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간 개발 지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UNDP)에서 매년 발표하는 인간 개발 보고서에 포함된 지표로,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HDI는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평균 및 기대 수학 연수), 1인당 국민 총소득(GNI)을 종합하여 계산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HDI는 1990년 파키스탄의 경제학자 마부불 하크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국민 소득 중심의 개발에서 인간 중심의 개발로 초점을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2010년 이후에는 계산 방식이 변경되었으며, 매년 국가별 HDI 순위가 발표된다. 대한민국은 2022년 기준 HDI 19위를 기록했다. HDI는 국가 간 성과 비교에 유용하지만, 지속 가능성, 불평등, 민주주의 등 다른 중요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 국가 - 북캅카스 산악공화국
    북캅카스 산악 공화국은 러시아 혁명 후 북캅카스 여러 민족이 연합하여 수립, 7개 주로 구성되어 독립을 선포했으나 러시아 백군과 적군의 침공으로 소비에트 자치 공화국으로 편입되었으며, 현재도 북캅카스 분리주의 운동에서 상징성을 가진다.
  • 사회경제학 - 최저임금
    최저임금은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소득 격차 완화 등을 목표로 법으로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의미하며, 고용 감소나 물가 상승 등의 논쟁이 있지만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다.
  • 사회경제학 - 밀레니엄 개발 목표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는 2000년 유엔에서 채택된 8개의 주요 목표와 21개의 세부 목표로 구성된 국제 개발 목표로서, 절대 빈곤과 기아 퇴치,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양성평등, 아동 사망률 감소, 모성 보건 증진, 주요 질병 퇴치, 지속 가능한 환경 확보,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을 추구했으나, 목표 달성에 국가별 차이와 비판이 있었으며,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로 대체되었다.
  • 개발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개발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인간 개발 지수
지도
기본 정보
종류복합 통계
개발마흐부브 울 하크
발표국제 연합 개발 계획
발표일1990년
측정 대상수명
교육
소득
사용 목적국가별 인간 개발 수준 비교
약칭HDI
지표 상세
건강출생시 기대 수명
교육평균 취학 기간
기대 취학 기간
소득1인당 국민 총소득 (GNI)
계산 방법
지수 범위0에서 1 사이
값 의미1에 가까울수록 인간 개발 수준 높음
0에 가까울수록 인간 개발 수준 낮음
분류매우 높음 (0.8 이상)
높음 (0.7 ~ 0.799)
중간 (0.55 ~ 0.699)
낮음 (0.55 미만)
계산식기하 평균 사용
기타
관련 지수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 (IHDI)
젠더 불평등 지수 (GII)
다차원 빈곤 지수 (MPI)
비판지나친 단순화
소득 불평등 반영 미흡
환경 문제 고려 부족

2. 유래

인간개발지수(HDI)는 1990년 파키스탄 경제학자 마부불 하크가 고안했으며, 국제연합 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보고서 사무소가 매년 발간하는 인간개발보고서에 기반한다.[30] 개발 경제학의 초점을 국민소득 회계에서 인간 중심 정책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경제적 발전뿐만 아니라 인간의 복지 개선을 통해서도 개발을 평가할 수 있고, 평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30]

3. 인간개발지수 산정 방식

인간개발지수(HDI)는 각국의 실질국민소득, 교육수준, 문맹률, 평균수명 등 인간의 삶과 관련된 지표를 조사하여 인간 발전 정도와 선진화 정도를 평가하는 지수이다. 2009년까지 HDI가 0.900점 이상인 국가를 'Very High Human Development'로 분류하여 선진국으로 간주했으나, 2010년 산정 방식이 변경되면서 'Very High Human Development' 국가라도 0.900점 미만의 HDI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인간개발지수는 1인당 순 자산이나 상품의 품질과 같은 요소는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G7 회원국과 같은 선진국의 순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30]

HDI는 다음 세 가지 지표의 평균값으로 계산된다.


  • HDI = (1/3)×(소득지수) + (1/3)×(기대수명지수) + (1/3)×(교육지수)


각 지수는 최고치와 최저치가 설정되어 있으며, 다음 공식을 통해 0과 1 사이의 값으로 표시된다.

: 측면지수 = \frac{x - \min\left(x\right)} {\max\left(x\right)-\min\left(x\right)}

세부 지표별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평균수명지수= \frac{LE - 25} {85-25}

# 교육지수 = \frac{2} {3} \times ALI + \frac{1} {3} \times GEI

## 성인문해지수 (ALI) = \frac{ALR - 0} {100 - 0}

## 총취학지수(GEI) = \frac{CGER - 0} {100 - 0}

# GDP지수 = \frac{\log\left(GDPpc\right) - \log\left(100\right)} {\log\left(40000\right) - \log\left(100\right)}

  • LE: 출생시평균수명 (나이)
  • ALR: 성인문자해독률 (15세 이상)
  • CGER: 복합 초등·중등·고등 교육 총 취학률
  • GDPpc: 구매력 평가로 계산한 일인당 GDP (USD)


1990년~2021년 사이의 HDI 지수 변화 추이


OECD아랍 국가
전 세계아시아 태평양 지역
개발도상국유럽 및 중앙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3. 1. 2010년 이후 산정 방식 (현재)

2010년 11월 4일(2011년 6월 10일 업데이트)에 발표된 2010년 인간개발보고서에서 UNDP는 HDI 계산에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8][9] 이 방식은 다음 세 가지 지표를 사용하며, 이 지표들의 기하 평균으로 HDI를 계산한다.

  • '''인간개발지수'''(HDI) = \sqrt[3]{\textrm{LEI}\cdot \textrm{EI} \cdot \textrm{II}}.


각 지표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LE: 출생 시 기대 수명

:MYS: 평균 수학 연수 (25세 이상의 사람이 정규 교육에 사용한 연수)

:EYS: 기대 수학 연수 (18세 미만 아동의 총 기대 수학 연수, 13~17세 청년 남녀 포함)

:GNIpc: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
1. 기대수명 지수(LEI) = \frac{\textrm{LE} - 20}{65}

출생 시 기대 수명이 85세일 때 LEI는 1이고, 출생 시 기대 수명이 20세일 때 0이다.
2. 교육 지수 (EI) = \frac{\textrm{MYSI} + \textrm{EYSI}}{2}[10]

:2.1 평균 수학 연수 지수(MYSI) = \frac{\textrm{MYS}}{15}[11]

:: 15는 2025년까지 예상되는 이 지표의 최대값이다.

:2.2 기대 수학 연수 지수(EYSI) = \frac{\textrm{EYS}}{18}[12]

:: 18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것과 같다.
3. 소득 지수(II) = \frac{\ln(\textrm{GNIpc}) - \ln(100)}{\ln(750)}

1인당 GNI가 75000USD일 때 II는 1이고, 1인당 GNI가 100USD일 때 0이다.

3. 2. 2010년 이전 산정 방식

2010년 이전에는 HDI를 다른 방식으로 계산했다. 2009년까지의 HDI는 다음 세 가지 지표의 산술 평균을 통해 계산했다.[30]

  • HDI = (1/3)×(소득지수) + (1/3)×(기대수명지수) + (1/3)×(교육지수)


각 지표별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소득지수 = (구하려는 나라의 소득 - 최저치)/(최고치 - 최저치) × (각 수의 log값)
  • 기대수명지수 = (구하려는 나라의 평균수명 - 최저치)/(최고치 - 최저치)
  • 교육지수 = (2/3) × (성인문자 해독률)[31] + (1/3) × (학교등록률)[31]


좀 더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 평균수명지수= \frac{LE - 25} {85-25}

# 교육지수 = \frac{2} {3} \times ALI + \frac{1} {3} \times GEI

## 성인문해지수 (ALI) = \frac{ALR - 0} {100 - 0}

## 총취학지수(GEI) = \frac{CGER - 0} {100 - 0}

# GDP지수 = \frac{\log\left(GDPpc\right) - \log\left(100\right)} {\log\left(40000\right) - \log\left(100\right)}

  • LE: 출생시평균수명 (나이)
  • ALR: 성인문자해독률 (15세 이상)
  • CGER: 복합 초등·중등·고등 교육 총 취학률
  • GDPpc: 구매력 평가로 계산한 일인당 GDP (USD)


2011년 보고서까지 UNDP(유엔개발계획)에서 이와 같은 계산 방식을 사용했다.[13]

1975년부터 2004년까지의 HDI 추세


OECD유럽CIS (OECD 비회원국)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동아시아
아랍연맹남아시아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4. 연도별 지수

2010년 이후 인간 개발 지수(HDI) 산정 방식이 변경되어, 'Very High Human Development' 국가라도 0.900 미만의 HDI 값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2024년 3월 13일에 2023년 기준 자료가 공개되었고[29], 2022년 9월 8일에는 2021년 기준 자료가 공개되었다.[28]

valign=top |
valign=top |


4. 1. 2024년 (2023년 데이터)

2024년 3월 13일에 발표된 2023/24년 인간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91개국 중 19위이다.[28] 2021년 HDI 값은 0.925이다.

4. 2. 2022년 (2021년 데이터)

2022년 9월 8일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간 개발 지수(HDI) 순위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19위를 기록했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스위스0.9620.008
2노르웨이0.9610.008
3아이슬란드0.9590.014
4(3)홍콩0.9520.017
5(3)오스트레일리아0.9510.018
6덴마크0.9480.012
7(2)스웨덴0.9470.01
8(6)아일랜드0.9450.02
9(5)독일0.9420.004
10(1)네덜란드0.9410.009
11핀란드0.9400.01
12(1)싱가포르0.9390.009
13(3)뉴질랜드0.9370.013
13(2)벨기에0.9370.006
15(2)캐나다0.9360.01
16(1)리히텐슈타인0.9350.011
17(3)룩셈부르크0.9300.015
18(3)영국0.9290.005
19일본0.9250.007
19(3)대한민국0.9250.016
21(3)미국0.9210.001
22이스라엘0.9190.01
23(1)슬로베니아0.9180.029
23(4)몰타0.9180.015
25(4)오스트리아0.9160.006
26(9)아랍에미리트0.9110.046
27스페인0.9050.016
28(3)프랑스0.9030.011
29(3)키프로스0.8960.025
30(1)이탈리아0.8950.013
31(2)에스토니아0.8900.008
32(6)체코0.8890.002
33(2)그리스0.8870.007
34(1)폴란드0.8760.008
35(1)리투아니아0.8750.017
35(2)사우디아라비아0.8750.013
35(3)바레인0.8750.016
38(2)포르투갈0.8660.016
39(1)라트비아0.8630.013
40(6)안도라0.8580.009
40(5)크로아티아0.8580.015
42(1)칠레0.8550.009
42(1)카타르0.8550.009
44산마리노0.853
45(5)슬로바키아0.8480.003
46(1)헝가리0.8460.008
47(4)아르헨티나0.8420.006
48(6)튀르키예0.8380.021
49(3)몬테네그로0.8320.01
50(1)쿠웨이트0.8310.001
51(3)브루나이0.8290.007
52(2)러시아0.8220.002
53(3)루마니아0.8210.008
54(3)오만0.8160.007
55(2)바하마0.8120.008
56(4)카자흐스탄0.8110.006
57(2)트리니다드 토바고0.8100.006
58우루과이0.8090.011
58(4)코스타리카0.8090.002
60(3)벨라루스0.8080.004
61파나마0.8050.005
62(1)말레이시아0.8030.006
63(2)모리셔스0.8020.012
63(4)세르비아0.8020.007
63(7)조지아0.8020.008
66(6)태국0.8000.019


4. 3. 2020년 (2019년 데이터)

2022년 9월 8일에 공개된 2021년 기준 데이터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9위이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3)대한민국0.9250.016


4. 4. 2019년 (2018년 데이터)

2019년 12월 9일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9위였다.[28] 2021년 대한민국의 HDI 값은 0.925이며, 2015년 이후 0.016만큼 증가했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3)대한민국0.9250.016


4. 5. 2018년 (2017년 데이터)

2018년 9월 14일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22위이다.[28] 2021년 대한민국의 HDI 값은 0.925이며, 2015년 이후 3단계 상승했다.

4. 6. 2017년 (2016년 데이터)

2017년 3월 27일에 발표된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8위였다.[28] 2021년 대한민국의 HDI 값은 0.925이며, 2015년 이후 0.016만큼 증가하여 19위를 기록했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3)대한민국0.9250.016


4. 7. 2015년 (2014년 데이터)

2015년 12월 14일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7위였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3)대한민국0.9250.016



2014년 자료를 기준으로 한 2015년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의 HDI 값은 0.891로,

증가
증가하였다.[28]

4. 8. 2014년 (2013년 데이터)

2014년 7월 24일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인간 개발 지수 순위는 다음과 같다.[28]



이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5위를 기록했다.

4. 9. 2013년

2021년 자료를 기준으로 2022년 9월 8일에 발표된 인간 개발 지수에서 대한민국은 19위를 기록하였다.[28] 2015년 이후 순위 변동은 없으며, 2021년 HDI 값은 0.925로 2015년 이후 0.016만큼 증가했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대한민국0.9250.016


4. 10. 2011년

이 지수는 2022년 9월 8일에 공개되었으며, 2021년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2021년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일본과 함께 공동 19위이다.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일본0.9250.007
19(3)대한민국0.9250.016


4. 11. 2010년

이 지수는 2022년 9월 8일에 공개되었으며, 2021년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2021년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9위였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일본0.9250.007
19(3)대한민국0.9250.016



다음 표는 2019년 기준 '매우 높은 인간 개발' 국가 및 지역의 2010년대 후반 추이를 나타낸다.[28]

국가 및 지역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국가 및 지역
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
대한민국200.8220.008200.8250.011200.8290.004200.8320.003200.8360.004대한민국
국가 및 지역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순위전년 대비 순위 변동IHDI 값전년 대비 IHDI 값 변동국가 및 지역
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4. 12. 2009년

2021년 대한민국은 0.925의 HDI를 기록하여 전체 국가 중 19위를 차지했으며, 2015년 이후 순위가 3단계 상승했다.[28]

4. 13. 2008년

2022년 9월 8일에 발표된 2021년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9위이다.[28] 2006년 인간 개발 지수에서 대한민국의 순위는 26위였다.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일본0.9250.007
19(3)대한민국0.9250.016
21(3)미국0.9210.001



와 ,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했다.

4. 14. 2007년

2021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한민국은 일본과 함께 공동 19위를 기록하였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일본0.9250.007
19(3)대한민국0.9250.016


4. 15. 2006년

The Human Development Index(HDI)영어는 2022년 9월 8일에 공개되었으며, 2021년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2006년 자료가 없으므로, 2006년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다.

2021년 인간개발지수에서 대한민국은 19위를 기록했다.[28]

순위국가HDI
19대한민국0.925


4. 16. 2005년

이 지수는 2022년 9월 8일에 공개되었으며, 자료는 2021년 기준이다.[28] 2021년 대한민국의 HDI 순위는 19위였으며, HDI 값은 0.925였다. 2015년 이후 순위 변동은 없으며, HDI 값은 0.016만큼 증가했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대한민국0.9250.016


4. 17. 2004년

2021년 기준 조사에서 대한민국은 19위를 기록했다.[28]

순위국가·지역HDI
2021년 순위[28]2015년 이후 순위 변동[28]2021년 값[28]2015년 이후 변동[28]
19(3)대한민국0.9250.016


5. 과거 최고 순위 국가

인간개발지수(HDI)가 처음 발표된 이후, 각 연도별로 가장 높은 HDI 순위를 기록한 국가들을 정리한 것이다. 노르웨이가 16회로 가장 많은 횟수로 1위를 차지했으며, 캐나다(8회), 스위스, 일본, 아이슬란드가 그 뒤를 잇는다.

연도국가
1980Switzerland|스위스영어
1985Canada|캐나다영어
1990日本|일본일본어
1991日本|일본일본어
1992Canada|캐나다영어
1993日本|일본일본어
1994Canada|캐나다영어
1995Canada|캐나다영어
1996Canada|캐나다영어
1997Canada|캐나다영어
1998Canada|캐나다영어
1999Canada|캐나다영어
2000Canada|캐나다영어
2001Norway|노르웨이영어
2002Norway|노르웨이영어
2003Norway|노르웨이영어
2004Norway|노르웨이영어
2005Norway|노르웨이영어
2006Norway|노르웨이영어
2007Ísland|아이슬란드is
2008Ísland|아이슬란드is
2009Norway|노르웨이영어
2010Norway|노르웨이영어
2011Norway|노르웨이영어
2012Norway|노르웨이영어
2013Norway|노르웨이영어
2014Norway|노르웨이영어
2015Norway|노르웨이영어
2017Norway|노르웨이영어
2018Norway|노르웨이영어
2019Norway|노르웨이영어
2021Switzerland|스위스영어
2022Switzerland|스위스영어


6. 비판

1인당 소비 기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HDI의 관계


인간개발지수(HDI)는 국가 성과 및 순위에만 초점을 맞추고, 전 세계적 관점에서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며, 기초 통계의 측정 오류, 그리고 "저개발", "중개발", "고개발", "매우 고개발" 국가 분류를 심각하게 잘못하게 할 수 있는 UNDP의 공식 변경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비판받아왔다.[17]

또한 지속가능성[18] (이후 행성 압력 조정 HDI에서 다루어짐), 사회적 불평등Inequality영어[19] (이후 불평등 조정 HDI에서 다루어짐), 실업[20] 또는 민주주의[20]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헨드릭 볼프(Hendrik Wolff), 하워드 충(Howard Chong), 막시밀리안 아우프하머(Maximilian Auffhammer) 경제학자들은 HDI를 구성하는 기초 건강, 교육, 소득 통계의 데이터 오류 관점에서 HDI를 논의했다. 이들은 데이터 업데이트, 공식 개정, 국가 개발 상태 분류 기준의 세 가지 데이터 오류 원인을 확인했다. 이들은 이러한 오류로 인해 전체 국가의 11%, 21%, 34%가 현재 개발 단계에서 잘못 분류되었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볼프, 충, 아우프하머는 분류 기준이 임의적이고, 공식 통계 보고에 전략적 행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HDI를 널리 사용하는 정치인, 투자자, 자선 기부자 및 대중을 오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엔은 국가를 개발 단계로 분류하는 관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7]

2010년 UNDP는 이러한 비판에 대응하여 국가를 저개발, 중개발, 고개발 국가로 분류하는 기준을 업데이트했다. 2011년 1월 초,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논평에서, 인간개발보고서 사무소는[21] 2011년 1월 6일에 잡지에 발표된[22] 볼프 외 논문을 다룬 기사에 답변했다. 인간개발보고서 사무소는 HDI 계산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개정했으며, 새로운 방법론은 공식 또는 데이터 개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인간 개발 범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시스템을 생성함으로써 볼프 외의 비판에 직접 대응한다고 밝혔다.

2013년 살바토레 모니(Salvatore Monni)와 알레산드로 스파벤타(Alessandro Spaventa)는 GDP 대 HDI 논쟁에서 이들이 모두 사회 복지 정량화를 전제로 하는 다른 기준을 우선시하는 외부 지표라는 점이 종종 간과된다고 강조했다. 더 큰 문제는 경쟁하는 패러다임 간의 싸움에서 정책 초점을 인구로부터 직접 웰빙에 대한 정보를 얻는 메커니즘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23]

7. 같이 보기


  • 불평등 조정 인간개발지수 (IHDI)
  • 인간개발지수 순위 목록
  • 대한민국의 지역별 인간개발지수 목록

참조

[1] 저널 The Human Development Index: A History https://scholarworks[...] ScholarWorks@UMass Amherst 2019-02-28
[2]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https://economictime[...] 2017-11-29
[3] 웹사이트 About Human Development http://hdr.undp.org/[...] UNDP 2011-07-29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https://www.who.int/[...] 2024-06-26
[5] 웹사이트 Composite indices — HDI and beyond http://hdr.undp.org/[...] 2021-01-16
[6] 웹사이트 What is Human Development http://hdr.undp.org/[...] UNDP 2015-02-19
[7] 서적 The Courier https://books.googl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94-01-01
[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10 http://hdr.undp.org/[...] UNDP 2015-12-15
[9] 웹사이트 Technical notes http://hdr.undp.org/[...] UNDP 2015-12-15
[10] 뉴스 New method of calculation of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www.indiastud[...] 2017-11-19
[11] 저널 A New Data Set of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World, 1950–2010 http://www.nber.org/[...] 2011-07-29
[12] 간행물 Expected years of schooling
[13] 웹사이트 Definition, Calculator, etc. at UNDP site http://hdr.undp.org/[...] 2020-05-26
[14] 서적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Breaking the gridlock: Reimagining cooperation in a polarized world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5] 웹사이트 Filling Gaps in the Human Development Index http://www.unescap.o[...]
[16] 웹사이트 A "Classic" Human Development Index with 232 Countries http://www.humansecu[...]
[17] 저널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Consequences of Data Error: Evidence from the Human Development Index https://scholarship.[...]
[18] 저널 Living Planet Report 2014 http://assets.worldw[...]
[19] 저널 A Household-Based Human Development Index https://www.scienced[...] 2012-05-01
[20] 저널 A Modified Human Development Index, Democracy And Economic Growth In Indonesia 2020-05-02
[21] 뉴스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s comments http://www.economist[...] 2011-01-01
[22] 뉴스 The Economist (pages 60–61 in the issue of Jan 8, 2011) http://www.economist[...] 2011-01-06
[23] 저널 Beyond Gdp and HDI: Shifting the focus from Paradigms to Politics
[24] 웹사이트 The Human Development concept http://hdr.undp.org/[...] UNDP
[2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http://www.undp.org/[...] Undp.org 2013-05-26
[26] 간행물 The Real Wealth of Nations: Pathways to Human Development http://hdr.undp.org/[...] 2010-01-01
[27] 간행물 人間開発報告書 2007/2008
[28] 보고서 Human Development Index (HDI) https://hdr.undp.org[...] 2022-09-08
[29] 웹사이트 日本の「豊かさ」24位 https://newspicks.co[...]
[30] 저널 http://dx.doi.org/10[...]
[31]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