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시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3개 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다. 2000년 12월 15일 6호선 개통과 함께 수색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9년 5월 28일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역 구조는 ㄷ자 형태로 3개 노선이 연결되며, 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순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주변에는 디지털 미디어 시티, 상암 MBC 사옥 등과 다양한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구산역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이 위치한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홍익대학교 인근 홍대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긴 환승 통로와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 합정역
합정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각 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총 10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로마자 표기 | Dijiteolmidieositi-yeok |
한자 표기 | 디지털미디어시티驛 |
위치 | 175 Susaek-ro Jiha (6호선), 223-27 증산동 193 Susaek-ro (경의·중앙선), 37-7 수색동, 은평구, 서울특별시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공항철도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6호선) 2009년 7월 1일 (경의·중앙선) 2010년 12월 29일 (공항철도) |
이전 역 이름 | 수색 (6호선) 멀티미디어시티 (공항철도 및 경의·중앙선) |
승강장 | 7 |
선로 수 | 10 |
노선 정보 |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역 번호 | 618 (6호선) K316 (경의·중앙선) A04 (공항철도) |
역 구조 |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상대식, 6호선) 3면 4선 (쌍상대식, 경의·중앙선) 2면 4선 (쌍섬식, 공항철도) |
사진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인접역 정보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이전 역: 증산 다음 역: 월드컵경기장 |
공항철도 | 이전 역: 홍대입구 다음 역: 마곡나루 |
경의·중앙선 | 이전 역: 수색 다음 역: 가좌 다음 역 (용문, 지평 방면): 가좌 (일부 열차는 서울역까지 운행) |
경의선 급행 | 이전 역: 행신 다음 역: 홍대입구 다음 역 (용문 방면): 홍대입구 |
경의선 일반 | 이전 역: 행신 다음 역: 가좌 |
경의선 J직통 | 이전 역: 수색 다음 역: 가좌 |
2. 역사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과 함께 '''수색역'''(水色驛)으로 영업 개시[11]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한국철도공사 (경의·중앙선), 서울교통공사 (6호선), 공항철도 3개 역이 ㄷ자 형태로 만나는 구조이다. 경의·중앙선 역과 공항철도 역 사이를 6호선 역이 잇는 형태이며, 각 노선 간 환승 통로가 있다.
2002년 5월 30일·31일, 6월 13일·6월 25일 :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찾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하여 경의선 상에 '''성산역'''(城山驛) 임시승강장을 설치하고 수색~성산 간 셔틀열차 운행[12]
2009년 5월 28일 : 6호선 역명을 '''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변경[13]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 ~ 문산 구간 개통[14]과 함께 환승역이 됨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 구간 개통과 함께 3개 노선 환승역이 됨
2012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디지털미디어시티 ~ 공덕 구간 연장 개통
2013년 4월 30일 : 경의선 전철·공항철도 간 환승 통로 개통.
2023년 일시 불명 : 공항철도 측에 부역명으로 “스카이라이프” 부여.[5]
3. 역 구조
경의·중앙선에서 공항철도로 환승하려면 6호선 승강장을 거쳐야 하므로 환승 거리가 매우 길다. 따라서 경의·중앙선-공항철도 환승 시에는 홍대입구역이나 공덕역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반면 경의·중앙선-6호선, 6호선-공항철도 환승 시에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출구는 총 9개가 있다.[6]
3. 1. 서울 지하철 6호선 승강장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지하 2층에 있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와 대합실은 역 북동쪽 끝과 남서쪽 끝에 각각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역과의 환승 통로는 승강장 중간에, 공항철도 역과의 환승 통로는 남서쪽 대합실에 연결되어 있다.
3. 1. 1. 6호선 승강장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참고)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6]
3.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지상 1층에 있으며,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1·2번 승강장은 경의본선을 경유하는 서울역 발착 열차가 사용하고, 3·4번 승강장은 용산선을 경유하여 용문 방면 발착 열차가 사용한다. 개찰구 등 역무 시설은 지상 2층에 있으며, 승강장 남동쪽 끝은 서울교통공사 6호선과의 환승 통로와 연결된다.
3. 2. 1. 경의·중앙선 승강장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참고)
섬식 승강장 2개가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사이에 끼어 있는 구조이다. 승강장 중앙에 개찰구로 연결되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으며, 승강장 가좌역 쪽에 6호선 방면으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다. 용산 방면으로 향하는 열차는 이 역을 출발하면 지하로 들어간다.[6]1 | 경의·중앙선 | 가좌·신촌·서울 방면 |
---|---|---|
2 | 경의·중앙선 | 행신·일산·문산 방면 (서울 방면 열차) |
3 | 경의·중앙선 | 가좌·홍대입구·공덕·용산·청량리·덕소·용문 방면 |
4 | 경의·중앙선 | 행신·일산·문산 방면 (용산 방면 열차) |
3. 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평소에는 안쪽 승강장에서 여객을 취급하지만, 이 역에서 직통열차가 일반열차를 추월할 경우 일반열차는 바깥쪽 승강장에서 여객을 취급하고 대피한다. 개찰구 등 역무 시설은 지하 1층에 있으며, 지하 2층은 여객 취급에 사용되지 않는다.[6]3. 3. 1. 공항철도 승강장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참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하역이다. 풀스크린 타입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피 가능 역이며, 일반적으로 안쪽 2선에 열차가 발착하지만, 직통 열차의 통과 대기를 위해 바깥쪽 2선에 발착하기도 한다.상행 종착역이며, 야간 주박 후 상행 첫차(서울 방면)가 된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4. 역 주변
출구 번호 | 주요 시설 |
---|---|
1 | 증산동, 증산빗물펌프장, 북가좌1치안센터 |
2 | 성산2동 방면, 성산2동우체국, 성산빗물펌프장, 성산119안전센터, 상암초등학교, 에스플렉스센터, tbs |
3 | 성산2동 방면(중동), 중암중학교, 신북초등학교, 한국우진학교, 월드컵참누리아파트, 중동청구아파트 |
4 | 북가좌1동, 증산1교, 이랜드해가든아파트 |
5 | 증산동, 증산시장, 한국전력공사 수색변전소, 일산 방면 |
6 | 수색동 방면 |
7 | 주차장 |
8 | 중소기업글로벌DMC센터 |
9 | 디지털 미디어 시티 방면, 에스플렉스센터, 상암 MBC 사옥, 서울북가좌초등학교, 신화컴퍼니(SHINHWA COMPANY), 서울상암초등학교, 성산우수펌프장, 수색성당, 이마트 수색점, 중암중학교, 섬산우수펌프장, 섬산시장, 섬산정보도서관, 한국전력공사 수색변전소, 서울일본학교, 누리꿈스퀘어, 불광천 |
5.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 인천국제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일간의 수치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5,142 | 9,139 | 11,465 | 12,785 | 13,303 | 12,879 | 13,242 | 14,150 | 15,497 | 16,029 | [15] | ||||
하차 | 4,436 | 7,497 | 9,413 | 10,455 | 11,085 | 11,216 | 11,423 | 12,637 | 15,006 | 16,075 | ||||||
승하차 | 9,578 | 16,636 | 20,877 | 23,240 | 24,388 | 24,095 | 24,665 | 26,787 | 30,503 | 32,104 | ||||||
경의·중앙선 | 승차 | 미개통 | 986 | [16] | ||||||||||||
하차 | 946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6호선 | 승차 | 16,041 | 15,892 | 15,780 | 15,556 | 15,817 | 15,255 | 14,971 | 14,175 | | | | | | rowspan="3" | [15] | ||||||
하차 | 16,930 | 17,181 | 17,090 | 16,754 | 16,996 | 16,476 | 16,379 | 15,656 | | | | | | | |||||||
승하차 | 32,971 | 33,072 | 32,870 | 32,310 | 32,813 | 31,731 | 31,350 | 29,831 | | | | | | | |||||||
인천국제공항철도 | 승차 | 2,350 | 5,530 | 11,727 | 16,054 | 18,494 | | | | | | | | | rowspan="2" | [17] | |||||||||
하차 | 3,327 | 5,119 | 12,975 | 15,323 | 17,580 | | | | | | | | | | ||||||||||
경의·중앙선 | 승차 | 1,350 | 1,608 | 1,772 | 1,867 | 2,136 | 3,725 | 3,918 | 3,813 | 3,647 | 3,806 | 3,100 | 3,246 | 3,708 | 4,033 | [16] |
하차 | 1,341 | 1,590 | 1,707 | 1,769 | 2,063 | 3,733 | 3,955 | 3,893 | 3,726 | 3,885 | 3,166 | 3,266 | 3,643 | 3,970 |
6. 배선도
7. 인접한 역
노선 | 종별 | 이전 역 | 이전 방면 | 다음 역 | 다음 방면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증산 (617) | 응암 순환 | 월드컵경기장 (619) | 신내 방면 | |
경의·중앙선 | 본선 완행 Korail|코레일영어 급행 | 수색 (K317) | 문산 방면 | 가좌 (K315) | 지평 방면 용문 방면 |
경의·중앙선 급행 | 행신 (K320) | 문산 방면 | 홍대입구 (K314) | 용문 방면 | |
경의선 완행 Korail|코레일영어 본선 급행 | 수색 (K317) | 문산 방면 | 가좌 (K315) | 서울역 방면 | |
인천국제공항선 | 일반 | 홍대입구 (A03) | 서울역 방면 | 마곡나루 (A042)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8.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디지털미디어시티역
https://terms.naver.[...]
Doopedia
2019-08-29
[2]
text
[3]
웹사이트
디지털미디어시티역
https://terms.naver.[...]
철도역 정보
2019-08-29
[4]
웹사이트
관련 사진 자료
http://cafe306.daum.[...]
[5]
웹사이트
https://www.newspim.[...]
[6]
웹사이트
http://www.smrt.co.k[...]
[7]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8]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9]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10]
text
[11]
text
[12]
text
[13]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211호
http://event.seoul.g[...]
2009-05-28
[1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2009-06-18
[1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16]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19
[17]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