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테온 (로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로, 현재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다. 기원전 25년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현재 건물은 118년부터 128년 사이에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의해 재건되었다. 판테온은 돔과 주랑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돔 중앙에는 오쿨루스(Oculus)라는 개구부가 있어 채광을 한다. 원래는 로마의 모든 신들을 위한 신전이었으나, 608년경 기독교 성당으로 개조되어 파괴를 면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에는 라파엘로를 비롯한 여러 예술가들의 무덤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도 가톨릭 성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판테온은 서양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는 많은 건물들이 판테온의 구조를 반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사원 - 미네르바 신전 (아시시)
  • 이탈리아의 사원 - 신전의 계곡
    신전의 계곡은 이탈리아 아그리젠토에 위치한 기원전 6~5세기 고대 그리스 신전 유적지로, 콘코르디아 신전, 헤라클레스 신전 등을 포함하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중요한 유적이다.
  • 로마 신전 - 베스타 신전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화로의 여신 베스타에게 봉헌된 원형 신전으로,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여사제들이 신성한 불을 관리하고 로마의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여러 차례 파괴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현재 유적은 무솔리니 정권 하에 재건된 것이다.
  • 로마 신전 - 평화의 신전
    평화의 신전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유대-로마 전쟁 승리 기념 및 로마의 평화 도래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건축물로, 예루살렘 약탈품과 그리스 조각상으로 장식되었으나 화재로 파괴 후 재건되었고 로마 약탈 이후 소실되어 현재는 일부 벽만 남아있다.
  • 로마의 로마 가톨릭 성당 - 성 베드로 대성전
    성 베드로 대성전은 로마 4대 성전이자 바티칸 시국의 가장 중요한 건축물이며 기독교 성지로, 예수의 사도 성 베드로의 무덤 위에 세워졌고, 1506년 착공하여 1626년 완공되었으며, 돔과 내부의 예술 작품들이 특징이다.
  • 로마의 로마 가톨릭 성당 - 산타 마리아 델라 비토리아 성당
    산타 마리아 델라 비토리아 성당은 로마에 있는 초기 바로크 양식의 성당으로 백산 전투의 가톨릭 승리를 기념하여 성모 마리아에게 재헌납되었으며, '성녀 테레사의 환희'를 비롯한 예술 작품과 소설 《천사와 악마》의 등장으로 유명하다.
판테온 (로마)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판테온
로마자 표기Pantheum
그리스어Πάνθειον (Pantheion)
의미모든 신을 위한 [템플]
이탈리아어Basilica Santa Maria ad Martyres
다른 이름산타 마리아 아드 마르티레스 대성당
상세 정보
위치이탈리아 로마 Regio IX Circus Flaminius
건축 시기기원후 113년–125년 (현재 건물)
건축가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유형로마 신전
높이142 피트 (43 미터) (추정)
역사
원래 용도로마 신전
교회 전환609년
추가 정보
참고로마판테온

2. 역사

게오르크 데히오(Georg Dehio)/구스타프 폰 베졸트(Gustav von Bezold)의 ''Kirchliche Baukunst des Abendlandes''(서구의 교회 건축술)에서 발췌한 판테온 평면도. 슈투트가르트: 코타 출판사(Verlag der Cotta'schen Buchhandlung) 1887-1901.


판테온의 천장


판테온의 내부


판테온의 측면


최초의 판테온은 기원전 25년,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측근인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에 의해 건설되었다. 로마 시내 건축물에 대해 아우구스투스와 아그리파는 명확한 역할 분담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그리파가 건설한 신전은 이 판테온뿐이다. 따라서 판테온은 원래 아우구스투스를 숭배하기 위해 계획되었지만, 시민들의 반발을 피하기 위해 만신전으로 변경되었다는 설도 있다. 이 판테온은 나중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2번째 판테온은 118년부터 128년에 걸쳐 로마 황제하드리아누스에 의해 재건되었다. 현재 로마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이 재건된 판테온이며, 정면에는 아그리파에 대한 경의를 표하여 M. AGRIPPA L. F. COS TERTIUM FECIT (루키우스의 아들 마르쿠스 아그리파가 3번째 집정관으로 재임 중에 건설하였다)라고 적혀 있다.

건물은 깊이 4.5m의 로마 콘크리트 기초 위에 지름 43.2m의 원형 건물과 반구형 돔이 얹힌 구조로, 벽면의 두께는 6m에 달하지만 높이에 따라 재료를 달리 사용하여 돔 상부는 응회암과 부석을 사용하며 두께는 1.5m로 줄어든다.

바닥에서 돔 정상까지의 높이는 지름과 같은 43.2m이며, 정상 부분에는 채광을 위한 지름 9m, 두께 1.5m의 개구부(천창)인 오쿨루스(oculus, 라틴어로 "눈"이라는 뜻)가 있다.[82][83] 돔의 질량을 느끼게 하지 않는다.

오쿨루스는 원래 네로가 건축한 황금궁전 도무스 아우레아의 영향을 받아 건축되었다. 그 당시 일반 주택인 도무스의 천창을 원형으로 건축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수많은 아치를 연결하듯이 건축함으로써 이 원형의 오쿨루스를 완성할 수 있었다.

로마의 신들이 더 이상 믿어지지 않게 된 후에도, 이 상징적인 공간성으로 인해 608년경에는 기독교 성당이 되어 파괴를 면했다. 건물 자체가 매우 개축하기 어려운 것이었기 때문에, 이 장엄한 공간은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라파엘로의 묘도 여기에 있다.

매년 8월 6일과 9일에는 이곳에서 히로시마 원폭 희생자 추모식 Mai più Hiroshima (Never more Hiroshima)이 거행된다.

또한 오순절 축제 때에는 천창에서 장미가 떨어진다.[84]

2. 1. 고대

18세기의 판테온의 실내. 조반니 파올로 파니니의 그림.


악티움 해전(기원전 31년) 이후, 아그리파는 그의 집정관 세 번째 임기(기원전 27년)에 원래의 판테온을 건립하고 신에게 봉헌하였다.[16] 판테온은 기원전 29년에서 19년 사이에 아그리파가 마르스 광장(Campus Martius)에 조성한 복합 단지의 일부였으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정렬된 세 개의 건물 중 하나였다.[16] 판테온과 넵투누스 바실리카는 아그리파의 사유 사원(sacra privata)이었고 공공 사원(aedes publicae)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17]

아그리파의 판테온은 서기 80년 로마 대화재로 소실되었다.[27] 도미티아누스가 판테온을 재건했지만, 110년에 다시 불탔다.[27]

판테온 돔. 케이슨(coffer)으로 장식된 돔은 중앙의 오쿨루스(oculus)를 통해 주된 자연 채광을 받습니다.


현재 건물은 서기 125년경 하드리아누스 황제 재위 때 세워졌다. 그는 모든 신에게 바칠 신전으로 판테온을 재건했으며, 이는 로마 제국 내 다양한 종교를 믿는 백성을 위한 혼합주의적인 행위였다. 하드리아누스는 그리스 문화를 극히 칭송한 국제적인 황제였다.[28]

콘크리트 돔을 포함한 로마 판테온의 전경


카시우스 디오는 자신의 저서 '로마사'에서 판테온의 이름이 돔의 형태가 하늘을 닮았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33] 그는 판테온 재건 약 75년 후에 글을 썼으며, 건물의 기원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여준다.

202년에 이 건물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카라칼라 황제에 의해 보수되었고, 이를 기념하는 작은 비석이 세워졌다.[31][32]

매년 8월 6일과 9일에는 이곳에서 히로시마 원폭 희생자 추모식 Mai più Hiroshima (Never more Hiroshima)이 거행된다. 또한 오순절 축제 때에는 천창에서 장미가 떨어진다.[84]

2. 2. 중세

609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 포카스는 판테온을 교황 보니파시오 4세에게 넘겨주었다. 보니파시오 4세는 이 건물을 산타 마리아 아드 마르티레스라는 이름의 성당으로 개축한 다음 축성하였다.[34] 순교자들의 성유물 28마차 분량이 카타콤베에서 옮겨져 제대 아래 반암 분지에 안치되었다고 한다.[35] 봉헌식에서 보니파시오는 새로운 성소 안에 '파나기아 호데게트리아'(전능한 인도자)로서 성모의 이콘을 안치했다.[36]

판테온은 기독교 성당으로 개축된 덕분에 중세 초기에 다른 고대 로마 건물들이 겪은 파괴와 약탈 등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파울루스 디아코누스는 663년 7월 로마를 방문한 콘스탄스 2세에 의한 판테온의 약탈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수 세기 동안 건물의 외부를 장식하던 양질의 대리석들이 없어졌으며, 심지어 이 건물의 벽에 붙어 있던 기둥의 머리부분은 대영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37] 판테온의 두 기둥은 건물의 동쪽에 접한 중세 건물들 때문에 잘려나가 없어져 버렸다. 17세기 초반 교황 우르바노 8세는 현관의 청동 천장을 벗겨 내고 중세풍의 종탑을 카를로 마데르노가 설계한 쌍둥이 탑으로 교체했다(19세기 후반에 없어진).[88] 그 외에 없어진 것은 외부의 조각상들로 아그리파의 명문(銘文) 위의 페디먼트를 장식하던 것이었다. 대리석으로 된 실내 장식과 거대한 청동 문은 엄청난 복원 작업을 통해 끝까지 살아남았다.

야코프 알트(Jakob Alt)가 1836년에 그린 판테온 그림. 17세기 초부터 19세기 후반까지 있었던 쌍둥이 종탑이 보인다.

2. 3. 르네상스

르네상스 시대 이래로 판테온은 무덤으로 사용되었다. 여기에 묻힌 사람들 가운데는 화가인 라파엘로와 안니발 카라치, 작곡가 아르칸젤로 코렐리, 건축가 발다사레 페루치 등이 있다. 15세기에 판테온은 그림들로 장식되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멜로초 다 포를리의 ''성모영보''이다. 브루넬레스키와 같은 건축가들은 피렌체 대성당의 돔을 설계할 때 판테온을 참고했으며, 판테온은 그들 작품에 대한 영감으로 취급받았다.

교황 우르바노 8세(1623~1644)는 판테온 현관의 청동으로 된 천장을 녹일 것을 명령했다. 청동 대부분은 산탄젤로 성의 방어를 위한 사석포(射石砲)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 남은 청동은 교황 국무처가 다른 여러 작품을 위해 사용했다. 한편, 청동은 베르니니가 성 베드로 대성당의 제대 위에 있는 발다키노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전문가의 의견에 따르면, 교황청에서는 청동의 대략 90%를 대포를 만드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며, 발다키노의 청동은 베네치아에서 공수해온 것이라 한다.[42] 한편, 이에 대해 로마에서는 “Quod non fecerunt barbari, fecerunt Barberini”(야만인''barbarian''들도 하지 않았던 것을 바르베리니 가문[우르바노 8세의 가문]이 했다.)와 같은 매우 풍자적인 격언이 등장했다.

1747년 돔 아래의 가짜 창문이 있는 광대한 프리즈가 “복원”되었으나, 원래의 것과는 조금밖에 닮지 않았다. 20세기 초반에 원본의 한 조각이 르네상스 드로잉과 그림들로부터 재구성되어, 패널 일부로 다시 만들어졌다.

2. 4. 근대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와 움베르토 1세 두 왕, 그리고 움베르토의 배우자인 마르게리타 왕비가 판테온에 묻혀 있다.[43] 이탈리아는 1946년 이후 공화국이 되었지만, 이탈리아 군주주의 단체의 지원자들은 판테온에 있는 왕족 묘지 주변을 감시했다.[43] 이는 시간이 흐르면서 공화주의자들의 저항을 불러 일으켰다.[43] 판테온 왕가 묘소 명예 근위대 국립 연구소는 원래 사보이아 왕가에 의해 설립되었고, 이후 이탈리아 공화국의 허가를 받아 운영되며 왕족 묘소 앞에서 명예 근위병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한다.[43]

판테온의 남동쪽 부분


판테온은 아직도 가톨릭 교회 성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중요한 축일이나 결혼식 등에 미사가 집전된다. 일요일과 의무 축일에는 미사가 거행되며, 때때로 결혼식도 열린다.

3. 구조

앙투안 데고데가 그린 판테온의 입면도,《Les edifices antiques de Rome(로마의 고대 건물들)》, 파리, 1779. 다른 그림들과 마찬가지로, 이 판화는 로마에 한번도 가보지 못한 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을 주었다.


판테온은 주랑 현관과 원형 홀, 그리고 콘크리트 돔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랑 현관에는 세 열의 거대한 화강암 코린트식 기둥이 있고, 그 위에는 박공벽이 있다. 원형 홀 위에는 소란 반자로 장식된 콘크리트 돔이 있으며, 돔 중앙에는 하늘을 향해 열린 개구부(오쿨루스)가 있다.[89]

주랑 현관 뒤쪽 벽에는 벽감들이 있는데,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아그리파 등의 조각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상 안치소로 통하는 청동 문은 황금으로 도금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금이 사라진 상태이다.

4,535톤의 콘크리트 돔은 지름 9.1m의 오쿨루스를 형성하는 홍예돌 테두리에 집중되어 있다. 돔의 하중은 6.4m 두께의 원통형 벽 안에 있는 8개의 원통형 둥근 천장을 통해 기둥으로 분산된다. 돔 두께는 기초 부분에서 6.4m, 개구부 주변에서는 1.2m이다. 돔 높이와 실내 원 지름은 43.3m로 동일하며, 건물 실내는 정육면체 안에 정확히 들어갈 수 있다.[89] 판테온은 철근이 없는 세계 최대 콘크리트 돔이다.[89] 돔 내부는 소란 반자로 장식되어 있으며, 이는 장식적 기능과 함께 돔의 무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판테온의 내부.


소석회 반죽, 포촐라나, 부석 등으로 만들어진 콘크리트가 주 재료이다.[89] 돔 상층부에는 밀도가 낮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응력을 줄였다. 원형 홀 벽 꼭대기에는 벽돌로 된 경감 아치가 있으며, 판테온 내부에는 다양한 경감 장치들이 있지만 대부분 대리석 등으로 가려져 있다.

3. 1. 주랑 현관

현관


판테온은 원형 건물로, 그 현관인 주랑 현관은 세 열의 거대한 화강암으로 된 코린트식 기둥들(첫 번째 열에는 여덟 개가 있고, 각각 네 기둥이 있는 두 열은 뒤쪽에 있음)이 있으며, 그 위에는 박공벽이 있다.[48][49][50] 주랑 현관은 원형 홀을 향해 열려 있다.[6]

판테온 현관에 사용된 회색 화강암 기둥은 이집트 동부 산맥의 몬스 클라우디아누스(Mons Claudianus)에서 채석되었다. 각각의 높이는 11.9m, 지름은 1.5m, 무게는 60t이다. 이 기둥들은 나무 썰매로 채석장에서 강까지 100km 이상 끌어왔다. 봄철 홍수로 수위가 높을 때 바지선으로 나일 강을 따라 띄워 보낸 후, 배로 옮겨 지중해를 건너 로마 항구인 오스티아로 이동했다. 거기서 다시 바지선으로 옮겨 티베르 강을 따라 로마로 끌어올렸다.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영묘(Mausoleum of Augustus) 근처에서 하역된 후에도 판테온 부지는 약 700미터 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건설 현장까지 끌거나 롤러로 옮겨야 했다.

현관의 규모는 사원 앞 공간의 도시 설계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47] 건물에는 원래 계단이 있었는데, 후대의 건축으로 현관으로 이어지는 지면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이 계단들은 없어졌다.[6]

페디먼트는 부조 조각, 아마도 금박을 입힌 청동으로 장식되었다. 조각을 고정했던 클램프의 위치를 표시하는 구멍들은 디자인이 화환 안의 독수리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리본은 화환에서 페디먼트의 모서리로 뻗어 있었다.[44]

마크 윌슨 존스(Mark Wilson Jones)는 더 높은 페디먼트가 건설된 후 필요한 50피트 기둥이 도착하지 못했기 때문에(아마도 물류상의 어려움 때문일 것이다) 설계 조정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45] 건설자들은 더 짧은 기둥과 페디먼트에 맞추기 위해 어색한 조정을 해야 했다.

판테온 현관 뒷벽에는 아우구스투스와 아그리파의 조각상을 위한 두 개의 거대한 벽감이 있다.

3. 2. 원형 홀과 돔

판테온은 원형 건물로, 주랑 현관에는 세 열의 거대한 화강암 코린트식 기둥들이 있고 그 위에는 박공벽이 있다. 주랑 현관은 원형 홀로 연결되며, 원형 홀 위에는 소란 반자들로 장식된 콘크리트 돔이 있다. 돔 가운데에는 하늘을 향해 열린 오쿨루스(개구부)가 있다.

4,535톤 무게의 콘크리트 돔은 지름 9.1m의 오쿨루스를 형성하는 홍예돌 테두리에 집중된다. 돔의 하중은 6.4m 두께의 원통형 벽 안에 있는 여덟 개의 원통형 둥근 천장을 통해 기둥으로 분산된다. 돔 두께는 기초 부분에서 6.4m, 개구부 주변에서는 1.2m이다.[53] 돔의 높이와 실내 원의 지름은 43.3m로 동일하여, 건물 실내는 정육면체 안에 정확히 들어갈 수 있다.[89] 판테온의 돔은 철근이 없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콘크리트 돔이다.[89]

판테온의 단면도. 지름 43.3m의 구체가 돔 아래에 어떻게 들어맞는지 보여준다.


돔의 응력은 밀도가 낮은 콘크리트를 돔의 상층부에 사용함으로써 감소되었다. 만약 일반적인 무게의 콘크리트가 전체적으로 사용되었다면 아치에 가해지는 응력이 80%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2] 로툰다 내부의 숨겨진 공간은 정교한 구조 시스템을 형성하며, 오쿨루스와 함께 지붕의 무게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56][57]

돔 내부는 쑥 들어간 판(소란 반자)이 특징이며, 돔의 무게를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고대에는 소란 반자에 청동 별이나 둥근 꽃 모양 장식 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형 홀 벽의 꼭대기에는 벽돌로 된 경감 아치가 있으며, 판테온은 이러한 장치들로 가득 차 있지만 대부분 대리석 등으로 가려져 있다.

700px

3. 3. 재료 및 건축 기술

판테온은 원형 건물로, 그 현관인 주랑 현관 세 열의 거대한 화강암으로 된 코린트식 기둥들(첫 번째 열에는 여덟 개가 있고, 각각 네 기둥이 있는 두 열은 뒤쪽에 있음)이 있으며, 그 위에는 박공벽이 있다. 주랑 현관은 원형 홀을 향해 열려 있는데, 이 원형 홀 위에는 소란 반자들로 장식된 콘크리트 돔이 있다.[89] 이 콘크리트 돔 가운데의 개구부는 하늘을 향해 열려 있다.

소석회 반죽과 포촐라나(''pulvis puteolanum'')와 인근 화산에서 가져온 가벼운 부석(浮石), 주먹 크기의 돌들로 만들어진 콘크리트가 이 로마 건물의 주 재료로 알려졌다. 이 콘크리트는 현재 쓰이는 콘크리트와 매우 흡사하다.[89] 판테온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인장시험 결과는 없지만, 돔과 도드라진 외벽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최대 인장 응력이 0.13Mpa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92] 밀도가 낮은 콘크리트를 돔의 높은 층들에 사용함으로써 돔에 가해지는 응력은 충분히 덜어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원형 홀 벽의 꼭대기는 벽돌로 된 경감 아치(건물의 무게 부담을 덜어주는 아치)들이 있는데, 밖에서 볼 수 있으며 벽돌 쌓기로 만들어졌다. 판테온은 이러한 장치들로 가득 차 있는데, 그 예로 움푹 들어간 안쪽에 있는 경감 아치들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아치들은 내부장식에서는 대리석으로 치장된 면 아래에 숨겨져 있으며, 외부에서는 회칠한 외벽이나 석재 벽으로 숨겨져 있다.

4. 가톨릭 성당으로의 변화

현재 남아있는 제대와 후진(後陣)은 교황 클레멘스 9세(1700-1721)의 의뢰로 알레산드로 스페키가 설계한 것이다. 후진에는 동로마의 성모 성화 복제품이 안치되어 있다. 현재 바티칸 의전사제들의 전용 경당에 있는 원본은 13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실제로는 그보다 더 오래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성가대석은 1840년에 추가되었으며, 이는 루이지 폴레티가 설계한 것이다.

라파엘로의 무덤


라파엘로의 무덤 위에 있는 그의 흉상


판테온에는 여러 저명한 인물들이 묻혀 있다. 이탈리아의 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무덤은 제2경당에 위치해 있으며, 원래 성령에게 바쳐졌었다.[93] 무덤 설계는 경쟁을 통해 만프레디오 만프레디가 선정되었고 1885년에 작업을 시작했다.[93] 무덤에는 로마 독수리가 위에 얹혀진 청동 명판과 사보이 가의 문장이 있다.[93] 1947년 망명 중 사망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기리는 황금 램프도 있다.[93]

라파엘로는 판테온에 묻힌 대표적인 예술가로, 그의 유해는 세 번째 벽감에 안치되어 있다.[93] 그의 대리석 석관에는 "살아 있을 때 자신을 능가할까 봐 두려워했던 모든 것들의 어머니(자연)에 의해, 여기 라파엘로가 묻혀 있다. 라파엘로가 죽을지라도 그녀(자연)는 죽을 것이다."라는 피에트로 벰보가 새긴 비문이 있다.[93] 그의 약혼녀 마리아 비비에나도 그의 곁에 묻혀 있다.[93] 무덤 뒤에는 로렌체토가 1524년에 만든 ''바위의 성모'' 조각상이 있다.[93]

멜로초 다 포를리는 성모 영보 경당에 ''성모 영보'' 프레스코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93] 안드레아 카마세이는 첫 번째 벽감에 ''성모 승천''(1638)을 그렸다.[93] 빈첸초 데 로시는 성 요셉 경당의 제대 위에 ''성 요셉과 아기 예수'' 조각상을 만들었다.[93]

4. 1. 주요 인물 및 작품



판테온에는 여러 저명한 인물들이 묻혀 있다. 이탈리아의 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무덤은 제2경당에 위치해 있으며, 원래 성령에게 바쳐졌었다.[93] 무덤 설계는 경쟁을 통해 만프레디오 만프레디가 선정되었고 1885년에 작업을 시작했다.[93] 무덤에는 로마 독수리가 위에 얹혀진 청동 명판과 사보이 가의 문장이 있다.[93] 1947년 망명 중 사망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기리는 황금 램프도 있다.[93]

라파엘로는 판테온에 묻힌 대표적인 예술가로, 그의 유해는 세 번째 벽감에 안치되어 있다.[93] 그의 대리석 석관에는 "살아 있을 때 자신을 능가할까 봐 두려워했던 모든 것들의 어머니(자연)에 의해, 여기 라파엘로가 묻혀 있다. 라파엘로가 죽을지라도 그녀(자연)는 죽을 것이다."라는 피에트로 벰보가 새긴 비문이 있다.[93] 그의 약혼녀 마리아 비비에나도 그의 곁에 묻혀 있다.[93] 무덤 뒤에는 로렌체토가 1524년에 만든 ''바위의 성모'' 조각상이 있다.[93]

멜로초 다 포를리는 성모 영보 경당에 ''성모 영보'' 프레스코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93] 안드레아 카마세이는 첫 번째 벽감에 ''성모 승천''(1638)을 그렸다.[93] 빈첸초 데 로시는 성 요셉 경당의 제대 위에 ''성 요셉과 아기 예수'' 조각상을 만들었다.[93]

5. 영향

오슬로의 유명한 프로그네르 공원에 있는 1824년 건립된 헨리에테 베그너 파빌리온에는 판테온 돔의 축소 모형이 그려져 있다.


로우 기념 도서관(컬럼비아 대학교), 찰스 폴렌 맥킴 설계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 중 가장 잘 보존된 예시로, 적어도 르네상스 이후부터 서양 건축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72]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1436년에 완공한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의 높이 42m 돔이 그 시작이다.[73]

가장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가 로마 원본을 복원한 작업에 이어 1664년에 아리차에 건설한 산타 마리아 아순타[74], 영국의 벨 섬 저택(1774년), 그리고 버지니아 대학교토머스 제퍼슨 도서관인 원형 홀(1817~1826년)이 있다.[74] 그 외에도 몰타의 모스타 원형 홀(1833년)이 있다.[75] 건축가 칼 루드비히 엔겔 또한 노키아 교회(1837년)를 설계할 때 판테온의 구조에서 영향을 받았다.[76] 뉴욕 원형 홀(1818년)과 같은 다른 주목할 만한 복제 건축물들은 남아 있지 않다.[77]

판테온의 현관과 돔 형태는 19세기와 20세기의 많은 건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수많은 정부 및 공공 건물, 시청, 대학교 건물, 그리고 공공 도서관들이 판테온의 구조를 반영하고 있다.[78] 오슬로의 유명한 프로그네르 공원에 있는 1824년 건립된 헨리에테 베그너 파빌리온에는 판테온 돔의 축소 모형이 그려져 있다.[79] 판테온의 돔은 아돌프 히틀러가 계획했던 "게르마니아"로서의 베를린 재건을 위해 나치 독일 건축가 알베르트 슈페어가 계획했지만 건설되지 않은 집회장인 폴크스할레/폴크스할레de에 영감을 주었다.[80]

5. 1. 건축

판테온은 고대 로마 건축물 중 가장 잘 보존된 예시 중 하나로, 르네상스 이후 서양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72]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1436년에 완공한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의 돔이 그 시작이다.[73]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가 1664년에 아리차에 건설한 산타 마리아 아순타[74], 영국의 벨 섬 저택(1774년), 토머스 제퍼슨이 설계한 버지니아 대학교의 원형 홀(1817~1826년)[74], 몰타의 모스타 원형 홀(1833년) 등이 판테온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건축물이다.[75] 칼 루드비히 엔겔 또한 노키아 교회(1837년)를 설계할 때 판테온의 구조에서 영향을 받았다.[76] 뉴욕 원형 홀(1818년)과 같이 복제된 건축물도 있었지만,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77]

19세기와 20세기에는 수많은 정부 및 공공 건물, 시청, 대학교 건물, 공공 도서관들이 판테온의 주랑 현관-돔 구조를 반영하였다.[78] 오슬로의 프로그네르 공원에 있는 1824년 건립된 헨리에테 베그너 파빌리온에는 판테온 돔의 축소 모형이 있다.[79] 아돌프 히틀러가 계획했던 "게르마니아"로서의 베를린 재건을 위해 나치 독일 건축가 알베르트 슈페어가 계획했지만 건설되지 않은 집회장인 도 판테온의 돔에서 영감을 받았다.[80]

5. 2. 한국 건축과의 관련성 (한국 독자를 위한 추가 정보)

한국의 근대 건축물 중 일부는 판테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찰스 폴렌 맥킴이 설계한 컬럼비아 대학교의 로우 기념 도서관은 판테온의 현관과 돔 형태를 반영하고 있다.[78] 판테온은 르네상스 이후 서양 건축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72] 19세기와 20세기에는 수많은 정부 및 공공 건물, 시청, 대학교 건물, 공공 도서관들이 판테온의 구조를 반영하였다.[78]

6. 기타

6. 1. 어원

"판테온"이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판테이온"(Πάνθειον)에서 유래했으며, "모든 신들과 관련된, 또는 모든 신들에게 공통적인"이라는 뜻이다.(pan- / "παν-"은 "모든"을 의미하고, theion / "θεῖον"은 "신에게 속한 또는 신성한"을 의미한다).[8] 카시우스 디오는 판테온의 이름이 이 건물 주변에 놓인 많은 신들의 조각상에서 유래했거나, 돔이 하늘과 닮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11][12] 그러나 고드프리와 헴솔은 고대 저자들이 하드리아누스의 판테온을 ''aedes''라는 단어로 언급한 적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아치트레이브에 새겨진 세베루스 비문은 단순히 "판테움"이라고만 사용하고 "Aedes Panthei"(모든 신들의 신전)라고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한다.[14] 리비우스는 신전 건물은 단일 신에게만 봉헌되어야 한다는 법령이 있었다고 기록했다.[15]

6. 2. 현대적 활용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12-01
[2]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항목 참조
[3] 논문 (MacDonald, 1976, pp. 12–13) 1976
[4] 웹사이트 The Pantheon http://www.romanconc[...] 2011-09-26
[5] 논문 (Rasch, 1985, p. 119) 1985
[6] 논문 (MacDonald, 1976, p. 18) 1976
[7] 서적 (Summerson, 1980), 38–39, 38 quoted 1980
[8]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9] 서적 Pauly's Real-Encyclopä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 neue Bearbeitung 1949
[10] 서적 Pantheons; Transformations of a Monumental Idea Aldershot: Ashgate 2004
[11] 학술지 Was Agrippa's Pantheon the Temple of Mars 'In Campo'? 1994
[12] 서적 Roman Histories
[13] 학술지 Was Agrippa's Pantheon the Temple of Mars 'In Campo'? 1994
[14] 서적 Pagan Gods and Shrines of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Committee for Archaeology 1986
[15] 서적 Pagan Gods and Shrines of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Committee for Archaeology 1986
[16] 웹사이트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17] 서적 Lexicon topographicum urbis Romae 4 Quasar 1999
[18] 학술지 Was Agrippa's Pantheon the Temple of Mars 'In Campo'? 1994
[19] 학술지 Was Agrippa's Pantheon the Temple of Mars 'In Campo'? 1994
[20] 논문 (Thomas, 1997, p. 165) 1997
[21] 웹사이트 Pantheon http://www.romerebor[...] Romereborn.virginia.edu 2013-03-12
[22] 학술지 Zur Datierung des Pantheon 2006-11-09
[23] 학술지 What did Agrippa's Pantheon Look like? New Answers to an Old Question 2006-11-09
[24] 웹사이트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25] 웹사이트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26] 웹사이트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27] 논문 (Kleiner, 2007, p. 182) 2007
[28] 논문 (Ramage & Ramage, 2009, p. 236) 2009
[29] 학술지 What did Agrippa's Pantheon Look like? New Answers to an Old Question 2006-11-09
[30] 서적 Res Bene Gestae: Ricerche di storia urbana su Roma antica in onore di Eva Margreta Steinby Quasar 2007
[31] 서적 New Guide of Rome and the Environs According to Vasi and Nibby: Containing a Description of the Monuments, Galleries, Churches [etc.] Carefully Revised and Enlarged, with an Account of the Latest Antiquarian Researches https://books.google[...] L. Piale
[32] 웹사이트 Nuova guida metodica di Roma e suoi contorni – Parte Terza ("New Methodic Guide to Rome and Its Suburbs – Third Part") http://avirel.unitus[...] Tuscia University 2014-03-03
[33] 서적 Les monuments antiques de Rome encore existants: les ponts, les murs, les voies, les aqueducs, les enceintes de Rome, les palais, les temples, les arcs https://books.google[...] Libr. Hachette
[34] 서적 Monumenta Germaniae Historia 1848
[35] 웹사이트 Popes Boniface III–VII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1-04-11
[36] 서적 Byzantine Rome and the Greek Popes Lexington books 2007
[37] 웹사이트 British Museum Highlights https://www.britishm[...] 2015-10-27
[38] 서적 Bernini: His Life and His R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1-03
[39] 서적 The Pantheon https://archive.org/[...] Lerner Publns 2011-05-08
[40] 논문 (Harvnb 참조) 1991
[41] 웹사이트 Another view of the interior by Panini (1735), Liechtenstein Museum, Vienna http://www.liechtens[...] 2011-09-28
[42] 웹사이트 Pantheon, The ruins and excavations of ancient Rome http://gnv.fdt.net/~[...] Rodolpho Lanciani 2007-07-01
[43] 웹사이트 Legislatura 14 Atto di Sindacato Ispettivo n° 4-08615 http://www.senato.it[...] Senate of Italy 2017-12-29
[44] 논문 (Harvnb 참조) 1976, 1998
[45] 논문 The Enigma of the Pantheon: The Exterior 2003
[46] 서적 Roman Builders, a study in architectural proc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7] 서적 The Architecture of the Roman Empire, vol. 1: An Introductory Study Yale University Press 1965
[48] 웹사이트 The Pantheon – Rome – 126 AD http://www.monolithi[...] Monolithic 2009-05-26
[49] 논문 The Enigma of the Pantheon: The Exterior 2003
[50] 논문 The Enigma of the Pantheon: The Exterior 2003
[51] 논문 (Harvnb 참조) 2007
[52] 논문 (Harvnb 참조) 1998
[53] 논문 (Harvnb 참조) 1977
[54] 논문 Principles of Roman Architecture 2003
[55] 논문 (Harvnb 참조) 1986
[56] 논문 (Harvnb 참조) 1976
[57] 웹사이트 The Riddle of Ancient Roman Concrete http://www.romanconc[...] www.romanconcrete.com 1993-02
[58] 논문 (Harvnb 참조) 1992
[59] 논문 (Harvnb 참조) 1998
[60] 논문 (Harvnb 참조) 2005
[61] 웹사이트 Hooping as an Ancient Remedy for Conservation of Large Masonry Domes https://www.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Architectural Heritage 2015-03-04
[62] 논문 (Harvnb 참조) 1976, 2003
[63] 웹사이트 Roman Pantheon https://www.rome.inf[...] 2018-11-07
[64] 웹사이트 Pantheon https://www.history.[...] 2018-11-07
[65] 논문 The Enigma of the Pantheon: The Interior 2003
[66] 웹사이트 Rain of rose petals at the Pantheon - 2024 https://www.turismor[...] 2024-04-25
[67] 논문 (Harvnb 참조) 2005
[68] 논문 The Enigma of the Pantheon: The Interior 2003
[69]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Thomson/Wadsworth 1991
[70] 논문 The Enigma of the Pantheon: The Interior 2003
[71] 논문
[72] 논문
[73] 논문
[74] 논문
[75] 서적 Dictionary of Maltese Biographies Vol. 2 G–Z Pubblikazzjonijiet Indipendenza 2009
[76] 웹사이트 Engel, Carl Ludvig (1778–1840) https://kansallisbio[...] 2024-02-04
[77] 서적 Gotham: A History of New York City to 1898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78] 서적 The Pantheon: Design, Meaning, and Progen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9] 뉴스 Historiske sommerturer: I Frognerparken https://www.aftenpos[...] 2024-05-26
[80] 서적 The City Crown Taylor & Francis
[81] 서적 フジモリ式建築入門 筑摩書房
[82] 서적 NHK 夢の美術館 世界の名建築100選 新建築社
[83] 서적 窓から建築を考える 彰国社
[84] 웹사이트 2000年以上の歴史ロマンが宿る荘厳なパンテオン https://www.arukikat[...] 2019-01-21
[85] 서적 西洋美術史入門 実践編 筑摩書房
[86] 문서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서의 묘사
[87] 문서 오쿨루스 정의
[88] 논문 Alexander VII, Bernini, and the Urban Setting of the Panthe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1991-09
[89]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Westview Press 1992
[90] 서적 The Master Builders John Wiley and Son
[91] 논문 On the Structure of the Pantheon 1986-03
[92] 웹사이트 The Pantheon http://www.romanconc[...] 1999
[93] 논문 Specchi's High Altar for the Pantheon and the Statues by Cametti and Moderati The Burlington Magazine Publications, Lt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