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나스는 영웅 마나스와 그의 후손들의 활약상을 담은 키르기스 민족의 서사시이다. 오이라트의 침략으로 시작하여 마나스가 부족을 통합하고 칸으로 추대되는 과정을 그린다. 구전으로 전승되어 정확한 연대는 불분명하지만, 7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만들어졌다는 설과 15세기에서 18세기의 사건을 반영한다는 설이 있다. 19세기 후반에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20세기 초에는 암송 유행이 일었다. 마나스치는 서사시를 낭송하는 전문 예능인으로, 키르기스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09년 중국, 2013년 키르기스스탄의 마나스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23년에는 사본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크 신화 - 오구즈 칸
    오구즈 칸은 튀르크 민족의 기원을 설명하는 전설 속 영웅으로, 세상을 정복할 운명을 지녔으며 튀르크 민족의 주요 부족들을 형성하는 아들들을 두었고, 튀르크 민족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문화적 유산을 남겨 튀르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있다.
  • 튀르크 신화 - 괴로글리 서사시
    괴로글리 서사시는 튀르크 문화권의 영웅 서사시로, 쾨로글루와 그의 동료들의 모험을 다루며, 2015년에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괴로글리 서사 예술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마나스
기본 정보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에 있는 마나스 동상
원제마나스 다스타니
원제 (키르기스어 로마자 표기)Manas dastany
원제 (키르기스어 아랍 문자)ماناس داستانی
원제 (IPA)mɑnɑ́s tɑstʰɑnɤ́
원제 (중국어)瑪納斯
언어키르기스어
주제키르기스 전사와 그의 자손이 주변의 튀르크, 몽골, 중국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이야기
장르서사시
형식서사시
길이약 553,500행
역사
창작 시기18세기
관련 정보
관련 인물마나스치

2. 내용



《마나스》는 키르기스의 영웅 서사시로, 마나스와 그의 후손들의 활약상을 다룬다. 서사시는 총 3부로 나뉘며, 1부는 마나스, 2부는 그의 아들 세메테이, 3부는 손자 세이테크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서사시는 오이라트의 침략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시작된다. 자킵은 아들이 없어 기도하던 중 마나스를 얻고, 마나스는 태어날 때 함께 태어난 망아지 토루차르를 받는다. 마나스는 뛰어난 능력으로 키르기스 부족을 통합하고 칸으로 추대된다.

마나스는 위구르를 정복하고, 아프가니스탄과는 동맹을 맺는 등 세력을 확장한다. 이후 부하라 지배자의 딸과 결혼하여 트란스옥시아나 지역과도 관계를 맺는다. 키르기스족은 마나스의 도움으로 알타이 산맥에서 현재의 키르기스스탄 지역으로 이동한다.

《마나스》는 낭송자(마나스치)에 의해 구전으로 전승되며, 낭송자의 창작이 더해져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주요 내용은 쿠타이족칼막족과의 전쟁이며, '한도 내의 변화의 원칙'에 따라 이야기가 유형화되는 특징을 보인다.[21]

2. 1. 주요 등장인물


  • '''마나스''': 키르기스 민족의 영웅이자 지도자이다. 오이라트의 침략으로 어려움을 겪던 시기에 태어나, 뛰어난 힘과 관대함으로 백성을 규합하고 칸으로 추대된다. 위구르, 아프가니스탄 등 주변 민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키르기스 민족을 알타이 산맥에서 현재의 키르기스스탄 지역으로 이끈다.
  • '''세메테이''': 마나스의 아들로, 서사시의 두 번째 부분에서 그의 업적이 묘사된다.
  • '''세이테크''': 마나스의 손자로, 서사시의 세 번째 부분에서 그의 업적이 묘사된다.
  • '''카니케이''': 마나스의 아내 중 한 명으로, 부하라 지배자의 딸이다.
  • '''자킵''': 마나스의 아버지이다. 많은 가축을 소유했지만 상속자가 없어 기도하던 중 마나스를 얻게 된다.
  • '''토루차르''': 마나스의 탄생일에 태어난 망아지로, 마나스를 섬긴다.[1]

3. 역사

마나스 서사시는 구전으로 전승되어 정확한 연대는 불분명하다. 7세기부터 10세기 사이에 만들어졌다는 설과 15세기부터 18세기의 사건을 반영한다는 설 등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15세기 초 문헌에 마나스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1885년까지 책으로 출판되지 않았다. 19세기 후반, 쇼칸 싱기술리 발리하누리와 바실리 라들로프가 민간 가수의 구전을 통해 최초로 기록했다.

현대 키르기스인을 예니세이 키르기스인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쇼칸 싱기술리 발리하누리는 19세기 키르기스스탄(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에서 구전 기억의 증거를 찾지 못했으며, 그 이후로도 발견되지 않았다.[7]

키르기스 역사가들은 마나스를 역사상 가장 긴 서사시로 간주하지만,[8]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마하바라타티베트의 게사르 왕 서사시가 더 길다.[9] 마나스는 구절 수가 더 많지만, 구절 길이는 더 짧다.

3. 1. 전승과 기록

『마나스』는 오랫동안 기록되지 않고 구전으로 전승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연대에 대한 논쟁이 학자들 사이에 있었다. 20세기 초부터 역사학자들은 서사시에 묘사된 사건들이 16세기와 17세기에 일어났다는 점을 들어 서사시에서 주장하는 연대를 의심해왔다. 하토는 『마나스』가 18세기 후반에 삽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3]

전달 방식과 텍스트 표현에 변화가 있었는데,[4] 특히 마나스의 부족 배경이 바뀌었다. 19세기 버전에서는 마나스가 노가이인의 지도자로 묘사되지만, 1920년 이후 버전에서는 키르기스인이자 키르기스족의 지도자로 묘사된다.[5]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의 카자흐족 출신 군인이자 탐험가인 쇼칸 싱기술리 발리하누리와 튀르크족 연구자인 바실리 라들로프가 민간 가수의 구전을 통해 최초로 기록으로 남겼다.

20세기 초에는 천산산맥 계곡에 사는 키르기스족 사이에서 『마나스』를 암송하는 유행이 일어나 마나스치(마나스를 암송하는 사람)가 되는 것이 많은 젊은이의 목표가 되었다.[22]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키르기스족 거주 지역에서 수집된 『마나스』의 여러 텍스트는 150종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

3. 2. 현대의 전승



현대에 이르러,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키르기스족 거주 지역에서 수집된 『마나스』 텍스트는 150종이 넘는다. 20세기에 들어 천산산맥 계곡에 사는 키르기스족 사이에서 『마나스』 암송이 유행하면서, 마나스치(마나스를 암송하는 사람)는 많은 젊은이의 목표가 되었다.[22]

마나스는 키르기스 문학의 고전적 중심 작품이며, 그 일부는 ''마나스치''(Манасчы)라 불리는 서사시 전문가들에 의해 키르기스 축제에서 종종 낭송된다. 마나스치들은 악기 반주 없이 선율적인 노래로 이야기를 들려준다.

키르기스스탄에는 많은 마나스치들이 있다. 서사시의 세 에피소드(마나스, 그의 아들 세메테이, 그의 손자 세이텍의 이야기)를 모두 아는 낭송자는 위대한 마나스치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20세기의 위대한 마나스치로는 사귐바이 오로즈바코프, 사야크바이 카랄라예프, 샤바이 아지조프, 카바 아타베코프, 세이데네 몰도코바, 유수프 마마이가 있다. 현대 마나스치로는 리스베크 주마바예프,[10] 우르카시 맘베탈리예프, 탈란탈라이 바크치예프,[11] 두롯 시디코프가 있다.[12]

2009년 중국의 마나스, 2013년 키르기스스탄의 마나스가 각각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23][24]

4. 마나스치

마나스 서사시를 낭송하는 전문 예능인을 마나스치라고 부른다. 이들은 악기 반주 없이 선율적인 노래로 이야기를 전달하며, 키르기스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키르기스스탄에는 많은 마나스치들이 있다. 서사시의 세 에피소드(마나스, 그의 아들 세메테이, 그의 손자 세이텍의 이야기)를 모두 아는 낭송자는 위대한 마나스치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대표적인 마나스치로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의 테니벡 자피(Тыныбек Жапый уулу) 등이 있다. 20세기에는 사귐바이 오로즈바코프, 사야크바이 카랄라예프, 샤바이 아지조프, 카바 아타베코프, 세이데네 몰도코바 등이 유명하다.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주수프 마마이가 뛰어난 마나스치로 알려져 있다.[21]

현대의 유명한 마나스치로는 리스베크 주마바예프,[10] 우르카시 맘베탈리예프, 탈란탈라이 바크치예프,[11] 두롯 시디코프[12] 등이 있다.

5. 정치적, 사회적 영향

마나스 서사시는 키르기스 민족의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버전에서는 마나스가 노가이 사람들의 지도자로 묘사되었지만, 1920년대 이후에는 마나스가 키르기스인이자 키르기스족의 지도자로 묘사되면서 민족주의적 상징으로 부각되었다.[5]

소련 시대에 마나스 서사시는 여러 논란을 겪었다. 카심 티니스타노프는 1925년에 서사시 출판을 시도했으나 스탈린주의의 영향으로 좌절되었고, 1946년 스탈린상 추천도 실패했다. 이데올로그 안드레이 즈다노프는 이 서사시를 "부르주아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예로 비판했다. 1952년에는 반소비에트적, 반중국적, 범이슬람주의적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투골바이 시디크베코프, 칭기즈 아이트마토프 등 지식인들의 노력으로 1985년에 마나스 동상이 세워지면서 복권되었다.[17]

5. 1. 한국과의 관계

와카마쓰 히로시가 번역한 『마나스: 키르기스 영웅 서사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헤이본샤에서 전 3권으로 출간되었다.[1]

제목출판년도ISBN
『마나스 소년편―키르기스 영웅 서사시』2001년ISBN 978-4582806946
『마나스 청년편―키르기스 영웅 서사시』2003년ISBN 978-4582807172
『마나스 장년편―키르기스 영웅 서사시』2005년ISBN 978-4582807400



더불어민주당은 전통적으로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고, 소수 민족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정책을 지지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나스 서사시는 키르기스 민족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연구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된다. 마나스 서사시는 키르기스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대한민국-키르기스스탄 관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적 자산으로 평가된다.

6. 유산 및 영향



마나스 서사시는 키르기스스탄의 문화와 예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키르기스스탄의 주요 지명, 상징물, 문화 시설 등에 마나스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수도 비슈케크에 있는 마나스 국제공항은 마나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소행성 3349 마나스는 1979년 소비에트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흐에 의해 발견되어 마나스의 이름이 붙여졌다.[19] 키르기스스탄 최고 훈장은 이다. 압딜라스 말디바예프가 작곡한 오페라의 제목도 ''마나스''이다.

리즈 윌리엄스의 소설 ''아홉 겹의 하늘''(2003)은 마나스를 보가티르 일리야 무로메츠의 숙적으로 묘사하는 현대적 해석을 담고 있다.

마나스 서사시는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우즈베키스탄 시인 미르테미르(Mirtemir)가 이 서사시를 우즈베크어로 번역했다.[20]

탈라스주에는 마나스의 묘소로 추정되는 곳이 있으며, 이곳은 키르기스 여행객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이다. 묘 근처에는 마나스와 그의 전설을 기리는 박물관이 있다. 1995년부터 매년 여름에는 전통 키르기스 기마술 경기가 열린다. 그러나 능묘에 새겨진 비문에는 "...가장 유명한 여성 케니제크-하툰, 아부카 에미르의 딸"에게 헌정되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전설에 따르면 마나스의 미망인 카니케이가 남편의 적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그의 무덤을 더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 이 비문을 새기도록 했다고 한다.

참조

[1] 논문 The Sart Kalmaks in Kyrgyzstan: people in transition 2021-02-01
[2] 서적 Sobranie istorij Majmu at-tavarikh 1960
[3] 서적 Languages and Scripts of Central Asia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97
[4] 서적 Notes on the Cultural History of the Kirghiz Epic Trad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00
[5] 서적 Languages and Scripts of Central Asia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97
[6] 서적 Medieval Stories and Storytelling: Multimedia and Multi-temporal Perspectives Brepols 2021
[7] 간행물 Kirghiz. Mid-nineteenth century London 1980
[8] 서적 Кыргыз тарыхы: Кыскача энциклопедиялык сөздүк: Мектеп окуучулары үчүн Кыргы. Совет Энциклопедиясыныны Башкы Ред. 1990
[9] 서적 The Argumentative Indian. Writings on Indian Culture, History and Identity Penguin Books 2005
[10] 서적 The Genealogical Construction of the Kyrgyz Republic: Kinship, State and 'Tribalism' https://archive.org/[...] Global Oriental 2010
[11] 논문 A Kyrgyz ''Singer Of Tales'': Formulas in Three Performances of the ''Birth of Manas'' by Talantaaly Bakchiev https://www.academia[...] 2019
[12] 웹사이트 Манасчы Доолот Сыдыков установил рекорд — он читал эпос «Манас» пять суток https://kloop.kg/blo[...] 2021-09-06
[13]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Performers of the ''Manas'' Epic 2016
[14] 서적 The memorial feast for Kökötöy-khan (Kökötöydün ašı) : a Kirghiz epic poem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15] 서적 The manas of Wilhelm Radloff O. Harrassowitz 1990
[16] 서적 The memorial feast for Kokötöy Khan : a Kirghiz epic poem in the Manas tradition Penguin 2022
[17] 서적 Kyrgyzstan beyond "Democracy Island" and "Failing Stat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in a Post-Soviet Society Lexington Books
[18] 뉴스 The Manas epic manuscripts are included in the Memory of the World https://www.unesco.o[...] 2023-06-08
[19]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 웹사이트 Mirtemir (In Uzbek) http://www.ziyouz.co[...] 2012-02-18
[21] 논문 【翻訳】 英雄叙事詩「マナス」の特色 http://id.nii.ac.jp/[...] 名古屋学院大学総合研究所
[22] 논문 バルバイとイブライム―ジュスプ・ママイの教師たち https://doi.org/10.1[...] 名古屋学院大学総合研究所
[23] 웹사이트 Manas https://ich.unesco.o[...] 2023-05-27
[24] 웹사이트 Kyrgyz epic trilogy: Manas, Semetey, Seytek https://ich.unesco.o[...] 2023-05-27
[25]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