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지하철역이다.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응암 순환 방면으로만 운행하며, 출구는 4개가 있다. 역 주변에는 대조동, 역촌동, 구산동 등이 위치하며, 인근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의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역촌역
역촌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은평구청 등 공공기관과 편의시설이 인접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구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역 정보 | |
상세 정보 | |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지하 137-1 (구산동 1-21)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승강장 | 1면 1선 |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이전 역 | 독바위 |
다음 역 | 응암 |
역간 거리 | 독바위역 0.9km, 응암역 1.5km |
기타 정보 | |
승차 인원 (2015년) | 8,281명 |
승하차 인원 (2015년) | 14,289명 |
이미지 정보 | |
![]() | |
![]() |
2. 역사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역 ~ 상월곡역 구간 개통과 함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소속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순환 구간에 위치한 1면 1선의 곡선 단선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층별 | 구분 | 내용 |
---|---|---|
지상 | 지상층 | 출구 |
L1 대합실 | 로비 |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L2 승강장 | 승강장 | 서울 지하철 6호선 승강장 |
3. 1. 승강장
단식 승강장 1면 1선의 지하역으로, 열차 진행 방향 오른쪽 승강장 문이 열린다. 모든 열차는 응암역 방면으로만 운행하며, 연신내역 방면으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운행 방면 | 노선 | 행선지 |
---|---|---|
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응암 · 디지털미디어시티 · 효창공원앞 · 신내역 방면 |
4. 역 주변
1번 출구는 대조동 방면으로 대조초등학교, 대조동주민센터, 동명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 2번 출구는 역촌동 방면이다. 3번 출구는 구산동 방면으로 구산중학교, 예일여자고등학교, 구산동주민센터, 구립구산동도서관마을 등이 위치한다. 4번 출구는 갈현2동 방면으로 갈현동우체국, 역촌중앙시장, 구산사거리 등이 있다.
4. 1. 1번 출구
- 대조동
- 대조초등학교
- 대조동주민센터
-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 동명여자고등학교
- 삼성타운아파트
4. 2. 2번 출구
4. 3. 3번 출구
4. 4. 4번 출구
5. 이용객 변동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4,307 | 5,446 | 6,290 | 6,791 | 7,049 | 7,144 | 7,005 | 6,958 | 6,968 | 6,897 | [5] |
하차 | 3,516 | 4,517 | 5,133 | 5,545 | 5,669 | 5,634 | 5,521 | 5,418 | 5,359 | 5,285 | ||
승하차 | 7,824 | 9,963 | 11,424 | 12,336 | 12,718 | 12,778 | 12,527 | 12,377 | 12,327 | 12,183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7,064 | 7,242 | 7,595 | 7,954 | 7,993 | 8,280 | 8,288 | 8,257 | |||
하차 | 5,508 | 5,592 | 5,799 | 6,095 | 5,994 | 6,008 | 6,069 | 6,120 | ||||
승하차 | 12,572 | 12,834 | 13,394 | 14,049 | 13,987 | 14,288 | 14,357 | 14,377 |
6. 사진
7. 인접한 역
(614)
(615)
(615)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