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과달키비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과달키비르 강은 스페인 남부를 흐르는 주요 강으로, 아랍어 "큰 강"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하엔 주에서 발원하여 코르도바, 세비야를 거쳐 대서양으로 흘러들어가며, 이베리아 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다. 고대에는 타르테소스 강, 로마 시대에는 Baetis로 불렸으며, 라스 마리스마스 습지를 형성하고 도냐나 국립공원과 인접해 있다. 세비야는 과거 이 강의 항구로 번성했으나, 퇴적과 무역로 변화로 인해 쇠퇴했다. 과달키비르 강은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되며, 홍수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코르도바의 로마 다리, 세비야의 여러 다리, 엘 트랑코 데 베아스 댐 등이 있으며, 세비야 항은 중요한 항구로 기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비야도의 지리 - 도냐나 국립공원
    도냐나 국립공원은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다양한 생태계를 가진 국립공원으로, 환경 문제에 직면해 보존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과달키비르강
지도
강이 굽이쳐 흐르는 몬토로.
과달키비르 강의 위치
기본 정보
이름과달키비르 강
로마자 표기Guadalquivir
어원아랍어 (al-wādī l-kabīr), "큰 계곡" 또는 "큰 강"에서 유래
국가스페인
지역안달루시아
도시코르도바, 세비야
길이657 km
유량 측정 위치알몬테 (우엘바) 및 산루카르데바라메다 (카디스)
평균 유량164.3 m³/s
발원지
발원지카냐다 데 라스 푸엔테스
발원지 위치카솔라 산맥, 케사다 (하엔)
하구
하구대서양
하구 위치알몬테 (우엘바) 및 산루카르데바라메다 (카디스)
하구 고도0 m
수계
유역
유역 면적56978 km²
지류
왼쪽 지류과디아나메노르 강, 과달불론 강, 과다호스 강, 헤닐 강, 코르보네스 강, 과다이라 강
오른쪽 지류과달리마르 강, 한둘라 강, 예구아스 강, 과달멜라토 강, 과디아토 강, 벰베사르 강, 비아르 강, 리베라데우엘바 강, 과디아마르 강
추가 정보

2. 명칭

과달키비르 강의 현대 명칭은 아랍어 ''al-wādī l-kabīr'' (اَلْوَادِي الْكَبِيرْ|알 와디 알 카비르ar)에서 유래했으며, "큰 강"을 의미한다.[6][7][8]

고대 및 고대 이전 시대에는 과달키비르 강을 부르는 다양한 이름이 있었다. 리비우스의 『로마사』 28권에 따르면, 타르테소스인 또는 투르데타니인은 이 강을 ''Certis'' (Kertis)와 ''Rherkēs'' (Ῥέρκης|레르케스grc)의 두 이름으로 불렀다.[9] 그리스 지리학자들은 때때로 이 강을 그 도시 이름을 따서 "타르테소스 강"이라고 불렀다. 로마인들은 이 강을 Baetis|바에티스la라고 불렀는데, 이 이름은 히스파니아 바에티카 주의 이름의 기초가 되었다.

현재의 과달키비르 강(Guadalquivir)이라는 명칭은 아랍어 "al-wādi al-kabīr"(الوادي الكبير)에서 유래했으며, "큰 강바닥"을 의미한다. 고전 아랍어의 Wadi는 현대 아랍어 마그레브 방언에서는 Oued로 발음된다.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에서 이주민이 들어오기 전, 이 지역 주민들은 이 강을 Kertis나 Perkes라고 불렀다.[21]

3. 지리

과달키비르강 발원지


과달키비르강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다. 타호강(1,070km), 에브로강(910km), 두에로강(897km), 과디아나강(744km) 다음으로 길다. 과디아나강은 스페인포르투갈 두 나라를 흐르며, 스페인 영토 구간의 길이는 602km이므로, 스페인 영토 구간만 비교하면 과달키비르강은 스페인에서 네 번째로 긴 강이다.

베티코 산맥의 Sierra de Cazorla|카솔라 산지es(하엔주 Quesada, Spain|케사다영어)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코르도바, 세비야 등의 대도시를 지난다. 이후 카디스 만의 산루칼 데 바라메다 부근에서 대서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3. 1. 유로

과달키비르강은 길이 657km, 유역 면적 58000km2이다. 하엔주의 시에라 데 카솔라 산맥에서 발원하여 코르도바, 세비야를 거쳐 산루카르 데 바라메다 부근 카디스 만을 통해 대서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과달키비르강의 흐름은 상류, 중류, 하류 세 부분으로 나뉜다.[4]

3. 1. 1. 상류



과달키비르강의 상류는 발원지에서 멩히바르 부근까지 이어지며, 멩히바르 동쪽에서 과달리마르강과 합류한다.[4] 과달키비르강은 하엔주 시에라 데 카솔라 산맥의 케사다 마을 근처 카냐다 데 라스 푸엔테스에서 발원한다.

3. 1. 2. 중류

과달키비르강 중류(curso medioes)는 멩히바르 부근에서 시작하여 팔마 델 리오 부근에서 끝난다. 과디아나 메노르 강과 헤닐 강과의 합류 지점도 포함된다.[4] 헤닐 강과의 합류 지점은 팔마 델 리오와 페냐플로르 사이에 위치한다.

3. 1. 3. 하류

과달키비르강의 하류는 팔마 델 리오에서 바다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5] 하류에서는 코르보네스 강과 (북서쪽에서) 온바 강이 합류한다.[4] 강 어귀의 습지 저지대는 "라스 마리스마스"로 알려져 있으며, 도냐나 국립공원 보호구역과 접해 있다.

라스 마리스마스는 하구의 대규모 습지로, 도냐나 국립공원과 접해 있다. 과달키비르강은 스페인에서 유일하게 대형 선박이 항해할 수 있는 강이며, 현재는 세비야까지 항해할 수 있지만, 로마 시대에는 코르도바까지 항해할 수 있었다. 하구의 도냐나 국립공원[22] 및 옛 하천의 Brazo del Este del Guadalquivir|브라소 델 에스테es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23]

탈레소스 고대 왕국의 위치는 특정되지 않았지만, 과달키비르강 하구에 있었다고 여겨진다.[24]

4. 역사

페니키아인들은 과달키비르 강에 최초의 무역 거점을 설립하고 귀금속을 거래했다. 로마인들은 이 강을 베티스(Baetis)라고 명명하고 히스팔리스(현재의 세비야)에 중요한 항구를 건설했다. 무어인들은 항구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석조 도크와 토레 데르 오로(황금의 탑)를 건설했다. 13세기에는 페르난도 3세가 조선소를 확장했고, 번영하는 세비야 항구에서는 여러 물품들이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다.

15세기 말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자 세비야는 스페인 제국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세비야 항구는 대서양을 잇는 해양 무역을 독점했고, 카사 데 콘트라타시온(통상원)이 권세를 휘둘렀다. 과달키비르 강의 항해는 점차 어려워졌고, 세비야가 독점하던 무역은 결국 카디스로 옮겨갔다. 1794년에는 코르타 데 메르리나라는 인공 운하가 건설되어 세비야 항의 현대화가 시작되었다.

중세 시대에 과달키비르 강은 세비야에서 코르도바까지 바지선(화물 운반선)이 항해할 수 있었으며, 코르도바에 비용 이점을 제공했다. 그러나 16세기 동안 과달키비르 강의 퇴적은 점점 심각해져 강의 항해를 멈추게 했다. 코르도바와 세비야 사이의 강 구간을 동력원으로 사용한 것과 수문(weir)은 항해를 직접 방해했다. 결국, 이러한 발전은 그 지역의 내륙 항해에 종지부를 찍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5년에 걸쳐 조위 조절 공사가 진행되어 2010년 11월 하순에 새로운 세비야 수문이 가동을 시작했다.

4. 1. 고대 ~ 중세

홀로세 동안 과달키비르 강 서쪽 계곡은 타르테소스 만이라는 내해였다.[10]

페니키아인들은 최초의 정박지를 건설하고 귀금속을 거래했다. 과달키비르 강 어귀에 있었다고 알려진 고대 도시 타르테소스는 그 위치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로마 공화국 시대에는 강의 로마식 이름이 '바에티스(Baetis)'였으며, 기원전 2세기에 히스팔리스(세비야)에 정착하여 중요한 강항으로 만들었다. 기원전 1세기에는 히스팔리스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가 되었고, 밀을 운반하는 긴 배를 건조하는 조선소가 있었다. 1세기에는 히스팔리스에 전체 해군 함대가 주둔했다. 다양한 상품(광물, 소금, 생선 등)을 실은 배가 로마로 항해했다. 712년부터 1248년까지의 아랍 통치 기간 동안 무어인들은 항구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돌 부두와 토레 델 오로(황금의 탑)를 건설했다.

13세기에 페르디난드 3세는 조선소를 확장했고, 세비야의 번화한 항구에서는 곡물, 기름, 포도주, 양모, 가죽, 치즈, 꿀, 밀랍, 견과류, 건조 과일, 소금에 절인 생선, 금속, 비단, 리넨, 염료 등이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다.

4. 2. 근세 ~ 현대

페니키아인들은 최초의 무역 거점을 설립하고 귀금속을 거래했다. 기원전 2세기에 히스팔리스(현재의 세비야)에 정착한 로마인들은 이 강을 베티스(Baetis)라고 명명하고 히스팔리스에 중요한 항구를 건설했다. 기원전 1세기까지 히스팔리스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가 되었고, 그 조선소에서는 곡물을 운반하는 대형 선박이 건조되었다. 기원 1세기에는 히스팔리스가 로마 해군 함대 전체의 근거지가 되었다. 광석, 소금, 생선 등 다양한 물품을 실은 배들이 로마로 출항했다.[10]

안달루시아 지방이 이슬람교도의 지배하에 있던 712년부터 1248년까지, 무어인들은 항구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석조 도크와 토레 데르 오로(황금의 탑)를 건설했다. 13세기 중반에는 기독교도들이 이슬람교도로부터 안달루시아 지방을 탈환했다. 13세기에는 페르난도 3세가 조선소를 확장했고, 번영하는 세비야 항구에서는 곡물, 올리브 오일, 와인, 양모, 가죽, 치즈, 꿀, 밀랍, 견과류, 건조 과일, 건어물, 금속, 비단, 삼베, 염료가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다.[10]

15세기 말 스페인 사람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자 세비야는 스페인 제국의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세비야 항구는 대서양을 잇는 해양 무역을 독점했고, 카사 데 콘트라타시온(통상원)이 권세를 휘둘렀다. 과달키비르 강의 항해는 점차 어려워졌고, 세비야가 독점하던 무역은 결국 대서양 카디스 만에 면한 카디스로 옮겨갔다. 1794년에는 코르타 데 메르리나라는 인공 운하가 건설되어 세비야 항의 현대화가 시작되었다.[10][11]

2005년부터 2010년까지 5년에 걸쳐 조위 조절 공사가 진행되어 2010년 11월 하순에 새로운 세비야 수문이 가동을 시작했다.[11]

4. 3. 중세 시대 코르도바와 세비야 사이의 항해

페니키아인들은 최초의 무역 거점을 설립하고 귀금속을 거래했다. 기원전 2세기에 히스팔리스(현재의 세비야)에 정착한 로마인들은 이 강을 '바에티스(Baetis)'라고 명명하고 히스팔리스에 중요한 항구를 건설했다. 기원전 1세기까지 히스팔리스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가 되었고, 그 조선소에서는 곡물을 운반하는 대형 선박이 건조되었다. 1세기에는 히스팔리스가 로마 해군 함대 전체의 근거지가 되었다. 광물, 소금, 생선 등 다양한 물품을 실은 배들이 로마로 출항했다.[10]

712년부터 1248년까지 안달루시아 지방이 이슬람교도의 지배를 받던 시기, 무어인들은 항구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석조 도크와 토레 델 오로(황금의 탑)를 건설했다. 13세기에는 페르난도 3세가 조선소를 확장했고, 번영하는 세비야 항구에서는 곡물, 올리브 오일, 와인, 양모, 가죽, 치즈, 꿀, 밀랍, 견과류, 건조 과일, 건어물, 금속, 비단, 삼베, 염료가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다.[10]

중세 시대에 과달키비르 강은 세비야에서 코르도바까지 바지선(화물 운반선)이 항해할 수 있었다. 도시에는 알볼라피아 수차와 마르토스 수차 근처에 선착장이 있었다. 부피가 큰 양털 운송은 종종 하류 약 15km 지점에 있는 코르티호 루비오(Cortijo Rubio) 선착장에서 출발했다.[11][12] 중세 시대에 항해 가능한 강은 코르도바에 비용 이점을 제공했다. 바다, 그리고 세계 시장까지 상대적으로 저렴한 운송 수단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철과 목재와 같은 주요 수입품 또한 수운이 없는 도시보다 코르도바에서 더 저렴했다. 16세기 동안 과달키비르 강의 퇴적(토사 등이 쌓이는 현상)은 점점 심각해져 강의 항해를 멈추게 했다.[12] 1524년 페르난 페레스 데 올리바는 세비야와 코르도바 사이의 항해에 대한 유명한 연설을 했다.[13]

코르도바와 세비야 사이의 강 구간을 동력원으로 사용한 것이 이 구간의 항해 감소의 또 다른 이유였다.[12] 물레방아에 안정적인 동력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물을 저장하는 수문(weir)은 항해를 직접 방해했다. 수문에는 개구부가 있었지만, 통과하는 과정에서 바지선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14] 수문은 또한 강바닥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페레스 데 올리바는 항해를 복원하기 위한 예비 조치로 이러한 수문에 수문을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13][15] 결국, 위에서 언급한 발전은 그 지역의 내륙 항해에 종지부를 찍었다.[12]

상징적인 알볼라피아는 수력으로 작동하는 물레(scoop wheel)이다. 원래 로마인들이 건설했으며, 강에서 인근 알카사르 정원으로 물을 퍼 올렸다. 또한 밀가루를 빻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6]

5. 홍수

1892년 세비야 홍수


과달키비르 강 유역은 63,085km²의 면적을 차지하며, 오랜 역사 동안 심각한 홍수를 겪어 왔다.

2010년 겨울, 폭우로 인해 안달루시아 지방의 세비야, 코르도바, 하엔 주의 농촌 지역과 농업 지역에 심각한 홍수가 발생했다. 2월 한 달 동안 누적 강수량은 250mm를 넘었는데, 이는 스페인의 그 달 강수량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였다. 2010년 3월, 과달키비르 강의 여러 지류가 범람하여 과달키비르 강의 유량 증가로 인해 1,5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나야 했다. 2010년 3월 6일 코르도바에서는 2000m3/s의 유량을 기록했고, 세비야에서는 2700m3/s에 달했다. 이는 1963년 세비야 홍수 당시 6000m3/s의 유량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2010년 8월 하엔, 코르도바, 세비야에서 홍수가 발생했을 때 코르도바에서 3명이 사망했다.[17] [25]

과달키비르 강은 여러 차례 대규모 홍수를 일으켰는데, 1963년 세비야 홍수 당시에는 초당 6000m3/s의 유량을 기록했다.

6. 환경 문제

아스날콜라르 재해(과디아마르 재해 또는 도냐나 재해)는 안달루시아에서 발생한 산업 재해이다. 1998년 4월 세비야 주 아스날콜라르 근처 로스 프라이레스 광산의 보유 댐이 붕괴되어 광미가 유출되었고, 이 사건으로 도냐나 국립공원도 피해를 입었다.

6. 1. 오염

아스날콜라르 재해(과디아마르 재해 또는 도냐나 재해)는 안달루시아에서 발생한 산업 재해이다. 1998년 4월 세비야 주 아스날콜라르 근처 로스 프라이레스 광산의 보유 댐이 붕괴되어 약 4e6m3에서 5e6m3의 광미가 유출되었다. 이 사건으로 도냐나 국립공원도 피해를 입었다.

7. 시설

과달키비르 강에서 바라본 코르도바 역사지구의 모습.


과달키비르 강에는 교량, 댐, 항구 등 여러 시설들이 있다.

7. 1. 교량

과달키비르 강을 가로지르는 많은 다리들 중 가장 오래된 것 중 하나는 코르도바의 로마 다리이다. 세비야의 중요한 다리로는 알라밀로 다리(1992년 완공), 이사벨 2세 다리 또는 트리아나 다리(1852년 완공), 그리고 센테나리오 다리(1992년 완공)가 있다.[18]

코르도바의 로마교

7. 2. 댐

엘 트랑코 데 베아스 댐은 프랑코 정권의 수력발전 사업으로 1929년부터 1944년까지 건설되었다. 도냐 알돈자 댐은 안달루시아 지방 하엔 주의 우베다, 페알 데 베세로, 토레페로길 자치구에 있는 과달키비르 강 바닥에 위치해 있다.

7. 3. 항구

세비야 항의 지도. 기존 수로(진녹색)와 폐쇄된 수로(연두색) 표시


세비야 항은 과달키비르강의 주요 항구이다. 세비야 항만청은 세비야 항의 개발, 관리, 운영 및 마케팅을 담당한다.

세비야 항의 입구는 수위를 조절하는 갑문으로 보호되어 있어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세비야 항에는 공용 부두가 2700m 이상, 사유 부두가 1100m 이상 있다. 이 부두들은 벌크화물(고체 및 액체), 롤온/롤오프 화물, 컨테이너, 사설 선박 및 크루즈 선박에 사용된다.[19]

2001년 세비야 항은 약 4.9e6t의 화물을 처리했는데, 여기에는 고체 벌크화물 , 일반화물 1.6e6t, 액체 벌크화물 264000ton 이상이 포함된다. 1,500척이 넘는 선박이 화물을 항구로 운반했으며, 여기에는 TEU 단위의 컨테이너 화물 101,000개 이상이 포함된다.[19]

8. 지류

과달키비르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좌안 (남안): 과디아나메노르강, 과달불론강, 과다호스강, 헤닐 강, 코르보네스강, 과다이라강
  • 우안 (북안): 과달리마르강, 한둘라강, 예구아스강, 과달멜랴토강, 과디아토강, 벰베사르강, 비아르강, 우엘바강, 과디아마르강

8. 1. 좌안 (남안)


  • Guadiana Menor|과디아나메노르강es
  • Guadalbullón|과달불론강es
  • Río Guadajoz|과다호스강es
  • 헤닐 강
  • Corbonés|코르보네스강es
  • Guadaira|과다이라강영어

8. 2. 우안 (북안)


  • Guadalimares
  • Jándula (cuenca del Guadalquivir)es
  • Río Yeguases
  • Guadalmellato영어
  • Río Guadiatoes
  • Bembézares
  • Viares
  • Rivera de Huelvaes
  • Guadiamar영어

9. 그림 모음

도냐나 국립공원 내의 강 모습


참조

[1] 웹사이트 Guadalquivir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30
[2] 웹사이트 Guadalquivir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백과사전 Guadalquivir 2019-05-30
[4] 간행물 Anejo Nº2. Descripción General de la Demarcación, Demarcación Hidrográfica del Guadalquivir https://www.chguadal[...] Confederación Hidrográfica del Guadalquivir
[5] 논문 Establecimiento del Régimen de Flujo en el Estuario del Guadalquivir, mediante... https://sge.usal.es/[...] Sociedad Geológica de España
[6] 서적 Materiales para el estudio de la toponimia hispanoárabe: nómina fluvial https://books.google[...]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Instituto de Filología
[7] 서적 The Legacy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Brill
[8] 서적 Volume 16, Tome I: Kierkegaard's Literary Figures and Motifs: Agamemnon to Guadalquivir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4-10-28
[9]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10] 논문 Modeling tides and tsunami propagation in the former Gulf of Tartessos, as a tool for Archaeological Science 2013-12
[11] 서적 Sevilla y sus mercaderes a fines de la Edad Media https://books.google[...] Vicerrectorado de Relaciones Institucionales y Extención Cultural, Fundaión el Monte, Sevilla
[12] 웹사이트 El puerto fluvial de Córdoba en la Edad Media https://www.artencor[...] 2023-12-15
[13] 서적 Las obras del Maestro Fernan Perez de Oliva https://books.google[...] Benito Cano, Madrid
[14] 서적 Recuerdos y bellezas de España https://books.google[...] Imprenta de Repullés, Madrid
[15] 서적 De recensent, ook der recensenten https://books.google[...] Van der Hey en Zoon, Amsterdam
[16] 웹사이트 Córdoba Molino de Albolafia mill, The city of Córdoba tourist main sights, Andalusia, southern Spain http://www.andalucia[...] Andalucia.com 2011-10-19
[17] 웹사이트 Spain Water Problem: The Guadalquivir river ne https://web.archive.[...] Tobaccoirrigation.com
[18] 서적 Casos de éxito de las empresas murcianas https://books.google[...] ESIC Editorial
[19] 웹사이트 Port of Seville http://www.worldport[...]
[20] 문서 グアダルキビル川流域の都市誌 https://hdl.handle.n[...] 1979-03-31
[21]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Geography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2] 웹사이트 Doñana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7-01-01
[23] 웹사이트 Paraje Natural Brazo del Est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7-02-19
[24] 문서 アンダルシア http://www.spain.inf[...] スペイン政府観光局
[25] 웹사이트 Spain Water Problem: The Guadalquivir river ne http://tobaccoirriga[...] Tobaccoirrigation.com
[26] 웹사이트 Cordoba Molino de Albolafia mill, The city of Cordoba tourist main sights, Andalucia, southern Spain http://www.andalucia[...] Andalucia.com
[27] 웹사이트 WPS - Home Page http://www.worldport[...] Worldportsourc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