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로글리 서사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로글리 서사시는 튀르크 문화권에서 널리 알려진 영웅 서사시로, "눈먼 자의 아들" 또는 "진흙의 아들"이라는 뜻을 지닌다.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터키, 우즈베키스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전승되며, 영웅 쾨로글루와 그의 동료들의 모험을 다룬다. 2015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괴로글리 서사 예술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괴로글리라는 이름은 지명, 오페라,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크 신화 - 마나스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 마나스와 그의 후손들의 활약상을 담은 대서사시 《마나스》는 키르기스 민족의 용맹함과 공동체 의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구전되어 오다가 기록되었으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키르기스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튀르크 신화 - 오구즈 칸
오구즈 칸은 튀르크 민족의 기원을 설명하는 전설 속 영웅으로, 세상을 정복할 운명을 지녔으며 튀르크 민족의 주요 부족들을 형성하는 아들들을 두었고, 튀르크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문화적 유산을 남겨 튀르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있다.
괴로글리 서사시 | |
---|---|
개요 | |
![]() | |
유형 | 영웅 서사시 |
언어 | 오구즈어 |
국가 | 아제르바이잔 이란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
주제 | 복수를 추구하는 영웅의 이야기 |
상세 내용 | |
다른 이름 | 괴로글리 서사시 (한국어) Köroğlu destanı (튀르키예어) Görogly dessany (투르크멘어) Koroğlu dastanı (아제르바이잔어) Goʻr oʻgʻli dostoni (우즈베크어) |
설명 | 튀르크 민족의 영웅 서사시. 전설은 일반적으로 잘못된 것을 복수하려는 영웅을 묘사한다. |
2. 명칭 및 어원
튀르크어로 "쾨로글루"라는 이름은 "눈먼 자의 아들", "불씨의 아들" 또는 "진흙의 아들"(진흙은 죽음을 의미한다)을 뜻한다. 그의 본명은 아제르바이잔어로는 , 튀르키예어로는 Ruşen Alitr, 투르크멘어로는 이며, 이는 "빛" 또는 "밝음"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رُوشن|Rowšanfa에서 차용된 단어이다.
중앙아시아와 터키 등지에서 쾨로글루 서사시는 구전으로 전승되며, 각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3. 각국의 쾨로글루 전통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라고 불리며, "무덤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이 서사시는 영웅 와 그의 40명의 전사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투르크멘의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묘사한다. 2015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아제르바이잔 및 터키 판본에서 Köroğlutr(문자 그대로 "눈먼 자의 아들")는 외부 위협으로부터 자신의 씨족 또는 부족을 방어하는 영웅으로 그려진다. 그는 도적이자 오잔으로 묘사되며, Köroğlutr에게 귀속된 많은 노래와 멜로디가 민속 전통에 남아 있다.[10]
우즈베크 바흐시(다스탄 또는 서사시의 이야기꾼) 전통에서 쾨로을루의 이름에 대한 역사와 해석은 튀르크 전통과는 다르다. 우즈베크어에서 "Go‘ro‘g‘li"는 "무덤의 아들"을 의미한다.
3. 1. 투르크메니스탄 전통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이 서사시는 라고 불리며, "무덤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투르크멘 서사시 중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며, 전문적인 공연자를 데산치 바그시라고 부른다.[6]
서사시는 영웅 와 그의 40명의 전사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투르크멘의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묘사한다. 서사시의 첫 번째 "장"은 의 탄생과 성장, 날개 달린 말 기라트의 양육, 찬디빌 요새 건설, 전사 모집에 관한 것이다. 이후 가 요정 소녀 와 결혼하고, 이모 을 납치한 에게 복수하며, 오베즈를 입양하고 그를 구출하여 결혼시키는 이야기가 이어진다. 가 과 싸우고, 술탄의 군대가 의 나라를 공격하여 오베즈를 납치하는 이야기, 대장장이의 아들인 고로글리 하산의 입양 등 영웅적인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 서사시는 노년에 동굴로 은퇴한 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로 끝난다.[6]
의 구술 공연에는 내레이션, 노래, 즉흥 연주, 연기 등 다양한 형태의 예술이 사용된다. 데산치 바그시는 뛰어난 기억력, 음악적 기량, 지성을 갖추어야 한다. 공연자는 두타르(두 줄 현악기)와 기작(바이올린과 유사한 악기)과 같은 전통 악기를 연주하고 서사시의 다양한 멜로디를 부르며 즉흥 연주를 할 수 있어야 한다.[8]
이 서사시는 투르크멘 사람들이 그들의 공통 역사와 사회적 가치를 배우고 젊은 세대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젊은이들을 교육하고 국가 정체성, 자긍심, 단결을 강화하는 도구로 사용되며, 부지런함, 정확한 사고, 조국의 역사와 문화를 사랑하도록 가르친다. 다른 국가와 문화에 대한 존중도 장려된다.[7] 2015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3. 2. 아제르바이잔 및 터키 전통
거의 모든 판본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주제는 영웅 Köroğlutr(문자 그대로 "눈먼 자의 아들")가 외부 위협으로부터 자신의 씨족 또는 부족을 방어한다는 것이다. 많은 판본에서 Köroğlutr는 아버지의 부당한 실명 때문에 이 이름을 얻게 되는데, 이는 아들이 복수하고 모험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그는 도적이자 오잔으로 묘사된다. Köroğlutr에게 귀속된 많은 노래와 멜로디가 민속 전통에 남아 있다.[10]
이야기에서 Köroğlu destanıtr는 마부 코카 유수프의 아들인 루센 알리로 묘사되며, 그는 볼루의 베이를 섬기며 되르트디반에 산다. 유수프는 훈련된 눈으로 잘 먹이면 훌륭한 짐승이 될 동물을 발견한다. 베이는 술탄에게 좋은 암말을 선물하려 하지만, 말에 대해 잘 몰라 굶주린 동물을 알아보지 못한다. 그는 조롱받고 있다고 의심하여 유수프의 눈을 멀게 하고, 아들 루센 알리는 쾨로글루라는 별명을 얻고 복수를 다짐한다. 그는 키라트(''kır at''은 "회색 말"을 의미하며, ''kırat''은 "캐럿", "품질"을 의미하기도 한다)라는 말과 함께 자랐는데, 이 말은 전설적인 힘을 가진 동물로 변한다.
어느 날, 흐르는 꿈에서 유수프에게 아라스 강의 물이 짙은 거품 형태로 흐를 것이며, 그 거품을 마시는 자는 치유될 것이라고 말한다. 유수프는 아들과 함께 강으로 가지만, 아들이 먼저 거품을 마셔 영원한 젊음을 얻게 된다. 유수프는 시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죽으면서 아들에게 복수를 부탁한다.
어떤 판본에서는 유수프와 아들 모두 거품을 마시지 못한다. 쾨로글루는 강가에 있었지만, 그 중요성을 알지 못해 마시지 않았고, 대신 그의 말 키라트가 마시고 불멸이 된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쾨로글루는 베이에게 맞서 싸운다. 그는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며, 베이의 재산을 약탈하고 포획자들을 피해 도망친다.
그러나 화기가 전해지면서 전사의 방식이 바뀐다. 쾨로글루는 "구멍 난 철"이라 불리는 총 때문에 권력의 균형이 깨지고, 북부 아나톨리아의 베이들이 서로 잔혹한 전쟁을 벌이는 것을 본다. 쾨로글루는 베이를 쓰러뜨려도 낡은 세상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그의 추종자들을 해산하고 사라진다.[10]
쾨로글루의 멜로디는 레슬링과 같은 전통적인 키르크피나르에서 들을 수 있다. 주르나와 다불 연주팀이 레슬러들이 겨루는 동안 계속 연주한다.
야샤르 케말은 1967년 소설 ''Üç Anadolu Efsanesi''에서 이 전설을 수집했는데, 이 소설은 현대 문학에서 가장 뛰어난 쾨로글루 참고 자료로 남아 있다.
3. 3. 우즈베키스탄 전통
우즈베크 바흐시(다스탄 또는 서사시의 이야기꾼으로, 보통 둠비라라는 두 줄 악기를 연주함) 전통에서 쾨로을루의 이름에 대한 역사와 해석은 튀르크 전통과는 다르다. 우즈베크어에서 "Go‘ro‘g‘li"는 투르크멘어와 마찬가지로 "무덤의 아들"을 의미한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고로글리의 어머니는 임신 마지막 달에 사망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고로글리를 뱃속에 품은 채 그녀를 매장한다. 얼마 후, 지역 양치기가 양의 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는 양을 몰래 지켜보다가 3~4세 정도의 어린 소년이 양을 잡아먹는 것을 발견한다. 그 소년을 잡으려 하자, 그는 도망쳐 무덤 속에 숨는다. 이야기 속에서 그는 거인들과 싸워 그들을 죽이게 된다. 고로글리는 "G`irot"이라는 말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고로글리 국가의 수도는 전설적인 챔빌에 있었다.
4. 국제적인 인정
2015년 12월, 투르크메니스탄의 서사 예술인 괴로글리(Görogly)는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13]
5. 지명
아시가바트에는 괴로글리 쾨체시(Görogly köçesi)라는 거리가 있다. 대쇼구즈 근처의 마을 이름도 괴로글리이다.[14]
6. 예술 작품
아제르바이잔의 작곡가 우제이르 하지베요프는 쾨로글루 오페라를 작곡했다.[5] 이 오페라는 아쉬크 이야기를 활용하고, 아쉬크 음악과 주요 고전 작품을 훌륭하게 결합했다. 쾨로글루는 영화, 소설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6. 1. 영화
1960년 애프라시야프 마마도프 감독의 영화 "괴로을루",[3] 1968년 아트프 일마즈 감독, 쉬네이트 아르킨 주연의 영화 "괴로을루",[1] 2003년 뢰브센 알무라들리 감독의 영화 "괴로을루"[4] 가 제작되었다.6. 2. 소설
야샤르 케말의 소설 《세 개의 아나톨리아 전설》에 쾨로글루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2]참조
[1]
서적
Singing the Past: Turkic and Medieval Heroic Poet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0
[2]
웹사이트
Koroglu, Literary Tradition
https://iranicaonlin[...]
[3]
웹사이트
Քյորօղլին՝ կալանավոր — Վիքիդարան
https://hy.wikisourc[...]
2024-03-05
[4]
서적
Gorogly
Turkmenistan Neshiryaty
1980
[5]
웹사이트
Ruşen
https://www.nisanyan[...]
[6]
서적
Gorogly
Turkmenistan Neshiryaty
1980
[7]
서적
Gorogly
Turkmenistan Neshiryaty
1980
[8]
서적
Gorogly
Turkmenistan Neshiryaty
1980
[9]
서적
Gorogly
Turkmenistan Neshiryaty
1980
[10]
웹사이트
KÖROĞLU - Ozanlarımız
http://www.turkuler.[...]
[11]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Routledge
2003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ajikistan
Scarecrow
2010
[13]
웹사이트
Turkmen Epic Art of Gorogly inscribed on UNESCO's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ttp://www.turkmenis[...]
2015-12-19
[14]
OpenStreetMap
OpenStreetMap
https://www.openstre[...]
[15]
웹인용
괴로글리 서사시 예술
https://heritage.une[...]
[16]
서적
Singing the Past: Turkic and Medieval Heroic Poet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0
[17]
웹인용
Koroglu, Literary Tradition
https://iranicaon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