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제르바이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제르바이잔어는 튀르크어의 일종으로, 코카서스, 동유럽, 서아시아 북부 이란 지역에서 사용되며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받았다. 16세기에는 이 지역의 주요 언어가 되었으며, 사파비 왕조,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의 궁정 언어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에서 라틴 문자를, 이란에서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다게스탄에서는 키릴 문자가 사용되기도 한다. 튀르키예어와 어휘의 80% 이상이 유사하여 상호 이해가 가능하며, 튀르키예어와 마찬가지로 모음 조화 현상과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어 - 남아제르바이잔어
- 아르메니아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아제르바이잔어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제르바이잔어 |
다른 이름 | 아제리어 |
로마자 표기 | Azerbaijani |
원어 이름 | Azərbaycan dili آذربایجان دیلی Азәрбајҹан дили |
발음 | /ɑːzæɾbɑjˈdʒɑn diˈli/ |
사용 국가 | 아제르바이잔 이란 러시아 튀르키예 이라크 조지아 |
언어 정보 | |
사용자 | 2384만 9330명 (2022년) |
표준 | 시르바니 방언 (북아제르바이잔어,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타브리지 방언 (남아제르바이잔어,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어족 | 알타이어족 튀르크어족 오구즈어군 서부 오구즈어 |
조상어 | 고대 아나톨리아 튀르크어 아옘-튀르크어 |
문자 | 라틴 문자 (아제르바이잔) 페르시아 문자 (이란) 키릴 문자 (러시아) 조지아 문자 (드물게 사용) |
방언 | |
방언 | 다양한 방언 존재 |
공용어 | |
공용어 국가 | 아제르바이잔 다게스탄 (러시아)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언어 규제 기관 | |
규제 기관 | 아제르바이잔 국립 과학 아카데미 (북아제르바이잔어) 규제 기관 없음 (남아제르바이잔어) |
코드 | |
ISO 639-1 | az |
ISO 639-2 | aze |
ISO 639-3 | aze |
언어 코드 (북아제르바이잔어) | azj |
언어 코드 (남아제르바이잔어) | azb |
글롯토로그 | azer1255 중앙 오구즈어 |
기타 | |
링구아스피어 | 오구즈어군 44-AAB-a |
2. 역사
아제르바이잔어는 중세 튀르크족의 이동과 함께 코카서스, 동유럽, 서아시아 북부 이란 지역으로 퍼져나간 오구즈 튀르크어에서 발전했다.[10]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영향을 받았는데, 아랍어 단어는 주로 문학적 페르시아어를 통해 유입되었다.[14] 사파비 왕조, 아프샤르 왕조, 카자르 왕조 등 이란 왕조의 궁정 언어 중 하나였다.
1928년까지 아랍 문자를 사용하다가, 1929년부터 라틴 문자를 도입했다.[5] 그러나 1939년부터 1991년까지는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가 공식 문자가 되었다. 1991년 아제르바이잔 독립 이후 다시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다.[5] 이란에서는 아랍 문자를,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서는 키릴 문자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5] 현재 아제르바이잔에서 사용되는 라틴 문자는 터키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터키어에 없는 소리를 나타내는 Әəaz, Xxaz, Qqaz 등의 문자가 추가되었다.
아제르바이잔어의 역사적 발전은 초기(14세기경~18세기)와 현대(18세기~현재)의 두 가지 주요 시대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아제르바이잔어는 현대 아제르바이잔어와 달리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차용어, 구문 등이 더 많았다. 초기 아제르바이잔어 자료는 오구즈어와 키프차크어 요소 간의 언어적 상호 교환성을 보여준다. 아제르바이잔어가 서사시와 서정시의 언어에서 언론과 과학 연구의 언어로 발전하면서, 문학적 형태는 더욱 통일되고 단순해졌다.
1804-1813년 전쟁과 1826-1828년 전쟁을 통해 러시아 제국이 카자르 왕조의 코카서스 지역을 합병하면서 아제르바이잔어 사용 지역은 러시아와 이란으로 분리되었다. 차르 정부는 페르시아어를 대체하고 이 지역에서 페르시아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해 아제르바이잔어의 확산을 장려했다.[15][16]
1900년경부터 1930년까지 하산 베이 자르다비, 맘마드 아가 샤타흐친스키와 같은 학자들은 국어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이들은 반문맹 대중이 문학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페르시아어, 아랍어, 유럽 요소의 과도한 사용을 비판하고 더 단순하고 대중적인 스타일을 요구했다.
소련은 아제르바이잔어의 발전을 촉진했지만, 페르시아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그리고 키릴 문자로 두 차례 문자 변경을 했다.[17] 반면 이란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계속해서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했다.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아제르바이잔어가 널리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56년에야 아제르바이잔의 공식 언어가 되었다.[18] 1991년 독립 후, 아제르바이잔은 수정된 라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 이란에서는 여전히 페르시아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이 언어는 원어민들에 의해 türk dili|튀르크 딜리az 또는 türkcə|튀르크재az로 불렸는데,[5] 이는 "튀르키예어" 또는 "튀르크어"를 의미한다.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후 초기에는 공식 문서에서도 이 언어를 "튀르크어"라고 불렀다. 그러나 1930년대에 공식적으로 이름이 "아제르바이잔어"로 변경되었다.[6][7] 이 언어는 이란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여전히 "투르키" 또는 "토르키"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8]
3. 문자
3. 1. 문자 체계
아제르바이잔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 왔다. 돌궐 문자를 사용한 적도 있으며,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5] 1929년에는 라틴 문자가 채택되었으나, 1939년부터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가 공식 문자가 되었다. 이는 튀르키예어처럼 라틴 문자를 원했던 아제리인들의 의사에 반하는 것이었다.[5]
1991년 아제르바이잔이 독립하면서 라틴 문자가 다시 공식 문자가 되었고, 키릴 문자는 러시아 식민주의의 잔재로 여겨져 사용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서는 여전히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5] 이란에서는 전통적으로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5]
1929년 이전에는 아제르바이잔어가 페르시아-아랍 알파벳으로만 표기되었다.[70] 이란에서는 1979년부터 ''Varlıq'' ( — '존재')와 같은 아제르바이잔어 잡지와 신문이 발행되면서 표기법 표준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2001년 테헤란에서 ''Varlıq''의 설립자인 Javad Heyat이 주재하는 언어 세미나를 통해 표준 표기법과 서면 관례를 설명하는 문서가 공개되었다.[70]
1929년부터 1938년까지 북부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라틴 알파벳이 사용되었지만, 현재 사용되는 알파벳과는 달랐다. 1938년부터 1991년까지는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1991년에 현재의 라틴 알파벳이 도입되었지만, 전환 과정은 다소 느렸다.[72]
아제르바이잔 라틴 알파벳은 터키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Әəaz, Xxaz, 그리고 Qqaz는 터키어에는 별개의 음소로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나타내는 데 아제르바이잔어에서만 사용된다.
구 라틴 문자 (1929–1938) | 공식 라틴 문자 (아제르바이잔 1991년~현재) | 키릴 문자 (1958년 버전, 다게스탄) | 페르시아-아랍 문자 (이란) | IPA |
---|---|---|---|---|
A a | А а | آ / ـا | ||
B в | B b | Б б | ب | |
Ç ç | C c | Ҹ ҹ | ج | |
C c | Ç ç | Ч ч | چ | |
D d | Д д | د | ||
E e | Е е | ئ | ||
Ə ə | Ә ә | ا / َ / ە | ||
F f | Ф ф | ف | ||
G g | Ҝ ҝ | گ | ||
Ƣ ƣ | Ğ ğ | Ғ ғ | غ | |
H h | Һ һ | ح / ه | ||
X x | Х х | خ | ||
Ь ь | I ı | Ы ы | ؽ | |
I i | İ i | И и | ی | |
Ƶ ƶ | J j | Ж ж | ژ | |
K k | К к | ک | , | |
Q q | Г г | ق | ||
L l | Л л | ل | ||
M m | М м | م | ||
N n | Н н | ن | ||
Ꞑ ꞑ | – | – | ݣ / نگ | |
O o | О о | وْ | ||
Ɵ ɵ | Ö ö | Ө ө | ؤ | |
P p | П п | پ | ||
R r | Р р | ر | ||
S s | С с | ث / س / ص | ||
Ş ş | Ш ш | ش | ||
T t | Т т | ت / ط | ||
U u | У у | ۇ | ||
Y y | Ü ü | Ү ү | ۆ | |
V v | В в | و | ||
J j | Y y | Ј ј | ی | |
Z z | З з | ذ / ز / ض / ظ | ||
– | ʼ | ع |
4. 음운론
아제르바이잔어의 음운론적 구조는 다른 오구즈어군 튀르크어들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 장모음을 가진 삼모라 음절이 허용된다.
- 단어 내에서 인접 자음의 자리바꿈(운소전환)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62] 화자들은 자음을 음향성 감소 순서대로, 뒤에서 앞으로 재배열하는 경향이 있다(예: ''iləri''는 ''irəli''가 되고, ''köprü''는 ''körpü''가 되며, ''topraq''는 ''torpaq''이 된다). 일부 자리바꿈은 교육받은 화자들의 말에서 너무 흔해서 표기에 반영되기도 한다(위의 모든 예가 그러하다). 이 현상은 시골 방언에서 더 흔하지만, 교육받은 젊은 도시 화자들에게서도 관찰되지만, 일부 남부 방언에서는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는다.
- 형태소 내부의 q (IPA:/g/)가 (IPA:/x/)로 변한다.
표준 아제르바이잔어는 9개의 모음과 23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4. 1. 모음
표준 아제르바이잔어의 모음은 이다.[67][6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