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자카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자카리아는 741년부터 752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랑고바르드족, 프랑크 왕국, 동로마 제국과의 외교를 통해 로마 교회의 권위를 강화했다.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 왕국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프랑크 왕국의 피핀 3세의 왕위 찬탈을 지지했으며,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반대했다. 또한 로마의 건축물을 개조하고 노예를 해방하는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며, 752년에 선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79년 출생 - 사마정
    사마정은 당나라 시대의 학자이며, 《사기색은》을 통해 하내군 출신임을 알 수 있고,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사기색은》은 사마천의 《사기》를 주석한 책으로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752년 사망 - 교황 선출자 스테파노
    교황 선출자 스테파노는 752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서임 전에 사망하여 교황으로 인정받지 못했지만, 후대에 '스테파노 2세'로 불리기도 했으나 1961년 교황 연감에서 삭제되었다.
  • 크로토네도 출신 - 교황 안테로
    교황 안테로는 235년부터 236년까지 재위한 제19대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으로, 이탈리아 출신이며 순교 또는 자연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칼리스토 카타콤에 묻혔다가 산 실베스트로 알 퀴리날레 교회로 유해가 옮겨졌고, 1월 3일에 기념한다.
  • 크로토네도 출신 - 교황 조시모
    교황 조시모는 417년부터 418년까지 재위했으며, 갈리아 지역의 교회 관할권을 강화하고 펠라기우스주의를 단죄했으며, 아프리카 교회와 갈등을 빚기도 했고, 성직자 관련 칙령을 내렸으며 성 라우렌시오 성당에 묻혔다.
교황 자카리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자카리아 시대의 프레스코화
존칭교황 성인
이름자카리아
직함로마 주교
교회로마 교회
재임 시작741년 12월 3일 또는 741년 12월 5일
재임 종료752년 3월
이전 교황그레고리오 3세
다음 교황스테파노 2세
축성741년 12월 4일 또는 741년 12월 6일
추기경 임명일732년 4월 12일
추기경 임명자그레고리오 3세
출생일679년
출생지동로마 제국, 칼라브리아주, 산타 세베리나
사망일752년 3월 15일
사망지롬바르드 왕국, 로마
기념일3월 15일
숭배 대상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2. 생애

자카리아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으나, 칼라브리아주 산타세베리나에서 태어난[13] 그리스인이며, 폴리크로니오스의 아들이라고 한다. 교황으로 선출되기 전에는 로마 교회의 부제였던 것이 틀림없으며, 732년 로마 시노드의 교령을 발표하였다. 교황 그레고리오 3세와 친밀한 관계였으며, 741년 12월 5일에 그의 뒤를 이어 교황이 되었다.[14]

자카리아는 영리하고 지혜로운 외교관이었다. 랑고바르드족스폴레토 공작과 베네벤토 공작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교황의 통치를 받는 도시들이 큰 위험에 빠지게 되자,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 왕국의 리우트페란트 왕을 직접 만나 탄원하였다. 리우트페란트는 자카리아에 대한 존중으로 랑고바르드족이 탈취한 모든 영토를 로마 교회에 되돌려 주었으며, 포로들 역시 몸값 역시 무사히 돌려 보냈다.[15]

교황 연대표》 등 당시 기록에 따르면, 자카리아가 리우트페란트와 그의 후계자인 라트키스에게 개인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고 전하고 있다. 숱한 위기 속에서도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족 군주들을 상대로 뛰어난 외교술을 펼쳤으며, 그들의 공격으로부터 라벤나 총독부를 지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4]

자카리아가 독일의 사도라고도 불리는 성 보니파시오 주교와 주교받은 서신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이 서신들은 당시 프랑스와 독일에서 교황이 얼만큼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피핀에게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마지막 군주인 힐데리히 3세를 폐위시킬 것을 종용하였으며, 752년 소와송에서 그가 프랑크 왕국의 새 군주로 즉위하자 이를 승인하였다. 한편 자카리아는 동로마 제국에 대해서는 콘스탄티누스 5세 황제의 성상 파괴 운동 정책을 질책하였다.[14]

자카리아는 로마가 기독교 도시로 탈바꿈했음을 선전하기 위해 판테온 근처에 있는 옛 미네르바의 신전을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으로 개조하였다. 또한 그는 라테라노 궁전을 복구하고 성 제오르지오의 두개골을 산 조르조 알 벨라브로 성당에 안치하였다. 그리고 베네치아 상인들이 아프리카의 무어인들에게 매매하기 위해 로마에 많은 노예를 이끌고 왔는데, 이를 안타깝게 여긴 자카리아는 베네치아 상인들에게 노예들의 값을 지불하고 그들을 해방시켰다.[15]

칼라브리아 출신으로, 교황 취임 전에는 부제를 지냈다. 741년 11월 28일 선대 교황 그레고리오 3세가 사망하자 12월 3일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선대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동로마 제국이나 랑고바르드 왕국과의 대립을 해소하지 못하고 많은 짐을 남겼기 때문에, 자카리아는 이 문제 해결에 힘썼다. 동로마 제국 황제레오 3세는 공교롭게도 그레고리오 3세와 같은 해에 사망했으며, 아들 콘스탄티노스 5세 코프로니모스가 뒤를 이었다. 자카리아는 부황과 마찬가지로 성상 파괴 운동(성상 파괴주의)을 지지했던 콘스탄티노스 5세와 능숙하게 협상하여 화해했다. 또한, 랑고바르드 왕국과도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며, 랑고바르드 왕국을 견제하기 위해 751년프랑크 왕국(메로빙거 왕조)의 힐데리히 3세를 폐위시키고, 피핀 3세의 카롤링거 왕조 창설을 지원했다. 이때, "힘 없는 자가 왕이 되는 것보다, 힘 있는 자가 왕이 되어야 한다"며 피핀 3세를 강력히 지지했다고 한다. 이렇게 교황과 프랑크 왕은 우호 관계를 맺게 되었다.

752년 3월 15일, 재위 10년 3개월 12일 만에 선종했다.[12]

2. 1. 랑고바르드 왕국과의 관계

자카리아는 영리하고 지혜로운 외교관이었다.[14] 랑고바르드족스폴레토 공작과 베네벤토 공작이 반란을 일으켜 교황의 통치를 받는 도시들이 위험에 빠지자,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 왕국의 리우트페란트 왕을 직접 만나 탄원하였다. 리우트페란트는 자카리아에 대한 존중으로 랑고바르드족이 탈취한 모든 영토를 로마 교회에 되돌려 주었으며, 포로들 역시 몸값 없이 무사히 돌려 보냈다.[15]교황 연대표》 등 당시 기록에 따르면, 자카리아가 리우트페란트와 그의 후계자인 라트키스에게 개인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고 전하고 있다. 숱한 위기 속에서도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족 군주들을 상대로 뛰어난 외교술을 펼쳤으며, 그들의 공격으로부터 라벤나 총독부를 지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4] 라벤나 총독부의 요청에 따라 자카리아는 리우트프란트가 라벤나에 대한 공격 계획을 포기하고 도시에서 점령한 영토를 돌려주도록 설득했다.[2]

선대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동로마 제국이나 랑고바르드 왕국과의 대립을 해소하지 못하고 많은 짐을 남겼기 때문에, 자카리아는 이 문제 해결에 힘썼다. 랑고바르드 왕국과도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며, 랑고바르드 왕국을 견제했다.

2. 2.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

자카리아는 영리하고 지혜로운 외교관이었다.[14] 랑고바르드족스폴레토 공작과 베네벤토 공작이 반란을 일으켜 교황의 통치를 받는 도시들이 위험에 빠지자, 랑고바르드 왕국의 리우트페란트 왕을 직접 만나 탄원하였다. 리우트페란트는 자카리아에 대한 존중으로 랑고바르드족이 탈취한 모든 영토를 로마 교회에 되돌려 주었으며, 포로들 역시 몸값 없이 무사히 돌려 보냈다.[15]교황 연대표》 등 당시 기록에 따르면, 자카리아가 리우트페란트와 그의 후계자인 라트키스에게 개인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고 전하고 있다.[14][6] 숱한 위기 속에서도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족 군주들을 상대로 뛰어난 외교술을 펼쳤으며, 그들의 공격으로부터 라벤나 총독부를 지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4]

자카리아는 독일의 사도라고도 불리는 성 보니파시오 주교와 서신을 주고받았는데,[14] 이 서신들은 당시 프랑스와 독일에서 교황이 얼만큼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피핀에게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마지막 군주인 힐데리히 3세를 폐위시킬 것을 종용하였으며, 752년 소와송에서 그가 프랑크 왕국의 새 군주로 즉위하자 이를 승인하였다.[14] 자카리아는 마인츠의 보니파키우스 대주교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트리어의 밀로 주교와 같은 평판이 좋지 않은 성직자들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조언했다.[6] 보니파키우스의 요청에 따라 자카리아는 뷔르츠부르크, 뷔라부르크, 에르푸르트의 새롭게 설립된 세 개의 주교구를 승인했다. 742년 그는 보니파키우스를 프랑크의 궁재 중 한 명인 카를로만이 주최한 게르마니쿰 공의회에 교황 사절로 임명했다. 이후 자카리아는 보니파키우스가 루앙, 랭스, 상스에 임명한 대주교들을 확정했다. 745년 자카리아는 로마에서 공의회를 소집하여 천사 숭배 경향을 억제했다.[5]

자카리아는 세속 군주들과도 서신을 주고받았다. 프랑크 궁재 피핀 3세가 꼭두각시 왕 힐데리히 3세로부터 프랑크 왕위를 찬탈하려 하자, 자카리아는 왕권을 가진 자가 그렇지 않은 자보다 왕이 되는 것이 더 낫다는 의견을 제시했다.[6]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크 귀족들은 마지막 메로빙거 왕조 왕인 힐데리히를 버리고 피핀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6]

2. 3.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자카리아는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5세의 성상 파괴 운동 정책에 대해 항의하였다.[14][2][6] 콘스탄티노스 5세는 성상 파괴주의를 지지하였으나, 자카리아는 콘스탄티노스 5세와 능숙하게 협상하여 화해하였다.

랑고바르드 왕국의 리우트페란트 왕이 라벤나 총독부를 공격하려 하자, 자카리아는 리우트프란트를 설득하여 공격 계획을 포기하고 점령했던 영토를 돌려주도록 하였다.[2]교황 연대표》에 따르면, 자카리아는 리우트프란트와 그의 후계자인 라트키스에게 개인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여 숱한 위기 속에서도 뛰어난 외교술을 펼쳤으며, 랑고바르드족의 공격으로부터 라벤나 총독부를 지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4][6] 리우트페란트는 자카리아에 대한 존중으로 랑고바르드족이 탈취한 모든 영토를 로마 교회에 되돌려 주었으며, 포로들 역시 몸값 없이 무사히 돌려보냈다.[15]

2. 4. 기타 업적

자카리아는 영리하고 지혜로운 외교관이었다.[14] 랑고바르드족스폴레토 공작과 베네벤토 공작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교황의 통치를 받는 도시들이 큰 위험에 빠지게 되자,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 왕국의 리우트페란트 왕을 직접 만나 탄원하였다. 리우트페란트는 자카리아에 대한 존중으로 랑고바르드족이 탈취한 모든 영토를 로마 교회에 되돌려 주었으며, 포로들 역시 몸값 없이 무사히 돌려 보냈다.[15][3]교황 연대표》 등 당시 기록에 따르면, 자카리아가 리우트페란트와 그의 후계자인 라트키스에게 개인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고 전하고 있다.[14][6] 숱한 위기 속에서도 자카리아는 랑고바르드족 군주들을 상대로 뛰어난 외교술을 펼쳤으며, 그들의 공격으로부터 라벤나 총독부를 지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4] 라벤나 총독부의 요청에 따라 자카리아는 리우트프란트가 라벤나에 대한 공격 계획을 포기하고 도시에서 점령한 영토를 돌려주도록 설득했다.[2]

자카리아는 독일의 사도라고도 불리는 성 보니파시오 주교와 주고받은 서신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이 서신들은 당시 프랑스와 독일에서 교황이 얼만큼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14] 그는 피핀에게 프랑크 왕국 메로빙거 왕조의 마지막 군주인 힐데리히 3세를 폐위시킬 것을 종용하였으며, 752년 소와송에서 그가 프랑크 왕국의 새 군주로 즉위하자 이를 승인하였다. 자카리아는 마인츠의 보니파키우스 대주교[6]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트리어의 밀로 주교와 같은 평판이 좋지 않은 성직자들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조언했다. "밀로와 그와 같은 자들은 하나님의 교회에 큰 해를 끼치고 있으니, 사도의 말씀에 따라 때를 가리지 않고 설교하여 그들의 악한 길을 멈추게 하십시오."[4] 보니파키우스의 요청에 따라 자카리아는 뷔르츠부르크, 뷔라부르크, 에르푸르트의 새롭게 설립된 세 개의 주교구를 승인했다. 742년 그는 보니파키우스를 프랑크의 궁재 중 한 명인 카를로만이 주최한 게르마니쿰 공의회에 교황 사절로 임명했다. 이후 자카리아는 보니파키우스가 루앙, 랭스, 상스에 임명한 대주교들을 확정했다. 745년 자카리아는 로마에서 공의회를 소집하여 천사 숭배 경향을 억제했다.[5] 한편 자카리아는 동로마 제국에 대해서는 콘스탄티누스 5세 황제의 성상 파괴 운동 정책을 질책하였다.[14] 세속 군주들과도 서신을 주고받았다. 프랑크 궁재 피핀 3세가 꼭두각시 왕 힐데리히 3세로부터 프랑크 왕위를 찬탈하려 하자, 자카리아는 왕권을 가진 자가 그렇지 않은 자보다 왕이 되는 것이 더 낫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크 귀족들은 마지막 메로빙거 왕조 왕인 힐데리히를 버리고 피핀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6] 자카리아는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5세에게 그의 성상 파괴주의 정책에 대해 항의했다.[6][2]

자카리아는 로마가 기독교 도시로 탈바꿈했음을 선전하기 위해 판테온 근처에 있는 옛 미네르바의 신전을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으로 개조하였다. 또한 그는 라테라노 궁전을 복구하고 성 제오르지오의 두개골을 산 조르조 알 벨라브로 성당에 안치하였다. 그리고 베네치아 상인들이 아프리카의 무어인들에게 매매하기 위해 로마에 많은 노예를 이끌고 왔는데, 이를 안타깝게 여긴 자카리아는 베네치아 상인들에게 노예들의 값을 지불하고 그들을 해방시켰다.[15][3][7][8]

3. 죽음

자카리아는 752년 3월 22일에 선종하였으며,[15]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15] 스테파노가 후임으로 선출되었지만, 주교로 성성되어 착좌하기도 전에 선종하여 적법한 교황으로 인정되지 않았다.[15] 스테파노가 선종한 후 교황 스테파노 2세가 후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5] 자카리아는 훗날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3월 15일이다.[15] 그의 서한과 교서는 자크 폴 미네의 ''Patrolog. lat.'' lxxxix, p. 917–960에 수록되어 있다.[6]

교회 역사가 요한 페터 키르슈는 자카리아에 대해 "혼란스러운 시대에 자카리아는 베드로의 훌륭하고 유능하며 활기차고 자비로운 후계자임을 입증했다"라고 말했다.[2] 피터 파트너는 자카리아를 노련한 외교관이라고 칭하며, "로마 교황청이 비잔틴 세계의 문턱에서 맴돌던 이 어두운 복도에서, 아마도 모든 로마 교황들 중 가장 교묘하고 유능한 인물"이라고 평했다.[10]

4. 평가

교회 역사가 요한 페터 키르슈는 자카리아에 대해 "혼란스러운 시대에 자카리아는 베드로의 훌륭하고 유능하며 활기차고 자비로운 후계자임을 입증했다"라고 말했다.[2] 피터 파트너는 자카리아를 노련한 외교관이라고 칭하며, "로마 교황청이 비잔틴 세계의 문턱에서 맴돌던 이 어두운 복도에서, 아마도 모든 로마 교황들 중 가장 교묘하고 유능한 인물"이라고 평했다.[10] 자카리아의 서한과 교서는 자크 폴 미네의 ''Patrolog. lat.'' lxxxix, p. 917–960에 수록되어 있다.[6]

참조

[1] 서적 A Complete History of the Popes of Rome, from Saint Peter, the First Bishop, to Pius the Ninth, the Present Pope https://books.google[...] J. & J. L. Gihon 1851
[2] 간행물
[3] encyclopedia Zachary, Pope and Confessor http://www.bartleby.[...] James Duffy
[4] 서적 "St. Boniface, Monk and Missioner", ''Prayer and Thought in Monastic Tradition: Essays in Honour of Benedicta Ward SLG''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4
[5] 웹사이트 Assigning Names to Angels – ZENIT – English https://zenit.org/ar[...] 2018-02-13
[6] EB1911
[7] 서적 Spiritual Rationality: Papal Embargo as Cultural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7-03
[8] 서적 Annali d'Italia: Dall'anno 601 dell'era volare fino all'anno 840 https://books.google[...] 1742
[9]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2.fiu.edu/[...] 2015-07-09
[10] 서적 The Lands of St. Peter: The Papal State in the Middle Ages and the Early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11] 웹사이트 http://www.cbcj.cath[...]
[12] 웹사이트 http://www.newadvent[...]
[1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lepuzelle[...] 2014-02-22
[14] 웹사이트 Pope St. Zachary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15] 서적 Lives of the Saints http://www.bartleby.[...] 18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