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실베스테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실베스테르 1세는 4세기 초에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다. 그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재위 기간 동안 라테라노 대성전, 성 십자가 성당, 성 베드로 대성당 등 대규모 교회 건축이 이루어졌다. 그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와 연관되어, 교황의 권위가 황제보다 높다는 사상을 뒷받침하는 전설의 중심 인물로 등장하며, 8세기에 위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을 지지하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용을 퇴치하는 등의 전설적인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교황 - 교황 다마소 1세
다마소 1세는 366년부터 384년까지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으로 재임하며 아리우스주의에 맞서 교회를 수호하고 불가타 성경 번역을 지원했으며, 교황의 권위를 강화했다. - 4세기 교황 - 교황 리베리오
교황 리베리오는 4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아리우스파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유배를 당하고 논란에 휩싸였지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4세기 기독교 성인 - 루치아
루치아는 로마 제국 시대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시각 장애인과 안과 질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4세기 기독교 성인 -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에 태어나 불가타를 완성하고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자이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교황 실베스테르 1세 | |
---|---|
기본 정보 | |
존칭 | 교황 성인 |
이름 | 실베스테르 1세 |
직함 | 로마 주교 |
![]() | |
출생일 | 285년 |
출생지 | 로마 제국, 아스쿨룸 |
사망일 | 335년 12월 31일 (50세) |
사망 장소 | 로마 제국, 로마 |
다른 이름 | 실베스테르 |
축일 | 12월 31일 (가톨릭 교회) 1월 2일 (동방 정교회) 12월 22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
시성 | 가톨릭 교회 성공회 동방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루터교 교회 |
상징 | 교황 예복 교황관 황소 용 |
수호 | 페롤레토 안티코 실베스트린 베네딕도회 베네딕도회 노난톨라 |
재임 기간 | |
시작 | 314년 1월 31일 |
종료 | 335년 12월 31일 |
이전 교황 | 멜키아데 |
다음 교황 | 마르코 |
로마 교황 | |
일본어 이름 | シルウェステル1世 (로마 교황) |
한국어 이름 | |
한국어 이름 | 교황 실베스테르 1세 |
2. 생애
7세기 또는 8세기에 보존된 교황청 연대기la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회에 하사한 선물에 대한 기록 외에는 그의 교황 재위 기간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으며,[8] 그는 루피누스라는 로마인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9]
실베스테르 1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라테라노 대성전, 예루살렘의 성 십자가 성당,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당을 포함한 대규모 교회들이 세워지고 건축되었으며, 순교자들의 무덤 위에 여러 교회가 세워졌다.[9][10]
실베스테르 1세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와의 관계에 대한 여러 전설과 이야기로 인해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5세기에 등장한 《실베스테르 행전》은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나병을 치유받고 기독교로 개종하는 과정에서 실베스테르 1세의 역할을 강조하며, 교황의 권위가 황제보다 우위에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활용되었다. 이러한 이야기는 8세기에 위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문서에도 영향을 미쳤다.
3. 교황 재위 기간
심마키아누스 위서 중 하나인 ''실베스테르 칙령''은 그리스어, 시리아어, 라틴어로 보존된 ''실베스테르 행전''의 전설과 초기 기독교 황제와의 실베스테르의 긴밀한 관계에 대한 허구의 이야기를 부분적으로 바탕으로 한 로마 공의회의 허위 기록이다. 이는 또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도 나타난다.[9]
4. 영향력과 평가
주세페 피트레가 작성한 시칠리아 지역 우화집에는 콘스탄티누스 왕이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하는 문제로 실베스테르 1세에게 자문을 구했지만 거절당하자, 그를 피해 은신한 실베스테르 1세가 콘스탄티누스 왕의 병을 고쳐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8]
《황금 전설》에는 실베스테르 1세가 드래건과 그 숭배자들을 퇴치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실베스테르 1세는 드래건의 독기로 인해 발생하는 전염병을 막기 위해 드래건을 동굴에 가두고, 사악한 신관들을 물리쳤다고 한다.[29]
서방 교회의 전례력에서 실베스테르 1세의 축일은 12월 31일로, 그가 선종하여 프리실라 카타콤바에 안장된 날이다.[23] 이 날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이기 때문에 독일어권 국가 등에서는 '실베스테르'라고 불리며, 다른 기독교 국가에서도 '성 실베스테르 축일'로 기념된다. 브라질 상파울루에서는 매년 12월 31일 '성 실베스테르 도로 경주'가 열린다.[15]
4. 1. 콘스탄티누스 기증 문서
실베스테르 1세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실베스테르 1세 사후, 오랜 세월이 지난 후 그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이야기가 윤색되어 교황의 권위가 황제의 권위보다 더 높다는 사상적 입증 및 8세기에 위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을 지지하는 토대가 되었다. 5세기의 전설인 《실베스테르 행전》(Actus Silvestri)에 따르면, 나병에 걸린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꿈 속에 나타난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에게서 실베스테르 1세를 찾아가라는 지시를 받고, 라테라노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고 나병이 치유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로마 교회를 위해 유리한 법률을 많이 제정했다고 하면서 그의 공헌을 찬양하고 있다.[26]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은 8세기 후반에 날조된 문서로서,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로의 개종 및 그의 신앙 고백 그리고 그가 교황 실베스테르 1세와 그의 성직자들 및 그의 후임 교황들에게 각종 특권을 부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에 따르면, 심지어 실베스테르 1세는 황제의 왕관까지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고 한다.[27]
심마키아누스 위서 중 하나인 ''실베스테르 칙령''은 그리스어, 시리아어, 라틴어로 보존된 ''실베스테르 행전''의 전설과 초기 기독교 황제와의 실베스테르의 긴밀한 관계에 대한 허구의 이야기를 부분적으로 바탕으로 한 로마 공의회의 허위 기록이다. 이는 또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도 나타난다.[9] 그의 사후 오랫동안, 실베스테르의 인물은 콘스탄티누스와의 관계에 대한 허구적 이야기로 꾸며졌으며, 이는 후대의 젤라시우스 교리인 교황 수위권을 성공적으로 뒷받침하는 듯했다. 즉, 교황의 권위(auctoritas)가 황제의 권력(potestas)을 이끌고, 이는 8세기의 위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 구현된 교리였다.[11]
4. 2. 오토 3세와 실베스테르 2세
교황 실베스테르 2세는 신성 로마 황제 오토 3세의 측근이었으며, 실베스테르 1세를 본떠서 '실베스테르'라는 이름을 선택했다.[9][13]
5. 전설
8세기 후반에 위조된 문서인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개종과 신앙 고백, 그리고 교황 실베스테르 1세와 그의 성직자들 및 후임 교황들에게 부여한 특권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에 따르면, 실베스테르 1세는 황제의 왕관까지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고 한다.[27]
주세페 피트레가 작성한 시칠리아 지역 우화집에 수록된 이야기(Lu Santu Papa Silvestru)에는 콘스탄티누스 왕이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하는 문제로 실베스테르 1세와 갈등을 겪는 내용이 나온다. 실베스테르 1세는 왕의 요청을 거부하고 숲으로 피신하였고, 이후 병에 걸린 콘스탄티누스 왕이 꿈에서 계시를 받고 실베스테르 1세를 찾게 된다는 내용이 전해진다.[28]
《황금 전설》에는 실베스테르 1세가 드래건과 그것을 숭배하는 사악한 신관을 퇴치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으며, 또 다른 전설에서는 실베스테르가 용을 죽였다고 전해진다.[29] 이러한 이유로 실베스테르 1세는 종종 죽어가는 짐승과 함께 묘사된다.[18][19]
5. 1.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치유
실베스테르 1세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실베스테르 1세 사후, 오랜 세월이 지난 후, 그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이야기가 윤색되어 교황의 권위가 황제의 권위보다 더 높다는 사상적 입증 및 8세기에 위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을 지지하는 토대가 되었다. 5세기의 전설인 《실베스테르 행전》(Actus Silvestri)에 따르면, 나병에 걸린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꿈 속에 나타난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에게서 실베스테르 1세를 찾아가라는 지시를 받고, 라테라노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고 나병이 치유되었다고 전하고 있다.[26] 이 때문에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로마 교회를 위해 유리한 법률을 많이 제정했다고 하면서 그의 공헌을 찬양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로마의 주교를 다른 모든 주교보다 상급 주교로서의 지위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황제 휘장을 포기하고 실베스테르 1세가 탄 말고삐를 잡고 끌고 가 마부 행세를 하였다고 한다. 이에 실베스테르 1세는 관대하게도 콘스탄티누스 대제에게 왕관을 씌워 주었다. 이후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로마를 실베스테르 1세에게 맡기고 자신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갔다고 한다.[26] 이 이야기는 교황은 황제보다 우월하며, 교황의 허락을 받아야만 황제가 될 수 있으며, 교황의 칙령에 따라 폐위될 수도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주세페 피트레가 작성한 시칠리아 지역 우화집에 수록된 이야기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왕이 두 번째 아내를 맞이할 수 있는지 실베스테르 1세에게 자문을 구했지만, 실베스테르 1세는 왕의 요청을 거부하였다. 콘스탄티누스가 강요하자 실베스테르 1세는 숲으로 은신하였다. 얼마 후 콘스탄티누스는 중병에 걸렸고, 꿈에서 실베스테르에게 사람을 보내라는 계시를 받는다. 실베스테르 1세는 콘스탄티누스가 보낸 사람들에게 세례를 준 후 몇 가지 기적들을 보여주었고, 콘스탄티누스 역시 실베스테르 1세에게 세례를 받았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콘스탄티누스와 그의 사절들은 이교도가 아니라 유다인들이다.[28]
5. 2. 드래곤 퇴치
《황금 전설》 제12장에는 실베스테르 1세가 드래건과 그것을 숭배하는 사악한 신관을 퇴치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이 드래건은 동굴 깊숙한 곳에 살며 사람들 앞에는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드래건이 뿜어내는 맹독성 숨결 때문에 전염병이 돌아 매일 수백 명씩 죽어갔다. 전염병으로 죽는 사람이 너무나도 많았기 때문에, 드래건을 숭배하면 전염병에 걸리지 않는다는 잘못된 가르침을 퍼뜨리며 사람들을 속이는 신관까지 나왔다. 이 지경에 이르자 실베스테르 1세는 드래건을 숭배하는 신관들을 데리고 드래건이 사는 동굴 안으로 들어갔다.
동굴 안쪽으로 들어가 드래건의 모습이 보이는 부근에 다다르자 두려움에 떠는 신관들과는 달리 실베스테르 1세는 무릎을 꿇고 기도했다. 그러자 성 베드로가 하늘에서 내려와 실베스테르 1세에게 “드래건의 입을 리본으로 묶고 동굴을 막은 다음 십자가 표시가 있는 인장으로 봉인하라. 그러면 드래건은 심판의 날이 올 때까지 모습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하고 전했다. 실베스테르 1세는 그의 말을 따라 드래건의 입을 리본으로 묶고 동굴 입구를 막았다. 이리하여 드래건은 동굴에 갇혔고 돌림병으로 죽는 사람도 없어졌다.
사악한 신관들은 동굴이 막히기 전에 밖으로 뛰쳐나갔지만 동굴 안에서 드래건의 독기를 가득 들이마셨기 때문에 돌림병을 얻어 쓰러졌고, 사람들의 비웃음을 샀다.[29]
다른 전설에 따르면 실베스테르는 용을 죽였다고 하며, 종종 죽어가는 짐승과 함께 묘사된다.[18][19]
6. 축일
서방 교회에서 성 실베스테르의 축일은 그가 프리실라 카타콤베에 묻힌 날인 12월 31일이다.[9] 이 날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이며, 따라서 독일어권 국가와 그 인접 국가에서는 섣달 그믐날을 ''실베스터''라고 부른다. 다른 일부 국가에서도 이 날은 일반적으로 ''성 실베스테르의 날'' 또는 ''성 실베스테르 축일''로 불린다.[14] 브라질 상파울루에서는 12월 31일마다 ''성 실베스테르 도로 경주''라는 장거리 달리기 행사가 열린다.[15]
참조
[1]
웹사이트
January 15, / January 2
https://www.holytrin[...]
[2]
웹사이트
Patron Saints Index: Pope Saint Sylvester I
http://saints.sqpn.c[...]
Saints.sqpn.com
2010-01-05
[3]
서적
Annuario Pontificio per L'anno 2008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8
[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Constan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5]
백과사전
Sylvester I, S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
웹사이트
Pope St. Sylvester I: Saw beginning of Christian empire in Rome
https://catholicnews[...]
2024-01-30
[7]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Volume 4
https://books.google[...]
Christian Classics
2017-01-01
[8]
문서
Silvester (popes)
[9]
문서
Pope St. Sylvester I
[10]
학술지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of Church Architecture: The Biblical Roots of Church Orientation
https://www.sacredar[...]
2023-01-18
[11]
서적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8-01-29
[12]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HarperCollins
1993
[13]
문서
Pope Sylvester II
[14]
뉴스
Celebrating an anti-Semitic pope on Sylvester
http://www.jpost.com[...]
2014-12-31
[15]
웹사이트
Corrida Internacional de São Silvestre
http://www.brasilesc[...]
2018-01-29
[16]
백과사전
Donation of Constant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7]
문서
Fiabe, novelle e racconti popolari siciliani
Palermo
1875
[18]
서적
The Emperor Constantin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
웹사이트
The Life of Saint Silvester
http://saints.sqpn.c[...]
2013-12-29
[20]
문서
正教改暦 2008年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
[21]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1
[2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3]
웹사이트
Pope Sylvester I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24]
웹사이트
Silvester (popes)
https://en.wikisourc[...]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25]
웹인용
Helen Dietz: "The Eschatological Dimension of Church Architecture". ''The Biblical Roots of Church Orientation''. 2005
http://www.sacredarc[...]
Sacredarchitecture.org
2013-01-25
[26]
문서
The Civilization of the Middle Ages
1993
[2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8]
문서
Fiabe, novelle e racconti popolari siciliani
Palermo
1875
[29]
서적
환수 드래곤
도서출판 들녘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