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리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리아는 조지아 서부에 위치한 주로, 북쪽으로 사메그렐로, 북서쪽으로 이메레티, 동쪽으로 삼츠헤-자바헤티, 남쪽으로 아자리아, 서쪽으로 흑해와 접한다. 면적은 2,033km²이며, 3개의 시와 1개의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구리아는 역사적으로 콜키스 왕국과 라지카 왕국의 일부였으며, 1463년 구리엘리 가문의 통치를 받는 공국으로 독립했다. 1810년 러시아의 보호령이 되었고, 1829년 러시아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기간 동안 소작농 자치 정부인 구리아 공화국이 수립되기도 했다. 현재 아열대 농업과 관광 산업이 경제의 주춧돌이며, 구리아인은 조지아인의 한 민족학적 집단으로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주 - 시다카르틀리주
    시다카르틀리주는 조지아 중부에 위치하며 대, 소 카프카스 산맥 사이의 저지대에 자리 잡고 있는 "내부 카르틀리"를 의미하는 주로, 평원과 산악 지형, 다양한 기후, 여러 시와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부 지역은 조지아 정부의 통제력을 상실한 상태이다.
  • 조지아의 주 - 카헤티주
    카헤티주는 조지아 동부에 위치하며 알라자니 강 유역을 중심으로 와인 생산과 관광이 발달한 지역이다.
구리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구리아 지역의 풍경
구리아 지역의 풍경
바흐마로
바흐마로
셰모크메디 수도원
셰모크메디 수도원
콜케티 국립공원
콜케티 국립공원
바흐비스츠칼리 강
바흐비스츠칼리 강
국가조지아
지역 유형므하레 (지역)
중심 도시오주르게티
구성3개 무니키팔리테티
행정
주지사주라브 나사라이아
통계
면적2033 km²
인구 (2023년)104338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실업률불명
지역 총생산 (2022년)₾ 10.4억
1인당 지역 총생산 (2022년)₾ 9,934
HDI (2021년)0.759
HDI 순위2위
기타
ISO 3166-2GE-GU

2. 지리

구리아는 북쪽으로 사메그렐로, 북서쪽으로 이메레티, 동쪽으로 삼츠헤-자바헤티, 남쪽으로 아자리아, 서쪽으로 흑해와 접한다.[13] 구리아주의 면적은 2,033km2이다.[13] 구리아는 북동부에 동일 위도 경도 선이 가로지른다.

구리아 지형도


구리아 행정 구역


구리아는 3개의 시와 1개의 지구, 총 4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3]

  • 오주르게티 시
  • 오주르게티 시
  • 란치후티 시
  • 초하타우리 시


지구명(한국어)지구명(조지아어)중심지면적 (km2)인구[13] (2014년 현재)비고
란치후티 시ლანჩხუთის მუნიციპალიტეტი란치후티533.131,486
오주르게티 시ოზურგეთის მუნიციპალიტეტი오주르게티67562,863
초하타우리 시ჩოხატაურის მუნიციპალიტეტი초하타우리825.119,001


2. 1. 행정 구역

구리아는 북쪽으로 사메그렐로, 북서쪽으로 이메레티, 동쪽으로 삼츠헤-자바헤티, 남쪽으로 아자리아, 서쪽으로 흑해와 접한다.[13] 구리아주의 면적은 2,033km2이다.[13] 구리아는 북동부에 동일 위도 경도 선이 가로지른다.

구리아는 3개의 시와 1개의 지구, 총 4개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3]

  • 오주르게티 시
  • 오주르게티 시
  • 란치후티 시
  • 초하타우리 시


지구명(한국어)지구명(조지아어)중심지면적 (km2)인구[13] (2014년 현재)비고
란치후티 시ლანჩხუთის მუნიციპალიტეტი란치후티533.131,486
오주르게티 시ოზურგეთის მუნიციპალიტეტი오주르게티67562,863
초하타우리 시ჩოხატაურის მუნიციპალიტეტი초하타우리825.119,001


3. 역사

"구리아"라는 지명은 800년경 프세우도-주안셰르의 조지아 연대기에 처음 등장한다.[19] 콜키스 왕국과 라지카 왕국의 일부였던 구리아 지역은 고대에 철, 구리, 금의 중요한 생산지였다.[5][6]

1352년경 구리아는 바르다니스제-다디아니 가문의 봉토로 처음 나타났으며,[20] 1463년에는 조지아 왕국에서 독립하여 구리엘리 가문의 통치를 받는 공국이 되었다. 당시 구리아 공국은 현재의 구리아 지역과 아자라의 상당 지역, 바투미를 포함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과의 잦은 충돌로 인해 영토가 축소되고 황폐화되었다.[20]

1810년 6월 19일, 마미아 5세는 러시아 제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러시아의 보호령이 되었다.[20] 1819년과 1841년에는 러시아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났다.[20] 1829년, 다비트가 섭정하던 기간에 구리아 공국은 러시아에 완전히 합병되었다.[20]

1840년 구리아는 군(우예즈트)이 되었고, 주요 도시의 이름을 따 오주르게티로 개명되었다. 1846년에는 쿠타이스 현으로 편입되었다.[20] 1904년 당시 구리아의 인구는 10만 명 미만이었고, 면적은 약 2,150km2였다. 산악 지대와 늪지 계곡에 옥수수 밭, 포도원, 차 농원 등이 있었다. 주민 대부분은 소작농과 소수의 시골 귀족으로 구성되었으며, 높은 문맹률과 경제적 자립도를 보였다.[21]

1902년부터 소작농들의 저항 시위가 조직되었고, 1905년 러시아 혁명 기간 동안 폭동으로 절정에 달했다. 이는 제국 내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조직적인 농민 운동이었다.[21] 구리아 공화국이라 불리는 소작농 자치 정부는 1906년 코사크 형벌 원정에 의해 진압될 때까지 유지되었다.[21]

1918년부터 1921년까지 구리아 지역은 조지아 민주 공화국을 통치한 조지아 사회주의(멘셰비키)당의 주요 기반이었다. 1920년대 구리아는 소련의 군사적 강요에 저항하는 게릴라전의 무대였다. 소련 시대에 구리아는 3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뉜 농업 지역이었다.[21]

1995년 조지아 정부는 구리아주(므하레)를 설치하면서 역사적인 이름을 공식적으로 복원했다.[21]

리카우리와 셰모크메디의 정교회는 구리아 지역의 주요 역사적 건물이다.

4. "구리아"의 어원

구리아라는 이름에 대한 어원으로는 몇 가지 설이 거론되고 있다. 그 단어의 근원은 쉼없음을 뜻하는 것으로 보이며, "분주한 땅"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에 작성된 바크슈티 바그라티오니의 역사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10]

"레온이 압하제티의 왕이되고, 구룰스가 오조라코의 통치자에게 복종하기를 거절하고, 아다르나세와 바그라티오니의 아쇼트 1세와의 봉신 관계를 끊고, 레온과 통합"하던 8세기와 9세기의 기간동안에 벌어진 여러 사건들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조지아의 전성기에 구리아는 조지아 영토의 심장부에 위치해 있었다는 해석도 있다. 메그렐리아어로 "심장"을 뜻하는 "구리"라는 단어가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한다.[10]

고미스므타와 소(小) 코카서스 산맥 (구리아 지역)

5. 경제

아열대 농업과 관광 산업은 구리아주 경제의 주춧돌이다. 수자원은 구리아의 중요한 자산 가운데 하나이다. 그 지방은 화학 성분이 보르조미의 광천수와 같은 나베글라비의 광천수와 흑해 우레키의 사철이 풍부한 건강 휴양지로 유명하다. 또한 구리아는 조지아에서 가장 큰 차농업지 중의 하나이다.

6. 인구 통계

구리아인(구룰레비)은 조지아어의 한 방언을 사용하는 민족이며 민족적으로 조지아인에 속한다.[11][17]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구리아의 인구는 113,350명으로, 이는 조지아 전체 인구의 3.1%를 차지한다. 인구의 98%는 민족 조지아인(대부분 토착 구리아인), 1%는 민족 아르메니아인이며, 나머지 1%는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의 대다수는 정교회 기독교인(87%)이며, 그 다음으로 이슬람교(11%)가 뒤를 잇는다.

구리아인 남성


구리아인 또는 구룰레비 (조지아어: გურულები)는 구리아에 거주하는 조지아인의 민족학적 집단 중 하나이다. 구리아인은 동방 정교회를 믿으며, 구리아 방언을 사용한다.[11][17]

7. 유명 인사


  • 가브리엘 키코제(19세기), 이메레티의 주교.
  • 에크브티메 타카이슈빌리(1862~1952년), 역사가.
  • 칼리스트라테, 1932년~1921년의 모든 조지아의 가톨리코스-파트리아르츠.
  • 노에 조르다니아, 1918년부터 1921년까지 조지아 민주 공화국의 총리.
  • 파블레 잉고로크바(1893~1990년), 역사가, 철학자, 공공 자선 사업가.
  •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조지아의 전직 대통령.
  • 노다르 둠바제, 작가.
  • 보리스 파이차제(1915–1990), 축구 선수

8. 정치

구리아주의 행정 중심지는 오주르게티이다. 구리아주에는 2개의 도시(오주르게티, 란치후티)와 7개의 다바(초하타우리, 바흐마로, 고미스므타, 우레키, 나루자, 라이투리, 크베다 나사키랄리)를 포함하여 194개의 거주 지역이 있다.

구리아주 주지사 직을 역임한 정치인은 다음과 같다.


  • 1995-1997 - 미헤일 추아셀리
  • 1997-1998 - 올레그 니콜레이쉬빌리
  • 1998–2003 - 카를로 구자비제
  • 2003-2004 - 바흐탕 골리아제
  • 2004-2005 - 베잔 칼란다제
  • 2005-2006 - 알레코 친차제
  • 2006-2008 - 미헤일 스비모니쉬빌리
  • 2008-2008 - 라마즈 니콜라이쉬빌리
  • 2008–2013 - 발레리 치타이쉬빌리
  • 2013–2014 - 기오르기 치카이제
  • 2015-2017 - 기아 살루크바제
  • 2017-2018 - 메라브 차누크바제
  • 2018–2021 - 주라브 나사라야
  • 2021–2021 - 기오르기 사호키아
  • 2021–현재 - 기오르기 우루샤제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https://www.geostat.[...]
[3]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s https://geostat.ge/m[...]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4-04-27
[4] 웹사이트 Population of Georgia http://www.geohive.c[...]
[5] 웹사이트 Guria https://georgiantrav[...] 2021-08-18
[6] 서적 Wonders Lost and Found: A Celebration of the Archaeological Work of Professor Michael Vickers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imited 2021-08-18
[7]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2003
[8]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1952
[9] 서적 Socialism in Georgian Colors: The European Road to Social Democracy, 1883-1917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10] 간행물 Georgia's Guria Region - "The land of the restless" https://georgianjour[...] 2021-08-18
[11] 웹사이트 Gurians, a historical people of West Caucasia, whose http://www.encyclope[...]
[12] 웹사이트 Population of Georgia http://www.geohive.c[...]
[13] 문서 転送
[14]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2003
[15]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1952
[16] 서적 Socialism in Georgian Colors: The European Road to Social Democracy, 1883-1917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17] 웹사이트 http://www.encyclope[...]
[18] 웹사이트 2002 Georgia census http://www.statistic[...] State Department of Statistics of Georgia 2007-12-16
[19]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2003
[20] 서적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1952
[21] 서적 Socialism in Georgian Colors: The European Road to Social Democracy, 1883-1917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