서성 출신의 객가인으로, 태평천국 운동의 주요 지도자로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지도력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성광왕' 칭호를 받았으나, 톈징 사변 이후 독자적인 원정을 감행하다 청군에 포위되어 능지처참을 당했고, 그의 영웅적인 면모는 후대에 영향을 미쳐 객가인들에게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중국의 학자 - 황공망
황공망은 원나라 말기의 화가, 시인, 음악가로, 본래 육견이었으나 황씨 집안에 입양되어 이름을 바꾸고 도교에 귀의하여 방랑 생활을 하다 50세 이후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문인화의 이상을 구현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중국의 학자 - 서간
서간은 후한 말기 건안칠자 중 한 명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도 뛰어난 학문적 재능을 보였으며 조조를 섬기며 관직 생활을 하고 유학에 기반한 독자적인 사상을 담은 《중론》을 저술하여 당대 인물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 공자진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공자진 | 
| 본관 | 회계 (현재의 저장성 사오싱시) | 
| 자 | 이자 (璱人) | 
| 호 | 정암 (定庵) | 
| 국적 | 청나라 | 
| 생애 | |
| 출생 | 1792년 8월 22일 | 
| 사망 | 1841년 9월 26일 | 
| 직업 | 시인 서예가 사상가  | 
| 주요 활동 | 당시 사회 문제 비판 개혁 주장  | 
| 가족 | |
| 아버지 | 공리현 (龔麗正) | 
| 어머니 | 단씨 (段氏) | 
| 배우자 | 오씨 (吳氏) | 
| 자녀 | 공반 (龔팠, 딸) | 
| 작품 | |
| 주요 저서 | 《정암문집(定庵文集)》 《기해잡시(己亥雜詩)》  | 
| 기타 작품 | 《병매관기(病梅館記)》 | 
| 사상과 영향 | |
| 사상적 특징 | 당시 사회의 폐단에 대한 비판적 시각 양무운동 등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  | 
| 평가 | 청말의 대표적인 사상가이자 문학가 애국적인 면모와 독창적인 사상  | 
| 관련 정보 | |
| 기타 | 아편 전쟁 발발 직전에 사망 그의 사상은 청나라 멸망 이후에도 지속적인 영향력 행사  | 
2. 생애
龔自珍|궁자진중국어은 단옥재의 외손으로, 어릴 때부터 그의 가르침을 받으며 자랐다. 38세에 진사가 되었으나, 예부주사 등의 관직을 거쳤다. 23세부터 25세에 걸쳐 《명양론》, 《을병지제저의·숙의》, 《평균편》을 저술하여 전제정치의 폐단을 비판했다. 28세 때 유봉록에게서 공양학을 배우고, 친구 위원과 함께 정치 개혁을 주장했다.
뛰어난 글 솜씨와 시 재능을 가졌으며, 만년에는 불교, 특히 천태종 연구에 몰두했다. 저술로는 《농종》, 《정역》, 《기해잡시》 등이 있으며, 《공자진전집》에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공양전 연구를 통해 역사 순환론을 주장하며 청나라의 사회 문제를 비판했고, 서구 열강과 러시아, 일본의 위협을 경고하며 개혁을 촉구했다. 아편에 반대하여 임칙서의 측근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1839년 관직에서 물러났다.
조정에서의 좌절감으로 불교에 의지하려 했으나, 국가와 백성에 대한 관심 때문에 세속과의 인연을 끊지 못했다.[8]
2. 1. 출생과 가계
龔自珍|궁자진중국어은 건륭제 57년(1792년) 음력 7월 5일 저장성 인화현(仁和縣)에서 태어났다.[3] 조부 공경신(龔敬身)은 예부 관직을 역임한 도태(道台, 도원 중 하나로 성과 주 사이에 있는 행정 구역 도의 장관)였고,[3] 아버지 공려정(龔麗正)도 비슷한 길을 걸었다. 어머니 단(段)씨의 아버지는 저명한 음운학자이자 고증학자인 단옥재(段玉裁)이다.[3]2. 2. 유년기와 교육
5세 때 아버지를 따라 베이징으로 이주했다.[3] 8세 때부터 시를 짓는 등 조숙한 면모를 보였다. 외조부 단옥재(段玉裁)에게서 직접 가르침을 받았으며, 한나라 시대의 고문 고전을 공부했다.[3] 이후 유봉록(劉逢祿)에게서 공양학(신해석학)을, 장철군(章鐵君)에게서 천태종 불교를 배웠다.[3]2. 3. 관직 생활
19세에 향시(鄕試) 부방(補欠合格)에 합격하였다. 21세에 무영전(武英殿)에 취직하여 고전 교정 및 출판 업무를 담당하였다. 27세에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회시(會試)에는 여러 차례 낙방하였다. 38세(1829년)에 회시에 합격하여 진사(進士) 자격을 얻었으나, 낮은 순위로 한림원(翰林院)에는 들어가지 못하였다. 예부 주사(禮部主事) 등 수도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최고 관직은 예부 주사(1837년)였다.[1]2. 4. 개혁 사상
28세 때 유봉록에게서 공양학을 연구하고, 친구 위원과 함께 정치 개혁을 강조하였다. 23세부터 25세에 걸쳐 《명양론(明良論)》, 《을병지제저의(乙丙之際著議)·숙의(塾議)》, 《평균편(平均篇)》을 저술하여 전제정치의 해악을 폭로하고 비판하였다.[3]공양전 연구에 관심을 가졌으며, 역사적 순환(혼돈 - 상승하는 평화 - 보편적 평화)에 대한 그의 이론을 사용하여 청 제국의 현재 사회 관행을 비판했다. 청나라가 내부 문제와 서구의 압력에 대처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우려로 1830년 공자는 개혁을 옹호하기 위해 다른 진보주의자들과 문학 클럽을 창립하였다. 대부분의 정치적 동료들과 달리 공자는 청나라 사회에 가장 큰 위험은 서구의 압력이 아니라 사회의 정신적 기반의 상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국내 문제 외에도, 국가는 북쪽의 러시아 차르와 동쪽의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외부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7]
아편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흠차대신 임칙서의 측근이 되었다. 공자는 청 정부가 린쩌쉬를 아편 거래를 진압하기 위해 남쪽으로 파견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흥분하여 린에게 영국 군함의 침략 가능성에 대비하여 남부 및 동남부 해안의 군사 방어를 강화할 것을 조언했다.
2. 5. 은퇴와 죽음
관직 생활에 대한 좌절과 사회 현실에 대한 실망으로 1839년(47세)에 사직했다.[1] 고향으로 돌아가던 중, 315편의 칠언절구 시를 묶은 《기해잡시(己亥雜詩)》를 저술했다.[1] 1841년 9월 26일, 장쑤성 단양(丹陽)에서 병으로 사망했다.[1] 향년 50세였다.[1] 일설에는 顧太清|고태청중국어과의 불륜으로 인해 독살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3. 사상과 학문
고증학자 단옥재에게서 어렸을 때 직접 가르침을 받았으며, 예민한 학문 재질과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다. 23세부터 25세에 걸쳐 《명양론(明良論)》, 《을병지제저의(乙丙之際著議)·숙의(塾議)》, 《평균편(平均篇)》을 저술하여 전제정치의 폐해를 비판하였다. 글솜씨가 뛰어나고 시를 잘 썼다.[1]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정암문집(定盦文集)』 3권
 - 『속집(続集)』 4권
 - 『부여집(附餘集)』
 - 『공정암별집(龔定盦別集)』
 - 『시집정본(詩集定本)』 2권
 - 『사정본(詞定本)』
 
3. 1. 공양학 연구
단옥재에게서 어렸을 때 직접 가르침을 받았으며, 28세 때 유봉록에게서 공양학을 연구하고 친구 위원(魏源)과 함께 정치 개혁을 강조하였다. 공자진은 공양학에 깊이 심취하여, 이를 바탕으로 역사 순환론을 주장하고 현실 정치와 사회를 비판했다. 위원(魏源)과 함께 공양학을 연구했으며, 이는 훗날 변법자강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1]공자진의 저서 중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것은 『춘추결사비(春秋決事比)』 6권과 『오경대의시종론(五經大義始終論)』, 『답문구장(答問九章)』이며, 위원(魏源)의 저서와 함께 문장의 묘미로 청대 말기의 학계를 풍미했다. 문체의 표절을 지적받기도 했지만, 그 학파의 유행은 후에 강유위(康有為)를 배출했다.[1]
공자진과 위원은 불설(佛說)을 채용하여 공양학(公羊學)의 방향을 정했고, 후에 공양학파는 공공연히 불제자(仏弟子)를 칭했으며, 강유위는 공자를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시하기에 이르렀다.[1]
3. 2. 서북 지리 연구
위원(魏源)의 《해국도지(海國圖志)》와 함께 서북 지리 연구의 중요한 저술로 평가받는 《서역행성의(西域行省議)》, 《몽고도지(蒙古図志)》 등을 저술하였다.3. 3. 농본주의
정암문집(定盦文集)에 실린 《농종론(農宗論)》은 농본주의(農本主義)에 기반한 사회 정책을 강조한 글로, 공자진의 정치적 성향을 엿볼 수 있다.[1]3. 4. 불교 연구
만년에 불교, 특히 천태종 연구에 몰두하였다. 팽소승(彭紹升)을 사숙하여 양귀자(壤歸子)라 칭하며 《용장고증(龍藏考證)》, 《삼보소문기(三普銷文記)》를 저술하였다.[1] 위원(魏源)과 함께 불교 사상을 공양학 연구에 도입하였고, 훗날 공양학파는 스스로 불제자라 칭하였으며, 강유위(康有為)는 공자를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시하기에 이르렀다.[1]4. 저서
공자진은 많은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제목 | 권수 | 
|---|---|
| 《춘추결사비(春秋決事比)》 | 6권 | 
| 《오경대의시종론(五經大義始終論)》 | |
| 《답문구장(答問九章)》 | |
| 《서역행성의(西域行省議)》 | |
| 《몽고도지(蒙古図志)》 | |
| 《정암문집(定盦文集)》 | 3권 | 
| 《속집(続集)》 | 4권 | 
| 《부여집(附餘集)》 | |
| 《공정암별집(龔定盦別集)》 | |
| 《시집정본(詩集定本)》 | 2권 | 
| 《사정본(詞定本)》 | |
| 《농종(農宗)》 | |
| 《정역(正譯)》 | |
| 《기해잡시(己亥雜詩)》 | |
| 《용장고증(龍藏考證)》 | |
| 《삼보소문기(三普銷文記)》 | 
이 중 《춘추결사비》, 《오경대의시종론》, 《답문구장》은 친구였던 위원(魏源)의 저서와 함께 청나라 말기 학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1] 《서역행성의(西域行省議)》, 《몽고도지(蒙古図志)》는 위원의 《해국도지(海國圖志)》와 함께 칭송받았다.[1] 《정암문집》에 실린 농종론(農宗論)은 농본주의(農本主義)에 기반한 사회 정책을 강조한 것으로, 공자진의 정치적 성향을 보여준다.[1]
5. 평가 및 영향
공자진의 사상은 청나라 말기 개혁파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캉유웨이와 그의 제자 량치차오는 공자진의 신해석학에 영향을 받아 변법자강운동을 전개했다.[12] 그는 공양전 연구를 통해 역사적 순환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 제국의 사회 관행을 비판했다.
공자진이 여행 중에 쓴 시는 책으로 묶여 ''기해잡시''가 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중국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고 있다. 그의 시는 제1차 아편 전쟁 직전의 국가에 대한 깊은 우려와 개혁에 대한 그의 생각을 담고 있다.
1990년에는 항저우에 공자진 기념관이 건립되었다.[13]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Gong Zizhen
 
http://www.britannic[...] 
2013-03-03
 
[3] 
웹사이트
 
Gong Zizhen
 
http://www.rendition[...] 
Research Centre for Translation of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3-03-03
 
[4] 
웹사이트
 
Gong Zizhen (1792-1841) A reform-minded official and poet
 
http://english.jschi[...] 
English JSChina.com.cn
 
2012-02-04
 
[5] 
웹사이트
 
Persons in Chinese History - Gong Zizhen
 
http://www.chinaknow[...] 
ChinaKnowledge
 
2013-03-03
 
[6] 
웹사이트
 
Former Residence of Gong Zizhen
 
http://english.51766[...] 
51766.com
 
2012-02-04
 
[7]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8] 
웹사이트
 
Gong Zizhen
 
http://www.chinacult[...] 
ChinaCulture.org
 
2013-03-03
 
[9] 
웹사이트
 
Hangzhou, Zhejiang, China to Danyang, Jiangsu, China
 
http://www.wolframal[...] 
WolframAlpha.com
 
2013-03-03
 
[10] 
웹사이트
 
Gong Zizhen (1792-1841) A reform-minded official and poet
 
http://english.jschi[...] 
English JSChina.com.cn
 
2012-02-04
 
[11] 
웹사이트
 
Gong Zizhen
 
http://www.wiki86.co[...] 
China Wikipedia
 
2013-03-03
 
[12] 
서적
 
Classicism, politics, and kinship: the Chang-chou school of New Text Confucianism in late imperial China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웹사이트
 
Gong Zizhen, Memorial
 
http://www.wiki86.co[...] 
China Wikipedia
 
2013-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